KR20190067130A -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130A
KR20190067130A KR1020190013597A KR20190013597A KR20190067130A KR 20190067130 A KR20190067130 A KR 20190067130A KR 1020190013597 A KR1020190013597 A KR 1020190013597A KR 20190013597 A KR20190013597 A KR 20190013597A KR 20190067130 A KR20190067130 A KR 20190067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escape route
track
descending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431B1 (ko
Inventor
민병도
Original Assignee
궤도공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궤도공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궤도공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3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4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6/00Tracks or track components not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은, 상행 선로와 하행 선로가 나란히 제공되는 콘크리트 도상; 상기 콘크리트 도상으로부터 열차의 출입문과 동일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행선 선로와 상기 하행선 선로가 지나가는 경로상에 제공되는 승강장; 상기 콘크리트 도상으로부터 열차의 출입문과 동일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행 선로와 상기 하행 선로 사이에 제공되는 중앙 대피로; 및 상기 승강장과 상기 중앙 대피로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중앙 대피로에서 상기 승강장으로의 대피를 위해 상기 상행성 선로와 상기 하행선 선로를 횡단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되는 선로 횡단 대피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A safety exit system for railway}
본 발명은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폭주하는 교통 운송량의 증가로 인하여 교통망의 확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제한된 지면이나 지하에 의하여 새로운 교통망을 확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제약을 받게 되고 있어 최근에는 도심의 교통체증을 해소하고 버스 및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의 비효율성과 수송분담을 줄이기 위하여 미국, 유럽, 일본 등지에서는 새로운 대중교통수단 또는 공항 내에서의 승객운송수단으로 경전철이 부상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자치단체에서 기존 지하철과 전철에 비해 경제성과 환경성, 편리성, 안전성 등이 뛰어나고, 대도시의 난개발 문제, 도시 교통 문제 해결 및 대중교통 활성화, 도시경쟁력 제고 등으로 경전철 도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경전철의 수송능력은 지하철보다는 낮지만 버스보다는 월등히 높고, 건설비와 유지운영비가 지하철보다 훨씬 적게 들며 환경친화성 등으로 인하여 각광받고 있다.
기존의 지하철(전철)은 열차 상부에 설치된 전력공급선과 같은 공급수단이나 집전장치 및 이들을 고정하기 위한 대형 철구조물 등이 설치되어 있어 열차 고장 등의 비상상태가 발생하여 열차가 정지되어 있는 경우 승객이 열차에서 내려 선로를 따라 가까운 승강장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경전철은 파워레일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으며, 파워레일은 브라켓들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콘크리트 도상으로부터 부상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경전철은 전력 전달장치인 파워레일이 선로간 중심이나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어 안정상의 이유로 평상시 출입이 금지된다.
따라서, 경전철에서 열차 고장 및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 승객들이 신속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대피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 시에 승객이 열차에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 설치시 관계 분야(체결 장치, 바닥 횡단 케이블 및 배수구, 차량 운행 감지를 위한 장치, 전차선, 전력, 전기 선로)의 시설물과 간섭 없이 설치 가능한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행 선로와 하행 선로가 나란히 제공되는 콘크리트 도상; 상기 콘크리트 도상으로부터 열차의 출입문과 동일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행선 선로와 상기 하행선 선로가 지나가는 경로상에 제공되는 승강장; 상기 콘크리트 도상으로부터 열차의 출입문과 동일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행 선로와 상기 하행 선로 사이에 제공되는 중앙 대피로; 및 상기 승강장과 상기 중앙 대피로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중앙 대피로에서 상기 승강장으로의 대피를 위해 상기 상행성 선로와 상기 하행선 선로를 횡단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되는 선로 횡단 대피로를 포함하는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로 횡단 대피로는 상기 상행 선로와 상기 하행 선로의 궤도와 동일 높이로 제공되며, 상기 중앙 대피로는 상기 선로 횡단 대피로와 연결되는 계단과, 상기 승강장은 상기 콘크리트 도상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측구배수부와 연결되는 계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도상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상행 선로와 하행 선로를 주행하는 경전철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파워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는 상기 파워레일이 설치되는 급전구간과 상기 파워레일이 비설치되는 절연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선로 횡단 대피로는 상기 절연구간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로 횡단 대피로를 기준으로 전방의 급전구간과 후방의 급전구간으로 구분하였을 때, 상기 파워레일은 상기 전방 급전 구간에는 상기 상행 선로와 상기 하행 선로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 급전 구간에는 상기 상행 선로와 상기 하행 선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로 횡단 대피로는 선로의 횡단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 받침판; 상기 상부 받침판의 저면 모서리에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봉; 상기 콘크리트 도상의 천공홀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산산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앙카볼트; 및 양단에 상기 조절봉과 상기 앙카볼트가 체결되어 체결 길이에 따라 상기 상부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내부가 관통되며, 양단부의 내측으로 오른나사산과 왼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봉의 나사산은 상기 오른나사산과 상기 왼나사산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고,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은 나머지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랜치에 의한 회동이 용이하도록 외경은 육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로의 횡단 방향으로 위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 받침판; 상기 상부 받침판의 저면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봉; 선로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도상의 천공홀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산산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앙카볼트; 및 양단에 상기 조절봉과 상기 앙카볼트가 체결되어 체결 길이에 따라 상기 상부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선로 횡단 대피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내부가 관통되며, 양단부의 내측으로 오른나사산과 왼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봉의 나사산은 상기 오른나사산과 상기 왼나사산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고,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은 나머지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랜치에 의한 회동이 용이하도록 외경은 육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받침판은 PP/PE 주원료로 하여 2중으로 압출 발포성형한 플라스틱 합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받침판은 상부면에 승객 대피시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층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선로를 운행중인 경전철이 비상시 어느 곳에서 멈추더라도 승객을 포함한 대피자들은 중앙 대피로를 통해 가장 가까운 승강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선로들 사이에 설치된 파워레일을 넘어 횡단하는 위험으로부터 대피자들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선로 횡당 대피로는 도상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하부 장애물(체결 장치, 바닥 횡단 케이블 및 배수구, 차량 운행 감지를 위한 장치, 전차선, 전력, 전기 선로)의 시설물과 간섭 없이 선로 횡단 대피로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선로 횡단 대피로는 추후 유지관리시 레일 근접 설치물로서 완전한 고정체가 아닌 해체 가능한 시설물이기 때문에 레일 고정 장치의 노후, 훼손,탈락 등으로 혹시 열차 후렌과의 저촉시 운행 열차에 2차 사고 발생이 없도록 쉽게 해체, 이동 조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로 횡단 대피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로 횡단 대피로의 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안전 대피 시스템은 전력공급선이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되는 SLRT(Streetcar Light Rail Transit.노면 경전철) , 모노레일, LIM(선형유도전동기), AGT(자동안내주행차량) 등의 경전철이 운행되는 철도 시스템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열차 상부에 전력공급선이 배치되는 일반적인 지하철이나 전철 또는 철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1)은 콘크리트 도상(100), 승강장(200), 중앙 대피로(300), 그리고 선로 횡단 대피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 도상(100)에는 상행 선로(110)와 하행 선로(120)가 나란히 제공된다.
승강장(200)은 상행 선로(110)와 하행 선로(120)가 지나가는 경로상에 제공된다. 승강장(200)은 콘크리트 도상(100)으로부터 열차(20)의 출입문과 동일 높이에 설치된다. 승강장(200)은 상행 선로(110)와 하행 선로(120) 외측에 각각 위치된다. 승강장(200)은 콘크리트 도상(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측구배수부(102)와 연결되는 계단(210)을 포함한다.
중앙 대피로(300)는 콘크리트 도상(100)으로부터 열차(20)의 출입문과 동일 높이에 설치된다. 중앙 대피로(300)는 상행 선로(110)와 하행 선로(120) 사이에 제공된다. 중앙 대피로(300)는 선로 횡단 대피로(400)와 연결되는 계단(310)을 포함한다. 과일 예로, 중앙 대피로(300)는 교각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교각의 상면에는 안전발판 등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선로 횡단 대피로(400)는 승강장(200)과 중앙 대피로(300) 사이에 위치된다. 선로 횡단 대피로(400)는 중앙 대피로(300)에서 승강장(200)으로의 승객 대피를 위해 상행 선로와 하행 선로를 횡단하도록 콘크리트 도상(100)에 설치될 수 있다.
선로 횡단 대피로(400)는 상행 선로(110)와 하행 선로(120)의 궤도 높이와 동일 높이로 제공된다.
한편, 콘크리트 도상(100)에는 상행 선로(110)와 하행 선로(120)를 주행하는 경전철(20)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파워레일(500)이 제공된다. 파워레일(500)은 콘크리트 도상(100)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콘크리트 도상(100)에는 파워레일(500)이 설치되는 급전구간(X)과 파워레일(500)이 비설치되는 절연구간(A)을 포함하며, 선로 횡단 대피로(400)는 절연구간(A)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선로 횡단 대피로(400)를 기준으로 전방의 급전구간(X1)과 후방의 급전구간(X2)으로 구분하였을 때, 전방 급전 구간(X1)에서는 상행 선로(110)와 하행 선로(120)의 외측에 파워레일(500)이 배치되고, 후방 급전 구간(X2)에서는 상행 선로(110)와 하행 선로(120) 사이에 파워레일(500)이 배치될 수 있다. 선로 횡단 대피로(400)와 파워레일(500) 사이는 선로 횡단 대피로(400)를 통행하는 이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2M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로 횡단 대피로(400)는 이용자(승객 또는 작업자)의 도보 행로로서 평상시 열차 운행시에는 완전 차단되며, 열차 고장 및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 승객들이 신속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선로를 횡단하는 보도용으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안전 대피 시스템은 선로를 운행중인 경전철이 비상시 어느 곳에서 멈추더라도 승객을 포함한 대피자들은 중앙 대피로를 통해 가장 가까운 승강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선로들 사이에 설치된 파워레일을 넘어 횡단하는 위험으로부터 대피자들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다.
특히, 선로 횡단 대피로는 추후 유지관리시 레일 근접 설치물로서 완전한 고정체가 아닌 해체 가능한 시설물이기 때문에 레일 고정 장치의 노후, 훼손,탈락 등으로 혹시 열차 후렌과의 저촉시 운행 열차에 2차 사고 발생이 없도록 쉽게 해체, 이동 조립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로 횡단 대피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로 횡단 대피로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선로 횡단 대피로(400)는 상부 받침판(410), 조절봉(420), 앙카볼트(430) 그리고 연결관(4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받침판(410)은 선로의 횡단 방향으로 위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받침판(410)은 PP/PE 주원료로 하여 2중으로 압출 발포성형한 플라스틱 합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받침판(410)은 상부면에 승객 대피시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봉(420)은 상부 받침판(410)의 저면 모서리 부근에 설치된다. 조절봉(420)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앙카볼트(430)는 선로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도상(100)의 천공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앙카 볼트(430)는 외주면을 따라 나산산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부를 가질 수 있다.
연결관(440)은 양단에 조절봉(420)과 앙카볼트(430)가 체결되어 체결 길이에 따라 상부 받침판(4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관(440)은 내부가 관통되며, 양단부의 내측으로 오른나사산(442)과 왼나사산(444)이 형성되며, 조절봉(420)의 나사산은 오른나사산과 왼나사산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고, 앙카볼트(430)의 나사산은 나머지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연결관(440)은 랜치에 의한 회동이 용이하도록 외경은 육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선로 횡단 대피로(400)는 여러 시설 설치물과 간섭이 없고, 완전한 고정 설치가 아닌 시설물로서, 레일 작업(교환, 연마, 체결구 점검, 타분야 케이블 연결, 3궤도 셔드 레일의 위치 변경 등)시 해체, 조립 등이 용이하며, 타분야에서 설치된 시설물(감지장치, 케이블포설, 트레이) 등에 의한 횡단이 가능케 공간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선로 횡단 대피로(400)는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되므로 개소 별 레일상간 높이가 상이하더라도 높낮이 조절을 통해 높이 단차를 줄일 수 있으며, 각 구간별 체결구 위치가 다르더라도 구간별 형태를 별도로 하여 재단할 필요 없이 현장여건에 따라 어느 곳이든 이동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콘크리트 도상 200 : 승강장
300 : 중앙 대피로 400 : 선로 횡단 대피로

Claims (7)

  1. 상행 선로와 하행 선로가 나란히 제공되는 콘크리트 도상;
    상기 콘크리트 도상으로부터 열차의 출입문과 동일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행선 선로와 상기 하행선 선로가 지나가는 경로상에 제공되는 승강장;
    상기 콘크리트 도상으로부터 열차의 출입문과 동일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행 선로와 상기 하행 선로 사이에 제공되는 중앙 대피로; 및
    상기 승강장과 상기 중앙 대피로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중앙 대피로에서 상기 승강장으로의 대피를 위해 상기 상행성 선로와 상기 하행선 선로를 횡단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되는 선로 횡단 대피로를 포함하는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횡단 대피로는 상기 상행 선로와 상기 하행 선로의 궤도와 동일 높이로 제공되며,
    상기 중앙 대피로는 상기 선로 횡단 대피로와 연결되는 계단과, 상기 승강장은 상기 콘크리트 도상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측구배수부와 연결되는 계단을 포함하는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도상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상행 선로와 하행 선로를 주행하는 경전철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파워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는 상기 파워레일이 설치되는 급전구간과 상기 파워레일이 비설치되는 절연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선로 횡단 대피로는 상기 절연구간에 제공되는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횡단 대피로를 기준으로 전방의 급전구간과 후방의 급전구간으로 구분하였을 때, 상기 파워레일은 상기 전방 급전 구간에는 상기 상행 선로와 상기 하행 선로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 급전 구간에는 상기 상행 선로와 상기 하행 선로 사이에 배치되는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횡단 대피로는
    선로의 횡단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 받침판;
    상기 상부 받침판의 저면 모서리에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봉;
    상기 콘크리트 도상의 천공홀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산산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앙카볼트; 및
    양단에 상기 조절봉과 상기 앙카볼트가 체결되어 체결 길이에 따라 상기 상부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내부가 관통되며, 양단부의 내측으로 오른나사산과 왼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봉의 나사산은 상기 오른나사산과 상기 왼나사산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고,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은 나머지 하나에 체결되는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랜치에 의한 회동이 용이하도록 외경은 육각 형태를 갖는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KR1020190013597A 2019-02-01 2019-02-01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KR102032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97A KR102032431B1 (ko) 2019-02-01 2019-02-01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97A KR102032431B1 (ko) 2019-02-01 2019-02-01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673A Division KR102032429B1 (ko) 2017-12-06 2017-12-06 선로 횡단 대피로 및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130A true KR20190067130A (ko) 2019-06-14
KR102032431B1 KR102032431B1 (ko) 2019-11-08

Family

ID=6684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597A KR102032431B1 (ko) 2019-02-01 2019-02-01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4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879A (ko) * 2009-06-23 2009-07-13 신영기술개발(주)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KR100926954B1 (ko) * 2009-06-04 2009-11-17 주식회사 성신창업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대피통로
JP2013159181A (ja) * 2012-02-02 2013-08-19 Mitsubishi Heavy Ind Ltd 絶縁セクション、給電レール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KR101530211B1 (ko) * 2013-12-30 2015-06-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모노레일용 지상 승강장 및 건널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954B1 (ko) * 2009-06-04 2009-11-17 주식회사 성신창업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대피통로
KR20090076879A (ko) * 2009-06-23 2009-07-13 신영기술개발(주) 궤도차량 시스템의 안전대피통로
JP2013159181A (ja) * 2012-02-02 2013-08-19 Mitsubishi Heavy Ind Ltd 絶縁セクション、給電レール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KR101530211B1 (ko) * 2013-12-30 2015-06-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모노레일용 지상 승강장 및 건널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431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058B1 (ko) 하이브리드 교통 시스템용 궤도를 구비한 교량
US7624685B2 (en) Guideway and chassis system for wheel based rail running vehicle
CN104912004B (zh) 一种抱轨式轨道交通桥梁疏散检修平台
BR102012002851A2 (pt) via segura e ecolàgica para monotrilhos sobre rodas e de levitaÇço magnÉtica
CN109532868B (zh) 一种微轨交通系统
US20110022252A1 (en) Mass Transportation System
CN101954914B (zh) 一种用于磁浮轨道交通的快速安全疏散系统及其实施方法
TW201604055A (zh) 管道交通系統用運輸管道
RU2014129199A (ru) Установка подвесной канатной дороги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ассажиров
KR20190066855A (ko) 선로 횡단 대피로 및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CA2800399C (en) Urban transport installation using track ropes
KR20190067130A (ko)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CN207241698U (zh) 跨座式轨道交通系统的疏散平台和跨座式轨道交通系统
KR101176054B1 (ko) 하이브리드 교통 시스템
CN109398371B (zh) 一种带有电缆支架的阶梯式疏散平台
CN107060390B (zh) 一种轨道车辆停靠站
CA2648177C (en) Integrated walkway system
KR20130038568A (ko) 외선형 경전철의 승강장
CN103818494A (zh) 一种车辆
KR101183683B1 (ko)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CN107139935B (zh) 一种轨道交通系统
JP2009190496A (ja) 運搬装置
RU2633092C1 (ru) Подвесная дорога с вагоном-лифтом
US20050223933A1 (en) Over-way platforms for transportation systems
KR200423392Y1 (ko) 버스정류장의 복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