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8095A -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8095A
KR20050048095A KR1020030081928A KR20030081928A KR20050048095A KR 20050048095 A KR20050048095 A KR 20050048095A KR 1020030081928 A KR1020030081928 A KR 1020030081928A KR 20030081928 A KR20030081928 A KR 20030081928A KR 20050048095 A KR20050048095 A KR 20050048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tacle
vehicle
outside mirror
distanc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락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8095A/ko
Publication of KR20050048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09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방에 나타나는 전방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고 그 거리를 측정하는 전방감지수단과;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어 측방에 나타나는 측방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고 그 거리를 측정하는 측방감지수단과;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어 노면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고 그 높이를 측정하는 지면감지수단과; 상기 전방감지수단, 측방감지수단 및 지면감지수단으로부터 들어온 정보를 비교 및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좌/우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FOLDING)시켜주는 구동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측면에 접근하는 장애물의 위치뿐만 아니라 노면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높이도 고려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가 폴딩이 됨으로서, 차량이 운행하는 상황에 알맞게 아웃사이드미러를 보호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OUTSIDE MIRROR FOLD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전방감지수단, 측방감지수단, 지면감지수단, 제어수단 및 구동모터부을 설치하여 자동차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로부터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미러를 보호해주는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미러는 차실내에 설치된 백미러(BACK MIRROR)와 함께, 주행중에 자동차의 후방 및 측방의 상황을 관측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양측부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주행중에 운전자는 주행 차선의 좌/우의 후방측 도로의 상황을 파악하고, 차선의 변경시 방호운전을 위해 수시로 아웃사이드미러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같은 아웃사이드미러는 자동차의 안전운행을 위한 중요한 장치이다.
이러한 아웃사이드미러는 그 기능상 도어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까닭에, 아웃사이드미러는 전방에 출현되는 장애물이나 타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와 부딪쳐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아웃사이드미러를 자동차의 후방쪽으로 접어서 미러 부분을 도어에 밀착시키는 형식의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아웃사이드미러는 필요시 접혀진 채로 도어에 밀착되어, 장애물이나 타차량과의 추돌을 방지하거나 손상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 차체의 프론트쪽에서 리어쪽으로 부딛치는 힘에 대해서는 아웃사이드미러가 뒤로 젖혀지면서 그 힘을 흡수하여 아웃사이드미러의 파손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의 매뉴얼 방식의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일반 차량에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차량밖에서 직접 손으로 아웃사이드미러 하우징(HOUSING)(H)을 뒤로 밀어서 젖히는 방식이다.
도 2는 종래의 풀오토 방식의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사용자가 차량내부에서 작동스위치(S/W)를 통해 아웃사이드미러에 장치된 모터(M)를 구동시켜 하우징(H)를 뒤로 접는 방식이다.
도 3은 종래의 센서 동작형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차량이 주행중에 아웃사이드미러의 전방에 물체가 나타나면 아웃사이드미러에 장착된 센서(S)가 반응하여 하우징(H)를 접히게 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도 1내지 도 2의 종래의 기술은 운전가가 직접 주변상황을 판단하고 상황에 맞게 직접 아웃사이드 미러를 접어야하기 때문에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준다는 문제점과 도 3의 종래의 기술은 아웃사이드미러에 장착된 센서에만 의존해서 동작하기 때문에 오작동시 운전자의 시야각을 좁힐 수 있다는 문제점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에 전방감지수단, 측방감지수단, 지면감지수단, 제어수단 및 구동모터부를 설치하여 자동차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로부터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미러를 보호해주는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의 구성은, 차량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방에 나타나는 전방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고 그 거리를 측정하는 전방감지수단과;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어 측방에 나타나는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고 그 거리를 측정하는 측방감지수단과;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어 노면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고 그 높이를 측정하는 지면감지수단과; 상기 전방감지수단, 측방감지수단 및 지면감지수단으로부터 들어온 정보를 비교 및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좌우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FOLDING)시켜주는 구동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차량의 좌우 양측면에 장애물이 소정거리내에 근접하는 경우 차량 양쪽의 아웃사이드미러가 폴딩되는 단계와; 차량의 좌우측중 어느 한 방향에 장애물이 소정거리내에 근접하는 경우 한족의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하거나 편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의 좌우 양측면에 장애물이 소정거리내에 근접하는 경우 차량 양쪽의 아웃사이드미러가 폴딩되는 단계는, 전방 또는 측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장애물과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와 장애물과의 거리가 100mm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 좌우측 모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장애물이 좌우측 모두 존재시 장애물과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와의 거리가 50mm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장애물과 차량의 양측 아웃사이드미러와의 거리가 50mm이하일때 좌우측 양쪽의 아웃사이드미러가 접히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의 좌우측중 어느 한 방향에 장애물이 소정거리내에 근접하는 경우 한족의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하거나 편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는, 차고가 노면장애물의 높이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고가 노면장애물보다 높을때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가 50mm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가 50mm이하일때 장애물의 위치가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장애물이 좌측에 있을때 좌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하는 단계와; 장애물이 우측에 있을때 우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하는 단계와; 차고가 노면장애물보다 높지않을때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가 10mm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과 노면장애물과의 거리가 10mm이하일때 노면장애물의 위치가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노면장애물이 좌측에 있을때 좌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편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와; 노면장애물이 우측에 있을때 우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편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서부(10), 마이크로 프로세서(30) 및 아웃사이드미러 폴딩모터(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부(10)은 전방센서(11), 측방센서(13), 지면센서(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센서(11)는 차량의 앞범퍼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방에 나타난 장애물과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30)으로 입력한다.
상기 측방센서(13)는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에 설치되어 차량의 측방에 근접되는 장애물의 유무를 확인하고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30)으로 입력한다.
상기 지면센서(15)는 차량이 진행하고 있는 지면에 형성된 지면장애물(B)의 유무를 확인하고 그 높이를 측정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30)으로 입력한다.
이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상기 전방센서(11)에서 입력된 데이터, 측방센서(13) 및 지면센서(15)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아웃사이드미러가 폴딩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아웃사이드미러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만든후 아웃사이드미러 폴딩모터(50)로 입력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아웃사이드미러 폴딩모터(50)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 들어온 입력신호에 따라 한쪽 또는 양쪽의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에서 센서의 위치와 주변 장애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의 전방이나 측방에 존재하는 장애물(A)와 차량이 진행하고 있는 노면에 형성된 노면장애물(B)이 존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의 방법의 구성은,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의 좌우 양측면에 장애물(A)이 소정거리내에 근접하는 경우 차량 양쪽의 아웃사이드미러가 폴딩되는 단계(S100)와; 차량의 좌우측중 어느 한방향에 장애물(A)이 소정거리내에 근접하는 경우 한쪽의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하거나 편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쪽의 아웃사이드미러가 폴딩되는 단계(S100)는, 전방 또는 측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10)와; 장애물과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S120)와;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와 장애물(A)과의 거리가 100mm이하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30)와; 차량 좌우측 모두 장애물(A)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와; 장애물이 좌우측 모두 존재시 장애물과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와의 거리가 50mm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50)와; 장애물과 차량의 양측 아웃사이드미러와의 거리가 50MM이하일때 좌우측 양쪽의 아웃사이드미러가 접히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의 좌우측중 어느 한 방향에 장애물이 소정거리내에 근접하는 경우 한쪽의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하거나 편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300)는, 차고가 노면장애물(B)의 높이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10)와; 차고가 노면장애물(B)보다 높을때 차량과 장애물(A)과의 거리가 50mm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20)와; 차량과 장애물(A)과의 거리가 50mm이하일때 장애물(A)의 위치가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30)와; 장애물(A)이 좌측에 있을때 좌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하는 단계(S340)와; 장애물(A)이 우측에 있을때 우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하는 단계(S350)와; 차고가 노면장애물(B)보다 높지않을때 차량과 장애물(A)과의 거리가 10mm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60)와; 차량과 노면장애물(B)과의 거리가 10mm이하일때 노면장애물(B)의 위치가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70)와; 장애물(B)이 좌측에 있을때 좌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편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380)와; 노면장애물(B)이 우측에 있을때 우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편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3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가 장착된 차량이 넓은 길에서 좁은 길로 접어들 때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우측에 장애물과 노면장애물이 존재할 때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먼저 전방센서(11) 또는 측방센서(13)에서 장애물(A)이 있는지 확인(S110)한다. 이어서 만일 장애물(A)이 존재하면 측방센서(13)는 아웃사이드미러(C, D)와 장애물(A)과의 거리를 측정(S12)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그 거리가 100mm인지 판단(S130)한다. 만일 장애물(A)과의 거리가 100mm이하면 측방센서(13)는 차량의 좌우측 모두 장애물(A)가 존재하는지 판단(S140)하고 만일 모두 존재하면 그 거리가 50mm이하까지 근접(S150)하게 되면 아웃사이드미러 폴딩모터(50)가 양측 아웃사이드미러(C, D)는 폴딩(S160)하게 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측방센서(13)가 차량의 좌우측 모두 장애물(A)가 존재하는지 판단(S140)에서 좌우측 어느 한방향만 장애물(A)가 존재할때 노면센서(15)가 노면장애물(B)의 높이측정하고 비교(S310)하고 만일 차고가 노면장애물(B)보다 높으면, 측방센서(13)는 아웃사이드미러(C)와 장애물(A)의 거리를 측정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은 그 거리가 50mm이하인지 판단(S320)한다. 이어서 아웃사이드미러(C)와 장애물(A)의 거리가 50mm이하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은 장애물(A)의 위치가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판단(S330)하고 아웃사이드미러 폴딩모터(50)가 우측방향의 아웃사이드미러(C)를 폴딩(S350)하게 된다.
만일 노면장애물(B)의 높이를 측정하고 비교(S310)시 노면장애물(B)이 차고보다보다 높으면, 측방센서(13)는 노면장애물(B)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은 그 거리가 10mm이하인지 판단(S360)한다. 이어서 아웃사이드미러(C)와 노면장애물(B)와의 거리가 10mm이하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은 노면장애물(B)의 위치가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판단(S370)하고 우측방향의 아웃사이드미러(C)를 편 상태로 유지(S390)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양쪽 모두에 장애물이 어느정도 근접하면 좌/우측 모두 아웃사이드미러가 폴딩된다. 또한 차량의 좌/우측 한쪽에 장애물이 존재하고 노면장애물의 높이가 차고보다 낮다면 차량은 노면장애물은 무시하고 장애물과의 거리만을 고려하여 장애물과 근접하는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한다. 반면에 차량의 좌우측 한쪽에 장애물이 존재하고 노면장애물의 높이가 차고보다 높으면 차량은 운전자가 노면장애물을 피해 진행하기 때문에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측면에 접근하는 장애물의 위치뿐만 아니라 노면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높이도 고려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가 폴딩이 됨으로서, 차량이 운행하는 상황에 알맞게 아웃사이드미러를 보호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매뉴얼(MANUAL) 방식의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풀오토(FULL AUTO)방식의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센서(SENSOR) 동작형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에서 센서의 위치와 주변 장애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의 흐름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가 장착된 차량이 넓은 길에서 좁은 길로 접어들 때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우측에 장애물과 노면장애물이 존재할 때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 하우징 M : 모터
S/W : 스위치 S : 센서
A : 장애물 B : 지면장애물
10 : 센서부 11 : 전방센서
13 : 측방센서 15 : 노면센서
30 : 마이크로 프로세서 50 : 아웃사이드미러 폴딩모터

Claims (4)

  1. 차량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방에 나타나는 전방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고 그 거리를 측정하는 전방감지수단과;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어 측방에 나타나는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고 그 거리를 측정하는 측방감지수단과;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어 노면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하고 그 높이를 측정하는 지면감지수단과;
    상기 전방감지수단, 측방감지수단 및 지면감지수단으로부터 들어온 정보를 비교 및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좌/우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FOLDING)시켜주는 구동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2. 차량의 좌우 양측면에 장애물이 소정거리내에 근접하는 경우 차량 양쪽의 아웃사이드미러가 폴딩되는 단계와;
    차량의 좌우측중 어느 한 방향에 장애물이 소정거리내에 근접하는 경우 한족의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하거나 편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좌/우 양측면에 장애물이 소정거리내에 근접하는 경우 차량 양쪽의 아웃사이드미러가 폴딩되는 단계는,
    전방 또는 측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장애물과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와 장애물과의 거리가 100mm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 좌우측 모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장애물이 좌/우측 모두 존재시 장애물과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와의 거리가 50mm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장애물과 차량의 양측 아웃사이드미러와의 거리가 50mm이하일때 좌/우측 양쪽의 아웃사이드미러가 접히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차량의 좌우측중 어느 한 방향에 장애물이 소정거리내에 근접하는 경우 한족의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하거나 편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는,
    차고가 노면장애물의 높이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고가 노면장애물보다 높을때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가 50mm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가 50mm이하일때 장애물의 위치가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장애물이 좌측에 있을때 좌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하는 단계와;
    장애물이 우측에 있을때 우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폴딩하는 단계와;
    차고가 노면장애물보다 높지않을때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가 10mm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과 노면장애물과의 거리가 10mm이하일때 노면장애물의 위치가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노면장애물이 좌측에 있을때 좌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편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와;
    노면장애물이 우측에 있을때 우측 아웃사이드미러를 편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방법.
KR1020030081928A 2003-11-19 2003-11-19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 KR20050048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928A KR20050048095A (ko) 2003-11-19 2003-11-19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928A KR20050048095A (ko) 2003-11-19 2003-11-19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095A true KR20050048095A (ko) 2005-05-24

Family

ID=3724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928A KR20050048095A (ko) 2003-11-19 2003-11-19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809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491B1 (ko) * 2013-11-13 2014-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아웃 사이드 미러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477231B1 (ko) * 2013-05-10 2014-12-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출차 보조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
WO2017014358A1 (ko) * 2015-07-22 2017-01-26 알앤더스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미러 자동폴딩장치
KR20190057849A (ko) * 2017-11-21 2019-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3119976A (zh) * 2021-04-26 2021-07-16 宝能(广州)汽车研究院有限公司 窄路自动驾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231B1 (ko) * 2013-05-10 2014-12-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출차 보조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459491B1 (ko) * 2013-11-13 2014-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아웃 사이드 미러 제어장치 및 방법
WO2017014358A1 (ko) * 2015-07-22 2017-01-26 알앤더스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미러 자동폴딩장치
KR20190057849A (ko) * 2017-11-21 2019-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3119976A (zh) * 2021-04-26 2021-07-16 宝能(广州)汽车研究院有限公司 窄路自动驾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7099B2 (en) Automotive blind spot safety system and method
US6204753B1 (en) Collision protection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projecting motor vehicle parts
ES2387946T3 (es) Sistema de ayuda a la conducción de vehículos para asistencia en el cambio de carril
KR20070105386A (ko) 차량의 차로 변경 조종시의 충돌 방지 방법과 장치
US201101415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a collision of an object with a first vehicle door of a stationary vehicle
KR101601302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언폴딩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9334597B (zh) 基于磁流变阻尼器的汽车开门防撞装置及方法
US6978200B2 (en) Activation device for passenger protection apparatus
KR102041574B1 (ko)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KR20050048095A (ko) 아웃사이드미러 폴딩 장치 및 방법
JP5168775B2 (ja) 開閉体の開閉制御装置
CN109080546A (zh) 用于折入机动车辆外后视镜的方法
JP5168774B2 (ja) 開閉体の開閉制御装置
KR102430170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TWI592322B (zh) 車輛車門開啓警示系統以及車輛車門開啓警示方法
KR100534306B1 (ko)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삼방향 장애물 감지장치
KR0142502B1 (ko) 아웃사이드미러의 장애물감지 장치
US202301516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actless obstacle detection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front side door and a rear side door
KR0164484B1 (ko)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KR100419515B1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KR19980048035A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보호장치
KR19980045371A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의 자동 접이 및 경보장치
CN117944570A (zh) 车辆
KR0133976Y1 (ko) 자동차의 전후방 물체 경보장치
CN113928310A (zh) 一种汽车、车门防撞方法及车门防撞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