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753A -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753A
KR20110089753A KR1020100009289A KR20100009289A KR20110089753A KR 20110089753 A KR20110089753 A KR 20110089753A KR 1020100009289 A KR1020100009289 A KR 1020100009289A KR 20100009289 A KR20100009289 A KR 20100009289A KR 20110089753 A KR20110089753 A KR 20110089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controlling
opening angle
do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9753A/ko
Publication of KR20110089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는, 자동차 도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도어와 주변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각 센서; 및 측정된 상기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chicle's Door}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하여 도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사이드 미러(Mirror)에 장애물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도어(Door)가 열릴 때 장애물이 감지되면, 더 이상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자동차 도어 락킹 장치는 도 1과 같이 차량에 도어의 체크암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축을 추가하고, 장애물을 감지하면 체크암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도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사용하였다.
즉, 종래의 방식은 기계적인 구조에 의존하므로, 근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동식 도어와 연계될 수 없었으며, 장애물 인식시에 각 도어를 기설정된 일정각도로만 제어할 수 있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한 각 도어 주변의 장애물에 따라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유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전동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는, 자동차 도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도어와 주변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각 센서; 및 측정된 상기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자동차 도어 제어 방법은, 자동차 도어에 각각 구비된 센서를 통하여 상기 각 도어와 주변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의 주변의 장애물의 거리와, 장애물의 움직임 등을 고려하여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유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도어 오픈시 사고 발생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전동식이므로 종래의 기계식 장치와 달리, 모듈화, 경량화할 수 있어, 전체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수명이 길어, 수리율이나, 교체율 등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도어 락킹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20)는 하나 이상의 센서(210),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20) 및 마이컴(230)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센서(210)는 자동차의 각 도어에 구비되어, 각 도어와 주변물체와의 거리 및 주변물체의 움직임 등을 측정한다. 여기서, 각 센서(210)는 거리센서, 영상센서, 적외선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20)는 각 센서(210)로부터 전달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마이컴(230)에 전달한다.
마이컴(230)은 각 센서(210)에 의하여 측정된 주변물체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한다.
이때, 마이컴(230)은 각 도어가 주변물체와 유지해야할 최소 거리 등을 정의한 기설정된 도어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주변물체의 움직임이나 자동차의 움직임 등을 고려하여 각 도어의 오픈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마이컴(230)은 자동차에 구비된 PGS(Parking Guide System) 및 내비게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연동장치(240)와 연동하여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동장치(240)의 모니터를 통해 주변물체를 좀더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와 주변물체의 거리와, 주변물체의 움직임 등을 고려하여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유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도어 오픈시 사고 발생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종래의 기계식 장치와 달리, 전동식이므로 모듈화, 경량화가 가능하여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수명이 길어 차량 수리율이나, 차량 교체율 등을 낮출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20)는 자동차 도어에 각각 구비된 센서를 통하여 각 도어와 주변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한다(S310).
이어서,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20)는 측정된 거리를 고려하여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한다(S320). 이때,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20)는 각 도어가 주변물체와 유지해야할 최소 거리 등을 정의한 기설정된 도어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한다.
또한,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20)는 자동차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또는 PGS(Parking Guide System)과 연동함으로써, 각 도어의 주변물체를 연동장치(240)의 모니터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주변물체를 좀더 정밀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연동장치(24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자동차 도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도어와 주변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각 센서; 및
    측정된 상기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하는 마이컴
    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에 구비된 PGS(Parking Guide System) 및 내비게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하는 것인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센서는, 상기 주변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마이컴은 감지된 상기 움직임을 고려하여 상기 각 도어의 오픈 속도를 제어하는 것인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기설정된 도어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하는 것인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컴에 전달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6. 자동차 도어에 각각 구비된 센서를 통하여 상기 각 도어와 주변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또는 PGS(Parking Guide System)과 연동하여 상기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 도어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센서를 통하여 상기 각 도어의 주변물체를 확인하여 모니터에 현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도어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각 도어의 오픈 각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 도어 제어 방법.
KR1020100009289A 2010-02-01 2010-02-01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897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289A KR20110089753A (ko) 2010-02-01 2010-02-01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289A KR20110089753A (ko) 2010-02-01 2010-02-01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753A true KR20110089753A (ko) 2011-08-09

Family

ID=4492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289A KR20110089753A (ko) 2010-02-01 2010-02-01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97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694A (ko) * 2016-04-01 2017-10-12 주식회사 디젠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DE102019217718A1 (de) 2018-11-30 2020-06-04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und verfahren zur verminderung von beeinträchtigungen zwischen gegenüberliegenden schiebetüren und ra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694A (ko) * 2016-04-01 2017-10-12 주식회사 디젠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DE102019217718A1 (de) 2018-11-30 2020-06-04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und verfahren zur verminderung von beeinträchtigungen zwischen gegenüberliegenden schiebetüren und rad
KR20200073297A (ko) 2018-11-30 2020-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휠 간섭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98137B2 (en) 2018-11-30 2023-03-07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opposite sliding doors and whe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2628B2 (ja) 駐車支援装置及び互いに曲げ可能な車両要素から構成される車両又は連結車両の駐車支援方法
CN102066185B (zh) 用于协助变换车道的车辆驾驶辅助系统
US20160300473A1 (en) Vehicle door opening warning system and vehicle door opening warning method
KR20130061441A (ko) 차량의 도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1487719B (zh) 停车导引装置及其方法
KR101601302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언폴딩 제어 장치 및 방법
JP4519957B2 (ja) 車両の運転支援装置
KR20120105943A (ko)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
CN100398358C (zh) 随车姿自动调整角度的汽车后视镜
JP5220797B2 (ja) 車両の運転支援装置
KR10141018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승객 안전하차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89753A (ko)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1574B1 (ko)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US85701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driver when reversing motor vehicle
KR101962403B1 (ko) 위상배열 광학빔 기반의 정위치 정차유도 장치 및 방법
KR100757579B1 (ko) 자동차용 모니터의 밝기와 각도 조절장치 및 방법
KR20060066691A (ko) 열차 정차 유도 장치
KR101361179B1 (ko) 차량용 안전시스템
KR100970087B1 (ko) 차량의 미러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88611B1 (ko) 차량용 주차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0956199B1 (ko) 차량용 도어체커의 개폐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430170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09241925A (ja) 車両の運転支援装置
KR20200073297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휠 간섭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2652B1 (ko) 지하철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