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956B1 - 평형 안정성과 내풍압성을 향상시키고 빗물 침투 및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평형 안정성과 내풍압성을 향상시키고 빗물 침투 및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956B1
KR101877956B1 KR1020170146615A KR20170146615A KR101877956B1 KR 101877956 B1 KR101877956 B1 KR 101877956B1 KR 1020170146615 A KR1020170146615 A KR 1020170146615A KR 20170146615 A KR20170146615 A KR 20170146615A KR 101877956 B1 KR101877956 B1 KR 101877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boarding
upper cover
building
boarding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70146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4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6Combinations of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interrelating lifting or lowering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 또는 의료시설의 옥상에 구비되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탑승카가 옥상으로부터 돌출될 때 탑승카의 평형 안정성 및 내풍압성을 향상시키고, 탑승카 승강통로에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부 덮개의 결빙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카(100)와, 상기 탑승카(100)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카 상부빔(115)과, 상기 카 상부빔(115)을 승강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압 실린더(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0)는, 평상시에는 건물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운행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111)의 작동에 의해 건물 옥상(S)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탑승카(100)의 상승 시, 탑승카(100)의 상부가 건물 옥상(S)의 승강통로(P)를 덮고 있던 상부 커버(120)와 조립되면서 건물 옥상(S)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탑승카(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평형 센서(160)와, 상기 유압 실린더(111)를 동기화하여 작동시키는 평형 유지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평형 안정성과 내풍압성을 향상시키고 빗물 침투 및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Heliport Elevator Capable of Improving Balance Safety and Wind Pressure Resistance and Preventing Infiltration of Rainwater and Icing}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옥상이나 의료시설의 옥상에 설치되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건물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사용시에 옥상의 상부로 돌출하여 승객 또는 응급환자를 수송하며, 탑승카가 옥상에서 돌출될 때 탑승카의 평형 안정성 및 내풍압성을 향상시키고, 탑승카 승강통로에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동절기에 눈으로 인한 상부 커버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건물들은 고층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고층건물의 옥상에 헬리콥터가 이착륙 할 수 있도록 헬리포트(Heliport)가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병원 등 각종 의료시설의 옥상에 응급환자를 신속히 수송하기 위해 헬리포트를 설치하기도 한다.
이러한 헬리포트는, 화재 등의 비상시에 헬기를 이용하여 인명을 구조하거나, 주요 인물 또는 응급환자를 수송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헬리포트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를 통상 헬리포트 엘리베이터라 부른다.
상기 헬리포트는 옥상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옥상으로부터 일정 거리 상승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헬리포트 엘리베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헬리포트 엘리베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500)의 옥상면(510)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승된 위치에 헬리포트(520)가 구비되고, 그 일측면에 엘리베이터 구조물(5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방식의 헬리포트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옥상에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헬리콥터 이착륙시 장애가 되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
또한 옥상의 미관을 해치게 되고, 엘리베이터가 대기에 직접 노출되므로 주기적으로 관리를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엘리베이터가 건물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사용시에만 옥상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건물 옥상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탑승카의 평형을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탑승카를 지지해주는 카 가이드 레일이 옥상면까지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탑승카가 옥상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에는 승강시 평형 안정성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탑승카가 옥상에서 돌출되어 승강할 때 탑승카가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탑승카 승강통로에 커버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 틈새를 통해 빗물이 침투할 가능성이 높고, 동절기에 눈이 쌓여 결빙이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검색해 본 결과 아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다.
특허문헌 1은, 건축물의 옥상에 구비된 헬리포트로부터 그 직하층으로 수직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옥상에 구비된 헬리포트(hehiport)의 경계선 외부에 설치되며, 옥상면(rooptop surface)으로부터 하층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110)와; 상기 승강로(110)와 연결된 상기 옥상면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승강로 지붕판(120)과; 상기 승강로(110)를 따라 승하강 하도록 설치되며, 미작동시에는 상기 건축물의 하층에 대기하고 작동시에는 상승하여 상기 승강로 지붕판(120)을 밀어올리면서 옥상 위로 돌출되는 승강카(130, 140); 및 상기 승강로(11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작동하며, 실린더 로드가 상기 승강카(130, 14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카(130, 140)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150);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카(130, 140)는 사람 또는 화물을 싣는 탑승부(130); 및 상기 탑승부(130)를 지지하고, 상기 탑승부(130)의 상측으로 돌출 설치되며, 상부(F_T)에는 상기 실린더 로드가 연결되는 카 프레임(14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로 지붕판(1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설치된 도킹용 끼움 로드(121); 및 상기 카 프레임(1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카(130, 140)의 상승시 상기 도킹용 끼움 로드(121)가 끼워지는 도킹용 끼움 파이프(14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헬리포트용 승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승강카가 승하강하는 승강로의 상단부인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옥상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승강카가 상승하여 승강로 상단부로 근접하면 양측 또는 일측으로 개폐되는 개폐도어가 옥상면보다 돌출되도록 하여 헬리포트에서 이송되는 환자 또는 화물을 신속하게 건물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건축물(500)의 옥상면(510)에 돌출형성되어 헬리포트(52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건축물의 최상층면(530)까지 수직으로 형성되는 승강로(100); 상기 승강로(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100)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되, 승하강수단(210)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강카(200); 상기 승강로(10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카(200)가 상승하여 옥상면(510)에 근접하게 되면 개방되고, 상기 승강카(200)가 하강하면 폐쇄되는 개폐도어(300); 및 상기 개폐도어(3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400)를 포함하고 있다.
KR 10-1511170 B1 KR 10-1652799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탑승카가 건물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사용시에 옥상의 상부로 돌출하는 방식의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에서, 탑승카의 평형 안정성을 향상시켜 탑승카가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승카를 승강시키는 다수의 유압 실린더가 동일한 속도로 승강되도록 하여 탑승카가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헬리포트 엘리베이터의 설치로 인해 헬리콥터의 이착륙에 장애를 주지 않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한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탑승카의 상부 커버가 옥상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빗물이 탑승카의 승강통로로 침투하거나, 눈에 의해 탑승카의 상부 커버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카 상부빔과, 상기 카 상부빔을 승강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는, 평상시에는 건물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운행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건물 옥상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탑승카의 상승 시, 탑승카의 상부가 건물 옥상의 승강통로를 덮고 있던 상부 커버와 조립되면서 건물 옥상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탑승카의 상부에 구비되는 평형 센서와, 상기 유압 실린더를 동기화하여 작동시키는 평형 유지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형 유지장치는, 각 유압 실린더의 일측에 구비되는 위치검출 센서와, 릴에 감긴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와 함께 승강하는 위치검출 코드 테입과, 상기 위치검출 코드 테입을 유압 실린더의 상단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와, 각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유압 파워 유닛과, 상기 복수의 유압 파워 유닛을 제어하여 유압 실린더의 작동을 동기화시키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 상부빔은, 탑승카의 상부에서 탑승카 도어와 평행한 방향으로 2개가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카 상부빔의 양측에 유압 실린더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2개의 카 상부빔의 사이 양측에 2개의 카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 상부빔은, 탑승카의 상부에서 탑승카 도어와 평행한 방향으로 2개가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카 상부빔의 양측에 유압 실린더가 구비되며, 상기 2개의 카 상부빔의 외측에 4개의 카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는, 4면 둘레에 걸쳐 아래쪽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건물 옥상의 탑승카 승강통로의 둘레에 홈을 구비한 트렌치 부재가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상기 상부 커버의 절곡부가 상기 트렌치 부재의 홈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의 절곡부 양측에 각각 2개의 스톱퍼가 구비되고, 건물 옥상 승강통로의 양측에 상기 스톱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평상시에 상기 상부 커버가 트렌치 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엘리베이터의 운행시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스톱퍼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상부 커버가 탑승카와 함께 승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렌치 부재는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열선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물 옥상의 탑승카 승강통로 내측 둘레에, 탑승카의 네 측면과 접촉하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 4곳에, 카 상부빔과 결합되기 위한 돌출부재가 아래를 향해 구비되고, 상기 카 상부빔의 상면 4곳에, 상기 돌출부재와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결합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에 구비된 돌출부재의 선단에 쐐기 형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카 상부빔의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부재의 선단에, 상기 고정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걸림돌기가 상부 커버의 고정돌기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한 쌍의 결합부재를 양쪽으로 벌리기 위한 솔레노이드와, 벌어졌던 결합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복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가 일정 각도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기화되어 작동하는 4개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탑승카의 평형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탑승카가 옥상으로부터 돌출되어 승강할 때 기울어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상부 커버가 옥상의 승강통로를 덮도록 함으로써, 헬리콥터의 이착륙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설치에 의해 옥상의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옥상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부 커버가 옥상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 승강통로의 내면에 구비되는 패킹부재에 의해, 빗물이 탑승카의 승강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렌치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선에 의해, 동절기에 탑승카의 상부 커버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헬리포트 엘리베이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헬리포트 엘리베이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헬리포트 엘리베이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헬리포트 엘리베이터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헬리포트 엘리베이터의 상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헬리포트 엘리베이터의 하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헬리포트 엘리베이터의 평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카(100)와, 상기 탑승카(100)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카 상부빔(115)과, 상기 카 상부빔(115)을 승강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압 실린더(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0)는, 평상시에는 건물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운행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111)의 작동에 의해 건물 옥상(S)의 상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탑승카(100)의 상승 시에는, 탑승카(100)의 상부가 건물 옥상(S)의 승강통로를 덮고 있던 상부 커버(120)와 조립되면서 건물 옥상(S)의 상부로 같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탑승카(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평형 센서(160)와, 상기 유압 실린더(111)를 동기화하여 작동시키는 평형 유지장치가 더 구비된다.
상기 평형 센서(160) 및 평형 유지장치에 의해, 탑승카가 옥상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운행할 때 엘리베이터의 운행시 평형 안정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상기 평형 유지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압 실린더(1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위치검출 센서(130)와, 릴(Reel)에 감긴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111)와 함께 승강하는 위치검출 코드 테입(131)과, 상기 위치검출 코드 테입(131)을 유압 실린더(111)의 상단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2)와, 각 유압 실린더(111)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유압 파워 유닛(140)과, 상기 복수의 유압 파워 유닛(140)을 제어하여 유압 실린더(111)의 작동을 동기화시키는 제어반(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치검출 센서(130) 및 위치검출 코드 테입(131)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평형 유지장치에 의해, 각 유압 실린더(111)의 이동상황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각 유압실린더(111)를 정밀하게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승카(100)가 건물 옥상(S)으로부터 돌출된 이후, 탑승카(100)가 기울어지지 않고 평형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 상부빔(11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100)의 상부에서 탑승카 도어(D2)와 평행한 방향으로 2개가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카 상부빔(115)의 양측에는 유압 실린더(111)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카 상부빔(115)의 사이 양측에, 2개의 카 가이드 레일(113)이 구비된다. 상기 카 가이드 레일(113)은 가이드 레일 브래킷(114)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탑승카(100)의 양측에는 복수의 카 측면 프레임(110)이 구비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120)에는 4면 둘레에 걸쳐 아래쪽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120a)가 형성되고, 건물 옥상(S)의 탑승카 승강통로(P)의 둘레에는 홈을 구비한 트렌치 부재(125)가 설치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평상시에는 상기 상부 커버(120)의 절곡부(120a)가 상기 트렌치 부재(125)의 홈에 삽입되어 탑승카(100)의 승강통로(P)를 덮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120)의 절곡부(120a)의 하면 양쪽에는 각각 2개의 스톱퍼(128)가 구비되고, 건물 옥상(S) 승강통로(P)의 상면에는 상기 스톱퍼(128)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27)가 구비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평상시에 상기 상부 커버(120)가 트렌치 부재(12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강풍 등의 외력에 의해 상기 상부 커버(120)가 이탈되거나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27)는, 도 5의 왼쪽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운행시에는, 상기 고정부재(127)가 스톱퍼(128)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상부 커버(120)가 탑승카(100)와 함께 승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트렌치(Trench) 부재(125)는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사각형의 상부 커버(120)의 절곡부(120a)를 수용하며 그 내부에는 열선(126)이 구비된다.
상기 전도성 금속으로는 알루미늄 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눈에 의해 상부 커버(120)가 트렌치 부재(125)에 얼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옥상(S)의 탑승카 승강통로(P) 내측 둘레에는, 탑승카(100)의 네 측면과 접촉하는 패킹부재(129)가 구비된다.
상기 패킹부재(129)에 의해 빗물이 승강통로(P)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120)의 하면 4곳에는, 도 5의 확대도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상부빔(115)의 상부와 결합되기 위한 돌출부재(121)가 아래를 향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카 상부빔(115)의 상면 4곳에는, 상기 돌출부재(121)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재(122)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도 5의 오른쪽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120)의 하면에 구비된 돌출부재(121)의 선단에는, 쐐기 형상의 고정돌기(12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 상부빔(115)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22)의 선단에는, 상기 고정돌기(121a) 형상에 대응되는 걸림돌기(122b)가 형성된다.
상기한 결합부재(122) 구조에 의해, 탑승카(100)가 건물 옥상(S)으로부터 돌출될 때, 상기 결합부재(122)의 걸림돌기(122b)가 상부 커버(120)의 고정돌기(121a)를 감싸면서 탑승카(100)와 상부 커버(120)가 같이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탑승카(100)가 하강할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122b)가 고정돌기(121a)에 걸린 상태에서 상부 커버(120)가 탑승카(100)와 함께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22)는, 도 5의 오른쪽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합부재(122)를 양쪽으로 벌리기 위한 솔레노이드(123)와, 벌어졌던 결합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복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124)과,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22)가 일정 각도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힌지부(12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의 작동 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탑승자가 건물 내부의 최상층(F)에서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를 타고 스위치를 누르면 탑승카(100)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때 도 3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120)는 건물 옥상(S)을 덮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탑승카(100)의 상부가 건물 옥상(S)에 근접하면, 카 상부빔(115)의 상면에 구비된 결합부재(122)가 상부 커버(120)의 하면에 구비된 돌출부재(121)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재(121)의 선단부이 고정돌기(121a)가 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한 쌍의 결합부재(122)의 선단부인 걸림돌기(122b)가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122b)가 상기 고정돌기(121a)의 외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자연스럽게 결합된다.
또한 한 쌍의 걸림돌기(122b)가 상기 고정돌기(121a)에 결합된 후에는,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커버(120)는 탑승카(100)와 함께 건물 옥상(S))의 상부로부터 돌출되기 시작한다.
탑승카(100)의 하면이 건물 옥상(S)에 도착하여 탑승카 도어(D2)가 열리면 탑승자가 헬리포트로 이동하면 된다.
탑승자가 건물 옥상(S)에서 건물 최상층 바닥(F)으로 내려올 경우, 탑승카(100)는 상부 커버(120)와 함께 하강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커버(120)가 건물 옥상(S)에 근접하면, 도 5의 오른쪽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23)를 작동시켜 한 쌍의 결합부재(122)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결합부재(122)와 돌출부재(121)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상부 커버(120)의 4면 둘레에 돌출 형성된 절곡부(120a)가 트렌치 부재(125)의 홈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탑승카(100)만 건물 최상층 바닥(F)까지 하강하게 된다.
또한 일시적으로 벌어졌던 상기 결합부재(122)는 스프링(124)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이에 따라 탑승카(100)가 상승할 경우, 상부 커버(120)의 돌출부재(121)와 결합되면서 상부 커버(120)를 다시 들어올릴 수가 있다.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종료된 후에는, 건물 승강통로의 상면 둘레에 구비된 고정부재(127)를 작동시켜, 상기 고정부재(127)가 상부 커버(120)의 돌기부(120a) 내면에 구비된 스톱퍼(128)를 고정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커버(120)가 강풍 등의 외력에 의해 트렌치 부재(12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헬리포트(H)가 건물 옥상(S)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포트(H)가 건물 옥상(S)으로부터 상승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탑승카의 하면을 헬리포트(H)의 높이까지 상승시키면 된다.
<제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2개의 카 상부빔(115)의 외측에 4개의 카 가이드 레일(113)을 구비한 것이다.
제2 실시예에 의하면, 탑승카(100)가 좀 더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건물 옥상(S)에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고정적으로 설치하게 되면, 헬리콥터의 이착륙에 방해가 되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탑승카가 건물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사용시 건물 옥상에서 돌출하는 방식의 엘리베이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에서는, 탑승카가 건물 옥상으로부터 상승될 때 탑승카의 평형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한 방식의 엘리베이터에서는, 탑승카를 측면에서 지지해주는 카 가이드 레일을 건물 옥상까지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픈된 탑승통로(P)를 덮기 위한 상부 커버를 설치하면서도, 상부 커버의 설치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형 센서(160) 및 평형 유지장치에 의해, 탑승카가 평형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운행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탑승카가 건물 옥상으로부터 돌출되어 승강할 때에도 평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129)에 의해 탑승카 승강통로(P)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트렌치 부재(125)에 구비되는 열선(126)에 의해 동절기의 결빙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로써 기후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고정부재(127)가 상부 커버(120)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으므로, 강풍 등의 외력에 의해 상부 커버(120)가 트렌치 부재(12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탑승카 110: 카 측면 프레임(Frame)
111: 유압 실린더(Cylinder)
112: 실린더 가이드 레일(Cylinder Guide Rail)
113: 카 가이드 레일(Car Guide Rail)
114: 가이드 레일 브래킷(Guide Rail Bracket)
115: 카 상부빔(Beam) 120: 상부 커버
120a: 절곡부 121: 돌출부재
121a: 고정돌기 122: 결합부재
122a: 힌지부 122b: 걸림돌기
123: 솔레노이드(Solenoid) 124: 스프링
125: 트렌치(Trench) 부재 126: 열선
127: 고정부재 128: 스톱퍼(Stopper)
129: 패킹(Packing) 129a: 고정 브래킷
130: 위치검출 센서 131: 위치검출 코드 테입(Code Tape)
132: 고정부 140: 유압 파워 유닛(Power Unit)
150: 제어반 160: 평형 센서
D1: 승강장 도어 D2: 탑승카 도어
F: 최상층 바닥 H: 헬리포트(Heliport)
P: 승강통로 S: 건물 옥상

Claims (12)

  1. 삭제
  2.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카(100)와, 상기 탑승카(100)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카 상부빔(115)과, 상기 카 상부빔(115)을 승강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압 실린더(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00)는, 평상시에는 건물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운행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111)의 작동에 의해 건물 옥상(S)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탑승카(100)의 상승 시, 탑승카(100)의 상부가 건물 옥상(S)의 승강통로(P)를 덮고 있던 상부 커버(120)와 조립되면서 건물 옥상(S)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탑승카(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평형 센서(160)와,
    상기 유압 실린더(111)를 동기화하여 작동시키는 평형 유지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평형 유지장치는,
    각 유압 실린더(1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위치검출 센서(130)와,
    릴에 감긴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111)와 함께 승강하는 위치검출 코드 테입(131)과,
    상기 위치검출 코드 테입(131)을 유압 실린더(111)의 상단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2)와,
    각 유압 실린더(111)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유압 파워 유닛(140)과,
    상기 복수의 유압 파워 유닛(140)을 제어하여 유압 실린더(111)의 작동을 동기화시키는 제어반(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상부빔(115)은, 탑승카(100)의 상부에서 탑승카 도어(D2)와 평행한 방향으로 2개가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카 상부빔(115)의 양측에 유압 실린더(111)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2개의 카 상부빔(115)의 사이 양측에 2개의 카 가이드 레일(1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상부빔(115)은, 탑승카(100)의 상부에서 탑승카 도어(D2)와 평행한 방향으로 2개가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카 상부빔(115)의 양측에 유압 실린더(111)가 구비되며,
    상기 2개의 카 상부빔(115)의 외측에 4개의 카 가이드 레일(1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20)는 4면 둘레에 걸쳐 아래쪽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120a)를 구비하고,
    건물 옥상(S)의 탑승카 승강통로(P)의 둘레에 홈을 구비한 트렌치 부재(125)가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상기 상부 커버(120)의 절곡부(120a)가 상기 트렌치 부재(125)의 홈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20)의 절곡부(120a) 양측 내측에 각각 2개의 스톱퍼(128)가 구비되고,
    건물 옥상(S) 승강통로(P)의 양측에 상기 스톱퍼(128)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27)가 구비되어,
    평상시에 상기 상부 커버(120)가 트렌치 부재(12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7)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엘리베이터의 운행시에는, 상기 고정부재(127)가 스톱퍼(128)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상부 커버(120)가 탑승카(100)와 함께 승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부재(125)는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열선(12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9. 제 5 항에 있어서,
    건물 옥상(S)의 탑승카 승강통로(P) 내측 둘레에, 탑승카(100)의 네 측면과 접촉하는 패킹부재(12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20)의 하면 4곳에, 카 상부빔(115)의 상부와 결합되기 위한 돌출부재(121)가 아래를 향해 구비되고,
    상기 카 상부빔(115)의 상면 4곳에, 상기 돌출부재(121)와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결합부재(122)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20)의 하면에 구비된 돌출부재(121)의 선단에, 쐐기 형상의 고정돌기(121a)가 형성되고,
    상기 카 상부빔(115)의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22)의 선단에, 상기 고정돌기(121a)의 형상에 대응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122b)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122)의 걸림돌기(122b)가 상부 커버(120)의 고정돌기(121a)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22)는,
    한 쌍의 결합부재(122)를 양쪽으로 벌리기 위한 솔레노이드(123)와,
    벌어졌던 결합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복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124)과,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22)가 일정 각도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힌지부(122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KR1020170146615A 2017-11-06 2017-11-06 평형 안정성과 내풍압성을 향상시키고 빗물 침투 및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KR101877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15A KR101877956B1 (ko) 2017-11-06 2017-11-06 평형 안정성과 내풍압성을 향상시키고 빗물 침투 및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15A KR101877956B1 (ko) 2017-11-06 2017-11-06 평형 안정성과 내풍압성을 향상시키고 빗물 침투 및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956B1 true KR101877956B1 (ko) 2018-07-12

Family

ID=6291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615A KR101877956B1 (ko) 2017-11-06 2017-11-06 평형 안정성과 내풍압성을 향상시키고 빗물 침투 및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95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073B2 (ko) * 1985-03-29 1993-04-14 Sanwa Kizai Co Ltd
JP2001140223A (ja) * 1999-11-16 2001-05-22 Aero Facility Kk エレベータおよび航空機離着陸帯構造
JP2003089484A (ja) * 2001-09-19 2003-03-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建物の昇降装置
KR20060036038A (ko) * 2005-09-07 2006-04-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용 구동 유닛, 엘리베이터 장치,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방법, 및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점검 방법
KR100992596B1 (ko) * 2010-04-06 2010-11-08 (주)철원금속 상부 개방형 복층 승강기
KR20140052688A (ko) * 2012-10-25 2014-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KR101511170B1 (ko) * 2014-11-18 2015-04-10 이창근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시스템
JP5832669B2 (ja) * 2012-12-26 2015-1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101652799B1 (ko) * 2015-11-26 2016-09-01 (주)대한엘리베이터 헬리포트용 승강기 시스템
KR20160131279A (ko) *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엔케이 헬리데크 결빙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073B2 (ko) * 1985-03-29 1993-04-14 Sanwa Kizai Co Ltd
JP2001140223A (ja) * 1999-11-16 2001-05-22 Aero Facility Kk エレベータおよび航空機離着陸帯構造
JP2003089484A (ja) * 2001-09-19 2003-03-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建物の昇降装置
KR20060036038A (ko) * 2005-09-07 2006-04-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용 구동 유닛, 엘리베이터 장치,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방법, 및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점검 방법
KR100992596B1 (ko) * 2010-04-06 2010-11-08 (주)철원금속 상부 개방형 복층 승강기
KR20140052688A (ko) * 2012-10-25 2014-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JP5832669B2 (ja) * 2012-12-26 2015-1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101511170B1 (ko) * 2014-11-18 2015-04-10 이창근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60131279A (ko) *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엔케이 헬리데크 결빙 방지장치
KR101652799B1 (ko) * 2015-11-26 2016-09-01 (주)대한엘리베이터 헬리포트용 승강기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026073호(2012.09.12.)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639193T3 (en) Tower crane access device
EP3587332B1 (en) A lift for telescopic passenger stairs for boarding passengers in wheelchairs on a plane
CN1942385B (zh) 一种电梯轿厢
CN109476456B (zh) 电梯装置和电梯
CN109923056B (zh) 电梯安全装置和电梯
CN210103213U (zh) 一种电梯逃生结构
CN105916791A (zh) 设有安全装置配置的电梯
KR101738308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 도어 구동장치
WO2021121904A1 (en) Elevator car pivotable balustrade and maintenance method for an elevator
KR101511170B1 (ko)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시스템
EP2328826B1 (en) Safety devices for elevators with reduced clearances
KR101738862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탈출 시스템
KR101603164B1 (ko) 열차승강장 발빠짐 방지용 접철식 자동길이 조절 안전발판
KR101877956B1 (ko) 평형 안정성과 내풍압성을 향상시키고 빗물 침투 및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CA2871896C (en) Stairwell lift
KR101652799B1 (ko) 헬리포트용 승강기 시스템
CN110542932A (zh) 一种用于紧急疏散的升降式城市地铁进出站口安检系统
JP2004010174A (ja) 相互間隔可変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US5549180A (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2271450B1 (ko) 휠체어용 리프트
US4024928A (en) Fire escape installation
US5855253A (en) Mechanical security device for elevators used between two levels
US20200031629A1 (en) Elevator car apron
KR19980059741U (ko) 엘리베이터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EP0236600A1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