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972B1 -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972B1
KR102085972B1 KR1020190105707A KR20190105707A KR102085972B1 KR 102085972 B1 KR102085972 B1 KR 102085972B1 KR 1020190105707 A KR1020190105707 A KR 1020190105707A KR 20190105707 A KR20190105707 A KR 20190105707A KR 102085972 B1 KR102085972 B1 KR 102085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oor
hole
fix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김경하
강동욱
Original Assignee
김성환
김경하
강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김경하, 강동욱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102019010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상부연결홀과 하부연결홀을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일측은 도어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고정홀과 대응되는 상부회전홀과 하부회전홀이 형성되는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가 결합 시 각 단이 상기 고정홀과 상기 회전홀을 일체로 관통결합하여 힌지축을 형성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 되어 상기 샤프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도어에 하나이상이 형성되고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센싱된 거리값을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Electronically controlled opening and closing angle automatic adjustment device with sensor detection}
개시된 내용은,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부의 거리 감지와 제어부의 모터 회전 값 제어를 통하여 도어의 회전 반경 중심부의 상하 돌출식 스토퍼를 포함한 힌지를 전자적으로 회전시켜 개폐각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근래 자동차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자동차를 주차 또는 정차시킬 수 있는 주차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며, 주차공간 또한 협소한 상태이다.
그래서 운전자가 주차공간이 협소한 주차장에 주차하여 도어를 개방할 경우 차량 양측에 주차된 타차량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고, 이는 사회적인 도어제로도 이슈화되고 있다.
이는 타 차량의 도어 개방으로 인해 자신의 차량 일부가 손상되는 문제를 초래된다.
물론 이러한 것을 방지하고자 도어 표면에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패드나 도어 끝단에 스펀지를 부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 패드나 스펀지 등은 재질 특성상 장시간 사용할 경우 접착력의 약화로 도어에서 떨어지는 도어제가 있었고, 무엇보다 도어의 일정 부분만 보호하게 된다.
도어 개방으로 인한 차량 파손의 도어제는 외부 장애물이나 보도의 턱 높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직접 또는 사이드미러를 통해 외부 장애물이나 보도 턱의 높이를 확인한 후 도어를 열지만, 사각 지대의 존재로 인하여 외부 장애물 또는 높이가 있는 보도 등과의 충돌을 완전하게 방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야간의 주정차시에는 차량의 좌/우 측면을 직접 확인하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었고, 직접 확인하더라도 주정차 장소가 어두운 곳일 경우에는 확인 자체가 어려웠다.
무엇보다 근래 차량에 장착된 도어는 열림 각도 범위를 제어하지 못한다. 즉 도어는 개방시 도어 열림 최대 각도까지 회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도어의 개방 방향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도어가 장애물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도어와의 접촉으로 인해 타 차량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도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2694호에는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는 차량 도어 및 사이드미러에 설치되어 차량 외측 방향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가 감지한 값을 이용하여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그리고, 상기 거리 산출부의 거리값을 이용하여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발명에는 차량주위의 장애물을 감지센서와 산출부에서 계산된 값을 바탕으로 제어부를 통해 도어의 열림각도가 제한된다고만 기재되어 있을 뿐 구체적인 제어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외측 방향에만 센서가 부착되어 내측 방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도어 개방시 장애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차량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정하고 있어 해당 장치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발명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9109호에는 열린 도어의 개폐 각도를 경첩이 위치하는 도어과 도어틀 사이에 추가적으로 설치된 괘해정 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실사용시 도어의 개폐 각도 조절을 위해 도어의 외부에 별도의 받침부재를 설치해 주지 않고도 신속 용이하고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이룰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과 더불어 안전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도어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를 게시하고 있다.
이를 더 상세하게 살펴보자면, 도어(D)에 연결·설치되어 있되, 일측에는 고정판(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12)의 타측에는 연결관(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관(14)의 내측 하부에는 다각형의 삽입홈(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6)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홈(16)과 연통을 이루는 체결홈(1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재(10)와; 상기 걸림부재(10)와 대응되는 도어틀(P)에 연결·설치되어 있되, 일측에는 도어틀(P)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타측에는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레버(26)를 갖는 괘해정부재(23)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각도조절부재(20)와; 상기 걸림부재(10)와 각도조절부재(20)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연결관(14)을 관통하여 조절너트(19) 와 체결을 이룰 수 있도록 볼트부(3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다각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있는 걸림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발명은 도어의 각도제한 효과를 위해 필요한 구성들이 많아 제조비용 많이 들어 비경제적이며,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2694호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9109호
개시된 내용의 목적은, 도어을 열거나 도어이 열려있을 경우 외부 혹은 내부의 장애물로 인하여 사람의 부상이나 물체의 손상을 방지함으로 도어을 열거나 열려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자동적으로 최소화함으로 도어 사용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상부연결홀과 하부연결홀을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일측은 도어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고정홀과 대응되는 상부회전홀과 하부회전홀이 형성되는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가 결합 시 각 단이 상기 고정홀과 상기 회전홀을 일체로 관통결합하여 힌지축을 형성하는 샤프트와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 되어 상기 샤프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도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센싱된 거리값을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토퍼본체와 상기 스토퍼본체의 상부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작동면이 형성되는 하부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연결홀의 하부에 상기 작동면과 맞닿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상부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스토퍼는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스토퍼는 상기 스토퍼본체보다 일부분 돌출된 형태로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범위 안에서 특정 각도를 가져 상기 스토퍼본체의 특정 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의 작동면은 상기 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부의 상기 접촉면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스토퍼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범위 안에서 특정 각도를 갖으며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에 상기 회전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각 결합공에 결합되여 상기 회전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고정부를 고정 시키기 위한 상부고정홀 및 하부고정홀이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각 고정홀에 결합되여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고정홀과 상기 하부고정홀의 사이에는 각 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홀과 상기 하부고정홀을 연결 시키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는 센서부의 장애물과의 거리 감지를 토대로 제어부에서 회전 값을 산출 받아 모터가 샤프트의 중앙부에 작동 면을 포함한 하부스토퍼가 설치된 샤프트를 회전시켜 힌지를 통해 도어의 개폐각도를 전자제어식으로 자동 조절하여 도어의 열림으로써 발생 될 수 있는 추돌 사고나 자동차 도어 개폐사고, 차량 도어콕 사고 등 물적, 인적 피해 또한 방지 할 수 있으며, 또한 센서부를 내측을 향하게 설치하여 도어 끼임 사고나 기타 끼임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를 불측의 사고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차량 등 물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에 적용된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에 적용된 실시예에 따른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개시된 내용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는 도어(D)에 연결 설치되어 있되, 도어(D)의 회전 반경의 중심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앙부에 작동면(111)을 포함한 하부스토퍼(110)가 설치되는 샤프트(100)와, 작동면(111)과 맞닿는 접촉면(211)을 포함한 상부스토퍼(210)와 샤프트가 관통하는 상부회전홀(220), 하부회전홀(221)을 포함하며 도어(D)에 부착되어 샤프트(100)와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회전부(200)와, 샤프트(100)가 관통하는 상부연결홀(310), 하부연결홀(311)을 포함하며 회전부(200)와 샤프트(100)를 결합하여 벽면이나 프레임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고정부(300)와, 도어(D)에 연결 설치되며 하나 이상 부착되어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부(S)와 센서부(S)가 감지한 거리를 측정하여 모터(M)에 회전 값을 전달하는 제어부(C)와, 샤프트(100)에 연결되어 제어부(C)로부터 받은 회전 값을 통해 샤프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터(M); 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미작동 된 샤프트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샤프트(100)는 도어(D)의 회전 반경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D)의 회전운동의 중심 축 역할을 한다. 샤프트(100)가 위치하는 도어(D)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도어(D)이나, 자동차의 도어, 자동차의 트렁크, 어린이 보호시설과 같이 도어과 추돌사고가 있을 위험이 있는 곳, 공용 락커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도어(D)를 말한다.
이러한 점은 장애물이나 위험물, 추돌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는 곳에서 모듈화를 통한 자동적 제어 설계를 통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물적, 인적 피해를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앙부에 작동면(111)을 포함한 하부스토퍼(110)가 설치된다.
샤프트(100)는 한 개 이상의 하부스토퍼(110)를 포함하며 스토퍼본체(120)보다 일부분 돌출된 형태로 회전부(2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범위 안에서, 즉 회전부(200)의 상부스토퍼(210)와 맞닿아 회전이 방해받지 않는 특정한 각도를 가진다.
상기 스토퍼본체(120)는 하부스토퍼(110)의 돌출부분과 모든 부분이 일치하지 않도록 한다.
즉 하부스토퍼(110)의 모든 부분이 돌출되어서는 안 된다.
이는 하부스토퍼(110)와 회전부(200)의 상부스토퍼(210)가 어느 정도의 최소 유격 거리를 가지고 설계되어 제어부(C)의 제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도어(D)의 개폐각도가 제한될 수 있게 한다.
샤프트(100)의 작동면(111)은 모터(M)의 회전력으로 일정각도를 회전하여 회전부(200)의 접촉면(211)과 맞닿음으로써 회전을 제한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할 시에 회전부(200)의 접촉면(211)의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를 사용하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샤프트(100)는 도어(D)의 하중과 사람이 도어을 미는 힘, 비틀림 모멘트, 피로강도를 많이 받을 수 있음으로 강도와 경도는 높은 것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미작동된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200)는 작동면(111)과 맞닿는 접촉면(211)을 포함한 상부스토퍼(210)와 샤프트(100)가 관통하는 상부회전홀(220)과 하부회전홀(221)을 포함하고, 도어(D)에 부착되어 샤프트(100)와의 회전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회전부(200)는 도어(D)에 상기 회전부(200)를 고정 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230)이 포함되어 있고 결합공(230)의 모양은 체결부재가 체결력을 확보해 줄 수 있다는 전제하에 적용될 도어(D)에 따라 다르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어(D)이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범위 안에서 특정 각도를 가진 한 개 이상의 상부 스토퍼(210)가 존재하여 센서부(S)에 의해 샤프트(100)의 각도 조절이 요구될 때 하부 스토퍼(110)의 각도가 조절되어 상부 스토퍼(210)와 접촉하여 도어(D)의 개폐각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00)는 도어(D)의 하중과 사람의 미는 힘을 견디기 위해 샤프트(100)와 고정부(300)와 마찬가지로 강도와 경도가 높은 재질이 선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센서부(S)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모터(M)가 회전하면서 샤프트(100)의 각도가 조절되고 조절된 각도를 통해 회전부(200)의 회전 반경이 줄어들면서 도어(D)의 개폐각을 제한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회전부(200)에 샤프트(100)가 관통되는 상부회전홀(220)과 하부회전홀(22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100)의 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축이 관통되며 체결되므로 회전부(200)와 샤프트(100)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200)의 접촉면(211)을 제외하고 나머지 접촉면들은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해 마찰력이 적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회전부(200)의 모양은 도어콕 방지를 하기 위한 차량에 설치, 유아 손끼임 방지를 위한 집안 내부 방도어 설치, 피아노 덮개를 덮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손끼임 방지를 위한 피아노 덮개에 설치 등 도어(D)의 개폐각도 조절이 필요한 상황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미작동된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샤프트(100)가 관통하는 상부연결홀(310)과 하부연결홀(311)을 포함하며 회전부(200)와 샤프트(100)를 결합하여 벽면이나 프레임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고정부(300)이다.
상기 고정부(300)는 벽면이나 프레임에 상기 고정부(300)를 고정 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상부고정홀(320) 및 하부고정홀(321)이 형성된다.
상부고정홀(320)과 하부고정홀(321)에 체결부재의 일 예인 나사나 볼트 등을 사용하여 벽면이나 프레임에 고정이된다.
상부고정홀(320) 및 하부고정홀(321)은 체결부재의 모양과 형태에 따라서 구멍의 크기와 모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개수 또한 늘어날 수 있다.
고정부(300)가 고정되어 연결되는 벽면과 프레임은 도어(D)의 용도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닫이 도어(D)의 경우에는 도어(D)의 옆 벽면이 고정되는 부분이 될 것이며, 자동차 도어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프레임이 고정되는 부분이 될 것이다.
상기 고정부(300)에는 샤프트(100)가 체결되는데 상부연결홀(310)과 하부연결홀(31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는 샤프트(100)의 축을 양쪽 홀로 체결한다.
이때 상부고정홀(320) 및 하부고정홀(321)의 모양은 샤프트(100)의 축 모양에 따라서 변할 수 있으며 회전하는데 있어서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상부고정홀 및 하부고정홀 (320,321)은 축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뚫려 있어야 한다.
고정부(300)의 내부에는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부(200)가 함께 체결 되어야 하는데 샤프트(10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부(200)의 상하부회전홀(220,221)과 고정부의 홀(320,321)이 같은 동심을 가지고 체결이 되어야 한다.
상기 고정부(300)의 상부연결홀(310)과 하부연결홀(311)의 사이에는 각 홀을 연결하고 고정시키는 연결부(330)가 있는데 고정부(300)의 내부에 결합되는 샤프트(100)와 회전부(200)의 크기에 따라서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다.
다만,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0)의 내측에 회전부(200) 및 샤프트(100)가 일체로 결합 되어 안착 되기 위해, 연결부(330)의 길이는 회전부(200)의 상부회전홀(220)의 상단에서 하부회전홀(221)의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만곡 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330)의 길이와 외측으로 만곡되는 형상에 의해, 회전부(200)와 샤프트(100)가 일체로 결합 되어 고정부(300)의 내측에 안착 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고, 샤프트(100)의 회동구동이 간섭없이 이뤄지게 된다.
고정부(300)의 상부연결홀(310)을 포함한 윗부분과 하부연결홀(311)을 포함한 아랫부분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두 부분을 연결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300)는 샤프트(100)와 회전부(200)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무게를 버텨야 하며 샤프트(100)와 회전부(200)를 겉에서 결합시켜야 하기 때도어에 경도와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센서부(S)는 통상적으로 도어(D)의 외측에 연결, 설치되며 하나 이상 부착되어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는 차량의 도어(D)를 개폐할 때 장애물을 미리 인식하고 열림각도를 제어하여 도어의 스크래치나 파손등을 예방 할 수 있고 도어을 열 때에도 추돌 위험을 센서부(S)가 미리 감지하여 도어 추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서 센서부(S)는 도어(D)의 외측이 아닌 다른 부위에도 설치될 수 있다.
외측이 아닌 곳에 설치되는 경우 도어 끼임 사고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트렁크의 손 끼임 사고나 피아노 뚜껑의 부?힘등을 방지 할수 있다.
센서부(S)가 감지한 거리를 측정,계산하여 측정값에 따라서 장애물과의 거리를 단계별로 산출하여 모터(M)에 회전 값을 전달하는 제어부(C)는 도어(D) 내측의 설치되며 충격이나 환경적 변수가 적은 곳에 설치한다.
모터(M)는 샤프트(100)에 연결되어 제어부(C)로부터 받은 회전 값을 통하여 일정 영역을 회전하며 샤프트(100)의 각도를 조절한다. 모터(M)는 사람의 미는 힘이나 충격이나 높은 하중 등의 의해서 부하를 받을 수 있음으로 이를 방지 하는 장치가 필요하고 모터가 잠기는 빽래쉬 현상도 방지를 해야 한다.
모터(M)는 샤프트(100)를 회전시키고 장애물이 있다고 판단되어 작동면(111)과 접촉면(211)이 맞닿았을 때의 하중도 견뎌야 함으로 출력과 토크가 안정적인 것이 필요하다.
모터(M)가 동작하게 될 때 도어(D)의 하중이 크게 되면 관성의 의해서 모터(M)가 많은 부하를 받을 수 있는데 이 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자동차의 브레이킹 시스템과 같이 순차적으로 모터가 움직이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샤프트 110: 하부 스토퍼
111: 작동면 120: 스토퍼본체
200: 회전부 210: 상부 스토퍼
211: 접촉면 220: 상부회전홀
221: 하부회전홀 230: 결합공
300: 고정부 310: 상부연결홀
311: 하부연결홀 320: 상부고정홀
321: 하부고정홀 330: 연결부
D: 도어
M: 모터
S: 센서

Claims (9)

  1.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상부연결홀과 하부연결홀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일측은 도어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상부연결홀 및 상기 하부연결홀과 대응되는 상부회전홀과 하부회전홀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가 결합 시 각 단이 상기 상부연결홀과 상기 하부연결홀 및 상기 상부회전홀과 상기 하부회전홀을 일체로 관통결합하여 힌지축을 형성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 되어 상기 샤프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상기 도어에 하나이상이 형성되고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거리값을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토퍼본체와 상기 스토퍼본체의 상부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작동면이 형성되는 하부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회전홀의 하부에 상기 작동면과 맞닿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상부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홀과 상기 하부연결홀의 사이에는 일방이 개구되고 각 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연결홀과 상기 하부연결홀을 연결 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의 길이는 상기 상부회전홀의 상단에서 상기 하부회전홀의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큰 값을 갖고, 외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가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토퍼는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토퍼는 상기 스토퍼본체보다 일부분 돌출된 형태로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범위 안에서 특정 각도를 가져 상기 스토퍼본체의 특정 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작동면은 상기 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부의 상기 접촉면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토퍼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범위 안에서 특정 각도를 갖으며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에 상기 회전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각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고정부를 고정 시키기 위한 상부고정홀 및 하부고정홀이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각 고정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9. 삭제
KR1020190105707A 2019-08-28 2019-08-28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KR102085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707A KR102085972B1 (ko) 2019-08-28 2019-08-28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707A KR102085972B1 (ko) 2019-08-28 2019-08-28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972B1 true KR102085972B1 (ko) 2020-03-06

Family

ID=6980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707A KR102085972B1 (ko) 2019-08-28 2019-08-28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905B1 (ko) * 2021-09-01 2022-07-08 임태연 유리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정제방법
KR102433094B1 (ko) * 2021-09-01 2022-08-18 주식회사 대정파마 유리반응기를 포함하는 의약품 재결정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109Y1 (ko) 2003-04-21 2003-07-07 손유진 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JP2004346577A (ja) * 2003-05-21 2004-12-09 Asmo Co Ltd 車両用ドア開扉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開扉制御方法
JP2005264616A (ja) * 2004-03-19 2005-09-29 Shiroki Corp ドアチェック装置
KR200401116Y1 (ko) * 2005-08-11 2005-11-15 두우균 요철형 경첩
KR200429171Y1 (ko) * 2006-07-24 2006-10-18 남진백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자동 개폐문 경첩
KR20170112694A (ko) 2016-04-01 2017-10-12 주식회사 디젠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109Y1 (ko) 2003-04-21 2003-07-07 손유진 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JP2004346577A (ja) * 2003-05-21 2004-12-09 Asmo Co Ltd 車両用ドア開扉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開扉制御方法
JP2005264616A (ja) * 2004-03-19 2005-09-29 Shiroki Corp ドアチェック装置
KR200401116Y1 (ko) * 2005-08-11 2005-11-15 두우균 요철형 경첩
KR200429171Y1 (ko) * 2006-07-24 2006-10-18 남진백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자동 개폐문 경첩
KR20170112694A (ko) 2016-04-01 2017-10-12 주식회사 디젠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905B1 (ko) * 2021-09-01 2022-07-08 임태연 유리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정제방법
KR102433094B1 (ko) * 2021-09-01 2022-08-18 주식회사 대정파마 유리반응기를 포함하는 의약품 재결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0497B2 (en) Power lift gate for automotive vehicle
KR102085972B1 (ko)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JP4929291B2 (ja) 車両用の車体部品の閉動作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RU2660093C1 (ru) Дверн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бесступенчатым ограничителем открытия двери
KR102591937B1 (ko) 특히 충돌을 피하기 위해 감속의 의미에서 자동차 도어에 영향을 주기 위한 방법 및 장치
RU2670565C2 (ru) Система двери дл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A2611323C (en) Pivoting and barrier locking operator system
US7071644B2 (en) Control device of automotive power pivot door
ES2211194T3 (es) Procedimiento y disposicion para el control y regulacion electricos del movimiento de un agregado accionado electricamente de un automovil.
JP2009520893A5 (ko)
KR20000011427A (ko) 백도어를구비한모터차량
CA2478078A1 (en) Shaft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US6073394A (en) Door system
RU2570974C1 (ru)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испособлений для входа и выхода из средств обществен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KR102202841B1 (ko) 문콕 예방 가능한 자동차문
JP2009535534A (ja) 車両用乗込口システム
US7797881B2 (en) Garage door control system
WO2021121310A1 (en) A vehicle door hinge for a vehicle door, a tailgate hinge, a side door hinge and a vehicle
KR100987222B1 (ko) 차량용 도어체커의 개폐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949816B1 (ko) 차량 도어 충돌방지 장치
US6058563A (en) Door security device
KR102286580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KR200384074Y1 (ko)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
KR20150081241A (ko) 자동차 도어 충돌 방지 도어체커 및 시스템
CN216546088U (zh) 一种汽车门锁控制系统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