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889A -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 Google Patents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889A
KR20140084889A KR1020120154886A KR20120154886A KR20140084889A KR 20140084889 A KR20140084889 A KR 20140084889A KR 1020120154886 A KR1020120154886 A KR 1020120154886A KR 20120154886 A KR20120154886 A KR 20120154886A KR 20140084889 A KR20140084889 A KR 20140084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step support
coupling
rotary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0336B1 (ko
Inventor
국승욱
오석순
노재영
이필신
Original Assignee
서울메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메트로 filed Critical 서울메트로
Priority to KR102012015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3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은 승강장 플랫 홈 하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부, 평행한 가이드부의 양측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납가능하게 설치된 계단 지지부, 타단이 선로와 접촉하고, 일단이 계단 지지부에 결합된 계단부, 및 계단 지지부와 계단부의 일단 사이에 개재된 회전판을 포함하여, 비상상황 발생시, 선로 출입계단을 설치를 특정방향으로 할 수 있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Description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RAIL TRACK ENTRNCE AND EXIT STRIR OF ROTATION TYPE FOR PLATFORM SETTING}
본 발명은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차의 지속적인 안전운행을 위해 터널 내 시설물들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하여, 그리고 비상상황 발생시, 승객이 선로에 뛰어내리지 않고 비상용 계단을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지하철 역사 내에 배치시키되, 평시에는 승강장의 플랫 홈 하부에 은폐시킬 수 있고, 회전시켜 특정방향으로 설치가능한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로 출입계단은 터널 내 시설물들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해 열차종료 후 작업자들의 선로 출입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승강장 연단부에 설치되어 현장 여건상 폭이 좁고 사다리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통신 케이블 등으로 인해 선로 출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선로 출입계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방향에 고정설치되어 있어, 방향전환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9-003609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열차의 지속적인 안전운행을 위해 터널 내 시설물들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하여, 그리고 비상상황 발생시, 승객이 선로에 뛰어내리지 않고 비상용 계단을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지하철 역사 내에 배치시키되, 평시에는 승강장의 플랫 홈 하부에 은폐시킬 수 있고, 회전시켜 특정방향으로 설치가능한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은 승강장 플랫 홈 하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부, 평행한 가이드부의 양측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납가능하게 설치된 계단 지지부, 타단이 선로와 접촉하고, 일단이 계단 지지부에 결합된 계단부, 및 계단 지지부와 계단부의 일단 사이에 개재된 회전판을 포함하되, 회전판의 상부에 기립되어 형성된 회전축이 계단 지지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회전하고, 계단 지지부와 회전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은 평시에 승강장 내의 플랫 홈 하부에 은폐되어 승강장 주변의 미관을 수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선로 출입계단을 회전식으로 승강장 연단 하부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개발해 열차운행 시 장애요소를 해결하고 시종점부 뿐 아니라 승강장 어느 곳에나 설치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선로출입자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업무효율화에 기여하고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승객들을 터널로 유도하여 안전지대로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은 회전이 가능하여 비상상황 발생시, 선로 출입계단을 설치를 특정방향으로 할 수 있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로 출입계단이 고정설치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이 설치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의 회전구조를 구체화한 도면,
도 4는 난간부가 접힌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을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이 미끄럼틀 구조로 구조변경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이 설치된 사시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은 가이드부(100), 계단 지지부(200), 회전판(300), 계단부(400) 및 난간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100)는 승강장의 플랫 홈 하부에 소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계단 지지부(200)는 상기 가이드부(100)의 양측으로 지지를 받아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결합된 상기 계단부(400)를 지지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단 지지부(200)와 결합된 상기 계단부(400)의 일단 사이에는 회전판(300)이 구비되어 있다.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의 회전구조를 구체화한 도면이다.
상기 회전판(300)은 상부에 기립된 회전축(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단 지지부(200)에는 상기 회전축(31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21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판(300)의 회전축(310)이 상기 계단 지지부(200)의 수용공간(210)에 수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계단부(400)의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단부(400)는 선로에 접촉하는 타단을 들어올려 특정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회전판(300)의 회전축(310)이 상기 계단 지지부(200)의 수용공간(210)에서 회전함에 따라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은 상기 계단 지지부(200)와 상기 회전판(30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편(6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편(600)은 상기 계단 지지부(200)와 상기 회전판(300)을 관통하는 나사구조로, 일단이 일반적인 못의 두(頭)부 구조이고, 타단이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회전판(300)에는 상기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계단 지지부(200)에 고정된 상기 결합 편(600)을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라운드진 관통 홀(3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300)의 하부에는 상기 `∪`구조의 결합편(600) 말단이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오목한 구조의 결합 홈(33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결합편(600)의 두(頭)부를 가압하여 상기 `∪`구조의 결합편(600) 말단이 상기 결합 홈(330)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편(600)에 의한 상기 회전판(300)과 상기 계단 지지부(100)간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고, 반대로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편(600)의 외주면과 상기 계단 지지부(200)의 관통홀 내주면 사이에는 스프링(610)이 개재되어, 상기 결합편(600)이 상방으로 힘을 받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판(300)과 상기 계단 지지부(100)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은 상기 계단 지지부(200)와 결합되어 상기 계단 지지부(20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납됨에 따라 함께 수납되는데, 이때 그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부(500)가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4는 난간부가 접힌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상황 발생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은 상기 계단부(400)의 모든 발판(410)이 일괄적으로 소정각도만큼 회동하여 선로와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미끄럼틀 구조로 변경되어, 보다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이 미끄럼틀 구조로 구조변경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가이드부
200 : 계단 지지부
210 : 수용공간
300 : 회전판
310 : 회전축
320 : 관통 홀
330 : 결합 홈
400 : 계단부
410 : 발판
500 : 난간부
600 : 결합 편
610 : 스프링

Claims (9)

  1. 승강장 플랫 홈 하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부(100);
    평행한 상기 가이드부(100)의 양측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납가능하게 설치된 계단 지지부(200);
    타단이 선로와 접촉하고, 일단이 상기 계단 지지부(200)에 결합된 계단부(400); 및
    상기 계단 지지부(200)와 상기 계단부(400)의 일단 사이에 개재된 회전판(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00)의 상부에 기립되어 형성된 회전축(310)이 상기 계단 지지부(200)에 형성된 수용공간(210)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지지부(200)와 상기 회전판(30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편(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600)은
    일단이 못의 두(頭)부 구조이고, 타단이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00)에는 상기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계단 지지부(200)에 고정된 상기 결합 편(600)을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라운드진 관통 홀(3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00)의 하부에는 상기 `∪`구조의 결합편(600) 말단이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오목한 구조의 결합 홈(3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600)의 외주면과 상기 계단 지지부(200)의 관통홀 내주면 사이에는 스프링(610)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400)의 양측면에 형성된 난간부(500)은 접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400)의 발판(410)은 회동하여 미끄럼틀 구조로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KR1020120154886A 2012-12-27 2012-12-27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KR10160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886A KR101600336B1 (ko) 2012-12-27 2012-12-27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886A KR101600336B1 (ko) 2012-12-27 2012-12-27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889A true KR20140084889A (ko) 2014-07-07
KR101600336B1 KR101600336B1 (ko) 2016-03-07

Family

ID=5173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886A KR101600336B1 (ko) 2012-12-27 2012-12-27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3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474U (ja) * 1992-10-15 1994-05-13 株式会社壹会 折りたたみ式の階段用手摺
JP2005273357A (ja) * 2004-03-26 2005-10-06 Nisshin Koki Kk 可動床を備えたプールの可動階段
KR100794932B1 (ko) * 2005-10-10 2008-01-21 권정우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KR20090036095A (ko) 2009-03-12 2009-04-13 송필호 피난계단 겸용의자
KR20120053913A (ko) * 2010-11-18 2012-05-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승강용 사다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474U (ja) * 1992-10-15 1994-05-13 株式会社壹会 折りたたみ式の階段用手摺
JP2005273357A (ja) * 2004-03-26 2005-10-06 Nisshin Koki Kk 可動床を備えたプールの可動階段
KR100794932B1 (ko) * 2005-10-10 2008-01-21 권정우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KR20090036095A (ko) 2009-03-12 2009-04-13 송필호 피난계단 겸용의자
KR20120053913A (ko) * 2010-11-18 2012-05-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승강용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336B1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1951B2 (en) Retractable access platform
KR101626260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US8006628B2 (en) Vehicle lifting apparatus
WO2007032366A1 (ja) 踏段の異常検出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ATE547372T1 (de) Aufzugsinspektionssicherheitsvorrichtungen
JP2011105193A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KR101600336B1 (ko) 승강장 설치용 회전식 선로 출입계단
BRPI0401119A (pt) Acionamento de corrimão para escada rolante ou esteira rolante
CN106232515A (zh) 电梯设备
JP6274981B2 (ja) 可動ステップ装置
JP2009179209A (ja) 搭乗橋
CU20160009A7 (es) Sistema elevador de pasajeros y vehiculos
RU2488542C2 (ru) Эскалатор винтовой вращающийся
KR101701391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1623813B1 (ko) 탑승부가 회전가능한 휠체어용 승강장치
DE502007000379D1 (de) Seilbahnanlage mit mindestens einem Förderseil
KR20150118399A (ko) 에스컬레이터의 측면 안전장치
JP5567089B2 (ja) 乗客コンベアの乗降板検出装置
KR101541345B1 (ko) 이동형 핸드레일
JP6818856B1 (ja) 乗客コンベア用非常制動装置
RU175479U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адки и высадки пассажира в кресле-коляске, установленное 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вагоне
ATE457290T1 (de) Kippmechanismus für beweglichen teil der führungsschiene eines treppenaufzugs
KR20210008721A (ko) 스크린도어 가이드 장치
KR200382192Y1 (ko) 지하철 역사내 승강대의 탑승객 안전시설
JP2008133066A (ja) エスカレータの踏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