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683B1 -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 Google Patents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683B1
KR101183683B1 KR1020120027861A KR20120027861A KR101183683B1 KR 101183683 B1 KR101183683 B1 KR 101183683B1 KR 1020120027861 A KR1020120027861 A KR 1020120027861A KR 20120027861 A KR20120027861 A KR 20120027861A KR 101183683 B1 KR101183683 B1 KR 101183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vehicle
vehicle
emergency
road
wa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흥
Original Assignee
(주)신명건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명건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신명건설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20027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1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and having means for providing occasional passage, e.g. for emergenc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21S9/04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driven by wind power, e.g. by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이 제공된다. 제공된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은 주행차선과 외곽차선이 구비된 도로의 인접한 일측에 구획되며, 상기 외곽차선과 연결된 차량진입로와 차량진출로를 갖는 설치구역; 상기 설치구역 내에 비상차량이 주,정차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구역 내에 시공되며, 상부에 비상차량 대기공간이 마련되고, 하부에 상기 비상차량 대기공간과 연결되는 나선형 차량이동통로가 형성된 비상차량 대기소; 상기 비상차량 대기소를 일반차량으로 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진입로와 차량진출로 사이 구간에 가이드레일을 통해 구획된 안전지대; 일반차량의 주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 중 외곽차선측과 접하는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풍력발전부; 상기 외곽차선을 따라 주행하는 일반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상차량의 진입 여부를 알릴 수 있도록 상기 외곽차선에 등간격으로 매립설치되며, 상기 외곽차선에 매립되는 몸체프레임의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기 위한 덮개가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상기 풍력발전부를 통해 생산된 전기를 인가시 점멸동작하는 엘이디 램프가 설치된 매립형 차량진입 차단램프; 상기 비상차량 대기공간과 차량진출로를 상기 차량진출로 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비상차량 대기공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차량진출로의 바닥에 닿도록 시공된 비상차량 주행도약대; 상기 비상차량 대기공간에서의 비상차량의 출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비상차량 주행도약대의 일단에 설치된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 및 상기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를 통해 비상차량의 출동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매립형 차량진입 차단램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비상차량이 안전하게 출동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The vehicle to be established is sour at the road}
본 발명은 비상차량의 대기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차량 대기시설의 구조개선을 통해 비상차량의 초기 주행속도를 일반차량의 주행속도와 비슷하게 함으로써, 비상차량과 일반차량의 주행속도 차이로 인한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비상차량의 출동 상황을 일반차량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차량의 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가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유동인구의 증가 및 물품의 유통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의 원활한 흐름을 위한 도로 기반시설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도로를 통해 이동하는 차량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의한 각종 사고 또한 빈번히 발생한다.
한편,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정비불량으로 인한 고장사고가 발생하거나, 응급환자가 발생하여 급히 이송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환자이송차량 또는 구난차량이 상시 대기하고 있으며, 특히, 고속도로의 경우 한번 진입하면 타지역으로의 이동이 쉽지 않기 때문에 환자이송차량 또는 구난차량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그러나 종래 도로 특히, 고속도로에는 환자이송차량 또는 구난차량과 같은 비상차량이 대기할 만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위험을 무릅쓰고 갓길에서 대기함으로써, 차량충돌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비상차량은 긴급 상황의 발생으로 인하여 출동하게 되는 경우, 비상차량 자체에 마련된 경음기를 작동시켜 주위의 차량으로부터 양보를 구해야 했으나, 이 또한 매우 위험하였으며, 근래에는 도로의 정체성이 심화되어 긴급출동에 더욱 어려움이 따랐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상차량 대기시설에서 출동하는 비상차량의 초기 주행속도를 향상시켜 출동하는 비상차량의 속도와 주행중인 일반차량과의 속도를 유사하게 하여 비상차량과 일반차량의 주행속도 차이로 인한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상차량의 출동상황을 주행중인 일반차량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비상차량이 출동과정에서 진입하는 외곽차선을 일반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일반차량의 운전자에게 신호함으로써, 비상차량의 출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반차량과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주행차선과 외곽차선이 구비된 도로의 인접한 일측에 구획되며, 상기 외곽차선과 연결된 차량진입로와 차량진출로를 갖는 설치구역;
상기 설치구역 내에 비상차량이 주,정차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구역 내에 시공되며, 상부에 비상차량 대기공간이 마련되고, 하부에 상기 비상차량 대기공간과 연결되는 나선형 차량이동통로가 형성된 비상차량 대기소;
상기 비상차량 대기소를 일반차량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진입로와 차량진출로 사이 구간에 가이드레일을 통해 구획된 안전지대;
일반차량의 주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 중 외곽차선측과 접하는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풍력발전부;
상기 외곽차선을 따라 주행하는 일반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상차량의 진입 여부를 알릴 수 있도록 상기 외곽차선에 등간격으로 매립설치되며, 상기 외곽차선에 매립되는 몸체프레임의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기 위한 덮개가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상기 풍력발전부를 통해 생산된 전기를 인가시 점멸동작하는 엘이디 램프가 설치된 매립형 차량진입 차단램프;
상기 비상차량 대기공간과 차량진출로를 상기 차량진출로 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비상차량 대기공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차량진출로의 바닥에 닿도록 시공된 비상차량 주행도약대;
상기 비상차량 대기공간에서의 비상차량의 출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비상차량 주행도약대의 일단에 설치된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 및
상기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를 통해 비상차량의 출동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매립형 차량진입 차단램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풍력발전부는
주행중인 일반차량에서 발생한 바람을 유도할 수 있도록 내측에 차선측으로 개구된 유도홈을 갖는 바람유도체;
상기 유도홈의 상부에 볼트체결되며, 하부 양측에 힌지공을 갖는 설치편이 돌출형성된 거치대;
상기 설치편과 설치편사이에 힌지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외면에 바람의 힘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다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회전날개 및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력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차량 대기시설의 구조 개선을 통해 비상차량의 출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반 차량과의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중 비상차량 대기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중 풍력발전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중 풍력발전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중 매립형 차량진입 차단램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을 나타낸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중 비상차량 대기소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중 풍력발전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중 풍력발전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중 매립형 차량진입 차단램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은 도로에 접하도록 마련된 설치구역(110)과, 상기 설치구역(110) 내에 시공된 비상차량대기소(120)와, 상기 비상차량대기소(120)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된 안전지대(130)와, 상기 안전지대(130)에 설치되는 풍력발전부(140)와, 일반차량이 주행하는 외곽차선(2)에 매립설치되는 매립형차량진입차단램프(150)와, 상기 비상차량대기소(120)에 시공된 비상차량 주행도약대(160)와 상기 비상차량 주행도약대(160)에 설치된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170) 및 상기 매립형차량진입차단램프(1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설치구역(110)은 상기 비상차량대기소(12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이때, 상기 설치구역(110)은 주행차선(1)과 외곽차선(2)이 구비된 도로의 인접한 일측에 구획되며, 상기 설치구역(110)에는 비상차량이 진입 또는 출동할 수 있도록 상기 외곽차선(2)과 연결된 차량진입로(111)와 차량진출로(11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비상차량대기소(120)는 상기 설치구역(110) 내에서 비상차량이 주,정차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비상차량대기소(120)는 상기 설치구역(110) 내에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시공되며, 상부에 비상차량대기공간(121)이 마련되고, 하부에 상기 비상차량대기공간(121)과 연결되는 나선형차량이동통로(1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비상차량대기공간(121)에는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비상차량의 운전자가 대기하는 도주에 편안히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휴게시설, 수도시설 및 화장실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전지대(130)는 주행차량으로 부터 상기 비상차량대기소(120)를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안전지대(130)는 상기 차량진입로(111)와 차량진출로(113) 사이 구간에 가이드레일(131)을 통해 구획된다.
이에 따라, 외곽차선(2)을 따라 주행하는 일반차량이 운전부주의로 인해 상기 비상차량대기소(120) 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안전지대(130)가 주행하는 일반차량을 차단하여 비상차량대기소(120)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한편, 상기 풍력발전부(140)는 상기 안전지대(130)를 이루는 가이드레일(131) 중 외곽차선(2)측과 접하는 가이드레일(131)에 설치되어 일반차량의 주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풍력발전부(140)는 상기 가이드레일(131)의 일측에 주행중인 일반차량에서 발생한 바람을 유도하기 위한 바람유도체(142)가 설치되며, 상기 바람유도체(142)의 내측에는 외곽차선(2) 측으로 개구된 유도홈(1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홈(141)의 상부에는 거치대(L)가 볼트체결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L)는 그 하부 양측에 힌지공(143)을 갖는 설치편(144)이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편(144)과 설치편(144) 사이에는 상기 설치편(144)과 힌지연결되어 상기 설치편(144)을 기준으로 힌지회전하는 회전날개(146)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회전날개(146)는 그 외면에 바람의 힘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다수의 블레이드(14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전지대(130)의 지면에는 상기 회전날개(146)의 회전력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축전지(147)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력을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법은 일반적은 풍력발전기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공지된 기술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매립형차량진입차단램프(150)는 상기 외곽차선(2)을 따라 주행하는 일반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상차량의 진입여부를 알리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매립형차량진입차단램프(150)는 상기 외곽차선(2)이 지면에 몸체프레임(151)이 매립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프레임(151)은 그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공간(153)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151)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53)을 폐쇄하기 위한 덮개(154)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53)의 내부에는 엘이디램프(155)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 엘이디램프(155)는 풍력발전부(140)를 통해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인가받아 점멸동작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매립형차량진입차단램프(150)는 외곽차선(2)을 따라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비상차량이 외곽차선(2)으로 진입함을 미리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상차량이 외곽차선(2)으로 진입하기 전에 일반차량을 외곽차선에서 벗어나도록 함으로써, 비상차량의 긴급출동과정에서 일반차량과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엘이디램프(155)는 일반차량 운전자가 쉽게 점멸동작을 인식할 수 있도록 붉은색 빛을 발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비상차량 주행도약대(160)는 비상차량의 초기 주행속도를 높여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비상차량 주행도약대(160)는 상기 비상차량대기공간(121)과 차량진출로(113)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비상차량대기공간(1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차량진출로(113)의 바닥에 닿도록 시공된다.
또한, 상기 비상차량 주행도약대(160)는 비상차량이 출동하는 과정에서 초기 주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량진출로(113)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170)는 상기 비상차량대기공간(121)에 주,정차된 비상차량의 출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170)는 상기 비상차량대기공간(121)과 인접한 측의 비상차량 주행도약대(160)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170)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일반적인 공지된 동작감지센서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170)를 통해 비상차량의 출동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매립형 차량진입 차단램프(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에 따라, 상기 비상차량이 출동하여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170)가 동작하면, 상기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170)에서 인가된 신호는 제어부(180)로 전달된다. 이에, 상기 제어부(180)에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170)의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매립형차량진입차단램프(150)를 동작하여 일반차량 주행자가 비상차량이 진입하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은 비상차량의 출동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비상차량을 비상차량 대기시설에 주,정차하기 위해서는 비상차량을 차량진입로(111)로 진입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차량진입로(111)로 진입한 비상차량은 차량이동통로(123)를 이용하여 비상차량대기공간(121)으로 이동한다.
이에, 상기 비상차량은 상기 비상차량대기공간(121)에 주,정차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비상차량의 운전자 또한 상기 비상차량대기공간(121)에서 편안히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비상차량 운전자에게 긴급상황이 무전되면, 상기 비상차량은 비상차량 주행도약대(160) 및 차량진출로(113)를 통해 외곽차선(2)에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상차량은 상기 비상차량 주행도약대(16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초기 주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비상차량 주행도약대(16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170)가 동작하며, 그 신호는 제어부(180)로 전달된다.
이에, 상기 제어부(180)에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170)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매립형차량진입차단램프(150)의 엘이디램프(155)를 점멸동작시켜 비상차량이 외곽차선(2)으로 진입할 것을 경고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비상차량 대기시설에서 출동하는 비상차량의 주행속도를 향상시켜 출동하는 비상차량의 속도와 주행중인 일반차량과의 속도를 유사하게 근접시켜 비상차량과 일반차량이 주행속도 차이에 의한 상호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비상차량의 출동상황을 주행중인 일반차량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비상차량의 출동과정에서 진입하는 외곽차선을 일반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일반차량의 운전자에게 신호함으로써, 비상차량의 출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반차량과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1 : 주행차선 2 : 외곽차선
110 : 설치구역 120 : 비상차량대기소
130 : 안전지대 140 : 풍력발전부
150 : 매립형 차량진입 차단램프 160 : 비상차량 주행 도약대
170 :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 180 : 제어부

Claims (2)

  1. 주행차선(1)과 외곽차선(2)이 구비된 도로의 인접한 일측에 구획되며, 상기 외곽차선(2)과 연결된 차량진입로(111)와 차량진출로(113)를 갖는 설치구역(110)과, 상기 설치구역(110) 내에 비상차량이 주,정차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구역(110) 내에 시공되며, 상부에 비상차량대기공간(121)이 마련되고, 하부에 상기 비상차량대기공간(121)과 연결되는 나선형차량이동통로(123)가 형성된 비상차량대기소(120)와, 상기 비상차량대기소(120)를 일반차량으로 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진입로(111)와 차량진출로(113) 사이 구간에 가이드레일(131)을 통해 구획된 안전지대(130)와, 일반차량의 주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풍력발전부(140)와, 상기 외곽차선(2)을 따라 주행하는 일반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상차량의 진입 여부를 알릴 수 있도록 상기 외곽차선(2)에 등간격으로 매립설치되며, 상기 외곽차선(2)에 매립되는 몸체프레임(151)의 내측에 수용공간(153)이 마련되고, 상기 몸체프레임(151)의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153)을 폐쇄하기 위한 덮개(154)가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153)의 내부에 상기 풍력발전부(140)를 통해 생산된 전기를 인가시 점멸동작하는 엘이디램프(155)가 설치된 매립형차량진입차단램프(150)와, 상기 비상차량대기공간(121)과 차량진출로(113)를 상기 차량진출로(113) 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비상차량대기공간(1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차량진출로(113)의 바닥에 닿도록 시공된 비상차량 주행도약대(160)와, 상기 비상차량대기공간(121)에서의 비상차량의 출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비상차량 주행도약대(160)의 일단에 설치된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170) 및 상기 비상차량 출동 감지센서(170)를 통해 비상차량의 출동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매립형 차량진입 차단램프(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로 이루어진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부(140)는
    상기 가이드레일(131) 중 외곽차선(2)측과 접하는 가이드레일(131)에 설치하되,
    주행중인 일반차량에서 발생한 바람을 유도할 수 있도록 내측에 외곽차선(2)측으로 개구된 유도홈(141)을 갖는 바람유도체(142)와,
    상기 유도홈(141)의 상부에 볼트체결되며, 하부 양측에 힌지공(143)을 갖는 설치편(144)이 돌출형성된 거치대(L)와,
    상기 설치편(144)과 설치편(144)사이에 힌지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외면에 바람의 힘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다수의 블레이드(145)가 구비된 회전날개(146) 및
    상기 회전날개(146)의 회전력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축전지(147)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2. 삭제
KR1020120027861A 2012-03-19 2012-03-19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KR101183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861A KR101183683B1 (ko) 2012-03-19 2012-03-19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861A KR101183683B1 (ko) 2012-03-19 2012-03-19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683B1 true KR101183683B1 (ko) 2012-09-18

Family

ID=4711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861A KR101183683B1 (ko) 2012-03-19 2012-03-19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0845A (zh) * 2017-09-30 2018-02-02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机动车辆安全避险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1715A (ja) * 2000-10-12 2002-04-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表示用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1715A (ja) * 2000-10-12 2002-04-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表示用照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0845A (zh) * 2017-09-30 2018-02-02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机动车辆安全避险系统及其控制方法
CN107650845B (zh) * 2017-09-30 2023-06-09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机动车辆安全避险系统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543B1 (ko) 복합 신호등 장치
JP4982138B2 (ja) 車両遮断装置
CN105442471B (zh) 智能安全道闸及安全岛组件
KR101427712B1 (ko) 승객 안전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승강 시설물
KR101532554B1 (ko)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시스템
CN102881156A (zh) 一种通道式无人驾驶自主行驶智能公共交通系统
KR101489808B1 (ko)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차량 정차 유도 시스템
WO2015150885A1 (en) Electric drive vehicle and the procedure of use
KR101183683B1 (ko)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KR101572199B1 (ko) 노면전차 노선에 설치되는 바닥 매립형 신호등
KR102147872B1 (ko) 횡단보도용 차량 진입방지 스크린 장치
KR20090043727A (ko)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장치
CN205242299U (zh) 智能安全道闸及安全岛组件
WO2021001588A1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de peatones destinado a ser instalado en una entrada de paso de peatones
CN113699910B (zh) 一种智能封道系统
KR20100127610A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중앙분리대 식별장치
CN101604483A (zh) 高速公路防连续撞车系统
JP2005200844A (ja) 自走式トンネル内作業用台車
KR200415636Y1 (ko) 도주방지용 전동 펑크발생 장치턱
Lott et al. Safe Operations at Roadway Junctions-Design Principles from Automated Guideway Transit
KR20190066855A (ko) 선로 횡단 대피로 및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CN207208100U (zh) 一种铁路运输车辆用自动关闭栏杆门
CN107139935B (zh) 一种轨道交通系统
KR20160092119A (ko) 보행자 건널목 인식등
KR102611996B1 (ko) 횡단보도 세이프티 보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