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096B1 -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096B1
KR100528096B1 KR10-2003-0071722A KR20030071722A KR100528096B1 KR 100528096 B1 KR100528096 B1 KR 100528096B1 KR 20030071722 A KR20030071722 A KR 20030071722A KR 100528096 B1 KR100528096 B1 KR 100528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link member
safety device
fixing memb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522A (ko
Inventor
김남포
문형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71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0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8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522A/ko
Priority to JP2005509627A priority patent/JP4283808B2/ja
Priority to PCT/KR2003/002769 priority patent/WO200503762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가 역 구내로 들어와 승강장에 정차할 때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생기는 간격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로를 따라 주행하는 철도차량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에 있어서, 승강장의 끝단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장착되어 선로를 향해 탄력있게 돌출하여 설치되는 링크부재에 의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는 승강장의 끝단면에 체결부재로서 장착되는 평판형상 혹은 연장부를 가지는 ㄴ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부재의 몸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링크부재를 이루는 링크판들을 조립시킬 수 있는 동시에 토션스프링에 의해 링크부재에 탄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링크부재는 승강장의 전체 구간이나 또는 전동차의 출입문이 위치하는 부분에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Platform safety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차가 역(驛) 구내로 들어와 승강장에 정차할 때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생기는 간격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전철 등과 같이 여러 대의 전동차가 연결되어 선로(線路) 위를 주행하는 철도차량은, 각 전동차에 마련된 다수의 출입문을 통하여 많은 승객이 동시에 승, 하차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하여 통상 서로 교행(交行)하는 선로의 양쪽이나 혹은 선로의 어느 한쪽에 승객들이 출입하기 위한 승강장이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전동차가 역 구내로 들어와 승강장에 정차하거나 또는 선로를 따라 이동할 때, 전동차와 승강장의 끝단면 사이에는 전동차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폭을 가지는 간격이 불가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은 선로의 특성상, 직선로나 혹은 곡선로를 이루게 되며, 특히 곡선로인 경우에는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 사이로 승객의 발이 쉽게 빠지거나 심지어는 몸체가 빠지는 안전사고의 발생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고는 대부분 전동차를 이용하는 승객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게 되지만, 특히 유아(乳兒)인 경우에는 대부분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간격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생기는 것이므로, 유아를 동반한 보호자의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을 폐쇄할 수 있는 구조물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고려한 출원으로서 이미 공개되어 있는 기술, 예컨대 국내 등록특허 제0279326호(2000.10.31 등록)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은, 전동차가 승강장으로 진입하여 출입문이 열리는 것을 인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켜 승강장의 끝단면으로부터 보조발판이 돌출되도록 작동하여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게 되며, 이어서 승객의 승, 하차가 완료되어 출입문이 닫히게 되면 상기와 반대로 모터가 작동하여 보조발판을 승강장 저면부로 몰입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부주의로 인한 실족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는, 보조발판을 출몰시키기 위하여 모터, 피니언기어부, 클러치부, 시프트레버, 체인이나 벨트 등과 같은 복잡한 구성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막대한 설치비용을 필요로 하게 되어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전동차의 출입문이 개폐되는 순간에 보조발판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야만 함은 물론, 불시에 어느 하나의 부품이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오히려 승객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0370327호(2003. 01.16 등록) 공보에는, 전기적인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곡선 승강장의 전체 구간과 전동차의 간격을 폐쇄할 수 있는 승강장용 실족 안전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즉, 곡선 승강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피벗을 설치하고, 이 피벗에 결합되는 삼각형상의 안전판들을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승강장의 끝단부로부터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력있게 돌출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전동차와 곡선 승강장의 간격변화에 따라 신축성 있게 대응하도록 하여 승객들의 실족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승강장의 끝단면에 안전판 및 토션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홈을 형성해 주어야만 하기 때문에, 기존 승강장의 경우에는 구조를 변경해야 하는 시공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각각 제작된 안전판들을 현장에서 일일이 조립하여 설치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에 따른 상당한 공사기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장의 끝단면으로부터 선로측을 향해 설치되는 링크부재에 의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승강장에도 간단히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오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전혀 없어 전동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선로를 따라 주행하는 철도차량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에 있어서, 승강장의 끝단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장착되어 선로를 향해 탄력있게 돌출하여 설치되는 링크부재에 의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승강장의 끝단면에 장착되거나 또는 그 몸체로부터 연이어져 형성되는 연장부에 의해 ㄴ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승강장의 끝단면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그 몸체 안쪽으로 선로를 향해 개방되어 링크부재를 안착시키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수용홈의 상, 하측에는 볼트축이 끼워넣어지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링크부재는 다수의 링크판들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2∼4개의 경첩부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경첩부들을 연결축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있고, 상기 링크판들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되는 볼트축이 끼워넣어지도록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 토션스프링을 개재하여 링크부재에 탄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는 승강장의 끝단면을 따라 전동차가 정차하는 전체 구간에 걸쳐 설치되거나 전동차의 출입문이 위치하는 부분에만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먼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로(10)를 따라 주행하는 전동차(11)의 출입문(11a)이 개폐되는 승강장(12) 끝단면에는 선로 (10)를 향해 링크부재(13)가 설치되어 전동차(11)와 승강장(12) 사이의 간격을 폐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13)는 승강장(12)의 끝단면에 장착되는 고정부재(14)를 개재하여 승객의 발이 빠지지 않는 범위내에서 일정 간격 (L)을 두고 배열됨과 동시에, 고정부재(14)의 양측 모서리부분을 체결부재(15)에 의해 승강장(12)의 끝단면에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링크부재(13)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승객들에 의해 받는 하중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반면에, 전동차(11)의 진입시에는 그 측면부에 접촉되는 힘에 의해 도 1에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약간의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4)는 그 몸체의 안쪽으로 선로(10)를 향해 개방된 수용홈(16)이 형성되어 링크부재(13)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수용홈(16)의 상, 하측에는 볼트축(17)이 끼워넣어져 너트(17a)에 의해 체결되도록 서로 마주대하는 관통공(16a,16b)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13)는 다수의 링크판(13a)들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2∼4개의 경첩부(13b)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경첩부(13b)들을 연결축(18)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즉, 도 4a에서와 같이 2개의 링크판(13a)이 직각으로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2개의 경첩부(13b)에 연결축(18)이 끼워넣어짐과 동시에 너트(18a)에 의해 체결되어 링크판(13a)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4b에서와 같이 3개의 링크판(13a)이 T자형으로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3개의 경첩부(13b)를 연결축(18)과 너트(18a)에 의해 조립시킬 수 있고, 도 4c에서와 같이 4개의 링크판(13a)이 십자형으로 만나는 각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4개의 경첩부(13b)를 연결축(18)과 너트(18a)에 의해 조립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4)의 수용홈(16)으로 삽입되는 링크판(13a)들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고정부재(14)에 장착되는 볼트축(17)이 끼워넣어지는 삽입공(13c)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축(17)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통상적인 방식으로 토션스프링(19)을 개재하여 링크부재(13)에 탄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링크판(13a)들이 서로 연결되는 경첩부(13b)의 적당한 위치에 토션스프링이나 판스프링을 장착시킴으로써 링크부재(13)에 탄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4)는 평판형상으로 제작되어 승강장 (12)의 끝단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체결부재(15)로서 장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다른 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고정부재(14)의 하단부에 이 몸체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지는 연장부(14a)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14a)를 승강장(12)의 끝단 저면에 체결부재(15)로서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13)는 전동차(11)의 출입문(11a)이 위치하는 승강장(12)의 끝단면을 따라 일정 거리(D)를 두고 설치하는 것이 시공비용을 절감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승강장(12)의 끝단면을 따라 전동차(11)가 정차하는 전체 구간에 걸쳐 일률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통상 상기 링크부재(13)와 고정부재 (14)는 제조처에서 미리 제작되어 완제품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이들 부품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승강장(12)의 끝단면에 체결부재(15)로서 즉시 조립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13)는 많은 승객들이 밟고 지나도 전혀 파손될 염려가 없을 정도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승강장(12)의 끝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링크부재(13)를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13)는 승강장(12) 끝단면에서의 전동차(11)의 출입문(11a)이 위치하는 부분에만 설치할 수도 있고, 필요하다면 전동차(11)가 정차하는 승강장(12)의 전체 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차(11)가 선로(10)를 따라 주행하다가 역의 구내에 마련되어 있는 승강장(12)에 정차하여 승객들을 승, 하차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전동차(11)의 출입문(11a)에 대응하여 설치된 링크부재(13)의 끝부분과 전동차(11)의 측면부가 유연하게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13)를 구성하는 각 링크판(13a)들은 전동차(11)의 진행방향으로 약간의 힘을 받으면서 볼트축(17)들을 중심으로 토션스프링(19)에 의해 탄력있게 회동하게 되고, 다른 링크판(13a)들도 경첩부(13b)의 연결축(18)을 중심으로 탄력있게 회동하면서 승강장(12)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전동차(11)가 승강장(12)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14)의 볼트축(17)에 설치되어 탄력을 받고 있던 토션스프링(19)이나 링크판(13a)들의 경첩부 (13b)에 통상의 방식으로 설치된 스프링(도시생략)들의 복원력에 의해 링크부재 (13)는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술한 링크부재(13)들에 의해 승객들의 승, 하차시에 발판역할을 행하게 되므로, 부주의로 인한 실족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에 의하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기 위하여 승강장의 끝단면에 설치되는 링크부재를 하나의 구조물로서 간단히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승강장에도 손쉽게 시공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오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전혀 없어 전동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승강장 안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링크부재들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동차와 승강장 안전장치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선로 11: 전동차
11a: 출입문 12: 승강장
13: 링크부재 13a: 링크판
13b: 경첩부 13c: 삽입공
14: 고정부재 14a: 연장부
15: 체결부재 16: 수용홈
16a,16b: 관통공 17: 볼트축
18: 연결축 17a,18a: 너트
19: 토션스프링

Claims (7)

  1. 선로를 따라 주행하는 철도차량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 하측에는 볼트축(17)이 끼워 넣어지는 관통공(16a, 16b)이 구비됨과 동시에 그 몸체 안쪽으로 선로(10)를 향해 개방되어 링크부재(13)를 안착시키기 위한 수용홈(16)이 형성되되, 승강장(12)의 끝단면에 장착되는 고정부재(14)와, 이 고정부재(14)에 장착되어 선로(10)를 향해 탄력있게 돌출하여 설치되는 링크부재(13)에 의해 전동차(11)와 승강장(12) 사이의 간격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4)는, 승강장(12)의 끝단면에 체결부재(15)로서 장착되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4)의 밑면에는, 그 몸체로부터 연이어져 형성되는 연장부(14a)에 의해 ㄴ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 연장부(14a)가 승강장 (12)의 끝단면 하부에 체결부재(15)로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13)는 다수의 링크판(13a)들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2∼4개의 경첩부(13b)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경첩부(13b)들을 연결축 (18)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있고, 상기 링크판(13a)들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부재(14)에 장착되는 볼트축(17)이 끼워넣어지도록 삽입공(13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 토션스프링(19)을 개재하여 링크부재(13)에 탄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13)는, 승강장(12)의 끝단면을 따라 전동차 (11)가 정차하는 전체 구간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13)는, 승강장(12)의 끝단면을 따라 전동차 (11)의 출입문(11a)이 위치하는 부분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
KR10-2003-0071722A 2003-10-15 2003-10-15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 KR100528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722A KR100528096B1 (ko) 2003-10-15 2003-10-15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
JP2005509627A JP4283808B2 (ja) 2003-10-15 2003-12-18 鉄道車両用の安全足場装置
PCT/KR2003/002769 WO2005037622A1 (en) 2003-10-15 2003-12-18 Safety stepping board device for t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722A KR100528096B1 (ko) 2003-10-15 2003-10-15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522A KR20030086522A (ko) 2003-11-10
KR100528096B1 true KR100528096B1 (ko) 2005-11-15

Family

ID=3238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722A KR100528096B1 (ko) 2003-10-15 2003-10-15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0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0021B (zh) * 2015-06-30 2018-01-16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地铁车站站台安全防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522A (ko) 200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921B1 (ko) 내충격성도어
KR100528096B1 (ko) 철도차량의 승강장 안전장치
KR101092223B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KR100528094B1 (ko) 철도차량 승강장의 탄성판 안전장치
KR100656844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 가이드 장치
KR100528095B1 (ko) 철도차량 승강장의 브러쉬형 안전장치
KR102497920B1 (ko) 비상도어 기능을 갖는 광고판 설치 승강장 스크린 도어
CA2038732C (en) Device and procedure for opening the doors of an elevator
KR102132286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0209557B1 (ko) 철도차량의 플랫폼 안전장치
KR100935010B1 (ko) 강성이 향상된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창호
KR101975877B1 (ko)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장치를 이용한 전동차용 슬라이딩 스텝 장치
KR10125787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KR200384904Y1 (ko) 지하철 투신 방지용 현가식(懸架式) 전동 스크린 셔터
KR101871672B1 (ko)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KR100826234B1 (ko) 스크린도어용 헤드박스의 보강구조
KR200497328Y1 (ko) 철도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KR100972362B1 (ko) 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구조
KR100537026B1 (ko) 승강장 자동 돌출 안전판
CN201007171Y (zh) 应急门
KR200378993Y1 (ko)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주기둥 고정장치
JPS6317964B2 (ko)
KR100716302B1 (ko)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KR101525086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용 안전장치
KR20130121393A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