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16Y1 - 요철형 경첩 - Google Patents

요철형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16Y1
KR200401116Y1 KR20-2005-0023225U KR20050023225U KR200401116Y1 KR 200401116 Y1 KR200401116 Y1 KR 200401116Y1 KR 20050023225 U KR20050023225 U KR 20050023225U KR 200401116 Y1 KR200401116 Y1 KR 200401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shaft hole
fix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우균
Original Assignee
두우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우균 filed Critical 두우균
Priority to KR20-2005-0023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7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axial friction, e.g. friction dis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2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being constructed in a way to remain too small or too wide to cause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굴절식 출입문(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0346751호)에 장착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로 분리되는 원통 형상의 몸통에는 걸림턱과 걸림돌기 및 축공과 다수 개의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부몸통의 하단 표면과 하부몸통의 상단 표면 및 걸림돌기의 표면과 걸림턱의 표면 등에 마찰 증대용 요철을 미세하게 형성하여, 그 경첩을 상기 굴절식 출입문에 장착했을 때 굴절식 출입문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몸통의 전체적인 형태는 원통 형상으로서, 원통의 지름이 상기 굴절식 출입문의 문짝(60) 및 패널(70)의 두께와 같거나 비슷하고, 그 굴절식 출입문의 문짝 측면에 못(40) 박음 또는 나사 박음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통을 수평 상태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고정공(10c)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의 중심에는 상방으로 축공(1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축공의 둘레에는 걸림돌기(10b)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의 표면과 걸림돌기의 표면에 마찰 증대용 요철(10d)이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첩의 상부몸체(10-1)와;
몸통은 상기 상부몸체와 비슷한 원통 형상으로, 굴절식 출입문의 패널(70)의 측면에 못(40) 박음 또는 나사 박음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통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다수 개의 관통공(20c)과 고정공(20d)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중심부에는 하방으로 축공(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공(20a)의 둘레에는 걸림턱(20b)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의 표면과 걸림턱(20b)의 표면에 마찰 증대용 요철(20e)이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첩의 하부몸체(20-1)와;
몸통의 전체적인 형태는 원주 형상으로, 그 몸통을 수평 상태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고정공(30a)과 관통공(3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몸체(10-1)의 축공(10a)안에 상단 부분이 삽입된 다음 상부몸체에 못 박음 또는 나사 박음으로 고정되며, 하단의 대부분은 하부몸체(20-1)의 축공(20a) 안에 삽입된 상태로 경첩이 회동할 때 하부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몸체(10-1)가 이탈하지 않도록 작용하는 회동축(30-1) 등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요철형 경첩{Prominent and Depressed type Hinges}
본 고안은 상기 굴절식 출입문에 장착되는 요철형 경첩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하부로 분리되는 경첩의 몸통에는 걸림턱과 걸림돌기를 형성함과 함께 축공과 복수 개의 고정공 및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부몸체의 하단 표면 및 하부몸체의 상단 표면과 걸림턱의 표면 및 돌출턱의 표면에 마찰 증대용 요철을 미세하게 형성하여, 그 경첩을 상기 굴절식 출입문의 패널과 문짝 사이에 장착하면 패널과 문짝 사이에 크게 벌어지는 문틈이 생기지 않게 됨은 물론 굴절식 출입문이 원활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문설주와 문짝을 견고하게 체결시켜주는 기능과 그 문을 개폐할 때 문설주로부터 문짝이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이 있다.
그리고 경첩의 종류는, 우리 전통의 돌쩌귀부터 완충 스프링이 내장된 경첩과 유압 제어 방식에 의한 완충 경첩 등 여러 가지 특징 있는 경첩들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경첩들이 장착된 출입문은 문을 조금만 열어도 문설주와 문짝 사이가 크게 벌어지고, 그같이 벌어지는 문틈에 어린아이의 손가락이 껴서 다치는 등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문설주와 문짝 사이의 벌어지는 문틈은 문을 조금만 열어도 그 문틈을 통해 외부에서 실내를 훤히 볼 수 있으므로, 문설주와 문짝 사이의 문틈은 노출시키기 싫은 사생활을 외부에 쉽게 노출시켜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기존 출입문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키기 위해 굴절식 출입문에 장착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목적이 있다.
첫째; 경첩의 원통 지름을 굴절식 출입문의 문짝 및 패널의 두께와 비슷하거나 같게 하여, 그 경첩을 굴절식 출입문의 패널과 문짝 사이에 장착했을 때, 출입문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출입문의 외관까지 미려하게 하는 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둘째; 굴절식 출입문을 열었을 때 문설주와 패널 사이 및 패널과 문짝 사이에 크게 벌어지는 문틈이 생기지 않도록 본 고안의 경첩이 작용하여, 그 벌어진 문틈에 어린아이의 손가락이 껴서 다치던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문틈을 통해 발생하는 실내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상하부 몸체에 걸림돌기와 걸림턱 등을 형성함과 함께 상부몸체의 하단 표면과 하부몸체의 상단 표면 및 걸림돌기와 걸림턱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본 고안을 장착한 굴절식 출입문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통의 전체적인 형태가 원통 형상으로, 몸통의 지름이 상기 굴절식 출입문의 문짝 및 패널(70)의 두께와 같거나 비슷하고, 문짝(60)의 측면에 못(40) 박음 또는 나사 박음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통을 수평 상태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고정공(10c)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 중심부에는 상방으로 축공(1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축공의 둘레에는 걸림돌기(10b)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의 표면과 걸림돌기의 표면에 마찰 증대용 요철(10d)이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첩의 상부몸체(10-1)와;
상기 상부몸체와 비슷한 원통 형상의 몸통으로, 패널(70)의 측면에 못(40) 박음 또는 나사 박음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통을 수평 상태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20c)과 고정공(20d)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중심부에는 하방으로 축공(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공의 둘레에는 걸림턱(20b)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표면과 걸림턱(20b)의 표면에 마찰 증대용 요철(20e)이 미세하게 형성돼 있는 경첩의 하부몸체(20-1)와;
원주 형상의 몸통을 수평 상태로 관통하는 다수 개의 고정공(30a)과 관통공(3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몸체(10-1)의 축공(10a) 안에 상단 부분이 삽입된 다음 상부몸체에 못(40) 박음 또는 나사 박음으로 고정되며, 하단의 대부분은 하부몸체의 축공(20a) 안에 삽입된 상태로 경첩이 회동할 때 하부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몸체(10-1)가 이탈하지 않도록 작용하는 회동축(30-1)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 경첩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 1a 내지 도 4i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고안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입면도로서,
도 1a는 상하부 몸체와 회동축 등이 분리된 본 고안의 입면도며,
도 1b는 상부몸체의 축공 안에 회동축이 삽입된 본 고안의 입면도며,
도 1c는 축공 안에 삽입된 회동축을 못으로 고정시킨 본 고안의 입면도며,
도 1d는 조립이 완료된 본 고안의 입면도다.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고안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a는 상하부 몸체와 회동축 등이 분리된 본 고안의 단면도며,
도 2b는 상 몸체의 축공 안에 회동축이 삽입된 본 고안의 단면도며,
도 2c는 축공 안에 삽입된 회동축을 못으로 고정시킨 본 고안의 단면도며,
도 2d는 조립이 완료된 본 고안의 단면도다.
계속해서, 도 3a 내지 도 3f는 본 고안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3a는 경첩 장착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굴절식 출입문의 문짝에 장착되는 본 고안의 단면도며,
도 3b는 경첩 장착용 홈 안에 삽입된 상태에서 못 박음으로 문짝의 테두리에 상부몸체가 고정되는 본 고안의 단면도며,
도 3c는 문짝의 테두리에 상부몸체가 못 박음으로 고정된 본 고안의 단면도며,
도 3d는 상기 도 3c의 상태에서 경첩의 하부몸체를 90도 회전시켜 회동축의 관통공과 하부몸체의 관통공 및 고정공을 일직선상으로 맞춘 다음 패널의 측면에 밀착시킨 본 고안의 단면도며,
도 3e는 못 박음으로 패널의 측면에 하부몸체가 고정된 본 고안의 단면도며,
도 3f는 패널과 문짝 사이에 장착된 본 고안의 단면도다.
계속해서, 도 4a 내지 도 4i는 본 고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4a는 본 고안이 장착된 굴절식 출입문의 닫쳐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며,
도 4b 내지 4e는 굴절식 출입문의 열리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굴절식 출입문을 처음 열 때는 패널(70)과 문짝(60)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본 고안의 경첩(10-1, 20-1)이 쉽게 회동하지 않게 되는 데, 그것은 상부몸체(10-1)의 하단 표면과 걸림돌기의 표면에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는 마찰 증대용 요철(10d)과, 하부몸체(20-1)의 상단 표면과 걸림턱(20b)의 표면에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는 마찰 증대용 요철(20e) 사이의 마찰 때문에 쉽게 회동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문설주(50)와 패널(70) 사이에 장착돼 있는 경첩(10-2, 20-2)에는 마찰 증대용 요철이 없기 때문에 이 경첩(10-2, 20-2)은 매우 유연하게 회동한다.
그러므로 문을 처음 열 때는 문설주(50)와 패널(70)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본 고안의 경첩이 유연하게 작동하면서 문이 열리게 되나, 도 4c와 같이 문(60)의 열린 각도가 문지방(50a)과 직각 정도가 되면 상기 경첩(10-2, 20-2)의 걸림돌기(10bb)가 걸림턱(20bb)에 걸리면서 회동하던 경첩(10-2, 20-2)과 패널(70) 및 문짝(60)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고 정지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때부터는 도 4d 내지 도 4e와 같이 패널(70)과 문짝(60)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본 고안의 경첩(10-1, 20-1)이 회동하면서 문짝이 완전히 젖혀지게 되는 데,
상기 본 고안의 경첩(10-1, 20-1)은, 상부몸체(10-1)의 하단 표면과 걸림돌기(10b)의 표면에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는 마찰 증대용 요철(10d)과, 하부몸체의 상단 표면과 걸림턱의 표면에 미세하게 형성돼 있는 마찰 증대용 요철(20e) 때문에 유연하게 회동하지 않으므로, 여는 힘을 더 가해야 출입문이 활짝 열리게 된다.
그리고 도 4d 내지 도 4e와 같이 열려진 굴절식 출입문은, 패널(70)과 문짝(60) 사이에 장착돼 있는 본 고안의 경첩(10-1, 20-1)이 유연하게 회동하지 않기 때문에 문짝이 쉽게 닫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요철(10d, 20e)이 미세하게 형성돼 있는 패널(70)과 문짝(60) 사이의 경첩(10-1, 20-1)은 도어 홀더의 기능까지도 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 4f 내지 도 4i는 열려진 출입문이 본 고안의 작동에 따라 원래의 위치로 닫쳐지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문짝의 손잡이를 잡고서 문을 닫으면 문설주(50)와 패널(70)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경첩(10-2, 20-2)은 유연하게 회동하지만 패널(70)과 문짝(60)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본 고안의 경첩(10-1, 20-1)은 요철(10d, 20e) 때문에 쉽게 회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도시된 도 4f 내지 도 4i와 같이 열려진 굴절식 출입문이 닫칠 때는 문짝과 패널(70)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본 고안의 경첩(10-1, 20-1) 부분이 꺾여진 상태로 문설주 쪽 경첩(10-2, 20-2)을 축으로 하여 출입문이 닫히게 되는 데, 이때 닫쳐 지던 패널이 문지방(50a)에 걸림과 함께 걸림돌기(10bb)가 걸림턱(20bb)에 걸리면서 문설주(50) 쪽의 경첩(10-2, 20-2)은 회동이 정지 된다.
그러나 이후부터는 도 4h와 같이 문짝(60)과 패널(70)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본 고안의 경첩(10-1, 20-1)이 회동하면서 도 4i와 같이 문짝(60)이 문틀 안쪽으로 들어옴과 함께 도어 록(도시 생략)에 걸려서 출입문이 완전히 닫혀 지게 된다.
그리고 도 4i와 같이 도어 록에 걸려서 닫쳐진 굴절식 출입문은, 문이 열리는 쪽으로 문짝(60)을 밀쳐도 본 고안 경첩(10-1, 20-1)의 걸림돌기(10b)가 걸림턱(20b)에 견고하게 걸려 있기 때문에 패널(70)과 문짝(60) 사이가 꺾이지 않는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첩(10-1, 20-1)이 정밀하게 제작 되지 않았거나 잘못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굴절식 출입문의 닫혀 있는 문짝(60)을 외부에서 세게 밀치면 그 문짝이 휘청거릴 수 있다.
본 고안의 경첩은, 굴절식 출입문을 원활하게 작동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출입문을 개폐할 때 패널과 문짝 사이에 크게 벌어지는 문틈이 생기지 않으므로, 그 문틈에 철없는 어린아이의 손가락이 껴서 다치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굴절식 출입문의 외관까지 미려하게 한 효과가 있다.
한편 실내의 환기 등을 위해 활짝 열어 놓은 굴절식 출입문의 문짝이 바람 등으로 갑자기 닫쳐질 수 있는 데, 이러한 때 마찰 증대용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경첩이 도어 홀더의 기능을 하여, 열어 놓은 굴절식 출입문이 바람 등으로 쉽게 닫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고안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입면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고안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고안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i는 본 고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0-2 : 상부몸체 10a : 상부몸체의 축공
10b, 10bb : 걸림돌기 10c : 상부몸체의 고정공
10d : 상부몸체의 마찰 증대용 요철 20-1, 20-2 : 하부몸체
20a : 하부몸체의 축공 20b, 20bb : 걸림턱
20c : 하부몸체의 관통공 20d : 하부몸체의 고정공
20e : 하부몸체의 마찰 증대용 요철 30-1, 30-2 : 회동축
30a : 회동축의 고정공 30b : 회동축의 관통공
40 : 못(또는 나사) 50 : 문설주
50a : 문지방 60 : 문짝
60a : 문짝의 측면 70 : 패널
70a : 패널의 측면

Claims (1)

  1. 몸통의 전체적인 형태는 원통 형상으로, 몸통의 지름이 상기 굴절식 출입문의 문짝(60) 및 패널(70)의 두께와 같거나 비슷하고, 그 굴절식 출입문의 문짝 측면에 못(40) 박음 또는 나사 박음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통을 수평 상태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고정공(10c)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 중심부에는 상방으로 축공(1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축공(10a)의 둘레에는 걸림돌기(10b)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의 표면과 걸림돌기(10b)의 표면에 마찰 증대용 요철(10d)이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첩의 상부몸체(10-1)와;
    몸통은 상기 상부몸체와 비슷한 원통 형상으로, 상기 굴절식 출입문의 패널(70) 측면에 못(40) 박음 또는 나사 박음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통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20c)과 고정공(20d)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중심부에는 하방으로 축공(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축공의 둘레에는 걸림턱(20b)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의 표면과 걸림턱(20b)의 표면에 마찰 증대용 요철(20e)이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첩의 하부몸체(20-1)와;
    몸통의 전체적인 형태는 원주 형상으로, 그 몸통을 수평 상태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고정공(30a)과 관통공(3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몸체(10-1)의 축공(10a) 안에 상단 부분이 삽입된 다음 상부몸체(10-1)에 못(40) 박음 또는 나사 박음으로 고정되며, 하단의 대부분은 하부몸체(20-1)의 축공(20a) 안에 삽입된 상태로 경첩이 회동할 때 하부몸체(20-1)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몸체(10-1)가 이탈하지 않도록 작용하는 회동축(30-1)으로 구성된 요철형 경첩.
KR20-2005-0023225U 2005-08-11 2005-08-11 요철형 경첩 KR200401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225U KR200401116Y1 (ko) 2005-08-11 2005-08-11 요철형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225U KR200401116Y1 (ko) 2005-08-11 2005-08-11 요철형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6Y1 true KR200401116Y1 (ko) 2005-11-15

Family

ID=4370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225U KR200401116Y1 (ko) 2005-08-11 2005-08-11 요철형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972B1 (ko) * 2019-08-28 2020-03-06 김성환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972B1 (ko) * 2019-08-28 2020-03-06 김성환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116Y1 (ko) 요철형 경첩
KR200489898Y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KR200401110Y1 (ko) 복합 기능을 갖는 경첩
KR102184570B1 (ko) 가구용 상부경첩
KR20030056191A (ko) 천정점검구
KR200401115Y1 (ko) 원통형 경첩
JP2002357043A (ja) 蝶 番
JP4884952B2 (ja) 面付錠の外装構造
US20060090297A1 (en) Hinge capable of being installed to interior or exterior of doorplate
KR200337136Y1 (ko) 경첩
KR102206075B1 (ko) 가구용 하부경첩
KR200325027Y1 (ko) 도어 개방 고정구
US20060006666A1 (en) Inside latch structure
KR200184257Y1 (ko) 경첩장치
JPS6349477Y2 (ko)
KR200256739Y1 (ko) 문짝설치용 경첩의 힌지축 인출장치_
KR200338119Y1 (ko) 출입문용 경첩
JP4096244B2 (ja) 門扉用ヒンジキャップ
KR200398812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열림방지구조
KR200325062Y1 (ko) 밀고 당겨서 개폐하는 창문의 잠금장치
KR200283690Y1 (ko) 출입문용 경첩
KR200179240Y1 (ko) 문의 장금장치
JPS5815574Y2 (ja) 家具類における扉の蝶番装置
KR200287052Y1 (ko) 랫치볼트 고정장치
KR200315303Y1 (ko) 여닫이용 출입문과 문틀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