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694A -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694A
KR20170112694A KR1020160040149A KR20160040149A KR20170112694A KR 20170112694 A KR20170112694 A KR 20170112694A KR 1020160040149 A KR1020160040149 A KR 1020160040149A KR 20160040149 A KR20160040149 A KR 20160040149A KR 20170112694 A KR20170112694 A KR 20170112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sensor
obstacl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574B1 (ko
Inventor
김종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젠
Priority to KR1020160040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57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2Acou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외측 방향으로 장애물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한하여 장애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에는 차량 도어 및 사이드미러에 설치되어 차량 외측 방향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가 감지한 값을 이용하여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와, 상기 거리 산출부의 거리값을 이용하여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Door open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도어 열림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측면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그 장애물과의 거리값을 통해 도어의 열림 거리(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도어 열림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동차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자동차를 주차 또는 정차시킬 수 있는 주차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며, 주차공간 또한 협소한 상태이다. 그래서 운전자가 주차공간이 협소한 주차장에 주차하여 도어를 개방할 경우 차량 양측에 주차된 타차량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고, 이는 사회적인 문제로도 이슈화되고 있다. 이는 타 차량의 도어 개방으로 인해 자신의 차량 일부가 손상되는 문제도 초래된다.
물론 이러한 것을 방지하고자 도어 표면에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패드나 도어 끝단에 스펀지를 부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 패드나 스펀지 등은 재질 특성상 장시간 사용할 경우 접착력의 약화로 도어에서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무엇보다 도어의 일정 부분만 보호하게 된다.
도어 개방으로 인한 차량 파손의 문제는 외부 장애물이나 보도의 턱 높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직접 또는 사이드미러를 통해 외부 장애물이나 보도 턱의 높이를 확인한 후 도어를 열지만, 사각 지대의 존재로 인하여 외부 장애물 또는 높이가 있는 보도 등과의 충돌을 완전하게 방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야간의 주정차시에는 차량의 좌/우 측면을 직접 확인하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었고, 직접 확인하더라도 주정차 장소가 어두운 곳일 경우에는 확인 자체가 어려웠다.
무엇보다 근래 차량에 장착된 도어는 열림 각도 범위를 제어하지 못한다. 즉 도어는 개방시 도어 열림 최대 각도까지 회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도어의 개방 방향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도어가 장애물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도어와의 접촉으로 인해 타 차량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장착된 센서에 의해 차량 측면의 장애물(즉 외부 차량이나 고정 기구물, 보도 등)이 감지될 경우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한하여 차량 파손을 방지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측면에 장애물의 유무를 운전자 및 탑승자(즉 하차하는 사람)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 개방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차량 도어 및 사이드미러에 설치되어 차량 외측 방향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가 감지한 값을 이용하여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그리고 상기 거리 산출부의 거리값을 이용하여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거리 산출부가 산출한 거리값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네비게이션일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 중 도어용 센서는 도어의 하단 중앙에 설치되고, 사이드미러용 센서는 차량 측면을 기준으로 직각방향으로 장착되면서 상기 사이드미러의 최 외곽에 설치된다.
상기 도어용 센서 및 사이드미러용 센서는 함께 동작하거나 그 중 하나만 동작할 수 있고, 하나의 센서만 동작할 경우 상기 사이드미러가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사이드미러용 센서가 동작하여 도어의 외측 방향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사이드미러가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용 센서가 동작하여 도어의 외측 방향의 장애물을 감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 도어 및 사이드미러에 도어 외측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들을 장착하였고, 또한 이러한 센서들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할 때 장애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차량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에 센서가 부착된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센서의 감지 동작에 따라 차량 도어 열림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타 차량과의 거리 감지를 위해 제공된 예시 도면
도 5는 도어의 열림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
본 발명은 차량 측면에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 도어 개방시 도어와 장애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그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한하여, 도어가 파손되거나 상대 차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어 열림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에 센서가 부착된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를 보면 자신 차량의 측면에 위치한 각종 장애물(타 차량 및 기구물, 보도 등)을 감지하기 위해 차량에는 센서(110)(120)가 장착된다. 센서(110)(120)는 차량 도어 및 사이드미러에 장착되며, 도면부호 110은 도어용 센서로서 좌/우측 도어에 모두 장착된다. 이때 도어용 센서(110)는 도어 하단의 장애물 및 보도의 턱과 같이 낮게 위치한 장애물 등을 감지하기 위하여 도어의 하단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면부호 120은 사이드미러용 센서로서, 이는 차량 측면을 기준으로 직각되게 장착되며 사이드미러의 최 외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도어용 센서(110) 및 사이드미러용 센서(120)의 장착 위치는 달라질 수도 있다.
도어용 센서(110) 및 사이드미러용 센서(120)는 모두 동시에 동작하거나 또는 번갈아 가면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미러가 펴진 상태(즉, 후방을 볼 수 있는 상태)에서는 그 사이드미러용 센서(120)가 차량 측면의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고, 사이드미러가 접힌 상태에서는 도어용 센서(110)가 동작하여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도어용 센서(110)가 동작할 경우 사이드미러용 센서(120)는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이를 보면 앞서 설명한 도어용 센서(110) 및 사이드미러용 센서(120)가 제공된다.
그리고 이들 센서(110)(120)들이 감지한 값을 이용하여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130)가 구성된다.
거리 산출부(130)_가 산출한 거리값을 제공받는 제어부(140)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거리값을 출력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차량에 장착되는 전자제어장치(ECU)이거나 별도로 제공되는 CPU나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이에 의해 출력되는 감지 값은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장치(즉 네비게이션)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부(140)는 상기 센서(110)(120)들의 감지 값에 따라 차량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어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도어의 열림 각도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어서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차량 보호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센서의 감지 동작에 따라 차량 도어 열림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는 타 차량과의 거리 감지를 위해 제공된 예시 도면, 도 5는 도어의 열림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차량의 도어 및 사이드미러에 장착된 센서(110)(120)들은 모두 동작상태이다. 예로 차량을 주/정차하더라도 차량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는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감지 상태를 유지하며, 주/정차 후 차량 시동이 꺼진 상태가 되더라도 일정 시간동안에는 센서가 동작하도록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렇게 차량 도어 및 사이드 미러에 장착된 센서(110)(120)들은 평상시 또는 주정차시에 차량의 좌/우측에 존재하는 타 차량이나 장애물을 감지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미러용 센서(120)는 타 차량과의 거리(D1)를 감지하며, 도어용 센서(110)는 타 차량과의 거리(D2)를 감지하게 된다(s100). 즉 D1은 사이드미러용 센서(120)가 측정한 거리이고, D2는 도어용 센서(110)가 측정한 거리를 말한다.
상기 센서(110)(120)들의 감지 결과는 제어부(140)로 전달된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감지 값을 기초로 하여 측방에 장애물 유무를 확인한다(s110). 그리고 제 120 단계의 장애물 확인 결과에 따라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도어 열림 조건을 제한하지 않는다(s140). 즉, 도 5a와 같이 도어 열림의 최대 거리(D3)만큼 도어(10')를 열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 경우 제어부(140)는 측정된 D1 및 D2 값 중 짧게 측정된 거리를 스피커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하차하는 사람이 쉽게 인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만약 장애물 유무 결과에 따라 장애물이 존재하면, 제어부(140)는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한하게 한다(s130). 즉, 도 5b와 같이 장애물(P)이 존재하면, 제어부(140)는 도어의 최대 열림 각도(D3)에서 장애물까지의 거리(D2)를 차감하여 도어 열림 각도가 D4가 되게 한다. 즉 도어는 10"까지만 열 수 있다. 이에 운전자나 하차하는 사람은 도어 열림의 제한으로 인하여 도어를 최대 D4까지만 열 수 있다. 따라서 장애물(P)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어 개방으로 인하여 자신 차량의 도어 또는 타 차량의 도어나 차량 측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및 사이드미러에 장착된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도어의 외측방향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그 장애물이 접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도어가 열리도록 도어 열림 각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도어용 센서
120: 사이드미러용 센서
130: 거리 산출부
140: 제어부

Claims (4)

  1. 차량 도어 및 사이드미러에 설치되어 차량 외측 방향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가 감지한 값을 이용하여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그리고
    상기 거리 산출부의 거리값을 이용하여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산출부가 산출한 거리값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 중 도어용 센서는 도어의 하단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미러용 센서는 차량 측면을 기준으로 직각방향으로 장착되면서 상기 사이드미러의 최 외곽에 설치되는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용 센서 및 사이드미러용 센서는 함께 동작하거나 그 중 하나만 동작하며,
    하나의 센서만 동작할 경우 상기 사이드미러가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사이드미러용 센서가 동작하여 도어의 외측 방향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사이드미러가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용 센서가 동작하여 도어의 외측 방향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KR1020160040149A 2016-04-01 2016-04-01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KR102041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49A KR102041574B1 (ko) 2016-04-01 2016-04-01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49A KR102041574B1 (ko) 2016-04-01 2016-04-01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694A true KR20170112694A (ko) 2017-10-12
KR102041574B1 KR102041574B1 (ko) 2019-11-06

Family

ID=6014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149A KR102041574B1 (ko) 2016-04-01 2016-04-01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5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972B1 (ko) 2019-08-28 2020-03-06 김성환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WO2020222398A1 (ko) * 2019-05-01 2020-11-05 송진건 문콕 예방 가능한 자동차문
CN113216784A (zh) * 2021-04-21 2021-08-06 深圳市顺禾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车门控制方法、控制器以及车载
CN114458116A (zh) * 2022-01-19 2022-05-1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车门开度控制方法、系统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641A (ja) * 2005-09-01 2007-03-15 Yamaha Corp 自動車用障害物検知装置
KR20070089407A (ko) * 2006-02-28 2007-08-3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 도어 오픈 시 측면 충돌 방지 장치
KR20110089753A (ko) * 2010-02-01 2011-08-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105943A (ko) * 2011-03-17 2012-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641A (ja) * 2005-09-01 2007-03-15 Yamaha Corp 自動車用障害物検知装置
KR20070089407A (ko) * 2006-02-28 2007-08-3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 도어 오픈 시 측면 충돌 방지 장치
KR20110089753A (ko) * 2010-02-01 2011-08-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105943A (ko) * 2011-03-17 2012-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398A1 (ko) * 2019-05-01 2020-11-05 송진건 문콕 예방 가능한 자동차문
KR102085972B1 (ko) 2019-08-28 2020-03-06 김성환 센서 감지를 통한 전자제어식 개폐각 자동조절장치
CN113216784A (zh) * 2021-04-21 2021-08-06 深圳市顺禾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车门控制方法、控制器以及车载
CN114458116A (zh) * 2022-01-19 2022-05-1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车门开度控制方法、系统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574B1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2694A (ko)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CN107672592B (zh) 一种基于车辆主动变道或转向的车道保持辅助系统
CN108791280B (zh) 车辆车门的安防系统及其应用
KR20130061441A (ko) 차량의 도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01302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언폴딩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7097213A1 (zh) 控制车辆天窗开合的方法及系统
US11365580B2 (en) Method and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 vehicle adjusting part with output status information
CN109334597B (zh) 基于磁流变阻尼器的汽车开门防撞装置及方法
KR20190044727A (ko) 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064314A1 (en) Door contact-preventing sensors with door braking system
CN106672767A (zh) 一种汽车电梯的汽车位置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150044346A (ko) 차량의 전방필러에 의한 사각지대의 사고방지 장치 및 방법
US7797881B2 (en) Garage door control system
KR20160008833A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9080546A (zh) 用于折入机动车辆外后视镜的方法
CN205440116U (zh) 一种主动式车辆后方辅助预警系统
KR101797069B1 (ko) 차량 창문 개폐 감지 시스템 및 방법
EP2666945A1 (en) A door stop system
KR102430170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19093786A (ja) 車両の換気装置
TWI592322B (zh) 車輛車門開啓警示系統以及車輛車門開啓警示方法
JP7040931B2 (ja) 乗員保護装置
KR20050048095A (ko)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
CN111060976A (zh) 天窗探出检测装置
KR100516698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윈도우의 안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