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048A -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048A
KR20150139048A KR1020140066573A KR20140066573A KR20150139048A KR 20150139048 A KR20150139048 A KR 20150139048A KR 1020140066573 A KR1020140066573 A KR 1020140066573A KR 20140066573 A KR20140066573 A KR 20140066573A KR 20150139048 A KR20150139048 A KR 20150139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s
wheelchair
escalator
rack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622B1 (ko
Inventor
박종영
김형철
정호성
안태기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6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62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8Means to facilitate passenger entry or exit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준 스텝을 기준으로 후단측 두 개의 스텝은 상승시켜 기준 스텝과 평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기준 스텝의 선단측 스텝은 후단을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하강시켜 3.5 스텝으로 이루어진 휠체어 탑재구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기종에 상관없이 탑재가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스텝군 중 1스텝을 기준으로 후단의 2스텝 하부에 설치되어 2스텝의 승강시 1단 승강을 통해 2스텝을 지지하는 1단 승강링크; 2스텝 후단의 3스텝 하부에 설치되어 3스텝의 승강시 2단 승강을 통해 3스텝을 지지하는 2단 승강링크; 1스텝 전단의 전단스텝에 후단이 일정 경사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0.5스텝 회전수단; 1스텝과 2스텝 및 3스텝을 연결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평면상의 탑재구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텝 연결수단; 1스텝과 2스텝의 하부측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회전 구동을 통해 스텝 연결수단을 전후로 직선이동시키는 작동수단; 에스컬레이터의 일반모드 운행 중에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 요구시 장애인 탑재모드 또는 장애인 탑재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작동수단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전환수단; 및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시 후륜을 고정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탑재구간으로부터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낙하를 방지하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Device equipped with wheelchair escalator structure}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모드로 운행중인 에스컬레이터를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탑재가 요구되는 경우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시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구간을 구성하는 스텝을 승강 및 하강시켜 3.5 스템의 탑재구간을 형성함으로써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안정한 탑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 이송장치로써의 에스컬레이터는 사람들을 지속적으로 실어 나르기 위해 사람들의 유동이 많은 건물의 층간 사이 또는 긴 복도에 설치되어진다. 특히,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지하철이나 전철 등 역사 내의 환승통로와 같이 승객이 다른 교통수단으로 환승하는 구간이나 역사의 입출구 구간에서 일반이용객이나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환승구조물로 설치 운영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에스컬레이터는 건물 내부에 매립 설치되는 트러스와 트러스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트러스의 양쪽 단부에는 랜딩부가 구성되고, 트러스의 내부에는 구동모터와 스텝체인 및 스텝체인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기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텝체인에는 다수의 스텝이 연결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측면 지지 프레임의 각 상부에는 핸드레일이 스텝의 주행 속도와 같은 주행속도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핸드레일은 스텝체인을 주행시키는 구동모터에 의해 주행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스컬레이터는 경사부분에서는 계단식의 스템이 구성되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경우에는 계단식의 스텝에 탑재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지만 휠체어나 전동카트와 같은 이동보조수단을 이용한 장애인의 경우에는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에스컬레이터에 탑재시킬 수 있는 구조에 어려움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구조로는 에스컬레이터와는 별도로 에스컬레이터 장치가 설치된 역사 내의 벽면에 경사 가이드에 의해 경사 방향으로 승강되는 대차를 이용한 구조가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휠체어나 전동카트 이용자가 혼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역무원들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구조로써의 대차를 개선한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어 이미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는 다수의 스텝이 평면을 이루어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구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탑재구간에 탑재한 상태로 이송도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스텝이 평면을 이루어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구간을 형성한 종래 기술에 따른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는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구간을 최대한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해 배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탑재되는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기종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1. 일본 공개특허 JP07013880U(1993.08.05.자 출원)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20335호(2002.11.23.자 공고) 3. 일본 공개특허 JP07002480A(1993.06.25.자 출원) 4. 일본 공개특허 JP11246156A(1998.03.05.자 출원) 5. 일본 공개특허 JP2010-137982A(2008.12.15.자 출원)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준 스텝을 기준으로 후단측 두 개의 스텝은 상승시켜 기준 스텝과 평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기준 스텝의 선단측 스텝은 후단을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하강시켜 3.5 스텝으로 이루어진 휠체어 탑재구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기종에 상관없이 탑재가 가능하도록 한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3.5 스텝으로 이루어진 휠체어 탑재구간이 형성되도록 한 구조에 더하여 탑재구간에 탑재한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뒷바퀴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구성함으로써 휠체어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시 안전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통해 경사면이 형성된 이동부재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모드전환용 승강판의 승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탑재가 요구되는 경우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기준 스텝의 후단측 두 개의 스텝을 상승시켜 휠체어 탑재구간의 형성시 상승된 두 스텝을 지지하는 지지링크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통해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보다 안전한 탑재와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는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구비된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스텝군 중 1스텝을 기준으로 후단의 2스텝 하부에 설치되어 2스텝의 승강시 1단 승강을 통해 2스텝을 지지하는 1단 승강링크; 2스텝 후단의 3스텝 하부에 설치되어 3스텝의 승강시 2단 승강을 통해 3스텝을 지지하는 2단 승강링크; 1스텝 전단의 전단스텝에 후단이 일정 경사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0.5스텝 회전수단; 1스텝과 2스텝 및 3스텝을 연결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평면상의 탑재구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텝 연결수단; 1스텝과 2스텝의 하부측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회전 구동을 통해 스텝 연결수단을 전후로 직선이동시키는 작동수단; 에스컬레이터의 일반모드 운행 중에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요구시 장애인 탑재모드 또는 장애인 탑재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작동수단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전환수단; 및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시 후륜을 고정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탑재구간으로부터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낙하를 방지하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0.5스텝 회전수단은 1스텝 전단의 전단스텝에 선단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후단이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0.5스텝; 0.5스텝의 양측에 구성된 구름롤러; 전단스텝의 하부 양측에 곡선 형태로 설치되어 0.5스텝 후단의 상하 회전시 구름롤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전단스텝 하부 양측 각각에 설치되어지되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작동되어 0.5스텝 선단 양측의 힌지를 기준으로 0.5스텝의 후단을 일정 경사각으로 승강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한 전동 솔레노이드; 및 0.5스텝의 상승시의 상태를 고정시키는 0.5스텝 고정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0.5스텝 회전수단의 구성에서 0.5스텝 고정수단은 0.5스텝의 하부 양측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전원의 인가에 의해 출몰되는 0.5스텝용 고정핀이 구비된 고정 솔레노이드; 및 고정 솔레노이드 각각에 대응하여 전단스텝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0.5스텝용 고정핀의 삽입이 이루어져 0.5스텝의 상승 회전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0.5스텝 고정홈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승강링크의 접히는 연결부위 상에 일단이 설치되어지되 타단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편; 및 2스텝과 3스텝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지되 전원의 인가에 의해 출몰되어 고정편의 고정홈 상에 삽입 또는 분리를 통해 승강링크의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가 고정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2스텝과 3스텝의 상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고정핀이 구비된 다수의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 승강링크 고정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스텝 연결수단은 1스텝과 2스텝 및 3스텝 각각의 하부면 양측 동일선상에 가이드홈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 연결편; 및 1스텝과 2스텝 각각에 구성된 연결편의 가이드홈 상에 전후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직선 이동을 통해 1스텝측 구성은 2스텝측 연결편의 가이드홈으로 삽입 분리되는 한편 2스텝측 구성은 3스텝측 연결편의 가이드홈으로 삽입 분리되도록 하되 각각의 하단면에는 랙이 형성된 연결바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스텝 연결수단의 구성에서 1스텝측 연결바의 직선 이동에 의해 2스텝측 연결편의 가이드홈으로 삽입되어 1스텝과 2스텝이 연결이 이루어지고, 2스텝측 연결바의 직선 이동에 의해 3스텝측 연결편의 가이드홈으로 삽입되어 2스텝과 3스텝의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경사면 이송이 이루어지면 2스텝과 3스텝은 1스텝의 평면을 이룬 상태로 휠체어 탑재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작동수단은 1스텝과 2스텝 각각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 회전축 각각의 양단에 구성되어 1스텝과 2스텝 각각에 구성된 연결바의 랙과 치결합되는 피니언; 1스텝과 2스텝 각각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구동축; 구동축의 하단에 구성된 스프로킷; 및 구동축의 회전력을 회전축에 전달하는 베벨기어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수단은 모드 전환수단에 의해 스프로킷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구동축과 베벨기어를 통해 회전축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피니언에 치결합되는 랙이 형성된 연결바의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1스텝과 2스텝 각각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로킷을 포함한 구동축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열 설치됨이 보다 양호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드 전환수단은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 상에 설치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 가이드 각각의 가이드공 상에 상하로 출몰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상부면으로 설치되는 승강판; 승강판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판 작동수단; 및 승강판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작동수단의 스프로킷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치결합되는 랙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드 전환수단은 에스컬레이터의 하부측 랜딩구간과 상부측 랜딩구간 각각의 트러스 상에 설치되어지되 하부측 랜딩구간에 설치된 모드 전환수단과 상부측 랜딩구간에 설치된 모드 전환수단의 랙은 상호 역전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작동수단의 스프로킷이 하부측 랜딩구간에서는 정회전이라면 상부측 랜딩구간에서는 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연결바의 후퇴 이동이 이루어져 1스텝과 2스텝 및 3스텝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모드 전환수단의 구성에서 승강판 작동수단은 승강판 하부면 중심에 지지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름롤러; 구름롤러에 대응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에 전후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지되 구름롤러의 구름면에 면접촉되어 구름롤러를 승강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된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키는 전동 솔레노이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수단은 3스텝 하부면 상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축; 구동축의 양단과 중심에 구성된 피니언; 3스텝의 하부면 상에 전후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구동축의 중심에 구성된 피니언과 치결합되는 구동랙; 3스텝의 하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어 구동랙을 전후 직선 이동시키는 전동 솔레노이드; 3스텝 하부면 양측 각각에 설치되어지되 각각의 중심에 전후로 곡선형 가이드홈이 형성된 스토퍼 가이드; 스토퍼 가이드의 가이드홈 상에 설치되어지되 구동축의 양측 각각에 구성된 피니언과 치결합되는 스토퍼 인출랙; 및 스토퍼 인출랙의 끝단에 구성되어 탑재구간에 탑재된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후륜을 구속하는 스토퍼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기준 스텝을 기준으로 후단측 두 개의 스텝은 상승시켜 기준 스텝과 평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기준 스텝의 선단측 스텝은 후단을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하강시켜 3.5 스텝으로 이루어진 휠체어 탑재구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기종에 상관없이 탑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3.5 스텝으로 이루어진 휠체어 탑재구간이 형성되도록 한 구조에 더하여 탑재구간에 탑재한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뒷바퀴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구성함으로써 휠체어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시 안전한 이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통해 경사면이 형성된 이동부재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모드전환용 승강판의 승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탑재가 요구되는 경우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기준 스텝의 후단측 두 개의 스텝을 상승시켜 휠체어 탑재구간의 형성시 상승된 두 스텝을 지지하는 지지링크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통해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보다 안전한 탑재와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도 1 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랙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랙의 작동 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1단 승강링크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도 5 의 측면 구성도.
도 7 은 도 5 의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8 은 도 7 의 측면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2단 승강링크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0 는 도 9 의 측면 구성도.
도 11 은 도 9 의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2 는 도 9 의 측면 구성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0.5스텝 회전수단을 보인 전면 사시 구성도.
도 14 는 도 13 의 작동에 따른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5 는 도 13 의 후면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6 은 도 13 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17 은 도 13 의 작동에 따른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18 은 도 13 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전면 사시 구성도.
도 19 는 도 18 의 측면 구성도.
도 20 은 도 13 의 작동에 따른 내부 구조를 보인 후면 사시 구성도.
도 21 은 도 20 의 측면 구성도.
도 22 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수단과 작동수단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3 은 도 22 의 측면 구성도.
도 24 는 도 22 의 후면 구성도.
도 25 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모드 전환수단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6 은 도 25 의 측면 구성도.
도 27 은 도 25 의 작동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28 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스토퍼수단을 보인 저면 사시 구성도.
도 29 는 도 28 의 평면 사시 구성도.
도 30 은 도 28 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31 은 도 28 의 작동 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도 1 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랙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랙의 작동 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100)는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 중 1스텝(10)을 기준으로 후단의 2스텝(20) 하부에 설치되어 2스텝(20)의 승강시 1단 승강을 통해 2스텝(20)의 지지하는 1단 승강링크(110), 2스텝(20) 후단의 3스텝(30) 하부에 설치되어 3스텝(30)의 승강시 2단 승강을 통해 3스텝(30)을 지지하는 2단 승강링크(120), 1스텝(10) 전단의 전단스텝(40)에 후단이 일정 경사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0.5스텝 회전수단,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을 연결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평면상의 탑재구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텝 연결수단, 1스텝(10)과 2스텝(20)의 하부측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회전 구동을 통해 스텝 연결수단을 전후로 직선이동시키는 작동수단, 에스컬레이터의 일반모드 운행 중에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 요구시 장애인 탑재모드 또는 장애인 탑재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작동수단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전환수단 및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시 후륜을 고정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탑재구간으로부터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낙하를 방지하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100)는 평소 일반인이 이용할 수 있는 일반모드로 운행되어진다. 이처럼 일반모드로 운행 중에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 요구시 에스컬레이터 구간을 차단 한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모드인 일반모드를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시킨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모드인 일반모드를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시키게 되면 모드 전환수단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에스컬레이터는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하부측 랜딩구간 또는 상부측 랜딩구간에 들어서면서 일단 멈추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하부측 랜딩구간 또는 상부측 랜딩구간에서 일단 멈춘 다음에는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의 상부로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밀어 위치시킨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이 이루어지면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랜딩구간을 벗어나기 전에 모드 전환수단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작동수단을 구동시켜 스텝 연결수단의 가동을 통해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모드인 일반모드를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시키게 되면 1스텝(10) 전단의 전단스텝(40)에 구성된 0.5스텝 회전수단은 전원의 인가에 의해 작동되어 0.5스텝(50)의 후단이 1스텝(10)의 선단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일정 경사각으로 회전되어 0.5스텝(50)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모드인 일반모드를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시켜 1스텝(10) 전단의 전단스텝(40)에 구성된 0.5스텝 회전수단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과 동시에 스토퍼수단 역시 작동되어 탑재구간에 탑재된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후륜을 구속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탑재구간으로부터 휠체어나 전동카트가 후방 또는 전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연결수단의 가동을 통해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이 이루어지면 1스텝(10)이 에스컬레이터의 경사구간에 들어서면서 계단을 형성하게 되면 2스텝(20)은 1스텝(10)과 동일한 높이로 1단 상승하고, 3스텝(30)은 1스텝(10)과 동일한 높이로 2단 상승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2스텝(20)과 3스텝(30)의 상승에 의해 2스텝(20) 하부의 1단 승강링크(110)와 3스텝(30) 하부의 2단 승강링크(120)는 1단 및 2단으로 펼쳐지게 되고, 1단 승강링크(110)와 2단 승강링크(3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승강링크 고정수단에 의해 펼쳐진 상태의 1단 승강링크(110)와 2단 승강링크(120)의 고정이 이루어져 2스텝(20)과 3스텝(30)을 지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2스텝(20)과 3스텝(30)은 스텝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기 때문에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은 평면상의 휠체어 탑재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의 휠체어 탑재구간에 0.5스텝(50)을 더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서는 3.5스텝의 휠체어 탑재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기종에 상관없이 탑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탑재한 상태로 상부측 랜딩구간 또는 하부측 랜딩구간으로 이송되어 들어서게 되면 0.5스텝(50)은 역방향 회전을 통해 원위치 되면서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이 일단 멈추게 된다. 이처럼 목적하는 위치의 랜딩구간에 들어서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이 일단 멈추게 되면 휠체어 탑재구간에 탑재된 휠체어나 전동카트는 휠체어 탑재구간을 이동하여 에스컬레이터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휠체어 탑재구간에 탑재된 휠체어나 전동카트가 휠체어 탑재구간을 이동하여 에스컬레이터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후에는 해당 위치에 설치된 모드 전환수단에 의한 휠체어 탑재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재이송이 이루어지면 스토퍼수단이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3스텝의 내부로 은닉되어진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해당 위치의 랜딩구간을 벗어나기 전에 모드 전환수단의 일반모드 전환에 따라 작동수단이 역으로 구동되어 스텝 연결수단의 역가동을 통해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의 상호 연결이 분리되고, 승강링크 고정수단에 역방향 작동에 의해 1단 승강링크(110)와 2단 승강링크(120)의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모드의 전환에 따라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의 상호 연결이 분리된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작동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2스텝(20)과 3스텝(30)은 하강하여 일반모드 상태로 원위치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1단 승강링크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도 5 의 측면 구성도, 도 7 은 도 5 의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8 은 도 7 의 측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1단 승강링크(110)는 2스텝(20)의 상승시 1스텝(10)과 동일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1단 승강링크(110)는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군 중 1스텝(10)을 기준으로 후단의 2스텝(20) 하부에 설치되어 2스텝(20)의 승강시 1단 승강을 통해 2스텝(20)을 지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1단 승강링크(110)는 2스텝(20)의 상승시 1스텝(10)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링크의 구성이 1단 상승에 맞게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1단 승강링크(110)는 2스텝(20)의 하부의 구조에 설치 고정되어 2스텝(20)의 상판이 1스텝(10)과 동일 높이로 상승시 펼쳐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2스텝(20)의 상판이 1스텝(10)과 동일 높이로 상승시 1단 승강링크(110)가 동시에 펼쳐져 완전하게 펼쳐지게 되면 승강링크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1단 승강링크(110)가 자체적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승강링크 고정수단은 도 1, 도 2,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승강링크(110)의 접히는 연결부위 상에 일단이 설치되어지되 타단에는 고정홈(112a)이 형성된 고정편(112) 및 2스텝(20)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지되 전원의 인가에 의해 출몰되어 고정편(112)의 고정홈(112a) 상에 삽입 또는 분리를 통해 1단 승강링크(110)의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114a)이 구비된 다수의 솔레노이드(11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링크 고정수단을 통해 1단 승강링크(110)의 펼쳐진 상태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2스텝(20)의 상승된 상태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2스텝(20)의 상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2단 승강링크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0 는 도 9 의 측면 구성도, 도 11 은 도 9 의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2 는 도 9 의 측면 구성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2단 승강링크(120)는 3스텝(30)의 상승시 1스텝(10)과 동일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2단 승강링크(120)는 도 9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군 중 2스텝(20) 후단의 3스텝(30) 하부에 설치되어 3스텝(30)의 승강시 2단 승강을 통해 3스텝(30)을 지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2단 승강링크(120)는 3스텝(30)의 상승시 1스텝(10)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링크의 구성이 2단 상승에 맞게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2단 승강링크(120)는 3스텝(30)의 하부의 구조에 설치 고정되어 3스텝(30)의 상판이 1스텝(10)과 동일 높이로 상승시 펼쳐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3스텝(30)의 상판이 1스텝(10)과 동일 높이로 상승시 2단 승강링크(120)가 동시에 펼쳐져 완전하게 펼쳐지게 되면 승강링크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2단 승강링크(120)가 자체적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승강링크 고정수단은 도 1, 도 2, 도 9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승강링크(120)의 접히는 각각의 연결부위 상에 일단이 설치되어지되 타단에는 고정홈(122a)이 형성된 고정편(122) 및 3스텝(30)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지되 전원의 인가에 의해 출몰되어 고정편(122)의 고정홈(122a) 상에 삽입 또는 분리를 통해 2단 승강링크(120)의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124a)이 구비된 다수의 솔레노이드(12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링크 고정수단을 통해 2단 승강링크(120)의 펼쳐진 상태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3스텝(30)의 상승된 상태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3스텝(20)의 상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0.5스텝 회전수단을 보인 전면 사시 구성도, 도 14 는 도 13 의 작동에 따른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5 는 도 13 의 후면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6 은 도 13 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17 은 도 13 의 작동에 따른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18 은 도 13 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전면 사시 구성도, 도 19 는 도 18 의 측면 구성도, 도 20 은 도 13 의 작동에 따른 내부 구조를 보인 후면 사시 구성도, 도 21 은 도 20 의 측면 구성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0.5스텝 회전수단은 1스텝(10) 전단의 전단스텝(40)에 구성되는 0.5스텝(50) 후단이 일정 경사각으로 하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0.5스텝(50) 구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0.5스텝 회전수단은 도 1, 도 2, 도 13 내지 도 21 에서와 같이 1스텝(10) 전단의 전단스텝(40)에 후단이 일정 경사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0.5스텝 회전수단은 1스텝(10) 전단의 전단스텝(40)에 선단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후단이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0.5스텝(50), 0.5스텝(50)의 양측에 구성된 구름롤러(130), 전단스텝(40)의 하부 양측에 곡선 형태로 설치되어 0.5스텝(50) 후단의 상하 회전시 구름롤러(13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32), 전단스텝(40) 하부 양측 각각에 설치되어지되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작동되어 0.5스텝(50) 선단 양측의 힌지를 기준으로 0.5스텝(50)의 후단을 일정 경사각으로 승강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한 전동 솔레노이드(134) 및 0.5스텝(50)의 상승시의 상태를 고정시키는 0.5스텝 고정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0.5스텝 회전수단은 전원의 인가에 의해 작동되는 전동 솔레노이드(134)의 작동을 통해 0.5스텝(50)의 후단을 하향으로 잡아 내리거나 위로 밀어 올림으로써 0.5스텝(50)의 구간을 형성하거나 해제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0.5스텝 회전수단의 구성에서 0.5스텝 고정수단은 0.5스텝(50)의 하부 양측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전원의 인가에 의해 출몰되는 0.5스텝용 고정핀(136a)이 구비된 고정 솔레노이드(136) 및 고정 솔레노이드(136) 각각에 대응하여 전단스텝(40)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0.5스텝용 고정핀(136a)의 삽입이 이루어져 0.5스텝(50)의 상승 회전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0.5스텝 고정홈(도시하지 않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솔레노이드(136)를 통해 0.5스텝(50)의 원위치 상태를 고정시켜 일반모드시 인체의 하중에 의해 0.5스텝(50)이 하강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도 22 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수단과 작동수단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3 은 도 22 의 측면 구성도, 도 24 는 도 22 의 후면 구성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텝 연결수단은 휠체어 탑재구간의 형성시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을 연결하여 평면상의 탑재구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스텝 연결수단은 도 3, 도 4, 도 22 내지 도 2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을 연결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평면상의 탑재구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스텝 연결수단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스텝 연결수단은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 각각의 하부면 양측 동일선상에 가이드홈(140a)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 연결편(140) 및 1스텝(10)과 2스텝(20) 각각에 구성된 연결편(140)의 가이드홈(140a) 상에 전후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랙(142a)이 형성된 연결바(142)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스텝 연결수단은 연결바(142)의 직선 이동을 통해 1스텝(10)측 연결바(142)는 2스텝(20)측 연결편(140)의 가이드홈(140a)으로 삽입되는 한편 2스텝(20)측 연결바(142)는 3스텝(30)측 연결편(140)의 가이드홈(140a)으로 삽입되어 휠체어 탑재구간의 형성시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연결편(140)과 연결바(142)는 1스텝(10)이 2스텝(20)과 3스텝(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스텝 연결수단의 구성에서 1스텝(10)측 연결바(142)의 직선 이동에 의해 2스텝(20)측 연결편(140)의 가이드홈(140a)으로 삽입되어 1스텝(10)과 2스텝(20)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2스텝(20)측 연결바(142)의 직선 이동에 의해 3스텝(30)측 연결편(140)의 가이드홈(140a)으로 삽입되어 2스텝(20)과 3스텝(30)의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경사면 이송이 이루어지면 2스텝(20)과 3스텝(30)은 1스텝(10)의 평면을 이룬 상태로 휠체어 탑재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작동수단은 스텝 연결수단의 연결바(142)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켜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의 연결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작동수단은 도 3, 도 4, 도 22 내지 도 2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스텝(10)과 2스텝(20)의 하부측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회전 구동을 통해 스텝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연결바(142)를 전후로 직선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수단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동수단은 1스텝(10)과 2스텝(20) 각각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150), 회전축(150) 각각의 양단에 구성되어 1스텝(10)과 2스텝(20) 각각에 구성된 연결바(142)의 랙(142a)과 치결합되는 피니언(152), 1스텝(10)과 2스텝(20) 각각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구동축(154), 구동축(154)의 하단에 구성된 스프로킷(156) 및 구동축(154)의 회전력을 회전축(150)에 전달하는 베벨기어(158)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작동수단은 후술하는 모드 전환수단과의 치결합에 의한 스프로킷(156)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스프로킷(156)의 회전은 구동축(154)과 베벨기어(158)를 통해 회전축(150)으로 전달되어 회전축(15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회전축(15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142)은 치결합된 연결바(142)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연결바(142)에 의한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이 상호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수단은 모드 전환수단에 의해 스프로킷(156)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구동축(154)과 베벨기어(158)를 통해 회전축(15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피니언(152)에 치결합되는 랙(142a)이 형성된 연결바(142)의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1스텝(10)과 2스텝(20) 각각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로킷(156)을 포함한 구동축(154)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열 설치됨이 보다 양호하다.
도 25 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모드 전환수단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6 은 도 25 의 측면 구성도, 도 27 은 도 25 의 작동을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모드 전환수단은 에스컬레이터의 모드를 일반모드에서 장애인 탑재모드 또는 장애인 탑재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모드 전환수단은 도 3, 도 4, 도 25 내지 도 2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일반모드 운행 중에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 요구시 장애인 탑재모드 또는 장애인 탑재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작동수단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드 전환수단은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 상에 설치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60), 베이스 플레이트(160)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161), 가이드(161) 각각의 가이드공 상에 상하로 출몰되는 지지대(162), 지지대(162)의 상부면으로 설치되는 승강판(163), 승강판(163)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판 작동수단 및 승강판(163)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작동수단의 스프로킷(156)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치결합되는 랙(165)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모드 전환수단은 일반모드에서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되면 전원의 인가에 의해 승강판 작동수단이 작동되어 승강판(163)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처럼 승강판(163)이 상승되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165)과 작동수단을 구성하는 스프로킷(156)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에 따라 스프로킷(156)이 랙(165)의 일측으로 진입하게 되면서 치결합되면 스프로킷(156)의 회전이 이루어져 연결바(142)의 직선 이동에 따른 연결편(140)과의 결합으로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은 상호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에 따라 스프로킷(156)이 랙(165)의 일측으로 진입하여 타측으로 지나는 동안 스프로킷(156)의 회전이 이루어져 연결바(142)의 직선 이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연결편(140)과 연결바(142)의 결합으로 인한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 전환수단의 구성에서 승강판(163)의 상부에 전후로 구성되는 랙(165)은 1스텝(10)측의 스프로킷(156)과 2스텝(20)측의 스프로킷(156) 각각에 대응하여 구성된다. 즉, 1스텝(10)과 2스텝(20) 각각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로킷(156)을 포함한 구동축(154)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기 때문에 스프로킷(156)과 랙(165)의 치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랙(165)의 위치 배열을 스프로킷(156)의 위치 배열에 대응하여 설치함이 양호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드 전환수단의 구성에서 승강판(163)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판 작동수단은 승강판(163) 하부면 중심에 지지편(16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름롤러(164), 구름롤러(164)에 대응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60)의 중심에 전후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지되 구름롤러(164)의 구름면에 면접촉되어 구름롤러(164)를 승강시키는 경사면(164a-1)이 형성된 이동부재(164a) 및 이동부재(164a)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키는 전동 솔레노이드(164b)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승강판 작동수단은 전동 솔레노이드(164b)를 통해 이동부재(164a)를 전후로 잡아당기거나 밀어 원위치시키게 되면 승강판(163)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즉, 전동 솔레노이드(164b)를 통해 이동부재(164a)를 잡아당겨 승강판(162)의 상승이 이루어지면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하게 되고, 전동 솔레노이드(164b)를 통해 이동부재(164a)를 밀어 승강판(162)의 하강이 이루어지면 일반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전동 솔레노이드(164b)를 통해 이동부재(164a)를 잡아당겨 승강판(162)의 상승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스프로킷(156)과 랙(165)의 치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전동 솔레노이드(164b)를 통해 이동부재(164a)를 밀어 승강판(162)의 하강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스프로킷(156)과 랙(165)의 치결합이 분리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드 전환수단은 에스컬레이터의 하부측 랜딩구간과 상부측 랜딩구간 각각의 트러스 상에 설치되어 하부측 랜딩구간에 설치된 모드 전환수단과 상부측 랜딩구간에 설치된 모드 전환수단의 랙(165)은 상호 역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작동수단의 스프로킷(156)이 하부측 랜딩구간에서는 정회전이라면 상부측 랜딩구간에서는 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연결바(142)의 후퇴 이동이 이루어져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한다.
도 28 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스토퍼수단을 보인 저면 사시 구성도, 도 29 는 도 28 의 평면 사시 구성도, 도 30 은 도 28 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31 은 도 28 의 작동 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토퍼수단은 휠체어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시 후륜을 구속하여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스토퍼수단은 도 28 내지 도 3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시 후륜을 고정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탑재구간으로부터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낙하를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스토퍼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3스텝(30) 하부면 상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축(170), 구동축(170)의 양단과 중심에 구성된 피니언(171), 3스텝(30)의 하부면 상에 전후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구동축(170)의 중심에 구성된 피니언(171)과 치결합되는 구동랙(172), 3스텝(30)의 하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어 구동랙(172)을 전후 직선 이동시키는 전동 솔레노이드(173), 3스텝(30) 하부면 양측 각각에 설치되어지되 각각의 중심에 전후로 곡선형 가이드홈(174-1)이 형성된 스토퍼 가이드(174), 스토퍼 가이드(174)의 가이드홈(174-1) 상에 설치되어지되 구동축(170)의 양측 각각에 구성된 피니언(171)과 치결합되는 스토퍼 인출랙(175) 및 스토퍼 인출랙(175)의 끝단에 구성되어 탑재구간에 탑재된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후륜을 구속하는 스토퍼(17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스토퍼수단은 전동 솔레노이드(173)를 통해 구동랙(172)을 전후로 밀거나 잡아당기게 되면 피니언(171)의 정역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회전축의 정역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회전축(170)의 양단에 구성된 피니언(171)에 치결합된 스토퍼 인출랙(175)이 스토퍼 가이드(174)로부터 출몰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1스텝(10)을 기준으로 후단측 두 개의 스텝(20, 30)은 상승시켜 1스텝(10)과 평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1스텝(10)의 선단의 전단스텝(40)에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하강시키는 0.5스텝(50)을 구성함으로써 3.5 스텝으로 이루어진 휠체어 탑재구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기종에 상관없이 탑재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에스컬레이터 장치 110. 1단 승강링크
120. 2단 승강링크 130. 구름롤러
132. 가이드 레일 134. 전동 솔레노이드
140. 연결편 142. 연결바
150. 회전축 152. 피니언
154. 구동축 156. 스프로킷
158. 베벨기어 160. 베이스 플레이트
161. 가이드 162. 지지대
163. 승강판 165. 랙
170. 구동축 171. 피니언
172. 구동랙 173. 전동 솔레노이드
174. 스토퍼 가이드 175. 스토퍼 인출랙
176. 스토퍼

Claims (13)

  1.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구비된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군 중 1스텝을 기준으로 후단의 2스텝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2스텝의 승강시 1단 승강을 통해 2스텝을 지지하는 1단 승강링크;
    상기 2스텝 후단의 3스텝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3스텝의 승강시 2단 승강을 통해 3스텝을 지지하는 2단 승강링크;
    상기 1스텝 전단의 전단스텝에 후단이 일정 경사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0.5스텝 회전수단;
    상기 1스텝과 2스텝 및 3스텝을 연결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평면상의 탑재구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텝 연결수단;
    상기 1스텝과 2스텝의 하부측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회전 구동을 통해 상기 스텝 연결수단을 전후로 직선이동시키는 작동수단;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일반모드 운행 중에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 요구시 장애인 탑재모드 또는 장애인 탑재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전환수단; 및
    상기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시 후륜을 고정시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탑재구간으로부터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낙하를 방지하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0.5스텝 회전수단은 상기 1스텝 전단의 전단스텝에 선단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후단이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0.5스텝;
    상기 0.5스텝의 양측에 구성된 구름롤러;
    상기 전단스텝의 하부 양측에 곡선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0.5스텝 후단의 상하 회전시 상기 구름롤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전단스텝 하부 양측 각각에 설치되어지되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0.5스텝 선단 양측의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0.5스텝의 후단을 일정 경사각으로 승강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한 전동 솔레노이드; 및
    상기 0.5스텝의 상승시의 상태를 고정시키는 0.5스텝 고정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0.5스텝 고정수단은 상기 0.5스텝의 하부 양측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전원의 인가에 의해 출몰되는 0.5스텝용 고정핀이 구비된 고정 솔레노이드; 및
    상기 고정 솔레노이드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전단스텝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0.5스텝용 고정핀의 삽입이 이루어져 상기 0.5스텝의 상승 회전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0.5스텝 고정홈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링크의 접히는 연결부위 상에 일단이 설치되어지되 타단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편; 및
    상기 2스텝과 3스텝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지되 전원의 인가에 의해 출몰되어 상기 고정편의 고정홈 상에 삽입 또는 분리를 통해 상기 승강링크의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가 고정되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2스텝과 3스텝의 상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고정핀이 구비된 다수의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 승강링크 고정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연결수단은 상기 1스텝과 2스텝 및 3스텝 각각의 하부면 양측 동일선상에 가이드홈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 연결편; 및
    상기 1스텝과 2스텝 각각에 구성된 상기 연결편의 가이드홈 상에 전후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직선 이동을 통해 상기 1스텝측 구성은 2스텝측 연결편의 가이드홈으로 삽입 분리되는 한편 2스텝측 구성은 3스텝측 연결편의 가이드홈으로 삽입 분리되도록 하되 각각의 하단면에는 랙이 형성된 연결바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스텝측 연결바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2스텝측 연결편의 가이드홈으로 삽입되어 1스텝과 2스텝이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2스텝측 연결바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3스텝측 연결편의 가이드홈으로 삽입되어 2스텝과 3스텝의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경사면 이송이 이루어지면 2스텝과 3스텝은 1스텝의 평면을 이룬 상태로 휠체어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1스텝과 2스텝 각각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 각각의 양단에 구성되어 상기 1스텝과 2스텝 각각에 구성된 연결바의 랙과 치결합되는 피니언;
    상기 1스텝과 2스텝 각각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하단에 구성된 스프로킷; 및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베벨기어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모드 전환수단에 의해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상기 구동축과 상기 베벨기어를 통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피니언에 치결합되는 랙이 형성된 연결바의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스텝과 2스텝 각각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스프로킷을 포함한 구동축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수단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 상에 설치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
    상기 가이드 각각의 가이드공 상에 상하로 출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으로 설치되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판 작동수단; 및
    상기 승강판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작동수단의 스프로킷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치결합되는 랙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수단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하부측 랜딩구간과 상부측 랜딩구간 각각의 트러스 상에 설치되어지되 하부측 랜딩구간에 설치된 모드 전환수단과 상부측 랜딩구간에 설치된 모드 전환수단의 랙은 상호 역전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작동수단의 스프로킷이 하부측 랜딩구간에서는 정회전이라면 상부측 랜딩구간에서는 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상기 연결바의 후퇴 이동이 이루어져 상기 1스텝과 2스텝 및 3스텝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 작동수단은 상기 승강판 하부면 중심에 지지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름롤러;
    상기 구름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에 전후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지되 구름롤러의 구름면에 면접촉되어 구름롤러를 승강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된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키는 전동 솔레노이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3스텝 하부면 상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양단과 중심에 구성된 피니언;
    상기 3스텝의 하부면 상에 전후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구동축의 중심에 구성된 피니언과 치결합되는 구동랙;
    상기 3스텝의 하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구동랙을 전후 직선 이동시키는 전동 솔레노이드;
    상기 3스텝 하부면 양측 각각에 설치되어지되 각각의 중심에 전후로 곡선형 가이드홈이 형성된 스토퍼 가이드;
    상기 스토퍼 가이드의 가이드홈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구동축의 양측 각각에 구성된 피니언과 치결합되는 스토퍼 인출랙; 및
    상기 스토퍼 인출랙의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탑재구간에 탑재된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후륜을 구속하는 스토퍼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KR1020140066573A 2014-05-30 2014-05-30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KR101644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573A KR101644622B1 (ko) 2014-05-30 2014-05-30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573A KR101644622B1 (ko) 2014-05-30 2014-05-30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48A true KR20150139048A (ko) 2015-12-11
KR101644622B1 KR101644622B1 (ko) 2016-08-03

Family

ID=5502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573A KR101644622B1 (ko) 2014-05-30 2014-05-30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1312A (zh) * 2022-07-27 2022-11-11 三峡大学 一种斜行电梯步进式输送装置及其同步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710B1 (ko) * 2016-10-27 2018-11-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KR102403782B1 (ko) 2020-12-31 2022-05-3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지형 스마트 에스컬레이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80A (ja) 1993-01-13 1995-01-06 Fujitec Co Ltd エスカレータ装置
JPH0713880U (ja) 1993-08-05 1995-03-1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装置
JP2529758B2 (ja) * 1990-06-18 1996-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タ装置
JPH10203769A (ja) * 1997-01-24 1998-08-04 Toshiba Corp 車椅子乗用エスカレータ装置
JPH11246156A (ja) 1998-03-05 1999-09-14 Toshiba Corp 車いす兼用エスカレータ
KR100320335B1 (ko) 1993-05-13 2002-11-23 히다찌 미토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에스컬레이터장치
JP3507290B2 (ja) * 1997-07-17 2004-03-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車いす用踏段付きエスカレータの制御装置
JP2010137982A (ja) 2008-12-15 2010-06-2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車いす用踏段付エスカレータ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758B2 (ja) * 1990-06-18 1996-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タ装置
JPH072480A (ja) 1993-01-13 1995-01-06 Fujitec Co Ltd エスカレータ装置
KR100320335B1 (ko) 1993-05-13 2002-11-23 히다찌 미토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에스컬레이터장치
JPH0713880U (ja) 1993-08-05 1995-03-1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装置
JPH10203769A (ja) * 1997-01-24 1998-08-04 Toshiba Corp 車椅子乗用エスカレータ装置
JP3507290B2 (ja) * 1997-07-17 2004-03-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車いす用踏段付きエスカレータの制御装置
JPH11246156A (ja) 1998-03-05 1999-09-14 Toshiba Corp 車いす兼用エスカレータ
JP2010137982A (ja) 2008-12-15 2010-06-2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車いす用踏段付エスカレー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1312A (zh) * 2022-07-27 2022-11-11 三峡大学 一种斜行电梯步进式输送装置及其同步控制方法
CN115321312B (zh) * 2022-07-27 2023-10-27 三峡大学 一种斜行电梯步进式输送装置及其同步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622B1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787B2 (en) Stair climbing apparatus
US11311433B2 (en) Lift for telescopic passenger stairs for boarding passengers in wheelchairs on a plane
KR101644622B1 (ko)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KR101372262B1 (ko) 휠체어용 승강장치
KR20120138912A (ko)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장치
US8104600B2 (en) Escalator
CN210991230U (zh) 一种自动搬运床
ES2312887T3 (es)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para escalones de escaleras mecanicas o plataformas de pasillos moviles.
KR20100089675A (ko) 버스용 휠체어 리프트
KR101644625B1 (ko)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JP2015182522A (ja) 避難用梯子
KR101243665B1 (ko)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휠체어 램프
KR101646652B1 (ko) 에스컬레이터의 휠체어 스토퍼 장치
KR20130051575A (ko) 휠체어 이동장치를 갖는 탑승교
KR101863339B1 (ko)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KR101757657B1 (ko) 수직 및 수평 엘리베이터용 이송구조의 틸팅장치
RU99704U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адки и высадки пассажира в кресле-коляске, установленное 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вагоне
CN220745038U (zh) 一种辅助上楼机
KR101732919B1 (ko) 에스컬레이터용 휠체어 탑재구간의 0.5 스텝장치
KR20150138930A (ko)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13710B1 (ko)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CN114684755B (zh) 一种火车卧铺床位上下电梯
CN113233293B (zh) 一种客梯轿厢结构
CN107891816A (zh) 一种用于老年人及肢残人士的乘车装置
RU115343U1 (ru) Подъемник для инвали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