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878B1 -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878B1
KR101257878B1 KR1020110080388A KR20110080388A KR101257878B1 KR 101257878 B1 KR101257878 B1 KR 101257878B1 KR 1020110080388 A KR1020110080388 A KR 1020110080388A KR 20110080388 A KR20110080388 A KR 20110080388A KR 101257878 B1 KR101257878 B1 KR 101257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ed
opening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767A (ko
Inventor
진중섭
Original Assignee
(주)금강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강테크 filed Critical (주)금강테크
Priority to KR102011008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8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는,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패널(11) 상부에 구비된 제1개폐부(10)의 정면에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가이드프레임(100);과, 상기 제1개폐부(10)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에는 제1고정통공(210)이 구비되는 제1고정프레임(200);과, 상기 도어패널(11)의 상부에 설치되어 함께 작동되되, 일측에는 상기 제1고정통공(2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후크(310)가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300);와, 건물 엘리베이터 입구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진입시 상기 도어패널(11)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함께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 제2개폐부(20)의 정면에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후크(310)와 제1고정통공(210)의 결합을 해체시켜 도어패널(11)의 열림을 허락하는 제2가이드프레임(400);과, 상기 제2개폐부(20)의 전면에 설치되며, 도어패널(11)의 닫힘시 상기 제1후크(310)가 제1고정통공(210)과 결합되도록 하는 제3가이드프레임(500);과, 상기 제2개폐부(20)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에는 제2고정통공(610)이 구비되는 제2고정프레임(600);과, 상기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함께 작동되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2고정통공(6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후크(710)가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건물 엘리베이터 입구로 진입시,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100)에 의해 상기 제2고정통공(610)과 제2후크(710)의 결합이 해체되어 도어가 열리도록 하는 제2결합부재(7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 안의 탑승자가 안전하게 탈출가능하도록 제한된 구간에서만 도어의 오픈을 허용하여 탑승자의 구조시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Openimg System for Elevate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 안의 탑승자가 안전하게 탈출가능하도록 제한된 구간에서만 도어의 오픈을 허용하여 탑승자의 구조시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피스텔 및 상가, 공장, 아파트 및 공장 건물 등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및 도어패널의 개폐구조는,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입구의 내측 벽체에 각각 개폐부가 설치되며, 상기 2개의 개폐부가 연결되면, 도어가 개폐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비상시 엘리베이터 도어의 키가 있으면, 어느 위치에서든지 도어의 오픈이 가능하여 엘리베이터 카 안의 탑승자를 구출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구조시 당황한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카와 건물 벽체 사이의 공간으로 추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됨에 따라, 최근에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오픈 가능한 구간을 설정하고, 비상시 탑승자의 탈출에 대한 안전규정을 승강기 관련법으로 규제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추락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추락방지용 패널을 최하층부터 최상층까지 설치해야되므로 엘리베이터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 안의 탑승자가 안전하게 탈출가능하도록 제한된 구간에서만 도어의 오픈을 허용하여 탑승자의 구조시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및 도어패널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는,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패널(11) 상부에 구비된 제1개폐부(10)의 정면에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가이드프레임(100);과, 상기 제1개폐부(10)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에는 제1고정통공(210)이 구비되는 제1고정프레임(200);과, 상기 도어패널(11)의 상부에 설치되어 함께 작동되되, 일측에는 상기 제1고정통공(2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후크(310)가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300);와, 건물 엘리베이터 입구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진입시 상기 도어패널(11)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함께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 제2개폐부(20)의 정면에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후크(310)와 제1고정통공(210)의 결합을 해체시켜 도어패널(11)의 열림을 허락하는 제2가이드프레임(400);과, 상기 제2개폐부(20)의 전면에 설치되며, 도어패널(11)의 닫힘시 상기 제1후크(310)가 제1고정통공(210)과 결합되도록 하는 제3가이드프레임(500);과, 상기 제2개폐부(20)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에는 제2고정통공(610)이 구비되는 제2고정프레임(600);과, 상기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함께 작동되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2고정통공(6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후크(710)가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건물 엘리베이터 입구로 진입시,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100)에 의해 상기 제2고정통공(610)과 제2후크(710)의 결합이 해체되어 도어가 열리도록 하는 제2결합부재(7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프레임(200)과 제2고정프레임(60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통공(210)과 제2고정통공(610)의 단부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220, 6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700)는,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패널(11)과 도어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프레임(320, 720);과, 상기 결합프레임(320, 720)에 구비되는 회전축(330, 730);과, 상기 회전축(330, 7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프레임(340, 740);과,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330, 730)과 동일축 상에 설치되는 하부롤러(350, 750);와,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롤러 지지대(341, 741);와, 상기 상부롤러 지지대(341, 741)에 결합되되, 상기 하부롤러(350, 75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330, 730)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향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360, 760);와, 상기 결합프레임(320, 720)에 형성되는 제1회전제어프레임(321, 721);과,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에 형성되되, 상기 제1회전제어프레임(321, 72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과, 상기 제1회전제어프레임(321, 721)에서 삽입되어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의 외부까지 관통하는 로드(370, 770);와, 상기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의 상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로드(370, 770)가 관통되며, 이 로드(370, 770)의 상측 단부에는 탄성조절너트(371, 771)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이 상기 제1후크(310) 및 상기 제2후크(7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경우 탄성이 증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부재(380, 780);가 구비되되, 상기 스프링부재(380, 780)는 상기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의 상면과 맞닿는 하판(381, 781):과, 이 하판(381, 781)의 상면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는 스프링(382, 782);과, 이 스프링(382, 782)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383, 783):이 포함되며,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톱퍼(390, 79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100), 제2가이드프레임(400) 및 제3가이드프레임(500)은, 배면에 구비되는 결합바(110, 410, 510);와, 상기 결합바(110, 410, 510)의 정면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상부롤러(360, 760)와 맞닿도록 일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120, 420, 520);과, 상기 제1경사면(120, 420, 520)의 상단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면(120, 420, 520)을 통과한 상기 상부롤러(360, 760)를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직면(130, 430, 530);과, 상기 수직면(130, 430, 530)의 상단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타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140, 440, 54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 안의 탑승자가 안전하게 탈출가능하도록 제한된 구간에서만 도어의 오픈을 허용하여 탑승자의 구조시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의 엘리베이터 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내측 벽체에 설치된 제2개폐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의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제1고정프레임 및 제2고정프레임과의 결합이 해체되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의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제1가이드프레임, 제2가이드프레임 및 제3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의 엘리베이터 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내측 벽체에 설치된 제2개폐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의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제1고정프레임 및 제2고정프레임과의 결합이 해체되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의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제1가이드프레임, 제2가이드프레임 및 제3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건물의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새로 지어지는 건물에 설치되거나, 기존에 지어진 건물의 엘리베이터에도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내부에 승객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도어가 일치하면, 도어 및 도어패널이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는 롤러와, 이 롤러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도어 및 도어패널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의 결합과, 상기 도어 및 도어패널을 감지하는 센서와, 안전발판 및 안전텅(tongue) 등은 공지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는 제1가이드프레임(100), 제1고정프레임(200), 제1결합부재(300), 제2가이드프레임(400), 제3가이드프레임(500), 제2고정프레임(600), 제2결합부재(700)가 포함된다.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100), 제2가이드프레임(400) 및 제3가이드프레임(500)은 서로 동일한 형상의 부재이며, 제1고정프레임(200), 제2고정프레임(600)과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700) 또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부재인데, 이러한 각 부재들은 설치되는 위치와 방향만 다르다.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100), 제2가이드프레임(400) 및 제3가이드프레임(5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바(110, 410, 510), 제1경사면(120, 420, 520), 수직면(130, 430, 530), 제2경사면(140, 440, 540)으로 구성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패널(11) 상부에 구비된 제1개폐부(10)의 정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2가이드프레임(400)과 제3가이드프레임(500)은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입구 내측의 벽체에 설치되는 제2개폐부(20)의 정면에 상하상향으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제2가이드프레임(400)과 제3가이드프레임(500)의 수직부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제1가이드프레임(100)의 제1경사면(120), 수직면(130) 및 제2경사면(140)은 도 7에 작동 라인을 지시하는 지시선(a)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할 제2결합부재(700)의 상부롤러(760) 또는 하부롤러(750)와 맞닿아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를 허락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2가이드프레임(400)과 제3가이드프레임(500)의 제1경사면(420, 520), 수직면(430, 530) 및 제2경사면(440, 540)은 제1결합부재(300)의 상부롤러(360)와 맞닿아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도어패널(11)의 개폐를 허락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가이드프레임(100), 제2가이드프레임(400) 및 제3가이드프레임(500)에는 배면에 각각 결합바(110, 410, 51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결합바(110, 410, 510)는 상기와 같은 가이드프레임(100, 400, 500)들이 제1개폐부(10)와 제2개폐부(20)의 정면에 고정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가이드프레임(100), 제2가이드프레임(400) 및 제3가이드프레임(500)의 제1경사면(120, 420, 520)은,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700)를 회전시켜 제1후크(310)와 제2후크(710)를 제1고정프레임(200)과 제2고정프레임(600)에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1후크(310)와 제2후크(710)가 회전됨과 동시에 상부롤러(360, 760)가 젖혀지도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수직면(130, 430, 530)의 하측 단부는 상기 제1경사면(120, 420, 520)과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면(120, 420, 520)을 따라 이동되는 상부롤러(360, 760)를 지지하여 제1후크(310)와 제2후크(710)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수직면(130, 430, 530)의 상측 단부는 제2경사면(140, 440, 540)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제2경사면(140, 440, 540)은 상술한 제1경사면(120, 420, 520)에 의해 회전된 제1후크(310)와 제2후크(710)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상기 제1경사면(120, 420, 520)과는 다른 방향, 즉,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프레임(200)과 제2고정프레임(600)은 각각 제1개폐부(10)와 제2개폐부(20)의 상부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제1고정프레임(200)과 제2고정프레임(600)은 제1개폐부(10)와 제2개폐부(20)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에는 제1고정통공(210)과 제2고정통공(6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통공(210)과 제2고정통공(610)의 단부, 즉, 제1고정프레임(200)과 제2고정프레임(600)의 타측 단부에는 경사부(220, 620)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경사부(220, 620)는 도어(11)의 닫힘시 제1고정프레임(200)과 제2고정프레임(600)에 접근하는 제1후크(310)와 제2후크(710)가 경사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자연스럽게 회전되면서 제1고정통공(210)과 제2고정통공(610)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700)는 도어(11)의 상부와 도어패널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함께 작동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700)의 일측에는 상술한 제1고정통공(210) 및 제2고정통공(610)과 결합되는 제1후크(310)와 제2후크(710)가 구비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7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700)는 결합프레임(320, 720)과, 이 결합프레임(320, 720)에 회전축(330, 730)을 매개로 연결되며, 일측 단부에 제1후크(310)와 제2후크(710)가 형성되는 회전프레임(340, 740)으로 구분된다.
상기 결합프레임(320, 720)은 제1결합부재(300)의 경우 도어(11)의 상부에, 제2결합부재(700)의 경우 도어패널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에 따라, 결합통공(A)이 구비되되, 이 결합통공(A)은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70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횡방향으로 적당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320, 720)에는 회전축(330, 73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회전축(330, 730)의 정면측, 즉, 회전프레임(340, 740)과 결합되는 부분에는 회전베어링(D)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프레임(320, 720)에는 제1회전제어프레임(321, 721)이 정면을 향하여 절곡되어 돌출되는데, 이러한 제1회전제어프레임(321, 721)의 절곡 부위의 하면은 스톱퍼(390, 790)와 맞닿아 회전프레임(340, 740)의 회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은 회전축(330, 7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고정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회전프레임(340, 740)은 고정된 결합프레임(320, 720)에 대비되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데, 이러한 회전프레임(340, 740)과 회전축은 회전베어링(D)을 매개로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방법은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330, 730)의 전면에는 회전축(330, 730)과 동일 축 상에 설치되는 하부롤러(350, 750)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의 상측에는 상부롤러 지지대(341, 741)가 설치되고, 이 상부롤러 지지대(341, 741)에는 상부롤러(360, 76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상부롤러(360, 760)는 상기 하부롤러(350, 750)의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회전축(330, 730)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향되게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상부롤러(360, 760)의 회전시 상술한 제1가이드프레임(100), 제2가이드프레임(400) 및 제3가이드프레임(500)의 제1경사면(120, 420, 520), 수직면(130, 430, 530), 제2경사면(140, 440, 540)과 하부롤러(350, 750)와 동시에 맞닿아 맞닿는 면에 의해 회전축(330, 730)을 중심으로 회전프레임(340, 74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에는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은 상술한 제1회전제어프레임(321, 721)의 상부로 절곡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회전제어프레임(321, 721)과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이 상하로 배치된 상태에서 로드(370, 770)가 두 부재를 관통하는데, 이러한 로드(370, 770)는 제1회전제어프레임(321, 721)에서부터 삽입되어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의 외부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의 외부까지 연장된 로드(370, 770)의 외주면에는 스프링부재(380, 78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스프링부재(380, 780)는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의 상면에 설치되되, 스프링(382, 782)의 탄성이 조절되도록 로드(370, 77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이 로드(370, 770)의 외주면에는 탄성조절너트(371, 771)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부재(380, 780)는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이 상기 제1후크(310) 및 상기 제2후크(7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경우 탄성이 증가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380, 78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의 상면과 맞닿는 하판(381, 781)과, 이 하판(381, 781)의 상면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는 스프링(382, 782)과, 이 스프링(382, 782)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383, 78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로드(370, 770)는 상판의 외부까지 연장형성되며, 탄성조절너트(371, 771)는 상판(383, 783)의 상측까지 연장된 로드(370, 77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에는 회전프레임(340, 740)의 회전되는 범위를 제어하는 스톱퍼(390, 79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스톱퍼(390, 79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를 회전프레임(340, 740)에 구비된 제어통공(E)에 설치하여 볼트(B) 몸체가 제1회전제어프레임(321, 721)의 하면과 맞닿으면 회전이 멈추도록 하며, 회전프레임(340, 740)의 회전각이 조절되도록 제어통공(C)은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제1개폐부에 도 2의 제2개폐부가 접근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예컨대, 승객이 1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입구의 일측에 설치된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제어부(미도시)에서 이를 감지하여 타층에 위치하고 있던 엘리베이터 카를 1층으로 이동시며, 이에 따라, 제1개폐부(10)로 제2개폐부(20)가 접근된다.
상기와 같이 제1개폐부(10)로 제2개폐부(20)가 접근되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재(300)의 상부롤러(360)는 제2가이드프레임 및 제3가이드프레임의 제1경사면(420, 520,)과 맞닿게 되고, 제2결합부재(700)의 상부롤러( 760)는 제1가이드프레임의 제1경사면(120)과 되면서 각각의 회전프레임(340, 740)은 각각의 회전축(330, 730)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프레임(340, 740)이 일측으로 회전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통공(210)과 제2고정통공(610)에 의해 제1후크(310)와 제2후크(710)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던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700)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이 해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이 해제되면, 도어(11)와 도어페널은 오픈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렇게 오픈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도어(11)와 도어패널을 동시에 오픈시키는데, 도어(11)와 도어패널의 오픈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700)는 제1고정프레임(200)과 제2고정프레임(600)으로부터 이격된다.
한편, 도어(11)와 도어패널이 오픈된 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데, 이때에는 도 2에 도시된 제2가이드프레임(400)에 의해 도 7에서 제1결합부재(300)의 작동 라인을 지시하는 지시선(b)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결합부재(300)의 하부롤러(350)가 밀리면서 도어(11)와 도어패널은 닫히게 된다.
여기서, 제3가이드프레임(500)은 도어(11)와 도어패널의 오픈시 제1결합부재의 상부롤러(360)를 미는 것이다.
이때, 제1후크(310)와 제2후크(710)가 제1고정통공(210)과 제2고정통공(61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제1고정프레임(200)과 제2고정프레임(600)의 타측 단부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220, 6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제1후크(310)와 제2후크(710)가 경사부(220, 620)를 타고 이동시 회전프레임(340, 740)은 회전축(330, 73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이동되다가 제1고정통공(210)과 제2고정통공(610)에 삽입된 순간 "딸칵"하는 소리와 함께 결합이 되어 도어패널(11)과 도어가 열리지 않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도어(11)와 도어패널이 개폐되는 것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700)가 제1가이드프레임(100), 제2가이드프레임(400) 및 제3가이드프레임(500)을 따라 이동되는 구간에서만 엘리베이터 도어의 강제오픈을 허락하는 것이 특징인데, 이에 따라, 비상시 엘리베이터의 강제오픈 되는 구간이 제어가 된다.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강제오픈 구간이 제어되면, 안정적인 구조가 가능하며, 제1가이드프레임(100), 제2가이드프레임(400) 및 제3가이드프레임(500)을 벗어난 구간에서는 엘리베이터의 강제 오픈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강제오픈이 불가능한 구간에서는 비상 전력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가까운 층까지 이동시킨 후,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100), 제2가이드프레임(400) 및 제3가이드프레임(500)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승객을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는 높이인 60~70cm 정도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내부의 승객을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는 높이는 건물 각층의 엘리베이터 입구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위아래로 30cm~35cm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정전 또는 그 외 긴급한 문제로 운행도중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이 임의로 도어를 개방하여 탈출을 시도하다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턱 끝단과 건물 내벽 사이의 틈새로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가 설치될 경우 그 틈새을 막아 추락 방지용으로 설치하던 패널(최하층부터 최상층까지 설치)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승강기 제작과 설치에 소요되는 전체 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제1가이드프레임
200-제1고정프레임
300-제1결합부재
400-제2가이드프레임
500-제3가이드프레임
600-제2고정프레임
700-제2결합부재

Claims (4)

  1.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패널(11) 상부에 구비된 제1개폐부(10)의 정면에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가이드프레임(100);과
    상기 제1개폐부(10)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에는 제1고정통공(210)이 구비되는 제1고정프레임(200);과
    상기 도어패널(11)의 상부에 설치되어 함께 작동되되, 일측에는 상기 제1고정통공(2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후크(310)가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300);와
    건물 엘리베이터 입구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진입시 상기 도어패널(11)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함께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 제2개폐부(20)의 정면에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후크(310)와 제1고정통공(210)의 결합을 해체시켜 도어패널(11)의 열림을 허락하는 제2가이드프레임(400);과
    상기 제2개폐부(20)의 전면에 설치되며, 도어패널(11)의 닫힘시 상기 제1후크(310)가 제1고정통공(210)과 결합되도록 하는 제3가이드프레임(500);과
    상기 제2개폐부(20)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에는 제2고정통공(610)이 구비되는 제2고정프레임(600);과
    상기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함께 작동되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2고정통공(6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후크(710)가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건물 엘리베이터 입구로 진입시,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100)에 의해 상기 제2고정통공(610)과 제2후크(710)의 결합이 해체되어 도어가 열리도록 하는 제2결합부재(7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프레임(200)과 제2고정프레임(60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통공(210)과 제2고정통공(610)의 단부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220, 6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700)는,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패널(11)과 도어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프레임(320, 720);과
    상기 결합프레임(320, 720)에 구비되는 회전축(330, 730);과
    상기 회전축(330, 7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프레임(340, 740);과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330, 730)과 동일축 상에 설치되는 하부롤러(350, 750);과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롤러 지지대(341, 741);와
    상기 상부롤러 지지대(341, 741)에 결합되되, 상기 하부롤러(350, 75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330, 730)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향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360, 760);와
    상기 결합프레임(320, 720)에 형성되는 제1회전제어프레임(321, 721);과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에 형성되되, 상기 제1회전제어프레임(321, 72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과
    상기 제1회전제어프레임(321, 721)에서 삽입되어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의 외부까지 관통하는 로드(370, 770);와
    상기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의 상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로드(370, 770)가 관통되며, 이 로드(370, 770)의 상측 단부에는 탄성조절너트(371, 771)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이 상기 제1후크(310) 및 상기 제2후크(7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경우 탄성이 증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부재(380, 780);가 구비되되,
    상기 스프링부재(380, 780)는 상기 제2회전제어프레임(342, 742)의 상면과 맞닿는 하판(381, 781):과, 이 하판(381, 781)의 상면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는 스프링(382, 782);과, 이 스프링(382, 782)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383, 783);이 포함되며,
    상기 회전프레임(340, 740)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톱퍼(390, 79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프레임(100), 제2가이드프레임(400) 및 제3가이드프레임(500)은,
    배면에 구비되는 결합바(110, 410, 510);와
    상기 결합바(110, 410, 510)의 정면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상부롤러(360, 760)와 맞닿도록 일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120, 420, 520);과
    상기 제1경사면(120, 420, 520)의 상단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면(120, 420, 520)을 통과한 상기 상부롤러(360, 760)를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직면(130, 430, 530);과
    상기 수직면(130, 430, 530)의 상단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타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140, 440, 54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KR1020110080388A 2011-08-12 2011-08-12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KR101257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388A KR101257878B1 (ko) 2011-08-12 2011-08-12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388A KR101257878B1 (ko) 2011-08-12 2011-08-12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767A KR20130017767A (ko) 2013-02-20
KR101257878B1 true KR101257878B1 (ko) 2013-04-24

Family

ID=47896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388A KR101257878B1 (ko) 2011-08-12 2011-08-12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8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318B1 (ko) 2018-05-02 2019-08-12 이장문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장치
KR20220132810A (ko) 2021-03-24 2022-10-04 이장문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051A (ja) * 1998-07-10 2000-01-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施錠装置
KR20010036450A (ko) * 1999-10-08 2001-05-07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안전 잠금장치
KR20050032175A (ko) * 2003-10-01 2005-04-07 유승주 엘리베이터의 랜딩도어 잠금장치
KR20060040602A (ko) * 2005-12-20 2006-05-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051A (ja) * 1998-07-10 2000-01-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施錠装置
KR20010036450A (ko) * 1999-10-08 2001-05-07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안전 잠금장치
KR20050032175A (ko) * 2003-10-01 2005-04-07 유승주 엘리베이터의 랜딩도어 잠금장치
KR20060040602A (ko) * 2005-12-20 2006-05-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318B1 (ko) 2018-05-02 2019-08-12 이장문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장치
KR20220132810A (ko) 2021-03-24 2022-10-04 이장문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767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9964B2 (en) Elevator car,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checking, maintaining and/or repairing an elevator system
CN100593505C (zh) 电梯的轿厢门联锁装置
CN110407068B (zh) 电梯轿厢框架
JP2014118258A (ja) 乗り場扉ロック装置
US20170190547A1 (en) Elevator door coupler assembly
JP665706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9573796B (zh) 机械井道入口控制装置
JPWO2013046364A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125787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KR20110026556A (ko) 엘리베이터 랜딩도어의 인터록 장치
JP5004123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20190031468A1 (en)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KR100880570B1 (ko)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JP5430682B2 (ja) エレベータ
KR102086246B1 (ko)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KR200481777Y1 (ko)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 무빙잠금장치
KR101833878B1 (ko) 무레일 슬라이딩 게이트
US20160236908A1 (en) Elevator door arrangement
KR102337522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상부 지지 조립체
WO2012025992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77750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이탈방지 구조
JP2011152979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2011084385A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KR10176474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 이탈방지구조
KR200384074Y1 (ko)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