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954B1 -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대피통로 - Google Patents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대피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954B1
KR100926954B1 KR1020090049436A KR20090049436A KR100926954B1 KR 100926954 B1 KR100926954 B1 KR 100926954B1 KR 1020090049436 A KR1020090049436 A KR 1020090049436A KR 20090049436 A KR20090049436 A KR 20090049436A KR 100926954 B1 KR100926954 B1 KR 100926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lange
locking means
scaffold
press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신창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신창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신창업
Priority to KR1020090049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로를 따라 설치되어 위급시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지하철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피통로와 관련되는 기술로서, 교각 상면에서 고정되며 좌우측 상단부에는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측면 또는 어느 일측면에서 고정되면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안전바아와; 상기 지지프레임 상면에 연이어 배치되어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다수의 발판과; 상기 플랜지에 구속되되 회전될 수 있고 상하로 움직여 상기 각 발판의 상면을 가압하여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락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 및 락수단에 관한 것이다.
대피통로, 락수단, 지하철, 터널, 발판, 간벽, 안전바아

Description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대피통로{Lock device for fixing a pedestrian plate and clearway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지하철로를 따라 설치되어 위급시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지하철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피통로와 관련되는 기술이다.
일반적인 열차나 지하철의 경우 터널을 통과하기도 하며, 특히 지하철의 경우는 혼잡한 도심의 지하를 따라 선로가 형성된다. 지하철이나 열차는 교통체증이 없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고 편리한 교통수단이지만 한번 사고가 나게되면 많은 인명피해를 유발한다는 단점도 있다.
열차나 지하철과 관련되는 대표적인 사고 사례로는 탈선사고나 화재사고 및 폭발사고 등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탑승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면 필연적으로 수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것이다.
특히 지하나 긴 터널 속에서 사고가 발생되면 마땅한 대피통로가 구비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사람들이 패닉상태에 빠져 제대로 탈출을 할 수가 없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57539호의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가 있었으며, 도1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준 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지하철 차량이 운행하는 선로(3)의 측벽(2)에 차량의 출입문 바닥과 동일한 높이로 지지대(13)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13)의 상부에는 보강대(11)가 중앙에 형성되고 보강대(11)의 상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익스펜드 메탈로 바닥(12)을 구비한 틀(10)을 고정시켜 통로(1)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도시된 것처럼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선로의 측벽에 앵카볼트 등을 이용하여 지지대(13)를 고정시키고 바닥(12)을 그 위에 지지될 수 있게 설치하는 구조를 갖춘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하며 선로 측벽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시공시에도 바닥(12)을 움직이지 못하고도록 용접 등으로 고정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나 교체 및 시공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하철로를 따라 설치되는 대피통로를 제공함에 있어 시공이 간편하면서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인 대피통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특히,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발판의 고정을 락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 시공성이 양호하고 교체도 용이하면서 기타 요소들에 대한 유지보수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에 대해 발판을 고정하기 위한 락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면에 가압면이 형성되며 후단부에 가압면보다 돌출된 지지단이 구비되고, 좌우측면 또는 상면에 조정레버의 탈부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부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가압면과 연결되는 구속체와; 상기 구속체 외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되 그 상단부는 상기 플랜지 하부면에서 지지됨으로써 상기 바디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면에는 합성수지재의 마모방지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조정레버와 암수결합으로 체결되는 슬라이딩레일 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철로를 따라 설치되는 대피통로로서, 교각 상면에서 고정되며 좌우측 상단부에는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측면 또는 어느 일측면에서 고정되면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안전바아와; 상기 지지프레임 상면에 연이어 배치되어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다수의 발판과; 상기 플랜지에 구속되되 회전될 수 있고 상하로 움직여 상기 각 발판의 상면을 가압하여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락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락수단은, 하부면에 가압면이 형성되며 후단부에 가압면보다 돌출된 지지단이 구비되고, 좌우측면 또는 상면에 조정레버의 탈부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부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가압면과 연결되는 구속체와; 상기 구속체 외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되 그 상단부는 상기 플랜지 하부면에서 지지됨으로써 상기 바디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면에는 합성수지재의 마모방지패드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는 조정레버와 암수결합으로 체결되는 슬라이딩레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단과 하단에 돌출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ㄷ 자형 단면을 이루는 두개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되, 다수의 가로연결부재가 두 지 지부재의 내측면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프레임은, 가로연결부재 위에 직교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두 지지부재 사이 공간을 분할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간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벽은, 삽입홈이 구비되는 상부홀더와 하부홀더가 서로 직교되게 결합되어 상부홀더의 삽입홈에 간격이 끼워지고 하부홀더의 삽입홈은 가로연결부재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단과 하단에 돌출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ㄷ 자형 단면을 이루는 두개의 지지부재가 이격거리를 두면서 결합되고, 상부측 플랜지에 안전바아의 하단부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프레임은, 각 지지부재의 내측면에 교각과의 연결을 위한 보조플랜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판은, 네모서리 부위가 ㄱ 자 형태로 절개되어 락수단이 지지프레임의 플랜지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프레임은, 교각 상면에 고정설치될 시에 지지프레임의 폭에 대하여 교각 상면의 폭이 충분치 않은 경우 ㄱ 자형의 언더플랜지를 교각의 측면에 부착시켜서 상기 지지프레임을 언더플랜지와 체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및 이를 갖춘 대피통로는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고 조립성이 양호하여 시공성이 좋고 유지보수에도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피통로에는 지지프레임에 간벽이 설치될 수 있어 지하시설물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들의 선로를 계획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판고정을 위한 락수단(이하, 락수단이라 한다) 및 대피통로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전개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으로 관련도면을 참조토록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실시가능한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인바, 타인에 의한 단순한 구조적 변경이나 등가적인 요소로의 치환과 같은 변형 실시예들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락수단 및 대피통로는 지하철이나 일반 열차가 통과하는 터널 구간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락수단은 대피통로의 구성시에 주요한 요소 로 사용되는 것인 바, 먼저 락수단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락수단은 지하철이나 일반 열차 구간외에도 각종 시설물에 설치될 수 있는 통로의 형성시에 발판의 고정을 위한 수단으로 제공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락수단(400)은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0)에 대해 통행을 위한 발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주요한 구성요소로 바디(410), 구속체(420), 탄성체(430)를 포함하며, 도2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락수단의 사시도이고, 도3은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락수단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4는 조정레버의 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에 해당되며, 도5는 체결부의 또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6은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락수단의 측면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락수단은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상하로 움직임이 발생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그 위치에 따라 발판을 눌러주어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바디(410)의 전체적인 형상은 대략 ㄱ 자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하부면은 가압면(411)과 지지단(412)으로 구분되고 상면이나 좌우측면에는 체결부(413)가 구비된다. 바디(410)의 하부면 중 후단부는 가압면(411)보다 돌출되는 지지단(41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단(41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편평한 가압면(411)이 된다. 상기 가압면(411)에는 후술할 구속체(420)의 연결을 위한 함몰된 암나사부(41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410)에는 선택적으로 조정레버(440)를 탈부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413)가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413)는 바디(410)의 좌우측면 또는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락수단(400)은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으로 하며, 따라서 상기 체결부(413)에 준비된 조정레버(440)를 결합시켜서 간편하게 회전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작용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바디(410)에 형성되는 체결부(413)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도2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일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바디(410)의 상부 좌우측면에 조정레버(440)의 결합이 가능한 슬라이딩레일(413)과 같은 것으로 한다. 체결부(413)로서의 슬라이딩레일은 조정레버(440)과 암수 형태로 결합이 되는 것으로 어느 일측에서부터 조정레버(440)를 슬라이딩레일(413)에 맞추어 미끄러지게 밀어넣게 됨에 의해 결합이 되는 형태의 것을 의미한다.
도2 또는 도4에 도시되는 체결부의 형상은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며 도5는 또 다른 체결부의 형상을 보여준다. 도5에서의 체결부(413)는 바디(410)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역시 조정레버(440)와 암수형태로 결합을 이루도록 함몰된 슬라이딩레일(413)와 같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락수단(400)에 구비되는 체결부(413)는 조정레버(440)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의 것이라면 얼마든지 그 형상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인 바, 제시되는 도면상의 체결부(413) 형상이나 조정레버(440)의 형상은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바디(410)를 이루는 가압면(411)은 지지프레임(100) 위에 놓이게 될 발판 상면부와 접촉되어 눌러주게 되는 부위가 되는데, 발판과의 마찰이 발생되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면(411)에 바디(410)와는 다른 재질인 마모방지패드(411a)를 두는 것으로 한다. 즉, 상기 바디(410)는 알루미늄 재질과 같은 것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가압면(411)에 결합될 수 있는 마모방지패드(411a)로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마모방지패드(411a)는 가압면(411)에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도록 함이 적합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수형태의 결합구(411-2)와 결합홈(411-1)의 조합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락수단(400)은 발판이 설치될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단부에는 돌출되는 플랜지(1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00)의 플랜지(110) 상면에 락수단(400)이 놓이게 되고 돌출되는 지지단(412)이 상기 플랜지(110)에 접촉을 이루게 되고 가압면(411)은 플랜지(110)에 대해 들뜬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바디(410)가 지지프레임(100)의 플랜지(110)에 구속되어 회전동작되며 상하로 움직임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 구속체(420)와 탄성체(430)가 사용되는데, 상기 구속체(420)는 상기 플랜지(110)를 관통하면서 그 상단부는 바디(410)의 가압면(411)에서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구속체(420)로 헤드부와 나사산부로 이루어지는 볼트를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 탄성체(430)로는 코일스프링을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구속체(420)는 바디(410)의 가압면(411)에서 나사결합되며 볼트의 외 면에 탄성체(430)로서의 코일스프링이 끼워지게 된다. 특히 상기 탄성체(430)는 그 상단부가 플랜지(110) 하부면에서 맞닿아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바디가 탄력적으로 플랜지에 대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구속체(420)는 플랜지(110)를 관통하여 바디(410)의 가압면(411)과 연결되기 때문에 바디(410)는 회전동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락수단(400)은 바디(410)의 체결부(413)에 조정레버(440)를 필요시에만 결합시켜서 발판의 고정을 위해 바디(410)를 회전되게 하여 발판 상면이 가압면에 의해 눌리어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락수단의 보다 구체적인 활용예와 작동관계는 이후 설명되는 락수단이 구비되는 대피통로에서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피통로는 지하철로를 따라 설치되어 위급시에 피난용 통로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대피통로를 구성하게 되는 주요한 요소로는 지지프레임(100), 안전바아(200), 발판(300) 및 락수단(400)을 포함하게 된다.
도7은 지지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8은 지지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9는 보조플랜지와 언더플랜지가 사용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10은 간벽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11은 시공된 대피통로의 사시도에 해당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지하철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으로부터 설 치되는 교각(90)과 같은 구조물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교각(9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폭은 대략 교각(90) 상면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한 정도로 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단부에는 돌출되는 플랜지(110)가 구비된다. 도7에 있어서 에이(a)는 교각이 벽면에 붙은 형식으로 시공되는 경우이고, 비이(b)는 교각이 벽면에 붙지 않도록 시공되는 경우에 적합한 대피통로의 설치구조이다. 즉, 교각이 벽면에 붙게 되면 벽면쪽에는 안전바아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지만, 벽면으로부터 떨어져 교각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지지프레임의 양쪽으로 안전바아를 설치해야 한다.
보다 구체적인 지지프레임(10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 자형을 이루는 두개의 지지부재(100a)를 이격거리를 두고서 연결시킨 형태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부재(100a)들은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서 제작할 수 있고 그 외에도 철재와 같은 금속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프레임(100)을 구성하게 되는 좌우측 지지부재(100a)들의 상단과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10)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두개의 지지부재(100a)들이 상호 이격되게 함에 있어서는 지지부재(100a)들의 내측면끼리 연결시키는 판상 형태의 다수의 가로연결부재(120)를 이용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좌우측 두 지지부재(100a)들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서로 구속되게 하기 위해 판상 형태의 가로연결부재(120)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시키게 되는데, 결합강도를 높이면서 소재 절감 그리고 이후 설명될 간벽의 설치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가로연결부재(120)는 ∪ 자 형태와 같이 양단부의 높이가 긴 형태로 하고 있다.
가로연결부재(120)는 각 지지부재(100a)의 내측면에서 결합되며 가로연결부재(120)의 양단부의 높이가 길게 형성되므로 지지부재(100a)와의 접합영역이 넓어져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00)을 이루는 두 지지부재(100a)의 사이 공간을 활용하여 전선과 같은 케이블(80)들을 설치토록 한다면 대피통로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케이블 선로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프레임(100) 내부에 케이블(80)을 배치하되 보다 계획적이고 정돈된 상태로 가설할 수 있도록 하고자 지지부재(100a)와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간벽(130)을 둘 수가 있다. 상기 간벽(130)은 판상 형태의 것으로 상기 가로연결부재(120) 위에 교차되면서 직립되게 설치되어 케이블(80)과 같은 전선의 가설공간을 필요에 따라 여러 곳으로 구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간벽(130)은 최소 하나에서부터 필요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간벽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벽(130)은 처음부터 가로연결부재(120)와 완전히 고정되게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킬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필요에 따라 구분되는 공간의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연결부재(12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간벽(130)의 설치구조를 아래와 같이 한다.
지지프레임(100)을 이루는 두 지지부재(100a)를 연결하는 가로연결부재(120) 위에 두개의 간벽(130)이 설치되도록 하는데, 상부홀더(140)와 하부홀더(150)라는 부재를 이용하여 간벽(130)을 가로연결부재(120)에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홀더(140)와 하부홀더(150)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서로 직교되게 결합되며 각각에는 삽입홈(IG)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홀더(140)의 삽입홈(IG)에는 간벽(130)을 끼우도록 하며, 하부홀더(150)에는 가로연결부재(120)를 끼우도록 함으로써 간벽(130)을 직립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특히 하부홀더(150)의 경우 가로연결부재(120)에 삽입홈(IG)이 끼워진 상태로 두어도 무방하므로 필요에 맞게 그 위치를 이동시켜서 공간을 적절히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간벽(130)의 갯수는 얼마든지 증감시킬 수 있고 설치 또한 간편하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재(100a)들을 연결하게되는 가로연결부재(120)간 간격이 넓은 경우 간벽 사이로 설치되는 케이블(80)이 하방으로 쳐질 수 있기 때문에 가로연결부재(120)들 사이에 적절한 갯수의 보조지지체(125)를 두도록 한다. 상기 보조지지체(125)는 봉 형태의 부재와 같은 것으로 충분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지지프레임(100)에 구비되는 플랜지(110)들은 상단부의 것을 상부플랜지(110a)라 하며 하단부의 것을 하부플랜지(110b)라 부르기로 한다. 교각(90) 위에 상기 지지프레임(100)을 고정시킴에 있어서는 앵카볼트(미도시)를 이용하게 되는데 하부플랜지(110b)에 구멍을 뚫어 교각(90)과 고정되게 한다.
하부플랜지(110b)를 이용하여 교각(90)에 지지프레임(100)을 고정시킬 경우는 교각(90)의 폭이 지지프레임(100)의 폭보다 충분히 커서 앵카볼트가 박혀도 교각이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만약 교각(90)의 폭이 충분치 않은 경우에는 지지프레임(100)을 이루는 지지부재(100a)의 내측면에 보조플랜지(160)를 두어서 상기 보조플랜지(160)에 앵카볼트를 설치하여 교각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보조플랜지(160)는 각 지지부재(100a)의 내측면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대략 ㄱ 자형 형태를 이루고 있고, 교각(90)과의 연결부위에만 보조플랜지(16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지지부재(100a)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한다.
지지프레임(100)을 교각(90)에 고정시킴에 있어 또 다른 방법으로는 교각(90)의 측면에 언더플랜지(170)를 설치하여 하부플랜지(110b)와 언더플랜지(170)를 체결시키도록 할 수 있다. 언더플랜지(170)를 이용하는 경우 역시 교각(90) 상면이 지지프레임(100)의 폭에 비하여 충분치 못한 경우로서 하부플랜지(110b)가 교각 측면보다 돌출되는 경우에 활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더플랜지(170) 역시 ㄱ 자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하며 앵카볼트를 이용하여 교각(90) 측면에 언더플랜지(170)를 고정시킨 후 하부플랜지(110b)와 맞닿는 언더플랜지(170)를 서로 구속연결시키도록 하면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좌우측면에는 통행자들의 안전을 고려하여 다수의 안전바아(200)를 상부로 돌출되게 하여 이동시 손으로 안전바아(200)를 잡고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전바아(200)는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지프레임(100)을 구성하는 각 지지부재(100a)의 외측면에 ∩ 자 형의 안전바아(200)를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안전바아(200)를 지지프레임(100)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u 자형 볼트(201)를 이용하여 구속시키도록 하며, 상부플랜지(110a) 중 안전바아(200)가 설치될 곳은 관통홀(111)을 두도록 하여 안전바아(200)의 하단부가 관통홀(111)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통홀(111)은 안전바아(200)의 직경보다 조금 큰 정도의 원형홀인 것으로 한다. 상기 안전바아(200)는 기본적으로 u 자형 볼트(201)에 의해 지지부재(100a)에 고정되지만 관통홀(111)에 의해서도 외측으로 굽혀지지 않게 지지되므로 설치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바아(200)는 지지프레임(100)의 어느 일측면에만 설치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지하철로를 따라 터널의 벽면에 접촉되게 대피통로가 형성되는 경우 벽면쪽에는 안전바아를 둘 필요가 없는 바, 추락위험이 있는 바깥쪽에만 안전바아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100)의 상면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발판(300)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통행이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발판(300)들은 상부플랜지(110a)에 접촉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발판(300)의 고정은 다수의 락수단(400)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락수단(400)들은 지지프레임(100)의 플랜지(110) 중 상부플랜지(110a)에 설치되는데 발판(300)의 상면을 눌러 가압하게 됨으로써 발판(30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판(300)의 고정을 위한 락수단(400)은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상부플랜지(110a)에 락수단(400)을 설치하기 위해 발판(300)의 네모서리 부위는 ㄱ 자 형태로 절개되도록 한다. 그리고 발판(300)의 좌우측면에는 안전바아(200)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홈(310)을 두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발판(300)의 네모서리 부위는 절개되어 상부플랜지(110a)가 덮이지 않으며, 상기 발판(30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상부플랜지(110a) 영역에 락수단(400)이 설치된다.
상기 락수단(400)은 상부플랜지(110a)에 결합이 되되 회전가능하며 상하로 움직임이 발생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그 위치에 따라 발판(300)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락수단(400)의 주요한 구성요소로는 바디(410), 구속체(420) 및 탄성체(4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410)의 하부면에 가압면(411)과 돌출되는 지지단(412)이 형성되고 바디(410)의 좌우측면 또는 상면에 조정레버(440)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413)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410)는 상부플랜지(110a) 상면에 위치되며 구속체(420)가 상부플랜지(110a)를 하방에서 관통되면서 바디(410)의 가압면(411)에서 결합이 되고 구속체(420) 외면에 탄성체(430)로서 코일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430)의 상단부는 상부플랜지(110a) 하부면에서 맞닿게 됨으로써 바디(410)가 상하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즉, 바디(410)를 상부로 당기게 되면 탄성체(430)가 압축되면서 바디(410)와 구속체(420)는 상승되며 탄성체(430)에는 복귀되려는 반발력이 저장되기 때문에 지지프레임(100) 위에 놓이는 발판(300)의 상면을 바디(410)의 가압면(411)이 누르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디(410)의 가압면(411)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마모방지패드(411a)가 결합될 수 있고 체결부(413)는 조정레버(440)와 암수결합으로 체결되는 슬라이딩레일로 구성할 수 있다.
개략적으로 전체적인 대피통로의 시공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프레임(100)이 놓일 교각(90)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지하철로를 따라 미리 형성시켜두도록 하며, 상기 교각(90) 상면에 미리 조립된 형태의 지지프레임(100)을 올려서 앵카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에는 교각(90)과 지지프레임(100)의 크기를 고려하여 지지부재(100a)의 하부플랜지(110b)에 앵카볼트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고, 보조플랜지(160)나 언더플랜지(170)를 이용하여 구속시킬 수도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00)은 현장에서 조립 후 시공될 수도 있고, 일정한 길이로 대량 제작한 후 운반하여 앵카볼트의 연결만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지지프레임(100)을 이루는 지지부재(100a)의 상부플랜지(110a)에는 락수단(400)을 규정된 위치에 설치하도록 하며 간벽(130)을 설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안전바아(200)를 결합시키도록 하며 이후 발판(300)을 제 위치에 배치시켜 통로가 형성되게 한다. 상기 발판(300)을 연속적으로 지지프레임(100) 상면에 배치한 후에는 락수단(400)을 이용하여 발판(3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락수단(400)을 회전시켜 발판(300)의 상면부가 락수단에 의해 눌리어져 가압되도록 한다.
물론, 이미 준비된 전선과 같은 케이블(80)이 있는 경우에는 발판(300)의 설치 전에 케이블을 간벽(130) 사이 사이로 배설하여두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필요시에 락수단(400)과 발판(300)과의 구속을 해제한 후 발판을 들어올려서 케이블을 설치하고 다시 발판을 락수단으로 구속되게 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락수단 및 대피통로는 터널구간이나 지하철 선로를 따라 대피통로를 시공함에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유지보수의 편리성 및 케이블의 선로로서 활용이 가능한 등 많은 장점이 있는 바 그 이용 가능성은 매우 놓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2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락수단의 사시도.
도3은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락수단의 사시도.
도4는 조정레버의 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5는 체결부의 또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6은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락수단의 측면도.
도7은 지지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8은 지지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9는 보조플랜지와 언더플랜지가 사용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10은 간벽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11은 시공된 대피통로의 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지지프레임 110 : 플랜지
100a: 지지부재 110a: 상부플랜지
110b: 하부플랜지 111 : 관통홀
120 : 가로연결부재 125 : 보조지지체
130 : 간벽 140 : 상부홀더
150 : 하부홀더 160 : 보조플랜지
170 : 언더플랜지 200 : 안전바아
201 : u 자형 볼트 300 : 발판
310 : 절개홈 400 : 락수단
410 : 바디 411 : 가압면
411a: 마모방지패드 412 : 지지단
413 : 체결부 411b: 암나사부
411-1: 결합홈 411-2: 결합구
420 : 구속체 430 : 탄성체
440 : 조정레버

Claims (13)

  1. 지지프레임에 대해 발판을 고정하기 위한 락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면에 가압면이 형성되며 후단부에 가압면보다 돌출된 지지단이 구비되고, 좌우측면 또는 상면에 조정레버의 탈부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부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가압면과 연결되는 구속체와;
    상기 구속체 외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되 그 상단부는 상기 플랜지 하부면에서 지지됨으로써 상기 바디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에는,
    합성수지재의 마모방지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조정레버와 암수결합으로 체결되는 슬라이딩레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 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4. 지하철로를 따라 설치되는 대피통로로서,
    교각 상면에서 고정되며 좌우측 상단부에는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측면 또는 어느 일측면에서 고정되면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안전바아와;
    상기 지지프레임 상면에 연이어 배치되어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다수의 발판과;
    상기 플랜지에 구속되되 회전될 수 있고 상하로 움직여 상기 각 발판의 상면을 가압하여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락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수단은,
    하부면에 가압면이 형성되며 후단부에 가압면보다 돌출된 지지단이 구비되고, 좌우측면 또는 상면에 조정레버의 탈부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부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가압면과 연결되는 구속체와;
    상기 구속체 외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되 그 상단부는 상기 플랜지 하부면에서 지지됨으로써 상기 바디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에는,
    합성수지재의 마모방지패드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는,
    조정레버와 암수결합으로 체결되는 슬라이딩레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단과 하단에 돌출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ㄷ 자형 단면을 이루는 두개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되, 다수의 가로연결부재가 두 지지부재의 내측면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가로연결부재 위에 직교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두 지지부재 사이 공 간을 분할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간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벽은,
    삽입홈이 구비되는 상부홀더와 하부홀더가 서로 직교되게 결합되어 상부홀더의 삽입홈에 간격이 끼워지고 하부홀더의 삽입홈은 가로연결부재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단과 하단에 돌출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ㄷ 자형 단면을 이루는 두개의 지지부재가 이격거리를 두면서 결합되고, 상부측 플랜지에 안전바아의 하단부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각 지지부재의 내측면에 교각과의 연결을 위한 보조플랜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네모서리 부위가 ㄱ 자 형태로 절개되어 락수단이 지지프레임의 플랜지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교각 상면에 고정설치될 시에 지지프레임의 폭에 대하여 교각 상면의 폭이 충분치 않은 경우 ㄱ 자형의 언더플랜지를 교각의 측면에 부착시켜서 상기 지지프레임을 언더플랜지와 체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을 갖는 대피통로.
KR1020090049436A 2009-06-04 2009-06-04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대피통로 KR100926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436A KR100926954B1 (ko) 2009-06-04 2009-06-04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대피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436A KR100926954B1 (ko) 2009-06-04 2009-06-04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대피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954B1 true KR100926954B1 (ko) 2009-11-17

Family

ID=4160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436A KR100926954B1 (ko) 2009-06-04 2009-06-04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대피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9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492B1 (ko) 2010-08-20 2013-02-22 주식회사 도시와광고 대피통로의 발판 잠금장치
KR20190066855A (ko) * 2017-12-06 2019-06-14 궤도공영 주식회사 선로 횡단 대피로 및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KR20190067130A (ko) * 2019-02-01 2019-06-14 궤도공영 주식회사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4572A (ja) 2000-06-27 2002-01-09 Ojima Seisakusho:Kk 足場板における隙間遮蔽構造
KR200357539Y1 (ko) 2004-04-29 2004-07-27 (주)탑스코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KR200384036Y1 (ko) * 2005-02-01 2005-05-11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대피통로 및 배연풍도를 구비한 터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4572A (ja) 2000-06-27 2002-01-09 Ojima Seisakusho:Kk 足場板における隙間遮蔽構造
KR200357539Y1 (ko) 2004-04-29 2004-07-27 (주)탑스코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KR200384036Y1 (ko) * 2005-02-01 2005-05-11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대피통로 및 배연풍도를 구비한 터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492B1 (ko) 2010-08-20 2013-02-22 주식회사 도시와광고 대피통로의 발판 잠금장치
KR20190066855A (ko) * 2017-12-06 2019-06-14 궤도공영 주식회사 선로 횡단 대피로 및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KR102032429B1 (ko) * 2017-12-06 2019-10-16 궤도공영 주식회사 선로 횡단 대피로 및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KR20190067130A (ko) * 2019-02-01 2019-06-14 궤도공영 주식회사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KR102032431B1 (ko) * 2019-02-01 2019-11-08 궤도공영 주식회사 경전철의 안전 대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058B1 (ko) 하이브리드 교통 시스템용 궤도를 구비한 교량
KR101082429B1 (ko)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US20080173854A1 (en) Portable barricade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80148896A1 (en) Support for a panel of a section of guided transport track
US6551011B1 (en) Highway median barrier and parapet
KR20100108180A (ko) 레일 좌굴 방지용 보안장치
KR100926954B1 (ko) 발판 고정을 위한 락수단 및 이를 구비하는 대피통로
JP6668476B2 (ja) 平面交差を設置するための装置
CN111719846A (zh) 用于将栏杆部件保持在天花板模板面板上的保持器
KR102168881B1 (ko)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CN208235233U (zh) 一种铁路加固装置
KR200361531Y1 (ko) 3단 분리형 교량유지관리 점검대
CN109398371B (zh) 一种带有电缆支架的阶梯式疏散平台
CA2648177C (en) Integrated walkway system
JP2016014236A (ja) 吊足場
JP3991067B1 (ja) 鉄道ホーム間仮設橋
KR20070010522A (ko)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
CN209258116U (zh) 一种带有电缆支架的阶梯式疏散平台
JP2007186947A (ja) 桁裏面への作業足場の形成方法及び桁裏面の作業足場
JP5002775B2 (ja) 鉄道用安全柵の支柱部材
JP5794461B1 (ja) 吊足場
KR100920524B1 (ko) 복개도로용 복개장치
KR20110087877A (ko) 가설 인도 및 자전거 도로 겸용 지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설 인도
CN219569507U (zh) 一种道路照明工程用施工作业平台
CN210117967U (zh) 用于空中轨道交通系统的支撑立柱和空中轨道交通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