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286B1 -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286B1
KR102132286B1 KR1020190156229A KR20190156229A KR102132286B1 KR 102132286 B1 KR102132286 B1 KR 102132286B1 KR 1020190156229 A KR1020190156229 A KR 1020190156229A KR 20190156229 A KR20190156229 A KR 20190156229A KR 102132286 B1 KR102132286 B1 KR 102132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platform
door member
footrest
railw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to KR1020190156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과 선로를 구획하도록 승강장에 설치되고, 도어부재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벽체;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발판; 승강장에 철도차량의 진입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승강장에 철도차량의 진입이 완료되었는지 감지하여 안전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도어부재의 개방신호를 송신하고, 철도차량으로부터 출발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도어부재의 폐쇄신호를 송신하는 오작동방지부;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부재의 개방운동을 상기 안전발판의 돌출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승강장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안전발판이 필요 이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안전발판과 철도차량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파손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FOR RAILWAY PLATFORM}
본 발명은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으로 탑승객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전발판이 돌출되고, 돌출되는 안전발판과 열차 사이의 충돌에 의해 열차 또는 안전발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차가 승강장에 정차하기 전에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벽체가 개방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전철 등과 같이 여러 대의 전동차가 연결되어 선로(線路) 위를 주행하는 철도차량은, 각 전동차에 마련된 다수의 출입문을 통하여 많은 승객이 동시에 승, 하차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하여 통상 서로 교행(交行)하는 선로의 양쪽이나 혹은 선로의 어느 한쪽에 승객들이 출입하기 위한 승강장이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전동차가 역 구내로 들어와 승강장에 정차하거나 또는 선로를 따라 이동할 때, 전동차와 승강장의 끝단면 사이에는 전동차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폭을 가지는 간격이 불가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은 선로의 특성상, 직선로나 혹은 곡선로를 이루게 되며, 특히 곡선로인 경우에는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 사이로 승객의 발이 쉽게 빠지거나 심지어는 몸체가 빠지는 안전사고의 발생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고는 대부분 전동차를 이용하는 승객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게 되지만, 특히 유아(乳兒)인 경우에는 대부분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간격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생기는 것이므로, 유아를 동반한 보호자의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을 폐쇄할 수 있는 구조물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고려한 출원으로서 이미 공개되어 있는 기술, 예컨대 국내 등록특허 제0279326호(2000.10.31 등록)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은, 전동차가 승강장으로 진입하여 출입문이 열리는 것을 인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켜 승강장의 끝단면으로부터 보조발판이 돌출되도록 작동하여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게 되며, 이어서 승객의 승하차가 완료되어 출입문이 닫히게 되면 상기와 반대로 모터가 작동하여 보조발판을 승강장 저면부로 몰입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부주의로 인한 실족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는, 보조발판을 출몰시키기 위하여 모터, 피니언기어부, 클러치부, 시프트레버, 체인이나 벨트 등과 같은 복잡한 구성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막대한 설치비용을 필요로 하게 되어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전동차의 출입문이 개폐되는 순간에 보조발판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야만 함은 물론, 불시에 어느 하나의 부품이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오히려 승객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0370327호(2003. 01.16 등록) 공보에는, 전기적인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곡선 승강장의 전체 구간과 전동차의 간격을 폐쇄할 수 있는 승강장용 실족 안전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즉, 곡선 승강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피벗을 설치하고, 이 피벗에 결합되는 삼각형상의 안전판들을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승강장의 끝단부로부터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력있게 돌출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전동차와 곡선 승강장의 간격변화에 따라 신축성 있게 대응하도록 하여 승객들의 실족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승강장의 끝단면에 안전판 및 토션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홈을 형성해 주어야만 하기 때문에, 기존 승강장의 경우에는 구조를 변경해야 하는 시공 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각각 제작된 안전판들을 현장에서 일일이 조립하여 설치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에 따른 상당한 공사기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철도차량 승강장의 탄성판 안전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장치는, 승강장의 끝단면에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장착되어 선로를 향해 돌출하여 설치되되, 승강장 쪽의 고정부재에 장착되는 부분이 다수의 반원형태로 이어지는 굴곡형상부를 가짐과 동시에 그 끝단이 직선형상부로 이루어진 판형상체로 제작되며, 이들 판형상체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탄성부재에 의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28094호(2005년 11월 15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철도차량 승강장의 탄성판 안전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장치는, 탄성판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크기가 다른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승강장과 차량 사이의 간격을 커버하지 못하거나 탄성판이 철도차량에 간섭되어 철도차량 또는 탄성판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장치는, 승강장의 구조에 따라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차량과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역사마다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역사에 설치되는 탄성판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제작해야 하므로 탄성판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장치는, 철도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고 있는 동안에 승강장에서 탑승객의 부주위로 추락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 탑승객이 선로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으로 탑승객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전발판이 돌출되고, 돌출되는 안전발판과 열차 사이의 충돌에 의해 열차 또는 안전발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차가 승강장에 정차하기 전에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벽체가 개방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승강장과 선로를 구획하도록 승강장에 설치되고, 도어부재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벽체;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발판; 승강장에 철도차량의 진입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승강장에 철도차량의 진입이 완료되었는지 감지하여 안전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도어부재의 개방신호를 송신하고, 철도차량으로부터 출발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도어부재의 폐쇄신호를 송신하는 오작동방지부;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부재의 개방운동을 상기 안전발판의 돌출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승강장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안전발판이 필요 이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안전발판과 철도차량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파손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전발판의 단부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완충블록을 상기 안전발판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착탈부는, 상기 완충블록에 구비되는 연결돌기; 상기 연결돌기가 상측으로부터 하강하면서 상기 안전발판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전발판에 형성되는 연결홈부; 및 상기 연결홈부의 하단을 마감하여 상기 연결홈부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연결돌기가 안착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안전발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를 해체하여 상기 안전발판으로부터 상기 받침패널을 분리시키면 상기 연결홈부의 하단이 개구되어 상기 완충블록의 하중에 의해 상기 완충블록을 하강시키면서 상기 안전발판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도어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는 랙부재; 상기 랙부재에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작동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부재; 상기 피니언부재에 구동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전발판에 삽입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이 볼트결합되며 삽입되도록 상기 안전발판에 형성되고, 내벽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구동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손방지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이 상기 피니언부재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거나 상기 구동축이 상기 피니언부재에 공회전되는 상태로 변환될 수 있고, 상기 안전발판이 철도차량에 접촉되면 상기 파손방지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축과 상기 피니언부재가 공회전되게 상태를 변환시켜 상기 안전발판의 돌출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 안전벽체가 설치되고, 안전벽체에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부재가 설치되며, 승강장에 철도차량의 진입이 완료되기 전에 도어부재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작동방지부가 구비되므로 철도차량 진입 중에 탑승객이 선로 아래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철도차량의 진입이 완료되어 도어부재가 개방되면 도어부재의 개방작동을 안전발판의 돌출작동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구비되므로 탑승객이 승강장과 철도차량 사이의 간격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안전발판이 승강장으로부터 돌출될 때에 안전발판이 필요 이상으로 돌출되면서 철도차량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파손방지부가 구비되므로 안전발판이 철도차량에 충돌되면서 안전발판 또는 철도차량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안전발판의 단부가 마모되어 수명이 완료되면 안전발판의 단부에 구비되는 완충블록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착탈부가 구비되므로 안전발판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동력전달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ㅌ파손방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착탈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오작동방지부 및 파손방지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동력전달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파손방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착탈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의 오작동방지부 및 파손방지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승강장과 선로를 구획하도록 승강장에 설치되고, 도어부재(14)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벽체(12)와,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발판(30)과, 승강장에 철도차량의 진입이 완료되기 전에 도어부재(14)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승강장에 철도차량의 진입이 완료되었는지 감지하여 안전신호를 송신하고, 도어부재(14)의 개방신호를 송신하고, 철도차량으로부터 출발신호가 송신되면 도어부재(14)의 폐쇄신호를 송신하는 오작동방지부(80)와, 도어부재(14)가 개방되면 도어부재(14)의 개방운동을 안전발판(30)의 돌출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0)와, 승강장으로부터 돌출되는 안전발판(30)이 필요 이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발판(30)과 철도차량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파손방지부(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승강장 내부로 철도차량이 진입하여 철도차량의 진입이 완료되면 오작동방지부(80)의 작동에 의해 철도차량의 진입 완료가 감지되어 완료신호를 송신하므로 안전벽체(12)에 구비되는 도어부재(14)가 개방되며, 이와 동시에 철도차량의 도어가 개방되어 탑승객의 승차 또는 하차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도어부재(14)가 개방되는 도어부재(14)의 직선운동은 동력전달부(50)의 작동에 의해 안전발판(30)의 돌출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되므로 승강장과 철도차량 사이의 간격이 안전발판(30)에 의해 마감되므로 승차 또는 하차하는 탑승객이 승강장과 철도차량 사이의 간격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안전발판(30)은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 구비되는 승강장 단부로부터 선로 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안전발판(30)의 단부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블록(32)이 구비되며, 완충블록(32)을 안전발판(3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34)가 구비된다.
따라서 안전발판(30)이 승강장의 작동공간부(10)로부터 슬라이딩되며 출몰될 때에 안전발판(30)의 단부가 마찰되면서 마모되는 경우에 착탈부(34)를 조작하여 안전발판(30)으로부터 완충블록(32)을 분리하여 마모 부위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착탈부(34)는, 완충블록(32)에 구비되는 연결돌기(35)와, 연결돌기(35)가 상측으로부터 하강하면서 안전발판(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전발판(30)에 형성되는 연결홈부(36)와, 연결홈부(36)의 하단을 마감하여 연결홈부(36)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는 연결돌기(35)가 안착되고, 체결부재(38)에 의해 안전발판(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패널(37)을 포함한다.
따라서 체결부재(38)를 해체하여 안전발판(30)으로부터 받침패널(37)을 분리시키면 연결홈부(36)의 하단이 개구되어 완충블록(32)의 하중에 의해 완충블록(32)을 하강시키면서 안전발판(3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체결부재(38)는 안전발판(30)의 외측 단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체결되면서 받침패널(37)을 안전발판(30) 단부에 결합시켜 완충블록(32)이 안착되는 걸림턱부가 형성하고, 완충블록(32)의 배면에 형성되는 연결돌기(35)는 안전발판(3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연결홈부(36)에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부(50)는, 도어부재(14)의 하단에 설치되는 랙부재(52)와, 랙부재(52)에 기어연결되도록 작동공간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부재(54)와, 피니언부재(54)에 구동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안전발판(30)에 삽입되는 구동축(56)과, 구동축(56)이 볼트결합되며 삽입되도록 안전발판(30)에 형성되고, 내벽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구동홀부(58)를 포함한다.
승강장의 상판은 선로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승강장 외측 단부에는 홀부가 형성되어 승강장 상판 내부에 형성되는 작동공간부(10)와 연결되어 통하게 구비되며, 작동공간부(10)에는 피니언부재(54)가 지지대 및 구동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니언부재(54)을 관통하게 설치되는 구동축(56)은 베어링부재(74)에 의해 피니언부재(5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피니언부재(54)와 구동축(56)은 파손방지부(70)의 작동에 의해 구동축(56)이 피니언부재(54)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거나 구동축(56)이 피니언부재(54)에 공회전되는 상태로 변환될 수 있고, 안전발판(30)이 철도차량에 접촉되면 파손방지부(70)에서 이를 감지하여 구동축(56)과 피니언부재(54)가 공회전되게 상태를 변환시켜 안전발판(30)의 돌출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파손방지부(70)는, 안전발판(30) 외측 단부에 설치되어 안전발판(30)과 완충블록(32) 사이에 개재되고, 안전발판(30)이 돌출될 때에 완충블록(32)이 철도차량이 접촉되어 완충블록(32)이 가압되면 완충블록(32)과 안전발판(30) 사이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여 정지신호를 송신하는 압전센서(72)와, 피니언부재(54)와 구동축(56)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베어링부재(74)와, 구동축(56)에 형성되는 기어부(77)와 기어연결되는 기어블록(78)과, 기어블록(78)을 기어부(77)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피니언부재(54)에 설치되는 구속실린더(76)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어부재(14)의 개방작동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구속실린더(7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기어블록(78)과 기어부(77)가 기어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피니언부재(54)와 구동축(56)이 일체로 연결되어 도어부재(14) 및 랙부재(52)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직선운동이 피니언부재(54)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되고, 구동축(56)이 회전될 때에 구동축(56)과 볼트결합으로 연결된 안전발판(30)이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구동축(56)의 회전운동이 안전발판(3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안전발판(30)이 철도차량 측으로 돌출된다.
도어부재(14)의 개방작동이 진행되는 동안에 안전발판(30)의 돌출이 완료되어 철도차량에 접촉되면 완충블록(32)이 안전발판(30) 측으로 가압되면서 압전센서(72)에서 정지신호가 송신되고, 압전센서(72)로부터 송신되는 정지신호가 제어부(84)를 통해 구속실린더(76)에 전달되면 구속실린더(76)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서 기어블록(78)과 기어부(77)의 기어연결이 해제되므로 구동축(56)은 베어링부재(74)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어 피니언부재(54)의 회전운동이 구동축(56)의 회전운동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안전발판(30)의 돌출이 정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안전발판(30)이 필요 이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발판(30)이 철도차량의 간섭에 의해 철도차량 또는 안전발판(3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안전발판(30)의 돌출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도어부재(14)의 개방이 완료되면 개폐실린더(16)로부터 완료신호가 송신되고, 완료신호가 제어부(84)에 전달되면 구속실린더(76)에 구동신호가 송신되어 구동실린더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기어블록(78)이 기어부(77) 측으로 전진되면서 기어연결되어 구동축(56)이 피니언과 일체로 연결되면서 도어부재(14)가 승강장 작동공간부(10)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는 동안에 안전발판(30)이 승강장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오작동방지부(80)는, 승강장 단부에 다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속되게 배치되고, 승강장에 진입하는 철도차량과 승강장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82)와, 거리감지센서(82)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철도차량이 승강장의 내측 단부까지 진입되었는지 판단하여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84)를 포함한다.
따라서 철도 차량이 승강장 내측 단부까지 진입하여 철도차량의 운행이 완전히 중단되면 거리감지센서(82)로부터 송신되는 정지신호가 제어부(84)에 수신되고, 제어부(84)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개폐실린더(16)가 구동되어 도어부재(14)의 개방작동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거리감지센서(82)로부터 수신되는 거리신호에 따라 승강장과 철도차량 사이의 간격을 판단하여 안전발판(30)의 돌출 길이를 판단하여 구속실린더(76)의 작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76a는 구속실린더(76)를 지지하여 피니언부재(54)에 연결되는 기둥부재(76a)이다.
이로써,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으로 탑승객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전발판이 돌출되고, 돌출되는 안전발판과 열차 사이의 충돌에 의해 열차 또는 안전발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차가 승강장에 정차하기 전에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벽체가 개방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방지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작동공간부 12 : 안전벽체
14 : 도어부재 16 : 개폐실린더
30 : 안전발판 32 : 완충블록
34 : 착탈부 35 : 연결돌기
36 : 연결홈부 37 : 받침패널
38 : 체결부재 50 : 동력전달부
52 : 랙부재 54 : 피니언부재
54a : 구동베어링 54b : 지지대
56 : 구동축 58 : 구동홀부
70 : 파손방지부 72 : 압전센서
74 : 베어링부재 76 : 구속실린더
76a : 기둥부재 77 : 기어부
78 : 기어블록 80 : 오작동방지부
82 : 거리감지센서 84 : 제어부

Claims (4)

  1. 승강장과 선로를 구획하도록 승강장에 설치되고, 도어부재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벽체;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발판;
    승강장에 철도차량의 진입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승강장에 철도차량의 진입이 완료되었는지 감지하여 안전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도어부재의 개방신호를 송신하고, 철도차량으로부터 출발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도어부재의 폐쇄신호를 송신하는 오작동방지부;
    상기 도어부재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부재의 개방운동을 상기 안전발판의 돌출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승강장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안전발판이 필요 이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안전발판과 철도차량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파손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발판의 단부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완충블록을 상기 안전발판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가 구비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완충블록에 구비되는 연결돌기;
    상기 연결돌기가 상측으로부터 하강하면서 상기 안전발판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전발판에 형성되는 연결홈부; 및
    상기 연결홈부의 하단을 마감하여 상기 연결홈부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연결돌기가 안착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안전발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를 해체하여 상기 안전발판으로부터 상기 받침패널을 분리시키면 상기 연결홈부의 하단이 개구되어 상기 완충블록의 하중에 의해 상기 완충블록을 하강시키면서 상기 안전발판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도어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는 랙부재;
    상기 랙부재에 기어연결되도록 작동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부재;
    상기 피니언부재에 구동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전발판에 삽입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이 볼트결합되며 삽입되도록 상기 안전발판에 형성되고, 내벽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구동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손방지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이 상기 피니언부재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거나 상기 구동축이 상기 피니언부재에 공회전되는 상태로 변환될 수 있고,
    상기 안전발판이 철도차량에 접촉되면 상기 파손방지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축과 상기 피니언부재가 공회전되게 상태를 변환시켜 상기 안전발판의 돌출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56229A 2019-11-29 2019-11-29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2132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229A KR102132286B1 (ko) 2019-11-29 2019-11-29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229A KR102132286B1 (ko) 2019-11-29 2019-11-29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286B1 true KR102132286B1 (ko) 2020-07-09

Family

ID=7160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229A KR102132286B1 (ko) 2019-11-29 2019-11-29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2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625B1 (ko) * 2003-04-08 2005-03-10 박우현 열차 승강장 안전시스템의 제어장치
KR100509064B1 (ko) * 2004-02-27 2005-08-22 김민식 전동차 승강용 안전장치
KR100918674B1 (ko) * 2008-09-08 2009-09-22 이갑규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625B1 (ko) * 2003-04-08 2005-03-10 박우현 열차 승강장 안전시스템의 제어장치
KR100509064B1 (ko) * 2004-02-27 2005-08-22 김민식 전동차 승강용 안전장치
KR100918674B1 (ko) * 2008-09-08 2009-09-22 이갑규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5991A2 (en) Safety foothold for subway platform
US7178467B2 (en) Door threshold for access to the interior of a railway vehicle
US20160369876A1 (en) Impactable vehicle restraint
KR20140143181A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0954275B1 (ko) 차량의 안전발판 장치
JP2002274363A (ja)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CA2603669A1 (en) Elevator system with safety device on elevator doors
KR102132286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1172738B1 (ko) 철도차량 출입문과 안전발판의 연계 제어 시스템
KR102301112B1 (ko)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EP3192764B1 (en) Elevator apparatus
JP2006298022A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KR101092223B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KR100904714B1 (ko) 철도차량용 안전 스탭 장치
EP1524234B1 (en) Elevator system
KR102497920B1 (ko) 비상도어 기능을 갖는 광고판 설치 승강장 스크린 도어
WO2003089357A1 (fr) Dispositif elevateur
RU2689913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вагон с пассажирским отсеком, доступным через подвижную и неподвижную площадки между двумя уровнями
KR101975877B1 (ko)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장치를 이용한 전동차용 슬라이딩 스텝 장치
KR100528094B1 (ko) 철도차량 승강장의 탄성판 안전장치
KR200498018Y1 (ko) 철도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KR200497328Y1 (ko) 철도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KR10125787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KR100528096B1 (ko)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
KR100528095B1 (ko) 철도차량 승강장의 브러쉬형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