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074Y1 -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074Y1
KR200384074Y1 KR20-2005-0003925U KR20050003925U KR200384074Y1 KR 200384074 Y1 KR200384074 Y1 KR 200384074Y1 KR 20050003925 U KR20050003925 U KR 20050003925U KR 200384074 Y1 KR200384074 Y1 KR 200384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elevator
plate
fixed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용
Original Assignee
박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용 filed Critical 박갑용
Priority to KR20-2005-0003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0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다수의 발광센서와 수광센서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물체를 감지하는 제 1감지부와 카도어 사이에 위치되는 물체인 얇은 판재 등을 접촉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제 2감지부를 상기 카도어의 서로 대응된 일측에 일체로 체결.설치하므로서 엘리베이터 이용시 비접촉방식의 제 1감지부에 의해 승객의 불쾌감을 해소함은 물론 접촉으로 인한 상기 제 1감지부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접촉방식의 제 2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 1감지부에서 감지하지 못하는 얇은 판재 등을 용이하게 감지함은 물론 충돌 등으로 인한 상기 제 1감지부의 감지불량이나 오작동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 운행을 보장할 수 있고, 승객과의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Double safety device for elevator door}
본 고안은 승객 또는 소정의 물체 등을 다른 장소로 이송 및 운반하는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이용시 카도어 사이에 승객 또는 물건이 끼이지 않도록 상기 카도어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광센서가 장착된 발광부와 상기 광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가 한쌍의 고정바에 각각 삽입.장착되는 제 1감지부와, 상기 한쌍의 고정바 중 어느 하나의 고정바에는 상기 카도어의 전방 일측에 체결수단인 나사로 수직.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바는 상기 카도어의 마주보는 전방의 일측 상/하부에 각각 고정된 제 2감지부에 의해 견고하게 수직으로 체결.고정되어 상기 카도어가 닫힐 때 그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모든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다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직되게 상/하로 유동하며 층간의 승객 또는 소정의 물체를 이송 및 운반하는 종합적인 기기로서,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구성은 크게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육면체의 카(car)와, 상기 카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권양기(捲揚機), 가이드 레일(안내궤도), 권양기의 부하(負荷)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카의 무게와 상대적으로 매달려 움직이는 카운터웨이트 및 상기 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여 권양기의 회전바퀴에 걸리는 와이어로프(wire rope)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전방에는 한쌍의 카도어가 설치되어 층간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소정의 시간동안 자동으로 그 개폐가 진행되어 승객 또는 물체 등의 승하차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승하차 도중 상기 카도어가 닫혀 그 사이에 물체 등이 끼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상기 카도어에 설치된 안전장치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를 작동시켜 닫히던 카도어를 다시 개방하여 승하차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카도어에 설치되는 종래의 안전장치는 접촉방식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좌우측 카도어의 각 링크장치를 통해 카도어 좌우측 세이프티 슈가 설치되고, 상기 세이프티 슈 상부에는 레버사 볼트로 고정되며 이 레버의 상부에는 스토퍼 롤러가 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와 대응하는 스토퍼 브래킷이 도어레일에 볼트로 고정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안전장치는 승객 또는 물체 등을 용이하게 감지하여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의 안전성과 신뢰성이 이미 검증된 상태이나 승객의 신체와 상기 카도어가 부딪힐 경우 승객으로부터 불쾌감을 조성하고, 특히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사용하는 휠체어와 같은 기구나 물체 등과 부딪치면 불쾌감은 물론 상기 세이프티 슈의 파손은 물론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제기되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비접촉식의 안전장치가 소개된 바 있는데 상기 비접촉식 안전장치의 구성은 카도어의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하나 또는 다수의 광센서와 이 광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통공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카도어가 닫히는 상태에서 그 사이에 승객 또는 물체가 위치하면 상기 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카도어가 다시 개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안전장치는 승객의 신체에 상기 카도어가 접촉되지 않게하여 불쾌감을 주지 않고 안전한 엘리베이터 운행이 가능하였으나, 상기 광센서의 설치 간격에 따라 그 감지영역이 정해지므로 감지영역에 속하지 않는 부분에 얇은 판재 등이 위치되면 광센서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물체의 충돌 등으로 광센서의 작동 오류시 상기 카도어가 닫히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 운행에 지장을 주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수의 발광센서와 수광센서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물체를 감지하는 제 1감지부와 카도어 사이에 위치되는 물체인 얇은 판재 등을 접촉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제 2감지부를 상기 카도어의 서로 대응된 일측에 일체로 체결.설치하므로서 엘리베이터 이용시 비접촉방식의 제 1감지부에 의해 승객의 불쾌감을 해소함은 물론 접촉으로 인한 상기 제 1감지부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접촉방식의 제 2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 1감지부에서 감지하지 못하는 얇은 판재 등을 용이하게 감지함은 물론 충돌 등으로 인한 상기 제 1감지부의 감지불량이나 오작동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 운행을 보장할 수 있고, 승객과의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에 설치되어 승객 또는 물체를 보호하며 엘리베이터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안전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발광센서가 수직으로 배열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발광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수신센서가 배열된 수광부가 한쌍의 고정바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장착되어 형성된 제 1감지부와; 카도어의 전방 상/하부에 나사로 각각 체결.고정되는 것으로, 그 일측 상/하부에 2개의 스톱퍼가 결합된 한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 중앙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그 하부가 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에는 접지편이 일체로 체결된 링크와, 상기 링크의 상부와 연결핀으로 고정되는 체결편이 일측으로 돌출.성형되고, 상/하부에는 결합공이 각각 통공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에 형성된 결합공과 동일한 위치에 결합공을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체결판의 타측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 일측 하부에는 상기 링크의 접지편과 접지되는 스위치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 일측 하부에 그 일단이 나사로 고정되고, 상기 링크의 접지편에 그 타단이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서 된 제 2감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감지부의 한쌍의 고정바 중 하나의 고정바는 나사에 의해 카도어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바는 그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기에 상기 제 2감지부의 체결판과 지지판이 삽입되게 하여 볼트와 너트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상기 카도어의 전방 일측에 일체로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 1감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감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해 보인 정 단면도 및 도 5a, 5b는 본 고안이 작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중안전장치는 제 1감지부(100)와 제 2감지부(200)로 크게 구성되는데, 제 1감지부(100)는 카도어(10) 사이에 위치되는 승객 또는 물체 등을 비접촉방식으로 감지하여 상기 카도어(10)의 개폐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다수의 발광센서(112)가 설치된 긴 막대형상의 발광부(110)와 이에 대응되게 상기 발광센서(112)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다수의 수광센서(122)가 설치된 긴 막대형상의 수광부(120)가 구비되어 한쌍의 고정바(130)(140)에 각각 삽입.장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발광부(110)와 수광부(120)는 상기 한쌍의 고정바(130)(140) 중 어떠한 고정바(130)(140)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한쌍의 고정바(130)(140)는 주로 금속재인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되어 카도어(10)의 높이에 따라 알맞게 절단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한쌍의 고정바(130)(140) 중 하나의 고정바(130)는 카도어(10)가 서로 마주보며 접하는 일측에 체결수단인 나사(n)에 의해 수직으로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바(140)는 그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42)가 하기에서 서술되는 제 2감지부(200)의 체결판(250)과 지지판(260)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카도어(10)의 접하는 일측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쌍의 고정바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내부에 소정 길이로 내향되게 돌출된 다수의 고정돌기(134)(1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 고정돌기(134)(144)에 의해 상기 고정바(130)(140)에 장착되는 발광부(110)와 수광부(120)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외부 이물질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센서 기능을 유지.보존함은 물론 상기 고정바(130)(140)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므로 전체적으로 무게를 줄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제 2감지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감지부(100)에서 감지하지 못하는 얇은 판재와 같은 물체와 접촉되는 고정바(130)(140)의 유동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카도어(10)의 개폐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직사각형의 금속판체로 구비되는 한쌍의 플레이트(210)(220) 일측 상/하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톱퍼(230)를 각각 설치하고, 중앙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금속 막대형태의 링크(240)의 하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축(S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게 된다.
상기 링크(240)의 일측과 접하는 스톱퍼(230)는 고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레이트(210)(220)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링크(240)의 하단에는 "ㄱ"자 형태로 절곡된 접지편(242)이 나사(n)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상기 링크(240)의 상부에는 체결편(252)이 일측으로 돌출된 체결판(250)이 연결핀(S2)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상기 체결판(250)의 체결편(252)을 중심으로 하여 그 상/하부에는 소정 직경의 결합공(254)이 각각 통공되어 있고, 이 결합공(254)과 동일한 결합공(264)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금속판체로 성형되는 지지판(260)을 상기 체결판(250)의 타측에 위치시켜 상기 결합공(254)(264)을 통해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체결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2감지부(200)에 포함된 한쌍의 플레이트(210)(220)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210) 일측 하부에는 상기 링크(240)의 하단에 결합된 접지편(242)과 접지되어 카도어(10)의 개폐를 제어하는 통상적인 스위치(270)가 설치되며,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220) 일측 하부에는 스프링(280)의 일단이 나사(n)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240)의 하단에 설치된 접지편(242)에 고정시켜 상기 스프링(280)의 탄성에 의해 상기 링크(240)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이중안전장치의 설치는 먼저, 제 1감지부(100)에 포함되는 한쌍의 고정바(130)(140) 중 어느 하나의 고정바(130)를 마주보는 카도어(10)의 전방 일측에 다수의 나사(n)에 의해 수직으로 고정.설치한 다음 다른 하나의 고정바(140)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42)에 상기 제 2감지부(200)에 포함되는 체결판(250)과 지지판(260)을 삽입시켜 상기 고정바(140)의 적정한 높이에 제 2감지부(200)가 위치되면 볼트(B)를 회전시켜 상기 체결판(250)과 지지판(260) 및 결합돌기(142)가 동시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140)의 일측 상/하부에 제 2감지부(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감지부(200)에 포함되는 한쌍의 플레이트(210)(220)를 카도어(10)의 전방에 체결수단인 나사(n)로 견고하게 체결하여 상기 고정바(140)를 한쌍을 이루는 다른 고정바(130)와 대응되도록 하여 카도어(10)의 전방 일측에 수직.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의 이중안전장치의 작용은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이용시 층간 이동이 완료되어 카도어(10)가 개방되면 동시에 제 1 및 제 2감지부(100)(200)가 작동하게 되는데, 상기 제 1감지부(100)의 발광부(110)에서는 다수의 발광센서(112)에 의해 포토광선을 발산하게 되고, 수광부(120)의 수광센서(122)에서는 이 포토광선을 특정 신호로 받아들이게 되며 상기 특정신호가 차단되지 않고 일정시간 수신되면 상기 카도어(10)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며 일정시간 수신이 되지 않거나 순간적으로 상기 특정신호가 차단될 경우에는 상기 제 1감지부(100)에서 이를 감지하여 승객 또는 물체와의 접촉없이 카도어(10)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카도어(10) 사이에 제 1감지부(100)의 발광센서(112)에서 감지가 용이하지 못한 물체 예컨데 얇은 판재 등이 위치되거나 또는 충돌 등으로 인한 감지에러 및 오작동에 의해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카도어(10)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면서 한쌍의 고정바(130)(140)에 상기 물체가 접촉되면 일측 카도어(10)에 설치된 고정바(140)가 닫히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고정바(140)의 상/하부에 설치된 제 2감지부(200)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제 2감지부(200)의 제어에 의해 닫히던 카도어(10)가 재개방되어 엘리베이터의 안전한 운행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카도어(10) 사이에 얇은 판재가 위치되면 이 물체와 접촉된 고정바(140)가 진행되는 반대방향으로 유동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바(140)의 일측 상/하부에 설치된 체결판(250)과 지지판(260)도 유동되게 되고, 상기 체결판(250)의 일측에 돌출된 체결편(252)에 그 상부가 연결핀((S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링크(240)가 그 하부에 힌지축(S1)으로 고정된 플레이트(210)(220)의 중심에서 회전하며 상기 링크(240)의 하단에 설치된 접지편(242)이 상기 플레이트(210) (220)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210) 일측 하부에 설치된 스위치(270)에서 동시에 떨어지면 이를 인식하여 닫히던 카도어(10)를 다시 재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10)(220)의 일측 상/하부에 각각 체결된 스톱퍼(230)에 의해 상기 링크(240)의 회전이 한정되어 원상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카도어(10)의 재개방이 이루어지면 동시에 상기 제 2감지부(200)에 포함되는 한쌍의 플레이트(210)(220)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220) 일측 하부에 나사(n) 고정된 스프링(280)의 탄성에 의해 힌지축(S1)으로 고정된 링크(240)가 상기 플레이트(220)상에서 회전하여 원상복귀되고, 상기 링크(240)와 축설된 체결편(252)의 체결판(250)과 지지판(260) 및 상기 고정바(120)도 원상복귀되어 제 2감지부(200)의 감지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당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중 감지기능을 수행하는 제 1 및 제 2감지부를 카도어 상에 일체로 연결.설치할 수 있는 고정바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를 제공하므로서, 상기 제 1 및 제 2감지부의 조립과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여 설치 작업의 효율성 향상과 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고, 무엇보다 감지방식에 있어서 비접촉식과 접촉식을 동시에 사용하여 승객의 불쾌감을 해소함은 물론 어떠한 물체 즉, 얇은 판재 등의 감지도 원활하게 수행하여 엘리베이터에 대한 신뢰성 향상 및 안전 운행을 보장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감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감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해 보인 정 단면도.
도 5a, 5b는 본 고안이 작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도어 100 : 제 1감지부 110 : 발광부
112 : 발광센서 120 : 수광부 122 : 수광센서
130, 140 : 고정바 142 : 결합돌기 134, 144 : 고정돌기
200 : 제 2감지부 210, 220 : 플레이트 230 : 스톱퍼
240 : 링크 242 : 접지편 250 : 체결판
252 : 체결편 254, 264 : 결합공 260 : 지지판
270 : 스위치 280 : 스프링 n : 나사
S1 : 힌지축 S2 : 연결핀

Claims (2)

  1.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에 설치되어 승객 또는 물체를 보호하며 엘리베이터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안전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발광센서(112)가 수직으로 배열된 발광부(110)와, 상기 발광부(11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수신센서(122)가 배열된 수광부(120)가 한쌍의 고정바(130)(140)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장착되는 제 1감지부(100)와;
    카도어(10)의 전방 상/하부에 나사(n)로 각각 체결.고정되는 것으로, 그 일측 상/하부에 2개의 스톱퍼(230)가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플레이트(210)(220)와,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10)(220) 중앙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그 하부가 힌지축(S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에는 접지편(242)이 일체로 체결된 링크(240)와, 상기 링크(240)의 상부와 연결핀(S2)으로 고정되는 체결편(252)이 일측으로 돌출.성형되고, 상/하부에는 결합공(254)이 각각 통공된 체결판(250)과, 상기 체결판(250)에 형성된 결합공(254)과 동일한 위치에 결합공(264)을 형성하여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상기 체결판(250)의 타측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지지판(260)과,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210)(220)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210) 일측 하부에는 상기 링크(240)의 접지편(242)과 접지되는 스위치(270)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220) 일측 하부에 그 일단이 나사(n)로 고정되고, 상기 링크(240)의 접지편(242)에 그 타단이 고정되는 스프링(280)을 포함하여서 된 제 2감지부(200)를 구비하여 상기 제 1감지부(100)의 한쌍의 고정바 (130)(140)중 하나의 고정바(130)는 나사(n)에 의해 카도어(1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바(140)는 그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돌기(142)에 상기 제 2감지부(200)의 체결판(250)과 지지판(260)이 삽입되게 하여 볼트(B)와 너트(N)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상기 카도어(10)의 전방 일측에 일체로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고정바(130(140)의 내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고정돌기(134)(144)를 내향되게 돌출시켜 상기 발광부(110)와 수광부(120)가 더욱 견고하게 각각 장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
KR20-2005-0003925U 2005-02-15 2005-02-15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 KR200384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25U KR200384074Y1 (ko) 2005-02-15 2005-02-15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25U KR200384074Y1 (ko) 2005-02-15 2005-02-15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074Y1 true KR200384074Y1 (ko) 2005-05-11

Family

ID=4368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925U KR200384074Y1 (ko) 2005-02-15 2005-02-15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0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527A (ko) * 2014-11-28 2016-06-08 권회왕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527A (ko) * 2014-11-28 2016-06-08 권회왕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KR101646393B1 (ko) 2014-11-28 2016-08-08 권회왕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585B2 (en) Hoistway intrusion detection
PT1490284E (pt) ''sistema de monitorização de poço para elevador''
JP5321731B2 (ja) 安全位置センサ付きエレベータ
JP5297895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KR101987563B1 (ko) 휠체어리프트 승강장도어의 일체형 잠금 및 감시장치
CN101500926A (zh) 电梯
KR200384074Y1 (ko)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
KR20100010939U (ko)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 장치
JP4802713B2 (ja) エレベータの故障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改修方法
KR101092223B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CN113086816A (zh) 一种开启电梯层门用的二次保护装置
KR102085972B1 (ko)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US6495933B2 (en) Powered trap door device for vehicle
WO2005040030A1 (en) Elevator system
KR200355804Y1 (ko)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32409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KR10125787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JPS58172188A (ja) エレベ−タ−の閉扉力検出装置
KR101436675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US11566462B2 (en) Safety system for automatic door
KR101278946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JP2011225308A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安全装置
KR20110011941U (ko) 차량용 도어 닫힘 제어장치
JPS6366084A (ja) エレベ−タの出入口安全装置
EP4082956A1 (en) Elevator door with door guard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