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182B1 -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0182B1 KR101590182B1 KR1020140022535A KR20140022535A KR101590182B1 KR 101590182 B1 KR101590182 B1 KR 101590182B1 KR 1020140022535 A KR1020140022535 A KR 1020140022535A KR 20140022535 A KR20140022535 A KR 20140022535A KR 101590182 B1 KR101590182 B1 KR 1015901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subway
- guide
- rescue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5/00—Apparatus for placing vehicles on the track; Derailers; Lifting or lowering rail vehicle axles or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선로에서 차량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접근하여 구난 작업을 수행하는 구난 차량을 선로에 안착시키는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철 선로 상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긴급으로 출동하여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지하철 역사 승강대 일측에 배치된 구난 차량을 선로 상에 안착하는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선로 측면 안쪽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선로 측면 안쪽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차량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철 선로 상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긴급으로 출동하여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지하철 역사 승강대 일측에 배치된 구난 차량을 선로 상에 안착하는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선로 측면 안쪽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선로 측면 안쪽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차량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의 사고 발생 시, 주변 역사로부터 긴급하게 접근 가능한 지하철용 긴급 구난 시스템에 사용되는 구난 차량을 선로에 안착시키는 안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환경과 이송의 편리성 등을 위하여 많은 철도 차량들이 운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장거리 운송용으로는 고속 열차, 대도시 내의 이동을 위한 지하철 그리고 근거리 이동을 위한 도시철도 등이 이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은 철도 차량들은 한번에 대규모의 인원 또는 물건들을 이송할 수 있으므로, 높은 경제성과 운행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어, 국가 또는 도시의 교통 인프라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며, 향후에도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철도 차량은 궤도 위에 주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궤도는 지하 또는 지상에 위치하며, 시설물의 안전을 위하여 일반인 등의 접근을 사전에 통제하는 형태로 구축되어 있으며, 특히 도시 내에 운용되는 지하철의 경우에는 엄격히 통제되고 있다.
철도 차량은 기본적으로 높은 안정성을 가지는 운송 시스템이나, 상태 이상 등에 의하여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며, 이러한 철도 차량의 사고는 매우 위험한 형태로 진행되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철도 사고 시 승객들의 안전과 구난을 위한 다수의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242145호는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구의 하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하여 상기 비상구의 내측에 접혀져 수용되며 비상시 미는 힘에 의해 철도차량 밖으로 펼쳐져 타단이 지면에 도달하는 비상램프와,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상단이 힌지 결합하여 상기 비상구를 폐쇄하며 비상시 미는 힘에 의해 펼쳐지는 상기 비상램프에 밀려 상부로 회전하여 상기 비상구를 개방하는 비상도어와, 상기 비상구 및 비상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비상시 펼쳐지는 상기 비상램프에 의해 열리는 상기 비상도어를 들어올리는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비상램프는 힌지부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발판으로 이루어져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상램프에 상기 비상도어를 잠그고 여는 로킹부가 구비되되, 상기 로킹부는 상기 비상램프의 타단에 위치한 상기 발판의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바와, 상기 핸들바에 형성되는 후크 형상에 고정구와, 상기 비상도어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비상도어가 닫힐 경우에 상기 고정구에 잠기며 상기 핸들바를 밀 경우에 상기 고정구와 잠김이 풀리는 홀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상시 승객이 비상탈출장치를 한 번 조작하면 자동으로 작동되어 비상램프는 펼쳐지고 비상도어는 열리게 함으로써, 비상탈출장치의 조작이 용이하고, 탈출시간이 종래 보다 단축되고,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철도 차량의 안전 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0-0061009호는 철도 역사 내 비상 상황 영상 표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 역사 내 비상 상황 영상 표시 시스템은, 비상 경보 장치가 설치된 복수의 장소를 각각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디지털 영상을 전송받아 설치 장소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비상 경보 발생시 상기 비상 경보 장치가 동작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전부터 상기 비상 경보 장치가 동작된 시점까지의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운영자는 비상 경보 발생시, 비상 경보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의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비상 경보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 특허들은 개별 철도 차량의 안전을 위한 탈출 장치와 역사 내의 비상 상황을 신속하게 알려주는 등의 장점을 갖는 구성들이나, 열차 사고의 경우에는 대부분 역사 이외의 지역에서 자주 발생하며, 철로에서 발생된 사고의 경우 구난을 위한 응급요원들의 접근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지하철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선로들이 지하에 위치하여 사고 현장의 접근은 인근 역사를 통하여 도보로 이루어지며, 특히 화재가 동반된 경우에는 응급 요원들의 접근이 매우 어려우며, 또한 부상자 등의 이송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어, 신속히 사고 현장에 접근하여 구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긴급 구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하철 선로에서 차량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접근하여 구난 작업을 수행하는 구난 차량을 선로에 안착시키는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철 선로 상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긴급으로 출동하여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지하철 역사 승강대 일측에 배치된 구난 차량을 선로 상에 안착하는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선로 측면 안쪽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선로 측면 안쪽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차량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난 차량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승강대에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차량 안내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선로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부로 이동, 회전 후, 상기 차량 안내부를 통하여 선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는 상단에 상기 구난용 차량의 휠을 안내하는 복수의 휠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는 일측에 설치되는 윈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윈치 케이블의 일단은 상기 구난 차량에 부착되어 상기 윈치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대에서 회전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난용 차량은 회전부에서 차량 안내부로 이동 시에 상기 윈치에 의하여 이동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안내부의 일단에는 휠의 정확한 안내를 위하여 인입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정확한 고정을 위하여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은 각 지하철 역사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구난용 차량을 사고 또는 재난 발생 시, 역사 내의 궤도 상에 별도의 동력없이 신속하게 안착시켜 후 구난용 차량이 신속하게 현장으로 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으로, 지하철 선로 상에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하철용 긴급 구난 시스템의 설치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부의 설치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난용 차량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힘 수단의 일 실시예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접힘 수단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6은 도 1의 안착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차량 안내부의 설치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하철용 긴급 구난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부의 설치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난용 차량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힘 수단의 일 실시예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접힘 수단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6은 도 1의 안착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차량 안내부의 설치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하철용 긴급 구난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지하철은 지하 또는 지상에 위치하는 역사와 각 역사를 연결하는 선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사 내에서 사고 등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역사에 설치된 비상 장치 또는 비상 경로를 이용하여 구난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화재 진압용 소방차와 소방인력도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다.
반면에 선로 상에서 열차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특히 선로가 지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통로로 접근하기가 불가능하며, 사고 지점 인근에 위치하는 역사를 통하여 진입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선로 상의 사고 발생 시 인근 역사를 통하여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는 지하철용 긴급 구난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지하철용 긴급 구난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역사(5), 상기 지하철 역사(5) 일측면에 설치되는 주차부(10), 상기 주차부(10)에 주차되는 구난용 차량(50) 및 상기 구난용 차량(50)을 역사 내 선로에 안착시키는 안착 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하철 역사(10)는 통상의 역사와 동일하며, 선로(1)가 중앙에 또는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승강대(2)는 선로(1)가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선로(1)가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경우에는 중앙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차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2)의 끝단에 형성한다.
상기 승강대(2)는 열차가 도착하는 경우 승객들의 승하차를 위한 공간이므로, 양끝단은 일부 유효 공간이 남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유효 공간에 주차부(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역사(5)와 역사(5) 사이 선로(1) 측면에 별도의 비상용 대기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대기공간에 형성된 승강대(2)에 주차부(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주차부(10)는 단순히 후술하는 구난용 차량(50)이 안착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면 되나, 필요한 경우 상기 구난용 차량(50)의 이동을 위한 레일 또는 안내 가이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구난용 차량(50)의 휠(51)과 대응되는 통상의 레일이고, 상기 안내 가이드는 상기 휠(51)이 다른 방향으로 구르는 것을 방지하는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이다.
또한 상기 휠(51)은 통상의 지하철 레일 상을 구를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며, 그 크기는 지하철에 사용되는 휠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승강대(2)에서 일반 승객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칸막이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난용 차량(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1)에 안착하는 다수의 휠(51)을 포함하고 있는 구성으로, 몸체(55)와 상기 휠(51)을 구동하는 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는 별도의 베터리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전기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긴급 상황 시 작동성을 보장하는 엔진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으며, 몸체(55) 내부에는 구난용 차량(50)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정 장치도 포함되어 구성되어 구난 요원이 간단한 조작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몸체(55)는 접힘 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난용 차량(50)이 선로(1)에 안착된 경우 상기 접힘 수단(60)을 펼쳐서 전체 차량(50)의 길이를 길게 구성하여 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힘 수단(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5)와 몸체(55) 사이에 상단 슬라이드(61)와 하단 슬라이드(62)를 이용하여 접었다 펼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하단 슬라이드(62)는 몸체(55) 바닥부를 형성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힘 수단(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슬라이드(61), 몸체(55) 하부에 2개의 링크로 구성되는 접힘 링크(63), 상기 접힘 링크(63) 중 하나에 고정되는 평판(64)으로 구성하고, 상기 접힘 링크(63)가 펼쳐진 경우, 상기 평판(64)이 몸체(55) 바닥부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난용 차량(50)은 대기 시에는 상기 접힘 수단(60)을 접어 전체 길이를 짧게하고, 사용 시에는 상기 접힘 수단(70)을 펼쳐 전체 차량(5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이송량을 늘려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구난용 차량(50)의 주차부(10) 전면으로는 상기 구난용 차량(50)의 선로 진입을 위한 안착 장치(7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착 장치(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71), 상기 가이드(71) 상을 이동하는 베이스(72), 상기 베이스(72)에 회전하는 회전부(75), 상기 회전부(75)에 설치되는 휠 안내부(76), 선로(1)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75)에 연결되는 차량 안내부(80), 상기 선로(1)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72)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85), 상기 회전부(75)에 설치되어 상기 구난용 차량(50)의 이동을 지원하는 윈치(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가이드(71)는 상기 승강대(2)에 고정되는 것으로,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71) 사이에 상기 베이스(72)가 위치한다.
상기 베이스(72)는 상기 가이드(71)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72)가 완전히 이동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1) 상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72)의 지지를 위하여 선로(1) 측면에 배치되는 지지부(85)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72)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85)는 상기 베이스(72)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72)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무방하며,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72)의 상단에는 회전부(75)가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75)는 상기 베이스(72)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부(75)는 상기 구난용 차량(5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회전부(75)에는 횔 안내부(76)가 설치되어, 상기 구난용 차량(5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부(75)는 별도의 동력 없이 수동으로 회전 시키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회전부(75)와 상기 베이스(72) 사이에는 마찰과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베어링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된 베이스(72)의 측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안내부(80)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차량 안내부(80)의 타측은 선로(1)에 안착되도록 경사지게 연결한다.
상기 차량 안내부(80)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선로(1)의 측면에 위치시켜 필요 시에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차량 안내부(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는 휠(51)의 정확한 안내를 위한 인입부(82)가 형성되며, 하단은 선로(1)에 정확히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8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75)의 측면에는 윈치(87)의 본체가 고정되고, 윈치(87) 케이블의 일단은 상기 구난용 차량(50)에 고정된다.
상기 안착 장치(70)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선로(1) 상의 열차의 사고 등에 의하여 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72)를 서로 상에 돌출시킨다.
이때 지지부(85)를 상기 베이스(72) 하단에 고정하여 베이스(72)의 강성을 증가시킨 후, 베이스(72)의 측면과 선로(1)를 차량 안내부(8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다.
이후, 상기 구난용 차량(50)을 이동하여 상기 회전부(75)에 안착시킨 후, 상기 구난용 차량(50)이 상기 차량 안내부(80)로 진입할 수 있는 방향이 되도록 상기 회전부(75)를 회전 시킨다.
이때 상기 구난용 차량(50)의 이동은 원치(87)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상기 원치(87)를 작동시켜, 상기 구난용 차량(50)을 차량 안내부(80)를 통하여 서서히 하강시켜 선로(1)에 안착시킨다.
이후, 상기 지지부(85)와 차량 안내부(80)를 탈거한 후, 상기 베이스(72)를 주차부(10)로 이동한 후, 상기 구난용 차량(50)의 접힘 수단(60)을 펼쳐 구난 장소로 이동한다.
구난이 완료된 후에는 위에 설명한 작동 방법과 역순으로 상기 구난용 차량(50)을 주차부(10)에 주차하는 것으로 전체 절차가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선로 2: 승강대
5: 역사 10: 주차부
50: 구난용 차량 51: 휠
55: 몸체 60: 접힘 수단
61: 상단 슬라이드 62: 하단 슬라이드
63: 접힘 링크 64: 평판
70: 안착 장치 71: 가이드
72: 베이스 75: 회전부
76: 휠 안내부 80: 차량 안내부
85: 지지부 87: 윈치
100: 긴급 구난 시스템
5: 역사 10: 주차부
50: 구난용 차량 51: 휠
55: 몸체 60: 접힘 수단
61: 상단 슬라이드 62: 하단 슬라이드
63: 접힘 링크 64: 평판
70: 안착 장치 71: 가이드
72: 베이스 75: 회전부
76: 휠 안내부 80: 차량 안내부
85: 지지부 87: 윈치
100: 긴급 구난 시스템
Claims (6)
- 삭제
- 지하철 선로 상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긴급으로 출동하여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지하철 역사 승강대 일측에 배치된 구난 차량을 선로 상에 안착하는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선로 측면 안쪽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선로 측면 안쪽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차량 안내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난 차량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승강대에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차량 안내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선로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부로 이동, 회전 후, 상기 차량 안내부를 통하여 선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단에 상기 구난 차량의 휠을 안내하는 복수의 휠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일측에 설치되는 윈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윈치의 케이블의 일단은 상기 구난 차량에 부착되어 상기 윈치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대에서 회전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난 차량은 회전부에서 차량 안내부로 이동 시에 상기 윈치에 의하여 이동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량 안내부의 일단에는 휠의 정확한 안내를 위하여 인입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정확한 고정을 위하여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2535A KR101590182B1 (ko) | 2014-02-26 | 2014-02-26 |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2535A KR101590182B1 (ko) | 2014-02-26 | 2014-02-26 |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1175A KR20150101175A (ko) | 2015-09-03 |
KR101590182B1 true KR101590182B1 (ko) | 2016-02-12 |
Family
ID=5424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2535A KR101590182B1 (ko) | 2014-02-26 | 2014-02-26 |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0182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6346B1 (ko) | 2007-12-03 | 2008-01-21 | 한국철도공사 | 철도차량 회전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4932B1 (ko) * | 2005-10-10 | 2008-01-21 | 권정우 |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
-
2014
- 2014-02-26 KR KR1020140022535A patent/KR1015901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6346B1 (ko) | 2007-12-03 | 2008-01-21 | 한국철도공사 | 철도차량 회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1175A (ko) | 2015-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7712B1 (ko) | 승객 안전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승강 시설물 | |
CN109532868B (zh) | 一种微轨交通系统 | |
CN105658496A (zh) | 用于保护人员免受移动的轨道车辆伤害的保护壁 | |
JP5237930B2 (ja) | 軌条車両に備えられる避難装置及びその避難装置の軌条車両への固定方法 | |
JP6771318B2 (ja) | インフラ管理方法及び装置 | |
CN106395568A (zh) | 电梯恢复轿厢 | |
KR20150104836A (ko) | 승강장 안전발판과 전동열차 및 승강장 안전문과의 연동제어시스템 | |
KR101590182B1 (ko) | 지하철 구난 차량용 안착 장치 | |
KR101590183B1 (ko) | 지하철용 긴급 구난 시스템의 차량 | |
KR20150101168A (ko) | 지하철용 긴급 구난 시스템 | |
NL1028854C2 (nl) | Railvoertuig en werkwijze voor gebruik daarvan. | |
KR20040100840A (ko) | 고정된 트랙을 활주하는 비행기 훈련 및 오락기구 | |
WO2018233087A1 (zh) | 一种悬挂空铁车顶疏散平台系统 | |
KR101701391B1 (ko) | 승강장용 안전발판 | |
WO2003078250A1 (fr) | Dispositif et procédé de déplacement d'un aéronef au sol | |
CN211543513U (zh) | 基于轨道的悬挂式空铁疏散平台 | |
KR101522545B1 (ko) | 객실의자 겸용 승객 비상탈출용 사다리 | |
KR101686152B1 (ko) | 철로 구동 소방 차량용 전방 감시 장치 | |
Tsang et al. | Straddle Monorail—Implementation Challenges | |
RU2633092C1 (ru) | Подвесная дорога с вагоном-лифтом | |
CN103786754A (zh) | 轨道交通信号故障应急系统 | |
CN211223400U (zh) | 一种悬挂式单轨空中救援装备 | |
CN214295916U (zh) | 一种具有逃生滑梯的悬挂式空轨列车 | |
KR101488352B1 (ko) | 무인 전동차의 비상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무인 전동차 | |
JP2005161972A (ja) | 車両用ステッ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