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710B1 -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710B1
KR101913710B1 KR1020160141005A KR20160141005A KR101913710B1 KR 101913710 B1 KR101913710 B1 KR 101913710B1 KR 1020160141005 A KR1020160141005 A KR 1020160141005A KR 20160141005 A KR20160141005 A KR 20160141005A KR 101913710 B1 KR101913710 B1 KR 101913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frame
transmission shaft
driving
bev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132A (ko
Inventor
김진호
장동두
이나현
강윤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4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7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8Means to facilitate passenger entry or ex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스텝을 연결하여 휠체어 등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되, 각 스텝을 연결할 때 보다 정확하게 제어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게 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텝을 연결하여 탑재공간을 형성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스텝은 발판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스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및 출구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coupling apparatus of step of the escalator for handicapped person}
본 발명은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스텝을 연결하여 휠체어 등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되, 각 스텝을 연결할 때 보다 정확하게 제어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게 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 이송장치로써의 에스컬레이터는 사람들을 지속적으로 실어 나르기 위해 사람들의 유동이 많은 건물의 층간 사이 또는 긴 복도에 설치되어진다. 특히,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지하철이나 전철 등 역사 내의 환승통로와 같이 승객이 다른 교통수단으로 환승하는 구간이나 역사의 입출구 구간에서 일반이용객이나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환승구조물로 설치 운영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에스컬레이터는 건물 내부에 매립 설치되는 트러스와 트러스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트러스의 양쪽 단부에는 랜딩부가 구성되고, 트러스의 내부에는 구동모터와 스텝체인 및 스텝체인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기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텝체인에는 다수의 스텝이 연결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측면 지지 프레임의 각 상부에는 핸드레일이 스텝의 주행 속도와 같은 주행속도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핸드레일은 스텝체인을 주행시키는 구동모터에 의해 주행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스컬레이터는 경사부분에서는 계단식의 스템이 구성되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경우에는 계단식의 스텝에 탑재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지만 휠체어나 전동스쿠터와 같은 이동보조수단을 이용한 장애인의 경우에는 휠체어나 전동스쿠터를 에스컬레이터에 탑재시킬 수 있는 구조에 어려움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휠체어나 전동스쿠터 탑재구조로는 에스컬레이터와는 별도로 에스컬레이터 장치가 설치된 역사 내의 벽면에 경사 가이드에 의해 경사 방향으로 승강되는 대차를 이용한 구조가 이용되고 있으나, 에스컬레이터와 별도로 대차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9049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휠체어나 전동스쿠터의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구비되어지되 스프로킷(156)의 회전에 의해 연결바(142)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텝군이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스쿠터를 탑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 상에 설치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6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161); 상기 가이드(161) 각각의 가이드공 상에 상하로 출몰되는 지지대(162); 상기 지지대(162)의 상부면으로 설치되는 승강판(163); 상기 승강판(163)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판 작동수단; 및 상기 승강판(163)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스프로킷(156)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치결합되는 랙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9049호에 기재된 기술은 다수개의 스텝을 연결하여 휠체어가 탑승할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장애인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스프로킷(156)은 승강판(163)의 상부에 구비되는 랙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스프로킷(156)과 랙의 접촉이 안정적이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바(142)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인접한 스텝의 연결 또는 분리가 안정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되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 스텝을 구성하는 발판의 하면에 구비되어 스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스텝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및 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에는 하부에 소켓 형상의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는 제1결합부에 대응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됨으로써, 구동부의 회전력을 온전하게 연결부로 전달하도록 하여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부를 구성하는 제1결합부의 내측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하부로 탄성지지되는 다수개의 승강핀이 구비되어 구동부를 구성하는 제2결합부의 상단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용이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제1결합부의 내경이 제2결합부 상단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결합부의 위치와 제1결합부의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 연결부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텝을 연결하여 탑재공간을 형성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스텝은 발판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스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및 출구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발판의 하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전후 이동되고 하면에 랙이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랙에 대응되는 피니언이 구비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달축과, 상기 전달축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베벨기에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전달축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는 전달축의 하부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사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는 소켓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하부로 탄성지지되는 다수개의 승강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및 출구 바닥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승강판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되,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결합부의 상단은 다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측부에는 보조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 연결부재의 내측에는 연결바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보조 연결바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의 전부 또는 후부에는 회전축에 구비되는 구동기어와 대응되는 종동기어가 구비되는 보조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회전축에는 보조 연결바의 하면에 형성되는 랙에 대응되도록 피니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과 프레임은 지지링크로 이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 스텝을 구성하는 발판의 하면에 구비되어 스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스텝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및 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에는 하부에 소켓 형상의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는 제1결합부에 대응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됨으로써, 구동부의 회전력을 온전하게 연결부로 전달하도록 하여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동부를 구성하는 제1결합부의 내측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하부로 탄성지지되는 다수개의 승강핀이 구비되어 구동부를 구성하는 제2결합부의 상단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용이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제1결합부의 내경이 제2결합부 상단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결합부의 위치와 제1결합부의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 연결부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상태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의 연결부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의 작동부와 구동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의 작동부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의 제1결합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의 연결부를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의 작동부와 구동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의 작동부의 상세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의 제1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발판(300)과 프레임(400)로 이루어지는 스텝(200)을 연결하여 탑재공간을 형성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발판(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스텝(20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부호 미도시)와 상기 프레임(400)에 구비되어 연결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600)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및 출구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6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7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발판(300)과 프레임(400)은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링크(500)로 연결되어, 상황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가능하게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00)의 하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310)와 상기 연결부재(3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전후 이동되는 연결바(320)와 상기 연결바(320)의 하면에는 랙이 형성되고, 상기 랙에 대응되는 피니언(344)이 구비되는 회전축(3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10)는 사각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심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연결바(320)가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면 중심부는 절개되어 연결바(320)의 하면에 형성되는 랙이 하부로 노출되게 됨으로써, 회전축(340)에 구비되는 피니언(344)에 의해 전후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연결바(320)가 전부 또는 후부로 피니언(344)에 의해 이동할 경우 인접한 스텝(200)의 발판(300) 하면에 구비된 연결부재(310)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인접한 스텝(200)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600)는 프레임(4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달축(610)과 상기 전달축(6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베벨기어(620)와 상기 전달축(6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6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달축(610)은 프레임(400)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61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의 회전축(340)에는 제2베벨기어(342)가 전달축(610)의 제1베벨기어(620)에 치합되도록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구동부(700)에 의해 전달축(610)이 회전하게 되면, 전달축(6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베벨기어(620)와 회전축(340)에 구비되는 제2베벨기어(342)에 의해 전달축(610)의 회전력이 회전축(340)으로 전달되어, 연결부의 연결바(320)를 전후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630)는 전달축(6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유니버설 조인트(635)에 의해 결합되어 후술할 구동부(700)의 제2결합부(750)와 정확하게 일직선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제2결합부(750)를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축(610)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템(200)을 구성하는 프레임(400)이 발판(300)과 이격될 경우, 상기 제1,2베벨기어(620,342) 역시 이격되게 되며, 발판(300)과 프레임(400)이 접하게 될 경우 상기 제1,2베벨기어(620,342) 역시 치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700)는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및 출구 바닥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7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승강판(730)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10)에 설치되어 승강판(730)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720)와 상기 승강판(730)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740)와 상기 구동모터(740)에 의해 회전하는 제2결합부(7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740)의 로드(미도시)는 승강판(730)의 상부로 돌출되어 단부에 상기 제2결합부(75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결합부(750)는 승강판(73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가 장애인 모드로 작동될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입구에 다수의 스텝(200)이 멈추게 되고,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부(700)의 승강실린더(720)가 작동하여 승강판(730)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승강판(7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결합부(750)와 스텝(200)에 설치되는 작동부(600)를 구성하는 제1결합부(630)가 서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740)의 회전력은 제2결합부(750)와 제1결합부(630)에 의해 전달축(610)으로 전달되어, 연결부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결합부(750)의 상부는 다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630)는 소켓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결합부(750)의 상부가 삽입되어 제1,2결합부(630,750)가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6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다수개의 승강핀(632)이 구비되는데, 상기 승강핀(632)은 탄성부재에 의해 하부로 탄성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다각바 형상으로 형성된 제2결합부(740)의 상부가 소켓 형상의 제1결합부(630)의 하부로 삽입될 경우, 제2결합부(74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위치의 승강핀(632)이 상부로 삽입되게 됨으로써, 다각바 형상에 대응되는 부분의 공간이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630)의 내경이 제2결합부(740)의 상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입구에 위치한 각 스텝(200)의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제1결합부(630)의 소켓부 내측으로 제2결합부(740)의 상부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제1결합부(630)의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안정적으로 제2결합부(74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 구동부(700)의 회전력을 연결부까지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기술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에 의해 스프로킷(156)이 회전하게 되므로, 스프로킷(156)과 랙의 접촉이 안정적이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바(142)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인접한 스텝의 연결 또는 분리가 안정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되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반해, 본원 발명은 제1,2결합부(630,740)이 정확하게 결합된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연결부의 연결바(320)의 이동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10)의 측부에는 보조 연결부재(3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 연결부재(310')의 내측에는 보조 연결바(3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40)의 전부 또는 후부에는 보조 회전축(35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회전축(350)에는 회전축(340)에 구비되는 구동기어(346)에 대응되도록 종동기어(356)이 구비되어, 회전축(3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연결바(320')의 하면에도 랙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회전축(350)에는 상기 랙에 대응되도록 피니언(354)가 구비되어, 보조 연결바(320')는 연결바(320)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스텝(200)이 전후에 위치하는 스텝(200) 모두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판(730)의 후부에는 다수 개가 연결된 스텝(200) 중 최후단에 위치한 스텝(200)에 구비되는 스토퍼(330)를 작동시키기 위한 보조 구동모터(76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33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며, 스토퍼(3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연결부 및 작동부(600)의 구성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스텝을 연결하여 휠체어 등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되, 각 스텝을 연결할 때 보다 정확하게 제어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게 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200 : 스텝 300 : 발판
310 : 연결부재 320 : 연결바
340 : 회전축 342 : 제2베벨기어
344 : 피니언 400 : 프레임
410 : 하판 430 : 케스터
500 : 지지링크 600 : 작동부
610 : 전달축 620 : 제1베벨기어
630 : 제1결합부 700 : 구동부
710 : 베이스플레이트 720 : 승강실린더
730 : 승강판 740 : 구동모터
750 : 제2결합부 760 : 보조 구동모터

Claims (9)

  1. 스텝을 연결하여 탑재공간을 형성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스텝은 발판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스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및 출구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는 발판의 하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전후 이동되고 하면에 랙이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랙에 대응되는 피니언이 구비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는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달축과, 상기 전달축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베벨기에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전달축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부는 소켓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하부로 탄성지지되는 다수개의 승강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스텝을 연결하여 탑재공간을 형성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스텝은 발판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스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및 출구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는 발판의 하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전후 이동되고 하면에 랙이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랙에 대응되는 피니언이 구비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는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달축과, 상기 전달축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베벨기에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전달축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부는 전달축의 하부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사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및 출구 바닥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승강판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되,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의 상단은 다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측부에는 보조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 연결부재의 내측에는 연결바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보조 연결바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의 전부 또는 후부에는 회전축에 구비되는 구동기어와 대응되는 종동기어가 구비되는 보조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회전축에는 보조 연결바의 하면에 형성되는 랙에 대응되도록 피니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과 프레임은 지지링크로 이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KR1020160141005A 2016-10-27 2016-10-27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KR101913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005A KR101913710B1 (ko) 2016-10-27 2016-10-27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005A KR101913710B1 (ko) 2016-10-27 2016-10-27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132A KR20180046132A (ko) 2018-05-08
KR101913710B1 true KR101913710B1 (ko) 2018-11-01

Family

ID=6218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005A KR101913710B1 (ko) 2016-10-27 2016-10-27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7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622B1 (ko) * 2014-05-30 2016-08-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622B1 (ko) * 2014-05-30 2016-08-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132A (ko) 201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93115B (en) Passenger conveyor device
CN107074495B (zh) 用于沿楼梯输送负载的座椅电梯
KR101372262B1 (ko) 휠체어용 승강장치
KR102068931B1 (ko)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KR101913710B1 (ko)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KR960006519B1 (ko) 에스칼레이터 장치
JP2663826B2 (ja) エスカレータ装置
JPH07157268A (ja) エスカレータ用階段プラットフォーム
US8104600B2 (en) Escalator
KR101644622B1 (ko)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KR20100089675A (ko) 버스용 휠체어 리프트
KR101863339B1 (ko)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KR200290893Y1 (ko)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KR101644625B1 (ko)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KR101243665B1 (ko)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휠체어 램프
JP4689102B2 (ja) 階段昇降機
KR101882900B1 (ko) 엘리베이터 방향 전환장치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RU2296548C1 (ru) Механизм подачи инвалидного кресла-коляски по лестнице
KR102499849B1 (ko) 무대 리프트 겸용 가변식 계단장치
KR101646652B1 (ko) 에스컬레이터의 휠체어 스토퍼 장치
JPH1059658A (ja) 階段昇降座席装置
KR101732919B1 (ko) 에스컬레이터용 휠체어 탑재구간의 0.5 스텝장치
JP2001130458A (ja) 電動車椅子の階段昇降機構
KR890002347B1 (ko) 건축 구조물 층계용 지체부자유자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