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408B1 -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 - Google Patents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408B1
KR101840408B1 KR1020170173886A KR20170173886A KR101840408B1 KR 101840408 B1 KR101840408 B1 KR 101840408B1 KR 1020170173886 A KR1020170173886 A KR 1020170173886A KR 20170173886 A KR20170173886 A KR 20170173886A KR 101840408 B1 KR101840408 B1 KR 101840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ting room
evacuation
ground
platform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율
홍성천
Original Assignee
정병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율 filed Critical 정병율
Priority to KR1020170173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을 위한 이동구조, 환기구조, 비상대피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올인원 방식의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지중에 형성되는 철도와 연결되며, 이용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승강장; 상기 승강장과 함께 복층구조를 형성하도록 승강장의 상부에 구성된 대합실; 및 상기 대합실로부터 연장되는 주통로와 지상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되, 이용객을 대합실로부터 지상 또는 지상으로부터 대합실로 수직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와, 상기 승강장과 대합실 및 철도구간의 환기를 위한 환기구조와, 이용객이 직접 지상으로 이동하거나 대합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상과 대합실을 연결하는 계단을 모두 포함하는 수직이동 시스템; 상기 대합실이 형성된 상층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승강장 및 대합실과 연결된 피난통로; 및 상기 두 피난통로로부터 수직이동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대피터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Deep underground station including all-in-one vertical moving system}
본 발명은 대심도 정거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용객의 이동을 위한 이동구조, 환기구조, 비상대피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올인원 방식의 수직이동 시스템을 통해 지상과 연결되게 이루어진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심도 철도로 함은 심층 지하공간에 철도노선을 건설해 기존 전철보다 빠르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한 철도로서, 이러한 대심도 철도는 땅속 깊은 곳에 구성됨에 따라 소음/진동이 감소하고, 경관유지로 지상의 도시환경을 보전할 수 있으며, 혼잡한 지상에서의 대규모 도심지 토목공사를 지양할 수 있고, 지상건설시 동반되는 토지공간 확보의 어려움과 과다한 보상비 및 주변 주민의 건설반대 등과 같은 문제점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땅속 깊은 곳에 구성되는 대심도 철도의 경우, 다수의 이용객이 쉽게 이용할 수 있고, 비상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해야 하며, 쾌적한 실내환경의 유지 및 방재를 위한 환기시설을 갖추어야만 한다.
한편, 특허문헌1에는 대심도 정거장의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은 상기 특허문헌1에 개시된 대심도 정거장의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1에 개시된 대심도 정거장은 지상의 출입구 또는 다른 지하철 역사와 연결되어 지하에 설치되는 대합실(10); 상기 대합실(10)과 연결되고, 수직 방향으로 승객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연결통로(20); 상기 수직 연결통로(20)와 연결되고, 광역철도가 정차하기 위한 플랫폼(30); 및 상기 플랫폼과 지상을 연결하는 피난통로(4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1에 따른 대심도 정거장의 경우, 대합실(10)은 지상에 근접한 위치에 구성되고, 플랫폼(30)은 땅속 깊은 곳에 구성되어 대합실(10)과 플랫폼(30)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지상의 이용객은 1차적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여 대합실로 이동한 후, 다시 수직 연결통로를 통해 플랫폼(30)으로 이동하는 동선구조를 갖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대심도 정거장은 대합실과 플랫폼이 서로 다른 깊이에 분리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대합실(10)과 플랫폼(30) 간의 이용객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지상의 이용객이 지중의 플랫폼에 도착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며, 특히 거동이 불편한 이용객의 접근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피난통로(40)는 수직 연결통로(20)와 다른 위치에서 지상으로 연결되게 구성됨에 따라 피난통로(40)와 수직 연결통로(20)를 모두 구성하기까지 소요되는 공사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으며, 피난통로의 출구를 구성하기 위한 부지를 지상에 추가적으로 확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8268호(2017.06.19.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을 위한 이동구조, 환기구조, 비상대피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올인원 방식의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합실과 승강장이 복층구조로서 계단을 통해 연결되어 이용객이 대합실과 승강장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올인원 방식의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지중에 형성되는 철도와 연결되며, 이용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승강장; 상기 승강장과 함께 복층구조를 형성하도록 승강장의 상부에 구성된 대합실; 및 상기 대합실로부터 연장되는 주통로와 지상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되, 이용객을 대합실로부터 지상 또는 지상으로부터 대합실로 수직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와, 상기 승강장과 대합실 및 철도구간의 환기를 위한 환기구조와, 이용객이 직접 지상으로 이동하거나 대합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상과 대합실을 연결하는 계단을 모두 포함하는 수직이동 시스템; 상기 대합실이 형성된 상층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승강장 및 대합실과 연결된 피난통로; 및 상기 두 피난통로로부터 수직이동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대피터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을 제공한다.
삭제
한편 상기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대피터널은 이용객의 대피 및 비상탈출에 사용되는 비상통로를 포함하며, 그 외, 상기 대합실 및 승강장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공조용 급기통로, 대합실 및 승강장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공조용 배기통로, 열차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철도구간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거나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본선 급배기통로 중 하나 이상의 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대피터널은 ㄱ자의 구조로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 시스템의 중앙부에는 다수의 엘리베이터가 엘리베이터홀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홀의 일측에 지상으로 연결되는 주계단이 형성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와 주계단이 구성된 구역의 바깥쪽에 상기 환기구조와 피난계단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대피터널로부터 지중에 형성된 철도구간으로 연결되는 두 보조터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구조와 환기구조 및 비상대피구조가 수직이동 시스템에 모두 포함되어 함께 구성됨에 따라 지상점유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층구조로 형성된 대합실과 승강장을 계단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이용객의 이동이 용이하며, 특히 지상으로부터 대합실까지 엘리베이터를 타고 이동하게 되므로, 교통약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피난통로로 대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난통로를 통해 수직이동 시스템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대심도 정거장의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 정거장의 전체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 정거장의 단면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합실의 평면 구조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 시스템의 단면도 구조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대피터널이 수직이동 시스템에 구성되는 환기구조와 연결된 상태를 예시하여 보인 단면 구조도,
도 7 은 A-A 단면도,
도 8 은 B-B 단면도,
도 9 는 C-C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대피터널이 수직이동 시스템에 구성되는 환기구조와 연결된 상태를 예시하여 보인 단면 구조도,
도 11 은 D-D 단면도,
도 12 는 이용객의 대피경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 정거장의 전체 구조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 정거장의 단면 구조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합실의 평면 구조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 시스템의 단면도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심도 정거장은 승강장(100)과 대합실(200) 및 수직이동 시스템(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장(100)은 지중에 형성되는 철도와 연결되어 이용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복층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대심도 정거장의 하층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승강장(100)은 플랫폼이 상행선과 하행선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거나, 상행선과 하행선의 사이에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에는 상행선과 하행선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플랫폼을 갖는 승강장(10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대합실(200)은 승강장(100)의 바로 위에 형성되어 승강장(100)과 함께 복층구조의 대심도 정거장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며,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수단을 통해 승강장(100)과 연결되어 이용객이 승강장(100)과 대합실(200)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대합실(200)은 주통로(210)를 통해 수직이동 시스템(300)과 연결되며, 상기 주통로(210)는 수직이동 시스템(300)에 형성되는 엘리베이터홀(310)에 바로 연결되어 엘리베이터(330)에서 내린 이용객이 주통로(210)를 통해 대합실(2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대합실(200)이 구성되는 상층부에는 공조기계실(220)과 전기실(230) 및 본선환기실(241,242)이 구성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조기계실(220)은 대합실(200)의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전기실(230)은 대합실(200)의 타측에 구성되며, 상기 본선환기실(241,242)은 공조기계실(220)과 전기실(230)의 인접한 위치에 각각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본선환기실(241,242)에는 하나 이상의 송풍기(243)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243)는 후술될 본선 급배기통로(441,442)를 통해 본선환기실(241,242)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차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철도구간으로 공급하거나, 철도구간의 공기를 본선 급배기통로(441,442)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이동 시스템(300)은 지상으로부터 대합실(200)이 구성되는 깊이까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수직구(320)에 엘리베이터(330), 환기구조(340), 피난계단(350), 주계단(360)이 구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330)는 다수가 수직이동 시스템(30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엘리베이터(330)는 엘리베이터홀(310)의 좌우 양측에 분산되게 배치된다.
참고로, 상기 엘리베이터홀(310)의 한 쪽에는 지상으로 연결되는 주계단(360)이 형성된다.
상기 환기구조(340)는 엘리베이터(330)와 수직구(320)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로서, 지상의 공기를 공조기계실(220)로 공급하기 위한 급기구(341)와, 공조기계실(2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지상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342)와, 지상의 공기를 본선환기실(241,242)로 공급하거나 본선환기실(241,242)로부터 나오는 공기를 지상으로 배출하기 위한 본선 급배기구(343,344)로 구성된다.
상기 피난계단(350)은 엘리베이터(330)와 수직구(320)의 사이 공간에 구성되며, 주계단(360)과 별도로 지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직이동 시스템(300)의 상부에는 역무실이나 통신실 등이 구성되는 건축물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승강장(100)과 대합실(200) 및 수직이동 시스템(300)으로 구성되는 대심도 정거장에 있어서,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이용객이 신속하고 안적하게 대피 및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통로(251,252)와 대피터널(400,400`)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난통로(251,252)는 대합실(200)이 형성된 상층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승강장(100)과 비상계단(253,254)을 통해 연결되어 승강장(100)의 이용객이 비상계단(253,254)을 통해 피난통로(251,252)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대피터널(400,400`)에 형성되는 비상통로(410,410`)와 연결된다.
결국, 비상상황의 발생시, 이용객은 비상계단(253,254)과 피난통로(251,252)를 통해 대피터널(400,400`)로 이동할 수 있으며, 대피터널(400,400`) 내에 형성되는 비상통로(410,410`)를 통해 수직이동 시스템(300)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피난통로(251,252)는 대합실(200)과 연결되어 대합실(200) 내의 이용객이 주통로(210)가 아닌 피난통로(251,252)를 통해 수직이동 시스템(30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피터널(400,400`)은 상층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피난통로(251,252)로부터 수직이동 시스템(300)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피난통로(251,252)로부터 수직이동 시스템(300)으로 일직선의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보다 많은 인원의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ㄱ자의 구조로 굽어지게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피터널이 수직이동 시스템에 구성되는 환기구조와 연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 구조도를, 도 7은 A-A 단면도를, 도 8은 B-B 단면도를, 도 9는 C-C 단면도를,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대피터널이 수직이동 시스템에 구성되는 환기구조와 연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 구조도를, 도 11은 D-D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각 대피터널(400,400`)의 내부에는 피난통로(251,252)부터 수직이동 시스템(300)으로 연결되어 이용객이 대피하거나 비상탈출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통로(410,410`)가 형성되며, 상기 비상통로(410,410`) 외에 공조용 급기통로(420)와 공조용 배기통로(430) 및 본선 급배기통로(441,442) 중 하나 이상의 통로가 더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이동 시스템(300)의 좌우 양측으로 연결되는 두 대피터널(400,400`)은 비대칭 구조를 가지며, 공조기계실(220) 쪽에 위치한 대피터널(400)은 비상통로(410), 공조용 급기통로(420), 공조용 배기통로(430), 본선 급배기통로(441)를 모두 포함하고, 반대쪽 대피터널(400`)은 비상통로(410`)와 본선 급배기통로(442)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조기계실(220)쪽에 위치하는 대피터널(400)의 내부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위아래 각각 2개씩 총 4개의 통로로 분할되며, 아래의 2개 통로는 비상통로(410)와 공조용 급기통로(420)로 사용되고, 위쪽 2개의 통로는 본선 급배기통로(441)와 공조용 배기통로(430)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비상통로(410)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수직이동 시스템(300)과 피난통로(251)를 연결하고, 상기 공조용 배기통로(430)와 공조용 급기통로(420)는 수직이동 시스템(300)의 배기구(342)와 급기구(341)를 공조기계실(220)에 연결하며, 상기 본선 급배기통로(441)는 수직이동 시스템(300)의 본선 급배기구(343)와 본선환기실(241)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공조기계실(220)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대피터널(400`)의 내부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위아래 2개의 통로로 분할되며, 아래쪽 통로는 비상통로(410`)로 사용되고, 위쪽 통로는 본선 급배기통로(442)로 사용되며, 상기 비상통로(410`)는 수직이동 시스템(300)과 인접 피난통로(252)를 연결하고, 상기 본선 급배기통로(442)는 수직이동 시스템(300)의 본선 급배기구(344)와 본선환기실(242)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대피터널(400,400`)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에 있어서, 대피터널(400,400`)로부터 철도구간으로 연결되는 보조터널(500,5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조터널(500,500`)은 지중에 대심도 정거장을 구축하는 공사과정에서 승강장(100) 및 대합실(200)에 대한 작업과 병행하여 철도구간에 대한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터널로서, 수직구(320)와 대피터널(400,400`) 및 보조터널(500,500`)를 통해 작업자 및 장비를 철도구간으로 바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조터널(500,500`)은 대심도 정거장의 공사가 완료된 후, 철도구간과의 연결부분 그리고 대피터널(400,400`)과의 연결부분이 폐쇄되어 평상시 사용되지 않으며, 비상상황의 발생시 추가적인 대피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대심도 정거장은 지상으로부터 대심도 정거장으로 연장되는 수직구(320)에 이용객의 이동을 위한 엘리베이터(330) 뿐만 아니라, 환기구조(340)와 비상대피구조를 모두 포함시킨 올일원 방식의 수직이동 시스템(300)을 포함하므로, 환기구조(340)나 비상대피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지상으로부터 대심도 정거장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공사가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지상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됨에 따라 지상점유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합실(200)과 승강장(100)이 복층구조로 이루어져 이용객이 대합실(200)과 승강장(100)을 자유롭게 오고갈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330)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바로 대합실(200)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용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상으로부터 승강장(100)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종래 대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이용객의 대피경로를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화재와 같이 이용객의 신속한 대피가 요구되는 비상상황의 발생시, 대합실(200)의 이용객은 주통로(210)를 통해 엘리베이터홀(310)로 이동하여 주계단(360)이나 엘리베이터(330)를 이용하여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다.
한편, 승강장(100)의 이용객은 비상계단(253,254)을 통해 상층부로 이동한 후, 상층부에 마련된 피난통로(251,252)와 비상통로(410,410`)를 따라 수직이동 시스템(300)으로 이동하게 되며, 수직이동 시스템(300)에 마련된 비상계단(253,254)을 이용하여 지상으로 탈출하거나, 엘리베이터홀(310)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33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이용객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동선을 따라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이용객의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비상통로(410,410`)가 구성되는 대피터널(400,400`)에는 수직이동 시스템(300)에 구성되는 환기구조(340)와 공조기계실(220) 및 본선환기실(241,242)을 연결하는 공조용 급기통로(420), 공조용 배기통로(430), 본선 급배기통로(441,442)가 함께 구성되므로, 대심도 정거장의 환기와 관련된 공사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심도 정거장은 지중에 정거장을 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설물을 한 곳에 집중시켜 지중에서 요구되는 공사를 줄여 공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용객의 편의성의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사시 이용객의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승강장 200: 대합실
210: 주통로 220: 공조기계실
230: 전기실 241,242: 본선환기실
251, 252: 피난통로 300: 수직이동 시스템
310: 엘리베이터홀 320: 수직구
330: 엘리베이터 340: 환기구조
350: 피난계단 360: 주계단
400,400`: 대피터널 410,410`: 비상통로
420: 공조용 급기통로 430: 공조용 배기통로
441,442: 본선 급배기통로 500,500`: 보조터널

Claims (6)

  1. 지중에 형성되는 철도와 연결되며, 이용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승강장;
    상기 승강장과 함께 복층구조를 형성하도록 승강장의 상부에 구성된 대합실; 및
    상기 대합실로부터 연장되는 주통로와 지상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되, 이용객을 대합실로부터 지상 또는 지상으로부터 대합실로 수직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와, 상기 승강장과 대합실 및 철도구간의 환기를 위한 환기구조와, 이용객이 직접 지상으로 이동하거나 대합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상과 대합실을 연결하는 계단을 모두 포함하는 수직이동 시스템;
    상기 대합실이 형성된 상층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승강장 및 대합실과 연결된 피난통로; 및
    상기 두 피난통로로부터 수직이동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대피터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대피터널은 이용객의 대피 및 비상탈출에 사용되는 비상통로를 포함하며,
    그 외, 상기 대합실 및 승강장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공조용 급기통로, 대합실 및 승강장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공조용 배기통로, 열차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철도구간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거나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본선 급배기통로 중 하나 이상의 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대피터널은 ㄱ자의 구조로 굽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 시스템의 중앙부에는 다수의 엘리베이터가 엘리베이터홀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홀의 일측에 지상으로 연결되는 주계단이 형성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와 주계단이 구성된 구역의 바깥쪽에 상기 환기구조와 피난계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대피터널로부터 지중에 형성된 철도구간으로 연결되는 두 보조터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
KR1020170173886A 2017-12-18 2017-12-18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 KR101840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886A KR101840408B1 (ko) 2017-12-18 2017-12-18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886A KR101840408B1 (ko) 2017-12-18 2017-12-18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408B1 true KR101840408B1 (ko) 2018-03-26

Family

ID=6191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886A KR101840408B1 (ko) 2017-12-18 2017-12-18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4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251A (ko) 2020-11-04 2022-05-11 대림산업주식회사 대심도 지하정거장 피난방재시스템
CN114892714A (zh) * 2022-05-15 2022-08-1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具有防疫、安检、票检合一的快速进站的新型车站
KR20230067252A (ko) 2021-11-09 2023-05-16 이창건 대심도 이중 터널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994B2 (ja) * 1989-03-20 1996-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建築構造物及び乗客輸送設備用乗り物並びに乗客輸送設備の蓮行方法
KR200357539Y1 (ko) 2004-04-29 2004-07-27 (주)탑스코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CN204055768U (zh) 2014-08-27 2014-12-31 北京市轨道交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地铁车站
KR101796701B1 (ko) 2017-02-28 2017-11-10 (주)설화엔지니어링 터널용 내진 소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994B2 (ja) * 1989-03-20 1996-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建築構造物及び乗客輸送設備用乗り物並びに乗客輸送設備の蓮行方法
KR200357539Y1 (ko) 2004-04-29 2004-07-27 (주)탑스코 지하철 비상대피용 통로
CN204055768U (zh) 2014-08-27 2014-12-31 北京市轨道交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地铁车站
KR101796701B1 (ko) 2017-02-28 2017-11-10 (주)설화엔지니어링 터널용 내진 소화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2528994호(1996.08.28.)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251A (ko) 2020-11-04 2022-05-11 대림산업주식회사 대심도 지하정거장 피난방재시스템
KR20230067252A (ko) 2021-11-09 2023-05-16 이창건 대심도 이중 터널 구조체
CN114892714A (zh) * 2022-05-15 2022-08-1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具有防疫、安检、票检合一的快速进站的新型车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408B1 (ko) 올인원 수직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심도 정거장
KR102236488B1 (ko) 대심도 광역 철도의 피난 구조체
KR101772362B1 (ko) 대심도 지하철 정거장 구조
JP5310727B2 (ja) エレベータ避難支援システム
CN204055768U (zh) 一种地铁车站
ATE455071T1 (de) Feuerbekämpfungs-, rettungs- und bauausrüstung für hochhäuser
JP3195613U (ja) 住戸群および複数の住戸群を含む集合住宅
KR101723995B1 (ko) 대심도 광역 철도 역사의 화재 대비 구조체 및 시스템
RU141153U1 (ru) Стан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метрополитена мелкого заложения
CN107745714B (zh) 一种城际铁路地下车站新型横剖面管线综合及站台层层高设计
KR101390764B1 (ko) 철도 지하 정거장의 능동형여압시스템을 위한 다중 급배기 기능의 환기소
JP2012116573A (ja) 避難用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206271B1 (ko) 지하 대심도 역사
JP2006027808A (ja) エレベータ装置
RU2734753C1 (ru) Стан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метрополитена мелкого заложения с единым центральным вестибюлем
JPH03166187A (ja) 建物用垂直輸送システム
CN113338946A (zh) 一种综合型暗开挖电缆隧道检修连通竖井
RU146088U1 (ru) Стан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метрополитена с одним вестибюлем, разделенным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перегородкой
CN111255502A (zh) 地铁列车站台及其排烟方法
KR20180094635A (ko) 복층터널정거장 시공방법
JP2018002418A (ja)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
JP5280955B2 (ja) 中高層建築物用エレベータ
CN117382678A (zh) 疏散通道结构、地铁站以及逃生方法
CN113026812B (zh) 一种可与物业开发合建的地铁站
JP2018076740A (ja) 集合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