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764Y1 -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764Y1
KR200296764Y1 KR2020020026237U KR20020026237U KR200296764Y1 KR 200296764 Y1 KR200296764 Y1 KR 200296764Y1 KR 2020020026237 U KR2020020026237 U KR 2020020026237U KR 20020026237 U KR20020026237 U KR 20020026237U KR 200296764 Y1 KR200296764 Y1 KR 200296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afety guard
locking
wheelchair lift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모
Original Assignee
(주)신우 프론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 프론티어 filed Critical (주)신우 프론티어
Priority to KR2020020026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7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764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탑승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를 수동으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 후 안전보호대를 회동시켜야만 휠체어 리프트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200)는, 양단부가 몸체(110)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시 탑승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210); 일단은 안전보호대(210)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몸체(1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안전보호대(210)의 회동시 안전보호대(210)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 및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안전보호대(210)의 회동시 안전보호대(210)의 일단부를 로킹하는 로킹수단(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SAFETY DEVICE FOR WHEELCHAIR LIFT}
본 고안은 플랫폼에 탑승한 장애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승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를 수동으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 후 안전보호대를 회동시켜야만 휠체어 리프트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지하철 역내의 경우 엘리베이터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곳이 많기 때문에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오르내리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는 보행 가능한 사용자들만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보행이 어려운 장애인의 경우 특히, 휠체어를 탄 장애인의 경우에는, 다른 사람들의 도움 없이 오르내리기가 어려웠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계단의 일측에 상하로 이격되게 평행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와, 몸체에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구성된 휠체어 리프트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됨으로써,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휠체어 리프트에는 별도의 안전보호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승강중 정전 등으로 몸체가 갑자기 정지하는 경우 그 충격으로 인해 탑승자가 플랫폼으로부터 이탈되어 바닥으로 추락함에 따라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으며,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휠체어 리프트의 손잡이를 붙잡고 있던 손을 놓을 경우에도 정전시와 마찬가지로 탑승자가 플랫폼으로부터 이탈되어 바닥으로 추락할 염려가 있었다.
종래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휠체어 리프트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사용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장치가 구비된 휠체어 리프트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휠체어 리프트의 안전보호장치는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동중 사용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와, 몸체 내에 설치되어 안전보호대를 회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랫폼에 탑승한 후 몸체의 조작버튼을 누르면 모터가 구동하게 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안전보호대가 수평으로 회동됨으로써 사용자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의 경우에도 여전히 안전상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즉, 안전보호대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정전시 또는 모터의 고장시에는 안전보호대를 회동시킬 수 없었으며, 또한 탑승자가 부주의로 플랫폼에 탑승한 상태에서 안전보호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승하거나 하강할 경우 휠체어가 플랫폼으로부터 이탈되어 바닥으로 추락함에 따라 큰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탑승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를 수동으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플랫폼에 탑승한 후 안전보호대를 회동시키지 않으면 운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행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가 장착된 휠체어 리프트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가 장착된 휠체어리프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랫폼이 몸체에 접철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랫폼에 사용자가 탑승하기 전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랫폼의 우측 경사판이 전개될 때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랫폼에 사용자가 탑승한 후 주행할 때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랫폼의 좌측 경사판이 전개될 때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도 5내지 도 9에 도시된 로킹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6의 Ⅵ-Ⅵ 선단면도.
도 12는 도 8의 Ⅷ-Ⅷ 선단면도.
<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휠체어 리프트 110 : 몸체
120 : 의자 130 : 손잡이
140 : 플랫폼 141, 141′: 경사판
150 : 모터 200 : 안전보호장치
210 : 안전보호대 220 : 가스스프링
230 : 로킹수단 240 : 안전보호대 하우징
250 : 안전스위치 260 : 보호부재
본 고안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는, 계단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몸체에 장착되어, 몸체에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며 입출구측 경사판이 몸체 내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자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장착된 플랫폼으로부터 탑승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에 있어서, 양단부가 몸체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시 탑승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 일단은 안전보호대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안전보호대의 회동시 안전보호대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 및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안전보호대의 회동시 안전보호대의 일단부를 로킹하는 로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에 따르면, 로킹수단은 일단부는 몸체의 일측 내면에 장착되고 그 타단부 내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로킹본체; 로킹본체에 관통 설치되고,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 일단부의 직경이 타단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로킹부재; 로킹본체의 걸림턱과 로킹부재의 단차면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 및 일단은 로킹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이동자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는, 안전보호대의 타단부에 내설되어 안전보호대의 회동시에만 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수단에 전원을 인가하는 안전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100)는 계단의 일측에 상하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계단 상측의 컨솔(20)에 내설된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으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주행함으로써, 휠체어를 탄 장애인을 승강시킬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100)는, 컨솔(20)에 내설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주행하는 몸체(110); 몸체(110)에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탑승하는 것으로, 양측에 탑승자의 승하차를 안내하는 경사판(141)(141′)이 각각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랫폼(140); 및 몸체(1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주행중 탑승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10)의 전면부에는 휠체어를 타지 않지만 보행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한 의자(120)가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상부로는 주행중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손잡이(130)가 부착된다. 또한, 몸체(110)의 전면에는 몸체(110) 내 기기들을 외부와 차단하는 커버(11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 내에는 플랫폼(140)의 양측에 설치되는 경사판(141)(141′)의 접철을 조정하는 경사판 접철용 모터(150)가 수평패널(112)의 상부에 설치되며, 이 경사판 접철용 모터(150)에는 스크류(151)가 축 결합된다.
스크류(151)에는 경사판 접철용 모터(150)의 구동에 의해 좌우 이동하는 이동자(152)가 나사 결합되는데, 이동자(152)는 그 하부가 수평패널(112)을 관통하므로 스크류(151)의 회전시 수평패널(112)에 의해 회동이 방지됨에 따라 좌우로만 이동하게 된다.
수평패널(112)의 하부로는, 상하로 장공이 형성된 그 상부가 장공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이동자(152)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부는 몸체(110)의 하부 중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동편(153)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1회동편(153)에는 제2회동편(154)이 수직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제1회동편(153)과 제2회동편(154)은 이동자(152)의 좌우 이동시 제1회동편(153)의 하부를 중심으로 좌우 회동된다.
제1회동편(153)의 좌우측에는 제1회동편(153)의 회동시 제2회동편(154)의 양단부에 의해 일단부가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링크(155)가 각각 마련된다. 각 링크(155)의 타단부는 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일단부에는 중심에서 양쪽으로 가면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회동편(154)의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2회동편(154)의 양단부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공(155a)이 각각 형성되며, 각 링크(155)의 하단부에는 플랫폼(140)의 양측 경사판(141)(141′)과 연결된 연결로드(156)의 상부가 각각 결합된다. 한편, 제1회동편(153)의 좌우측에는 각 링크(155)를 몸체(110)에 탄설 고정하여 각 링크(155)의 회동시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인장스프링(157)이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플랫폼(140)에 탑승하기 전에는 경사판 접철용 모터(150)가 정지된 상태이며 이동자(152) 및 제1회동편(153) 역시 몸체(110)의 중심에 정지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각 경사판(141)(141′)은 초기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사용자가 계단의 상측에서 플랫폼(140)에 탑승하기 위해 조작패널(30)을 조작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 접철용 모터(150)의 구동에 의해 이동자(152)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며, 그에 따라 제1회동편(153) 및 제2회동편(154)은 제1회동편(153)의 하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과정에서 제2회동편(154)의 우측단부가 우측 링크(155)의 일단부를 하방으로 눌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우측 링크(155)와 우측 경사판(141)을 연결하는 연결로드(156)가 하강하면서 우측 경사판(141)을 전개시킴에 따라 휠체어를 탄 사용자의 탑승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플랫폼(140)에 탑승한 후 조작패널(30)을 조작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 접철용 모터(150)가 탑승시와는 반대로 구동하여 이동자(152)와 제1회동편(153)이 몸체(110)의 중심에 위치되면서 제2회동편(154)의 우측단부가 우측 링크(155)의 타단부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므로 우측 경사판(141)은 접철된다.
사용자가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주행하여 계단의 하부로 이동한 다음 계단의 하부에 설치된 조작패널(30)을 조작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 접철용 구동모터(150)가 탑승시와는 반대로 구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좌측 경사판(141′)이 전개되므로 휠체어를 탄 탑승자의 하차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회동편(153)의 좌,우측 상,하부에는 제1회동편(153)의 좌우 회동과 각 연결로드(156)의 상하 이동을 검출하여 각 경사판(141)(141′)이 플랫폼(140)에 대해 소정각도로 접철된 상태 또는 바닥에 전개될 때 경사판(141)(141′) 접철용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158)가 각각 설치된다.
도 1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보호장치(200)는 몸체(11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행중 탑승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양단부가 몸체(110)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시 수평되게 회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210)와, 일단은 안전보호대(210)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안전보호대(210)의 회동시 안전보호대(210)를 초기상태로 복원시키려는 가스스프링(220), 그리고 안전보호대(210)가 회동하여 수평상태가 될 때 안전보호대(210)를 로킹시키는 로킹수단(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전보호대(210)의 양단부는 몸체(110)의 양측면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안전보호대 하우징(240) 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각 안전보호대 하우징(240)에는 안전보호대(210)의 양단부가 안전보호대 하우징(240) 내로 삽입된 후 그 이탈이 방지되도록 안전보호대(210)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1이탈방지로드(211)가 관통되는 통공(240a)이 각각 형성된다. 이 때, 통공(240a)은 안전보호대(210)의 회동시 제1이탈방지로드(211)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동시에 갖으며, 안전보호대(210)가 예각의 범위에서만 회동할 수 있도록 안전보호대 하우징(240)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스스프링(220)의 일단은 몸체(110)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수평바(114)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타단은 안전보호대(210)의 일단부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캠(212)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는 초기상태에서의 안전보호대(210)는가스스프링(220)에 의해 초기 수직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안전보호대(210)는 주행중 계속해서 가압하지 않으면 가스스프링(220)에 의해 초기 수직 상태로 복원되어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로킹수단(230)에 의해 로킹되어 수평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해야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수단(230)은, 일단부가 몸체(110)의 일측 내면에 장착되고 타단부 내측에 걸림턱(231a)이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제2가이드공(231b)이 길게 형성된 로킹본체(231); 로킹본체(231)에 관통 설치되고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 일단부의 직경이 몸체(110) 내에 위치되는 타단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로킹부재(232); 로킹본체(231)의 걸림턱(231a)과 로킹부재(232)의 단차면(232a)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233); 일단은 로킹부재(232)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이동자(152)에 결합되어 이동자(152)의 좌우 이동시 로킹부재(232)를 당겨주는 와이어(234); 그리고 이동자(152)의 상측으로 몸체(110)의 중심에 설치되어 이동자(152)의 좌우 이동시 와이어(234)를 동일하게 당겨주도록 와이어(234)가 감기는 로울러(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탑승하기 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자(152)가 몸체(110)의 중심에 위치되므로 와이어(234)가 느슨한 상태가 되어 압축스프링(233)의 탄성력에 의해 로킹부재(232)의 일단부가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만일, 사용자가 계단의 상측에서 탑승을 위해 우측 경사판(141)을 전개시키고자 조작패널(30)을 조작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자(152)가 몸체(110)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이어(234)가 팽팽하게 당겨지므로 로킹부재(232)는 몸체(110) 내로 후퇴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플랫폼(140)에 탑승한 후 안전을 위해 안전보호대(210)를 수평상태로 회동시키고 우측 경사판(141)을 접철시키고자 조작패널(30)을 조작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자(152)가 몸체(110)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이어(234)가 느슨해짐에 따라 로킹부재(232)의 일단부가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안전보호대(210)의 제1이탈방지로드(211)를 로킹하게 된다. 따라서, 안전보호대(210)는 수평상태로 유지된다.
몸체(110)의 주행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플랫폼(140)으로부터 하차를 위해 조작패널(30)을 조작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자(152)가 몸체(110)의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234)를 팽팽하게 당겨줌에 따라 로킹부재(232)는 몸체(110) 내로 후퇴되고 안전보호대(210)는 가스스프링(162)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수직상태로 복원된다.
한편, 로킹부재(232)에는 로킹부재(232)를 로킹본체(231)에 관통시킨 후 제2가이드공(231b)을 통해 제2이탈방지로드(232b)가 장착됨에 따라 로킹부재(232)의 이탈이 방지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보호대(210)의 타단부에는 사용자가 플랫폼(140)에 탑승한 후 이탈방지를 위해 안전보호대(210)를 수평으로 회동할 경우 컨솔(20)의 구동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안전스위치(250)가 보호부재(260)에의해 내설된다. 여기서, 도 11은 안전보호대가 초기상태에 위치할 때의 안전스위치의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안전보호대가 수평으로 회동된 때의 안전스위치의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안전스위치(250)는, 내부에 수은(Hg)이 저장된 스위치하우징(251)과, 스위치하우징(251)의 일측 내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단자(252)로 구성된다.
따라서, 안전보호대(210)의 초기상태에서는 도 11에서와 같이 한 쌍의 단자(252)가 내설된 스위치하우징(251)의 일측이 위쪽에 위치되고 스위치하우징(251) 내에 내장된 수은(Hg)은 자연스럽게 타측으로 흐르게 되므로, 각 단자(252)가 접속되지 않음에 따라 컨솔(20)의 구동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구동모터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플랫폼(140)에 탑승한 후 안전을 위해 안전보호대(210)를 수평되게 회동시키면 도 12에서와 같이 스위치하우징(251)의 일측이 좌측 하방에 위치되어 내장된 수은(Hg)이 자연스럽게 좌측으로 이동하여 각 단자(252)를 접속시키므로, 컨솔(20)의 구동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몸체(110)가 주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계단의 상측에 위치된 사용자가 휠체어 리프트(100)의 사용을 위해 조작패널(30)을 조작하면, 다른 위치에 있던 휠체어 리프트(100)는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다.
휠체어 리프트(100)가 계단의 상측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탑승을 위해 조작패널(30)을 조작하면, 몸체(110) 내의 경사판 접철용 모터(150)가 구동함에 따라 이동자(15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회동편(153)과 제2회동편(154)이 제1회동편(153)의 하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2회동편(154)의 우측단부가 우측 링크(155)의 일단부를 눌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며, 동시에 우측 로드가 하강하여 우측 경사판(141)을 전개시킨다.
전개된 우측 경사판(141)을 통해 플랫폼(140)에 탑승한 후, 안전을 위해 안전보호대(210)를 수동을 회동시켜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고 조작패널(30)을 조작하면, 경사판 접철용 모터(150)가 반대로 구동하게 되고, 이동자(152), 제1회동편(153), 및 제2회동편(154)은 원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우측 경사판(141)은 접철되며, 로킹부재(232)는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안전보호대(210)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1이탈방지로드(211)를 로킹하여 안전보호대(210)의 수평상태를 계속해서 유지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플랫폼(140)에 탑승한 후 하강을 위해 몸체(110)의 조작버튼(113)을 누르게 되면 몸체(110)는 가이드레일(10)을 따라 하강한다.
하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하차를 위해 조작패널(30)을 조작하게 되면, 경사판 접철용 모터(150)의 구동으로 이동자(152)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회동편(153) 및 제2회동편(154)은 제1회동편(153)의 하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과정에서 제2회동편(154)의 좌측단부가 좌측링크(155)의 일단부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좌측 로드가 하강하여 좌측 경사판(141′)을 전개시킨다. 이 때, 이동자(152)의 좌측 이동과 동시에 와이어(234)가 팽팽하게 긴장되면서로킹부재(232)를 몸체(110) 내로 후퇴시킴에 따라 안전보호대(210)는 가스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된다.
만일,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주행하는 도중 정전 등의 비상사태로 인해 컨솔(20)의 구동모터가 정지하게 되면, 수동으로 로킹부재(232)를 몸체(110) 내로 후퇴시켜 안전보호대(210)를 초기상태로 회동시킨 후 하차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140)에 탑승시 안전을 위해 안전보호대(210)를 회동시켜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면 안전스위치(250)에 내장된 수은이 한 쌍의 단자(252)를 접속시킴에 따라 전원이 소통되어 컨솔(20)의 구동모터가 구동하게 된다. 그런데, 탑승자의 실수로 안전보호대(210)를 초기상태로 두면 안전스위치(250)의 각 단자(252)가 서로 접속되지 않아 컨솔(20)의 구동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에 따르면, 탑승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를 수동으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을 위해 안전보호대를 수평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정전 등으로 인한 비상사태로 인해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안전보호대를 원위치시킨 후 플랫폼으로부터 하차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안전보호대를 동력적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비용이 절감되고 그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전보호대의 타단부내에 안전스위치를 내장하여 안전보호대를 회동하여 수평되게 유지시켜야만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주행중 탑승자의 이탈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6)

  1. 계단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에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며 입출구측 경사판이 상기 몸체 내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자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장착된 플랫폼으로부터 탑승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에 있어서,
    양단부가 상기 몸체의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시 탑승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보호대;
    일단은 상기 안전보호대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전보호대의 회동시 상기 안전보호대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보호대의 회동시 상기 안전보호대의 일단부를 로킹하는 로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가스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일단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 내면에 장착되고 그 타단부 내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로킹본체;
    상기 로킹본체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 일단부의 직경이 타단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로킹부재;
    상기 로킹본체의 상기 걸림턱과 상기 로킹부재의 단차면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 및
    일단은 상기 로킹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자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보호대의 타단부에 내설되어 상기 안전보호대의 회동시에만 상기 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수단에 전원을 인가하는 안전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치는,
    내부에 수은이 내장된 스위치하우징;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안전보호대의 회동시 상기 수은의 접촉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한 쌍의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치를 감싸고 상기 안전보호대의 타단부에 내장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KR2020020026237U 2002-09-02 2002-09-02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KR200296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237U KR200296764Y1 (ko) 2002-09-02 2002-09-02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237U KR200296764Y1 (ko) 2002-09-02 2002-09-02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764Y1 true KR200296764Y1 (ko) 2002-12-02

Family

ID=7312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237U KR200296764Y1 (ko) 2002-09-02 2002-09-02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76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223B1 (ko) * 1998-06-16 2005-12-26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장애자 및 노약자용 휠체어 승강기
US8590798B2 (en) 2007-07-26 2013-11-26 Iti Scotland Limited Secure authentication feature
KR200472193Y1 (ko) 2013-03-13 2014-04-17 (주)신우 프론티어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
KR20220117083A (ko) 2021-02-16 2022-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장애인용 휠체어 안전 리프팅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223B1 (ko) * 1998-06-16 2005-12-26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장애자 및 노약자용 휠체어 승강기
US8590798B2 (en) 2007-07-26 2013-11-26 Iti Scotland Limited Secure authentication feature
KR200472193Y1 (ko) 2013-03-13 2014-04-17 (주)신우 프론티어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
KR20220117083A (ko) 2021-02-16 2022-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장애인용 휠체어 안전 리프팅 장치
KR102557013B1 (ko) 2021-02-16 2023-07-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장애인용 휠체어 안전 리프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02922B2 (en) Safety belt system for wheelchair lifts
JP4792953B2 (ja) 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救出方法
KR102235701B1 (ko) 탑승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JP2768223B2 (ja) エスカレータ装置
KR200296764Y1 (ko)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KR101262991B1 (ko) 사다리차용 승강기
JP2000043718A (ja) 鉄道車両
KR200378545Y1 (ko) 비상시 수동조작이 가능한 전동식 안전보호대를 갖는휠체어 리프트
KR200472193Y1 (ko)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
KR200249530Y1 (ko) 압축 공기식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판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JP3027889U (ja) 階段昇降座席装置
KR102557013B1 (ko) 장애인용 휠체어 안전 리프팅 장치
KR200292093Y1 (ko) 전동차용 장애자 승하차 발판 및 안전발판대
KR20160073468A (ko)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
KR200359713Y1 (ko)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JP4835211B2 (ja) 乗客コンベア
KR20020088319A (ko) 전동차량 안전발판
KR20050110890A (ko)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CN216676156U (zh) 一种老年人专用安全稳定楼梯升降机
KR200230964Y1 (ko) 리프트시스템의리프트카탑승베이스구동장치
KR200266158Y1 (ko) 이동형 휠체어 리프트
JPH0653576U (ja) エスカレータの安全装置
JPS60153386A (ja) マンコンベア
CN113525436A (zh) 用于轨道车辆的疏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