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335B1 - 에스컬레이터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335B1
KR100320335B1 KR1019940010236A KR19940010236A KR100320335B1 KR 100320335 B1 KR100320335 B1 KR 100320335B1 KR 1019940010236 A KR1019940010236 A KR 1019940010236A KR 19940010236 A KR19940010236 A KR 19940010236A KR 100320335 B1 KR100320335 B1 KR 100320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mounting surface
wheel stop
wheelchair mount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마쯔도시유끼
오지마가즈히라
사이도우쭈우이찌
미무라가즈미
Original Assignee
히다찌 미토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미토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히다찌 미토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66B31/006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for conveying hand carts, e.g. shopping cart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탑재면을 최대한 이용할 수가 있고, 운전시에 휠체어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탑재시의 궤도이탈방지부재의 드나드는 것이 원활하게 행하여지는 에스컬레이터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차의자 운반시에 휠체어 탑재면(발판 6F, 7F, 8F)를 확보하는 특정 계단군(5)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장치에 있어서, 선단부(13A, 31, 38)이 상기 휠체어 탑재면(발판 6F, 7F, 8F)의 하층바닥측 단부로부터 하층측에 향해서 비스듬이 상방으로 돌출하고, 돌출후에 차의자(전동카트 18)의 차류(19, 19F, 19R)측에 향하도록 이동기적을 그리는 이탈방지장치(13, 30, 40)을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장치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체어나 손수레 등을 탑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휠체어를 탑재하여 운반하도록 한 에스컬레이터 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0-23285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휠체어의 탑재면을 최대한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해 배려되어 있지 않아, 탑재되는 휠체어의 기종에 한정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휠체어 탑재면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종을 한정하지 않고, 휠체어의 탑재를 가능하게 한 에스컬레이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휠체어를 안정되게 운반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휠체어 탑재시의 차륜 멈춤부재의 출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휠체어 운반시에 휠체어 탑재면을 확보하는 특정 계단군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탑재면의 하부 계단마루측 단부로부터 하부 계단마루를 향해 경사지게 상측으로 돌출하고, 선단부가 상부 계단마루측을 향하는 이동궤적을 그리는 차륜 멈춤부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하부 계단마루측 단부로부터 차륜 멈춤부를 하부 계단마루측에 향해 경사지게 상측으로 돌출시켰기 때문에, 차륜 멈춤부의 돌출부 근방에 까지 휠체어의 바퀴를 태울 수가 있어 휠체어 탑재면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가 있고, 대형의 전동 휠체어의 탑재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경사지게 상측으로 돌출된 차륜 멈춤부의 선단부를 차륜을 향해 이동방향을 바꾸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차륜의 높은 위치에 선단부를 접촉할 수가 있고, 그 결과, 휠체어는 높은 차륜 멈춤부를 타고 넘지 않으면 낙하되는 경우는 없어, 휠체어의 운반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더구나, 차륜 멈춤부를 돌출시키고 나서 차륜측으로 이동방향을 바꾸고 있기 때문에, 차륜 멈춤부의 출입시에 차륜 멈춤부가 휠체어의 차륜에 접촉하도록 하는 경우가 없어지고, 이에 따라 차륜 멈춤부의 출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 1도∼제 3도에 나타낸 전동 카트(18)을 탑재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체인(미도시)에 의해 무단상으로 연결된 복수의 계단(1)과, 이들 계단(1)의 양측에 이동방향을 따라 수직 설치된 좌우 한쌍의 난간 패널(2)과, 이들 난간 패널(2)의 주연에 각각 안내지지되고, 상기 계단(1)과 동기적으로 구동되는 핸드레일(3)과, 상부 승강부(4U) 및 하부 승강부(4D)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를 건물의 상하층에 걸쳐 장착한 점은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는, 상기 복수의 계단(1) 중에서 특정 계단군(5)를 구비하여 전동 카트(18)의 운반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계단(1) 중에서, 인접하는 3개의 계단을 특정 계단군(5)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특정 계단군(5) 중에서 최상단을 기준 계단(6)으로 하고, 그것의 하측에 위치하는 중간 계단(7), 또한 그것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단 계단(8)의 발판 7F, 8F를 기준 계단(6)의 발판(6F)까지 상승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 특정 계단군(5)에 의해 수평면을 확보하여 휠체어 탑재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특정 계단군(5)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특정 계단군(5)의 기준 계단(6)은 고정된 발판(6F)을 구비하고, 중간 계단(7), 하단 계단(8)은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발판(7F, 8F)를 구비하며,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고정부재인 본체 프레임에 고정된 계단 주행용의 가이드레일(17A, 17B)에 안내되는 전륜 및 후륜을 각각 갖고 있다. 각 발판(6F,7F, 8F)은 연결구 9 및 10A, 10B에 의해 휠체어 운반시에 연결되어 수평면을 확보한다. 또한, 상기한 발판 7F, 8F는 전륜 및 후륜을 구비한 기저 프레임 7B, 8B에 평행 링크 11, 12A, 12B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단 계단(8)의 평행 링리크(12A, 12B)는 중간 기저 프레임(8M)을 사이에 끼워 제 1 평행 링크(12A)와 제 2 평행 링크(12B)의 2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이외에, 상기 하단 계단(8)의 발판(8F)의 이면측에는 차륜 멈춤부(13)가 내장되어 있다.
이 차륜 멈춤부(13)은 원호 형상을 이루며, 원호의 중심 O1은 탑재되는 전동카트(18)의 차륜(19R)의 축 중심 02보다도 상부 계단마루측에 위치하고, 통상 운전시에는 원호 형상의 선단부(13A)로 발판(8F)에 설치된 관통구멍(8H)를 막고, 후단부(13B)는 발판(8F)의 이면측에 접근한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관통구멍(8H)은 발판(8F)의 하부 계단마루측 단부에 개구하고, 하부 계단마루측을 향해 경사지게 상측으로 경사져 있다. 한편, 휠체어 운반시에는 상기 선단부(13A)는 발판(8F)의 표면측으로 돌출하고, 통상 운전으로 되돌아올 때에는 발판(8F)의 이면측에 수납된다. 또한, 이러한 차륜 멈춤부(13)는 상기 하단 계단(8)의 발판(8F)의 길이 방향, 바꾸어 말하면 휠체어 탑재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납되고, 선단부(13A)가 관통구멍(8H)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오목부 측이 상측으로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다음에, 이 차륜 멈춤부(13)을 돌출시키는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차륜 멈춤부(13)의 발판(8F)의 표면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부분에서 원호의 볼록부로 되는 부분에 래크(rack)(14)를 형성하고, 이 래크(14)에 맞물리는 기어(15A, l5B)를 발판(8F)의 이면측의 정 위치에 설치한다. 이 기어(15A, l5B)는 정회전 및 역회전시킴으로써, 차륜 멈춤부(13)을 화살표 a 또는 b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 기어(15A, 15B)는 상기 특정 계단군(5)이 상부 승강부(4U) 또는 하부 승강부(4D)에 있을 때에 에스컬레이트 본체 프레임에 조립된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래크(14)와 기어(15A)의 맞물림을 유지하고, 차륜 멈춤부(13)의 이동방향을 규제하기 위해, 안내 로울러(16)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차륜 멈춤부(13)의 동작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전동 카트(18)에 탄 이용객(20)이 상승 운전중의 에스컬레이터에 타려고 하여 담당자(21)을 부르면, 담당자(21)는 통상 운전중의 에스컬레이터를 휠체어 운반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전환에 의해, 상기 특정 계단군(5)이 하부 승강부(4D)의 앞에, 상단 계단(6), 중간 계단(7), 하단 계단(8)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정지 또는 저속도 운전으로 되어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담당자(21)는 전동 카트(18)를 상기 특정 계단군(5) 위의 정 위치로 유도하여 전동 카트(18)의 브레이크 키를 걸게 한다.
다음에, 담당자(21)은 스타트 버튼을 눌러 에스컬레이터를 가속시킨다. 이때, 하단 계단(8)에 내장된 구동기 또는 에스컬레이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기의 동력을 받아 기어(15A, 15B)는 회전하고, 이것과 맞물리는 래크(14)와 일체화된 차륜 멈춤부(13)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발판(8F)의 표면으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차륜 멈춤부(13)의 돌출은, 상기한 특정 계단군(5)가 수평 구간을 주행중에 행해지고, 돌출 완료후에는 차륜 멈춤부(13)가 용이하게 되돌아오지 않도록 미도시된 로크기구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전동 카트(18)의 후륜(19R)은 차륜 멈춤부(13)에 의해 특정 계단군(5) 상에서의 후퇴가 방지되고, 후륜(19F)은 특정 계단군(5)의 바로 위의 이미 상승되어 있는 계단(1)의 라이저(1R)가 차륜 멈춤부로 되어 있으므로, 전방에의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운반된다.
상기한 특정 계단군(5) 중에서 상단의 기준 계단(6)이 에스컬레이터의 경사 구간에 들어가 상승하면, 이 상단 계단(6)의 상승에 의해, 연결구 9 및 10A에 의해 연결된 중간 계단(7), 하단 계단(8)의 발판 7F, 8F도 상단 계단(6)의 발판(6F)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승되어, 경사구간에서도 3개의 발판(6F, 7F, 8F)를 수평으로 하여 전동 카트(18)를 운반한다(제 1도). 또한, 연결구(9, 10A, l0B) 및 평행 링크(11, 12A, l2B)의 동작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원평 3-195224호(출원일: 평성 3년 8월 5일) 명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상기한 특정 계단군(5)이 에스컬레이터의 경사구간을 지나 상부 승강부(4U)로 접근하여 수평구 간에 들어가면, 각 계단(6, 7, 8)에 단차가 없어지므로, 중간 계단(7), 하단 계단(8)의 발판 7F, 8F는 평행 링크(11, 12A, l2B)가 접어져 각각의 기저 프레임(7B, 8B)에 수납된다. 그리고, 특정 계단군(5)이 상부 승강부(4U)에 대향하여 정지 또는 저속도가 되면, 담당자(21)는 브레이크를 해제하여 전동 카트(18)를 상부 승강부(4U)의 승강 바닥으로 유도한다. 전동 카트(18)가 내리고 에스컬레이터를 통상 운전으로 되돌리는 복귀버튼을 누르면, 에스컬레이터는 재기동하고, 동시에 하단 계단(8)에 내장된 구동기 또는 에스컬레이터 본체 프레임에설치된 구동기의 동력을 받아 기어(15A, 15B)는 역회전하고, 이것과 맞물리는 래크(14)와 일체화된 차륜 멈춤부(13)를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켜 발판(8F)의 이면측으로 끌어들인다. 이와 동시에, 각 계단(6, 7, 8)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상의 설명은 건물의 하부 계단마루로부터 상부 계단마루로 전동 카트(18)을 운반할 때의 설명이지만, 상부 계단마루로부터 하부 계단마루로 운반할 경우에는, 전술한 것과 역의 동작을 행하면 된다.
그런데, 상기한 실시예는 차륜 멈춤부(13)가 상향의 오목부가 되도록 만곡된 원호 형상을 이루고, 하단 계단(8)의 발판(8F)의 라이서(8R) 측에 접근한 위치로부터 하부 계단마루측 방향으로 경사 방향을 향해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륜 멈춤부(13)의 관통구멍(8H) 근방에 전동 카트(18)의 차륜 19F 또는 19R이 태워져도 차륜 멈춤부(13)의 돌출 및 후퇴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어, 진행방향의 휠체어 탑재 치수를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차륜 멈춤부(13)가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발판(8F)에 대해서 상당히 완만한 경사로 돌출 및 후퇴시켜도, 차륜 멈춤부(13)의 선단부(13A)는 원호를 따라 돌출하므로, 경사방향보다는 높은 위치에서 차륜 멈춤을 행하여, 차륜 멈춤부로서 안전성이 높은 것이 된다.
이 이외에, 발판(8F)은 승강가능하게 구성되고, 더구나 높은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복잡한 각종 구동기구 또는 동력전달기구 등이 배치되어 있으므초, 차륜 멈춤부(13)의 수납 및 구동기구를 위해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차륜 멈춤부(13)를 원호로 하고, 수납시에 차륜 멈춤부(13)의 후단부(13B)가 발판(8F)의 이면에 접근한 위치에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그것들을 거의 발판(8F)의 이면에 접근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여타 기기의 배치의 장해가 되는 일은 없다.
그런데, 차륜 멈춤부(13)을 직선 형태로 하여 발판(8F)로부터 완만한 경사로 돌출 및 후퇴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직선 형태의 차륜 멈춤부를 단순히 완만한 경사로 돌출시킨 경우, 원호 형상의 차륜 멈춤부(13)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돌출 치수를 길게 하지 않으면 않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길이가 긴 차륜 멈춤부는 한 개의 계단 내부에 수납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실제 사용은 곤란하다. 따라서, 차륜 멈춤부(13)의 경사를 늘려 높은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면, 수납시의 차륜 멈춤부(13)의 위치가 계단(8)의 중심부까지 이르게 되어, 다른 기기와의 관계로 설치 불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돌출 치수를 짧게하면, 계단 내부에의 수납은 가능하게 되지만, 차륜 멈춤부의 위치가 낮아져, 차륜이 타고 넘어 갈 위험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차륜 멈춤부(13)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경사지게 돌출 및 후퇴시키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차륜 멈춤부(13)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것은, 차륜 멈춤부(13)의 선단부(13A)가 그것의 이동방향을 서서히 차륜측으로 바꿔지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이동궤적으로 돌출 및 후퇴함으로써, 차륜을 포함하게 되기 때문에, 돌출 및 후퇴시에 차륜 멈춤부(13)가 차륜에 접촉하여 마찰되는 일도 없어, 차륜 멈춤부(13)의 돌출 및 후퇴 동작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륜 멈춤부(13)이 4륜의 휠체어나 손수레 등의 휠체어를 정지시키는 구성인 경우에는, 좌우의 차륜에 대응하도록 발판(8F)의 폭방향 좌우에 한쌍의 차륜 멈춤부(13)을 설치해도 좋지만, 3륜의 전동 카트를 포함시켜 멈출 수 있도록, 제 4도∼제 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발판(8F)의 폭 치수 W에 대해 차륜 멈춤부(13)의 폭 치수 W1을 좌우의 차륜 간격 W2보다도 약간 넓은 치수로 해 둘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폭 치수 W1인 차륜 멈춤부(13)로 함으로써, 3륜의 전동 카트로 상부 계단마루로부터 하부 계단마루로 이동하였을 때에 전륜 1륜이 차륜 멈춤부(13)의 폭 방향의 중앙에 눌려서 차륜이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은 폭 치수 W1의 차륜 멈춤부(13)는 빗 형태로 형성되고, 빗살이 되는 부분(13T)이 발판(8F)의 클리트(cleat)(8K) 사이의 저부에 각각 형성한 관통구멍(8H)으로부터 돌출 및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빗의 기저부(13M)로 되는 부분에 래크(14)나 안내 로울러(16)의 동력전달면(13G)이 형성된다.
제 7도는, 원호 형상의 차륜 멈춤부(13)의 2개소에 완충구(22)를 설치한 것으로, 1개소는 차륜 멈춤부(13)가 완전히 수납되고, 선단부(13A)가 관통구멍(8H)을 막는 것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또 1개소는 차륜 멈춤부(13)의 선단부(13A)가 최대 발판(8F)으로부터 돌출한 위치를 결정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륜 멈춤부(13)의 후단부(13B)에 1개와, 선단부(13A)가 최대 발판(8F)으로부터 돌출하였을 때에 발판(8F)에 접근하고 있는 부분에 또 1개를 부착하고, 이들과 대향하는 발판 이면에 스톱퍼(25)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구(22)는 돌출부(23)와 이것을 누르는 코일 스프링(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완충구(22)를 설치함으로써, 차륜 멈춤부(13)가 이동하여 스톱퍼(25)에 충돌하여 정지될 때에 생기는 충돌음 및 충돌력을 흡음 및 완충할 수 있다.
제 8도는 원호 형상의 차륜 멈춤부(13)에, 별도 구성의 피안내기구 및 피구동기구를 부속시킨 것으로, 발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원호 형상의 차륜 멈춤부(13)에 평행하게 안내부재(26)을 설치하고, 안내 로울러(16, 27)로 원호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또한, 안내부재(26)에는 래크부재(28)가 부착되고, 별도 장치의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29)와 맞물려 있다. 이러한 구성은 차륜 멈춤부(13)가 제 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폭 방향으로 긴 것에 효과적이며, 또한 차륜 멈춤부(13)가 빗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1개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일체로 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한 각 실시예는 차륜 멈춤부(13)가 하나의 중심으로 이루어진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지만, 원호 형상이 아니라도 돌출시 차륜 멈춤부의 선단부가 차륜을 마찰하지 않고 이동하여, 최종 위치에서 차륜을 멈추게 하면 되며, 예를 들면 인볼루트(involute) 곡선상의 차륜 멈춤부나, 그와 같은 이동 궤적을 그리는 차륜 멈춤부이어도 좋다. 제 9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직선 형태의 차륜 멈춤부(30)로서, 그것의 선단부(31)는 발판(8F)에 설치한 관통구멍(8H)를 막는 형상을 하고 있고, 후단부(32)에 안내 로울러(33)를 축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선단부(31)로부터 후단부(32)까지의 길이는 돌출 치수보다 약간 길이가 긴 치수이면 좋다. 후단부(32)의 안내 로울러(33)는, 발판 이면측에 설치되고, 라이저(8R)를 향해 연장된 안내레일(34)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되고 있다.또한, 상기한 관통구멍(8H)의 근방에는 선단부(31)의 이면측에 접하는 방향변환 로울러(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차륜 멈춤부(30)을 돌출시키는 경우, 안내 로울러(33)를 내장된 구동기 또는 외부동력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서 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안내 로울러(33)을 눌러 감으로써, 차륜 멈춤부(30)는 로울러(35)에 의해 이동방향을 변환하여, 선단부(31)의 이동궤적은 ①점, ②점, ③점과 곡선 형태의 궤적을 그려 이동하고, 최종적으로는 후륜(19)에 접촉한다. 이때, 차륜 멈춤부(30)가 돌출하기 시작할 때의 발판(8F)에 대한 경사각θ 1보다도 돌출 완료시의 발판(8F)에 대한 경사각θ 2가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차륜 멈춤부(30)의 돌출 및 후퇴시에 차륜(19)을 마찰시키지 않고 높은 위치에서 멈출 수 있으므로, 그것에 의해 효과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차륜 멈춤부(30)의 돌출과 동시에 방향변환 로울러(35)에 의한 이동방향의 변환이 행해지는 것이지만, 이동방향의 변환은 수시로 행하지 않아도 좋다. 제 10도는, 제 9도에 나타낸 구성과 거의 같지만, 차륜 멈춤부의 후단부의 안내 로울러(33)를 안내하는 안내 레일(36)의 형상이 다르다. 측, 안내 레일(36)에 차륜 멈춤부(30)을 일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제 1 안내구간 L1과, 차륜 멈춤부(30)의 방향을 차륜(19)측으로 전환시키는 제 2 안내구간 L2의 2개의 안내구간을 설치한 것이다. 제 1 안내구간 L1에서는 차륜 멈춤부(30)의 선단부(31)는 ①점에서 ②으로 직선상을 이동하고, ②점으로부터 ③점으로는 이동방향을 바꾸어 곡선상의 궤적을 그려 이동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차륜 멈춤부(30)의 돌출 및 후퇴시에 차륜(19)를 마찰시키지 않고 높은 위치에 멈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1도는 차륜 멈춤부(37)를 라이저(8R)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납시킨 것으로, 기본구성은 제 9도, 제 10도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다. 즉, 상하방향으로 수납된 차륜 멈춤부(37)의 후단부(39)에 설치된 안내 로울러(33)을 く자 형태로 굴곡한 안내 레일(40)로 안내시켜 밀어올리면 된다. 이러한 밀어올림에 의해, 발판(8F)의 관통구멍(8H)를 막고 있던 선단부(38)는 2점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는 차륜(19)에 맞닿는다. 이와 같은 차륜 멈춤부(37)의 이동궤적을 얻기 위해, 관통구멍(8H)의 내측에 한쌍의 로울러(35, 35B)를 설치하여 안내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차륜 멈춤부(37)의 선단부(38)는 곡선 형태의 궤적을 그려 이동하여, 차륜(19)를 마찰시키지 않고 높은 위치에 맘추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각 실시에는 휠체어로서 전동 카트를 일례로서 설명하였지만, 손수레의 휠체어, 전동 휠체어, 손수레 등의 운반에도 이용할 수 있는것은 물론이며,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동작도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휠체어 탑재면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어 휠체어를 안정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차륜 멈춤부재의 배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전동 카트 운반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측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차륜 멈춤부의 일례를 나타낸 요부 확대 측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차륜 멈춤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 5도는 제 4도의 P 부분의 일부 종단 확대 정면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차륜 멈춤부와 전동 카트와의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차륜 멈춤부의 부속품을 설명하기 위한 제 2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차륜 멈춤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측면도.
제 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차륜 멈춤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측면도.
제 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차륜 멈춤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측면도.
제 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차륜 멈춤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특정 계단군 6 : 기준(상단) 계단
7 : 중단 계단 8 : 하단 계단
6F, 7F, 8F : 발판 13, 30 : 차륜 멈춤부
18 : 전동 카트 34, 36 : 안내레일

Claims (10)

  1. 휠체어 운반시에, 휠체어 탑재면을 형성하는 특정 계단군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탑재면의 하부 계단마루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며 하부 계단마루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이동으로 이동하는 돌출 및 후퇴가능한 차륜 멈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륜 멈춤부의 선단부는 상기 돌출 이동중에 적어도 일부 길이에 걸쳐 상부 계단마루측을 향해 만곡된 궤적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 멈춤부는, 돌출 및 후퇴될 때 상기 휠체어 탑재면의 이면측에 놓이고, 상기 휠체어 탑재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 멈춤부는, 돌출 및 후퇴될 때 상기 휠체어 탑재면의 하부 계단마루측 단부에 있는 라이저를 따라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장치.
  4. 휠체어 운반시에, 휠체어 탑재면을 형성하는 특정 계단군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돌출 및 후퇴가능한 차륜 멈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륜 멈춤부의 선단부는, 상기 휠체어 탑재면의 하부 계단마루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며 하부 계단마루측을 향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차륜 멈춤부의 돌출이 증가함에 따라 상부 계단마루측을 향해 이동방향을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장치.
  5. 휠체어 운반시에, 휠체어 탑재면을 형성하는 특정 계단군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돌출 및 후퇴가능한 차륜 멈춤부를 돌출 및 후퇴 위치에서 상기 휠체어 탑재면 아래에 수납하고, 휠체어 운반시에 상기 차륜 멈춤부의 선단부를 상기 휠체어 탑재면의 하부 계단마루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며 하부 계단마루측을 향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돌출 및 후퇴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는 돌출된 차륜 멈춤부의 선단부를 상부 계단마루측을 향해 변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장치.
  6. 휠체어 운반시에, 휠체어 탑재면을 형성하는 특정 계단군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휠체어 운반시에 상기 휠체어 탑재면의 하부 계단마루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하부 계단마루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 및 후퇴 가능한 차륜 멈춤부를 구비하고, 차륜 멈춤부의 최고 돌출위치에서의 상기 휠체어 탑재면에 대한 경사각은 돌출 및 후퇴 위치에서의 휠체어 탑재면에 대한 경사각보다도 크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장치.
  7. 휠체어 운반시에, 휠체어 탑재면을 형성하는 특정 계단군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휠체어 운반시에 상기 휠체어 탑재면의 하부 계단마루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하부 계단마루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 및 후퇴 가능한 차륜 멈춤부와, 차륜 멈춤부의 휠체어 탑재면에 대한 경사각을 차륜 멈춤부의 돌출 길이가 커짐에 따라 서서히 크게 하는 안내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장치.
  8. 휠체어 운반시에 3개의 계단을 동일한 높이로 수평으로 지지하여 휠체어 탑재면을 형성하는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오목부가 상측으로 만곡하며, 상기 3개의 계단 중에서 최하단의 계단의 하부 계단마루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하부 계단마루측을 향해 돌출 및 후퇴가능한 차륜 멈춤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 멈춤부의 폭 방향으로의 중심은, 상기 휠체어 탑재면의 폭 치수 중심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 멈춤부는, 돌출 및 후퇴 위치에서 상기 휠체어 탑재면의 아래에 놓이며, 상기 휠체어 탑재면의 이면측 근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장치.
KR1019940010236A 1993-05-13 1994-05-10 에스컬레이터장치 KR100320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11381 1993-05-13
JP05111381A JP3102534B2 (ja) 1993-05-13 1993-05-13 エスカレーター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0335B1 true KR100320335B1 (ko) 2002-11-23

Family

ID=14559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236A KR100320335B1 (ko) 1993-05-13 1994-05-10 에스컬레이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102534B2 (ko)
KR (1) KR100320335B1 (ko)
GB (1) GB2282585B (ko)
HK (1) HK1000317A1 (ko)
TW (1) TW22919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049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KR20150139048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KR101646652B1 (ko) 2015-05-06 2016-08-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에스컬레이터의 휠체어 스토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63461B (en) * 1992-01-23 1995-01-18 Toshiba Kk Escalator apparatus
JP2768223B2 (ja) * 1993-01-13 1998-06-2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装置
JP2663826B2 (ja) * 1993-02-09 1997-10-1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049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KR20150139048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KR101646652B1 (ko) 2015-05-06 2016-08-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에스컬레이터의 휠체어 스토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82585B (en) 1997-03-26
GB9409421D0 (en) 1994-06-29
JP3102534B2 (ja) 2000-10-23
GB2282585A (en) 1995-04-12
HK1000317A1 (en) 1998-02-27
JPH06321476A (ja) 1994-11-22
TW229194B (en) 199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335B1 (ko) 에스컬레이터장치
JPS641396B2 (ko)
KR960002255B1 (ko) 에스컬레이터 장치
JPH07315742A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
JP3972143B2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
KR19980041811A (ko) 휠체어 발판부 에스컬레이터
JP2561781B2 (ja) 車いす兼用エスカレーター
JPH0213593A (ja) 車椅子乗用踏段付エスカレータ
JP2014221677A (ja) エスカレータ
JP2630748B2 (ja) 搬送装置付き立体駐車場
JP4936789B2 (ja) 段差解消リフト装置
KR20020006537A (ko) 휠체어 대응 에스컬레이터장치
JP2001065185A (ja) 機械式駐車装置
JP2002264852A (ja) クローラ式走行台車
JPH0725508B2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
JPH019828Y2 (ko)
JP2552737Y2 (ja) 立体駐車設備
JP3357806B2 (ja) エスカレータ装置
JPH033889A (ja) 乗客コンベア
JPH0213594A (ja) エスカレータ装置
JP3073164B2 (ja) 駐車装置
JP2560942B2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
JP3593465B2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
KR20000053292A (ko) 에스컬레이터 장치
KR930019541A (ko) 에스컬레이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