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527A -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527A
KR20160064527A KR1020140168235A KR20140168235A KR20160064527A KR 20160064527 A KR20160064527 A KR 20160064527A KR 1020140168235 A KR1020140168235 A KR 1020140168235A KR 20140168235 A KR20140168235 A KR 20140168235A KR 20160064527 A KR20160064527 A KR 20160064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elevator
frame
fasten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393B1 (ko
Inventor
권회왕
Original Assignee
권회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회왕 filed Critical 권회왕
Priority to KR1020140168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3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어 사람 또는 화물을 고층으로 수송하는 승강기의 이중 추락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기를 끌어 올리는 와이어가 끊어졌을 때 승강기에 설치된 추락방지 장치가 구동되어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함으로써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Emergency multi-braking apparatus for elevator}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어 사람 또는 화물을 고층으로 수송하는 승강기의 이중 추락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기를 끌어 올리는 와이어가 끊어졌을 때 승강기에 설치된 추락방지 장치가 구동되어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함으로써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 아파트, 공장에서는 사람 또는 화물을 고층을 수송하는 승강기가 설치되어 사람이나 화물을 편리하게 상,하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층 건물을 신축하는 건축현장에서도 건설자재를 옮기거나 인부들이 상부의 작업현장으로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임시로 가설되어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승강기는 건물 상부에 설치된 모터 구동에 의해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케이지에 탑승한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층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그런데 승강기에 많은 사람이 탑승하거나 고하중의 화물을 탑재하여 들어 올릴 경우 와이어에 높은 인장응력이 작용하여 와이어가 끊어져 승강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오랫동안 사용하여 와이어가 노후되었을 때 와이어가 끊어져 승강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승강기의 와이어가 끊어지면 인명피해 및 재산손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가 끊어졌을 때 승강기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여러 형태의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기존에 설치된 승강기에 추락방지 장치를 설치할 수 없는 구조이거나, 기존에 설치된 승강기에 추락방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승강기의 승강기 레일까지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899360호,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2484호,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승강기를 고정하는 와이어가 끊어졌을 때 승강기가 레일에 지지되어 승강기의 추락을 이중으로 방지함으로써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는 하부에 견인로드(104)를 구비하여 승강기 와이어에 체결되는 견인판(102); 상기 견인로드(104)의 하단에 체결되어 레일(300)을 따라 승강하는 하부프레임(200);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부에서 완충장치를 통해 하부프레임(200)과 체결된 상부프레임(100);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측면으로 돌출된 상부스토퍼 압착롤러(112); 상기 상부프레임(100)에서 상향 돌출된 스토퍼 지지대(109);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태이고, 상기 상부스토퍼 압착롤러(112)와 레일(300)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스토퍼(111); 일 측은 상기 스토퍼 지지대(109)에 체결되고, 타 측은 상기 상부스토퍼(111)에 체결된 스토퍼 견인 스프링(110); 일 측 단부는 상기 상부프레임(100) 상부에 힌지(107)되고, 타 측 단부는 상기 상부스토퍼(111)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상수스토퍼 압착롤러(112)와 상부스토퍼(11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드라이브 샤프트(108); 및 일 측은 상기 견인판(102)에 체결되고, 타 측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08)에 체결되어 드라이브 샤프트(108)가 상부스토퍼(111)를 하향 가압하도록 하는 와이어(105);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승강기 와이어가 끊어졌을 때 견인판(102)이 떨어지면서 스토퍼 견인 스프링(110)이 상부스토퍼(111)를 상향 이동시켜 상부스토퍼 압착롤러(112)와 레일(300) 사이에 상부스토퍼(111)가 끼여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대, 상기 완충장치는 하부프레임(2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프레임(100)을 관통하는 지지로드(202); 상기 지지로드(202)의 단부에 설치된 가압편(203); 및
상기 가압편(203)과 상부프레임(100)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20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105)의 일 측 단부는 턴버클(103)에 체결되고, 상기 턴버클(103)은 견인판(102)에 체결됨으로써, 턴버클(103)을 통해 와이어(105)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부스토퍼 압착롤러(112)와 상부스토퍼(111)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105)는 가이드는 상부프레임(100)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06)에 의해 드라이브 샤프트(108)까지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테두리에 체결되고 레일(300)을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쐐기 형태의 상부스토퍼(111)가 상부스토퍼 압착롤러(112)와 레일(300) 사이에 꼈을 때 레일(30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하부스토퍼 압착롤러(208);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성형되고, 상기 하부스토퍼 압착롤러(208)와 레일(300)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스토퍼(209); 및 상부프레임(100)의 테두리에 일 측단이 체결되고, 타 측단은 상기 하부스토퍼(209)에 체결되는 하부스토퍼 고정와이어(207);로 구성되어 상부프레임(100)에 설치된 추락방지 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면 상기 하부스토퍼(209)가 하부스토퍼 압착롤러(208)와 레일(300) 사이에 끼이면서 하부프레임(200)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서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는 승강기를 구동하는 와이어가 끊어졌을 때 승강기가 레일에 고정되어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함으로써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유지와 보수가 용이하며, 종래의 승강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 외에 승강기 본체에 해당하는 하부프레임에도 스토퍼가 적용됨으로써 상,하부 프레임 동시에 추락 방지장치가 구동되어 추락 방지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승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C' 및 'D'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승강기가 정상 작동하는 상태에서 상부프레임의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승강기의 와이어가 끊어졌을 때 상부프레임의 추락방지 장치가 구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승강기가 정상 작동하는 상태에서 하부프레임의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승강기의 와이어가 끊어졌을 때 하부프레임의 추락방지 장치가 구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승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C' 및 'D'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승강기가 정상 작동하는 상태에서 상부프레임의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승강기의 와이어가 끊어졌을 때 상부프레임의 추락방지 장치가 구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승강기가 정상 작동하는 상태에서 하부프레임의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승강기의 와이어가 끊어졌을 때 하부프레임의 추락방지 장치가 구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300)을 따라 승강하며 화물과 사람을 싣는 하부프레임(200)과,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프레임(200)을 끌어올리는 상부프레임(100)으로 구성되고, 본 발명의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00)의 일측에 레일롤러(204)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레일롤러(204)를 통해 승강기가 레일(300)을 따라 부드럽게 승강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승강기의 네 모퉁이 부분에 4개의 레일(300)이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승강기의 양 측에 레일이 설치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당겨지거나 풀리는 승강기 와이어(미부호)가 롤러(101)에 감기고, 상기 롤러(101)는 견인판(102)에 체결되며, 상기 견인판(102)은 견인로드(104)를 통해 하부프레임(200)과 체결됨으로써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견인판(102)이 하부프레임(200)을 들어올린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판(102) 하부에 체결된 견인로드(104)는 하부프레임(200)의 홀(미도시)을 관통하고, 그 단부에 와셔 형태의 판이 체결됨으로써 승강기가 정상 운행할 때는 견인로드(104)가 하부프레임(200)을 들어올린 상태인데, 승강기 와이어가 끊어 지면 견인판(102)의 하중에 의해 견인로드(104)가 하부프레임(200)의 홀(미도시)을 통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이 승강기 와이어가 끊어져 견인판(102)이 추락할 때 본 발명의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가 구동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에 한다.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상부프레임(100)에 완충장치로 연결된다.
하부프레임(200)을 상부프레임(100)에 연결하는 완충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0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지지로드(202)가 상부프레임(100)을 관통하여 단부에 가압편(203)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203)과 상부프레임(100) 사이에 스프링(201)이 설치되어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견인판(102)에는 4개의 턴버클(103)이 체결되고, 각각의 턴버클(103)에는 와이어(105)가 체결되며, 상기 와이어(105)는 각각 가이드롤러(106)에 의해 안내되어 상부프레임(100)의 모서리 부분의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로 연결된다.
상부프레임(100)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는 도 1, 도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의 상부에 막대 형태의 드라이브 샤프트(108)가 힌지(107) 체결되고,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08)의 단부는 상부스토퍼(111)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기 상부스토퍼(111)는 상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성형되어 단면이 'ㄷ'형상이 레일(300)에 삽입되고, 상부스토퍼(111)는 상부프레임(100)의 상향 돌출된 스토퍼지지대(109)의 스토퍼 견인 스프링(110)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08)는 견인판(102)의 턴버클(103)에 체결된 와이어(105)에 체결되어 도 5와 같이 구성된다.
승강기가 정상 작동하는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이 승강기를 끌어올리는 와이어가 견인판(102)을 당기는 상태이고, 상기 견인판(102)에 체결된 턴버클(103)은 와이어(105)를 당기며, 와이어(105)는 상부프레임(100)에 힌지(107) 체결된 드라이브 샤프트(108)을 하향으로 당기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105)가 드라이브 샤프트(108)를 하향으로 당기면 드라이브 샤프트(108)의 단부는 레일(300)에 삽입된 상부스토퍼(111)를 하향으로 가압하여 누르는 상태이다.
도 6과 같이 스토퍼지지대(109)에 지지되어 상부스토퍼(111)를 상향으로 당기는 스토퍼 견인 스프링(110)에 대항하여 와이어(105)에 의해 하향으로 당겨지는 드라이브 샤프트(108)가 상부스토퍼(111)를 누르므로 도 6과 같이 상부프레임(11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상부스토퍼 압착롤러(112)와 쐐기 형태의 상부스토퍼(111)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기를 끌어 올리는 와이어가 끊어지면 와이어(105)를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서, 드라이브 샤프트(108)의 상부스토퍼(111)를 하향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고, 스토퍼 견인 스프링(110)의 탄력에 의해 상부스토퍼(111)가 상향 이동하면서 도 7과 같이 쐐기 형태의 상부스토퍼(111)가 상부프레임(100)의 상부 스토퍼 압착롤러(112)와 레일(300) 사이에 끼이면서 승강이의 추락이 멈추게 된다.
즉, 상부스토퍼(111)의 경사면이 상부 스토퍼 압착롤러(112)와 접하고 상부스토퍼(111)의 경사면 반대측 수직면이 레일(300)과 접하게 되는 순간 상부스토퍼(111)는 레일(300)에 밀착되고, 승강기의 하중에 의해 상부스토퍼(111)는 레일(300)에 더욱 강한 압력으로 밀착되면서 강한 마찰력에 의해 승강기 추락이 멈춘다.
그리고 상부스토퍼(111)가 레일(300)에 강한 힘으로 압착할 때 레일(300)이 휘어 상부스토퍼(111)가 레일(300)을 압착하는 힘이 저하되면서 제동력이 급격하게 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형태의 지지대(113) 일측을 상부프레임(100)에 체결하고, 타측이 레일(300)을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부스토퍼(111)가 레일(300)을 강하게 압착할 때 상기 지지대가 레일(300)이 휘는 것을 지지하여 상부스토퍼(111)와 레일(300) 사이의 마찰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 샤프트(108)를 작동하는 와이어(105)의 단부는 턴버클(103)에 체결된다. 턴버클(103)은 회전시켜서 턴버클(103)에 체결된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턴버클(103)을 통해 와이어(105)를 당기거나 풀어서 상부스토퍼(111)와 상부스토퍼 압착롤러(112)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기를 끌어 올리는 와이어가 끊어져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가 작동하는 순간 승강기의 급작스런 제동에 의해 승강기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나 화물에 큰 충격이 전달되어 사람이 다치거나 화물이 파손될 수 있는데, 추락방지 장치가 설치된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을 체결하는 완충장치에 의해 그 충격이 완충된다.
도 5에서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에 의해 상부프레임(100)이 멈추는 순간, 하부프레임(200)은 관성에 의해 계속 추락하려는 성질이 있다. 이때, 하부프레임(200)의 지지로드(202)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201)에 의해 그 충격이 완충됨으로써 급격한 제동에 의해 승강기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그러나 승강기 내부에 고하중의 화물이 실리거나 많은 사람들이 탑승한 경우에는 스프링(201)의 탄력만으로 충격을 완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상술한 승강기 추락 방지장치는 상부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100)을 제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승강기인 하부프레임(200)에도 상부프레임(100)의 추락방지 장치와 연계되어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기인 하부프레임(200)의 추락방지 장치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의 일측에 와이어 지지로드(205)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지지로드(205)에 하부스토퍼 고정와이어(207)의 상단이 고정되며, 하부스토퍼 고정와이어(207)의 하단은 하부프레임(200)과 접한 레일(300)에 삽입된 쐐기형태의 하부스토퍼(209)에 체결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하부프레임(200)의 측면에는 하부스토퍼(209)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스토퍼 압착롤러(208)가 설치된다.
승강기가 정상적인 운행상태에서는 도 8과 같이 하부프레임(200)의 하부스토퍼 압착롤러(208)와 하부스토퍼(209)가 서로 이격된 상태이다.
승강기를 끌어올리는 와이어가 끊어지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에 설치된 추락방지 장치가 작동하여 상부프레임(100)이 제동된다. 상부프레임(100)이 급격하게 제동되면서 하부프레임(200)이 관성에 의해 하강하려는 힘에 의해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에 거리가 멀어지면서 스프링(201)을 압축하여 그 충격을 완충시킨다.
이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에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부프레임(100)의 와이어 지지로드(205)가 하부스토퍼 고정와이어(207)를 끌어올리고, 상기 하부스토퍼 고정와이어(207) 하단에 체결된 하부스토퍼(209)는 하부스토퍼 고정와이어(207)에 의해 끌어올려지면서 하부프레임(200)과 레일(300) 사이에 끼이게 되어 고하중의 화물을 실었거나 많은 사람이 탑승한 승강기인 하부프레임(200)이 더 이상 추락하지 않게된다.
즉, 상부프레임(100)에 설치된 추락방지 장치와 하부프레임(200)에 설치된 추락방지 장치에 의한 이중 추락방지 장치에 의해 아무리 고하중의 화물을 싣거나 많은 사람이 탑승하여도 하중에 의한 추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상부프레임
101 : 롤러
102 : 견인판
103 : 턴버클
104 : 견인로드
105 : 와이어
106 : 가이드롤러
107 : 힌지
108 : 드라이브 샤프트
109 : 스토퍼 지지대
110 : 스토퍼 견인스프링
111 : 상부스토퍼
112 : 상부스토퍼 압착롤러
113 : 지지대
200 : 하부프레임
201 : 스프링
202 : 지지로드
203 : 가압판
204 : 레일롤러
205 : 와이어 지지로드
207 : 하부스토퍼 고정와이어
208 : 하부스토퍼 압착롤러
209 : 하부스토퍼
300 : 레일

Claims (6)

  1. 하부에 견인로드(104)를 구비하여 승강기 와이어에 체결되는 견인판(102);
    상기 견인로드(104)의 하단에 체결되어 레일(300)을 따라 승강하는 하부프레임(200);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부에서 완충장치를 통해 하부프레임(200)과 체결된 상부프레임(100);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측면으로 돌출된 상부스토퍼 압착롤러(112);
    상기 상부프레임(100)에서 상향 돌출된 스토퍼 지지대(109);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태이고, 상기 상부스토퍼 압착롤러(112)와 레일(300)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스토퍼(111);
    일 측은 상기 스토퍼 지지대(109)에 체결되고, 타 측은 상기 상부스토퍼(111)에 체결된 스토퍼 견인 스프링(110);
    일 측 단부는 상기 상부프레임(100) 상부에 힌지(107)되고, 타 측 단부는 상기 상부스토퍼(111)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상수스토퍼 압착롤러(112)와 상부스토퍼(11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드라이브 샤프트(108); 및
    일 측은 상기 견인판(102)에 체결되고, 타 측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08)에 체결되어 드라이브 샤프트(108)가 상부스토퍼(111)를 하향 가압하도록 하는 와이어(105);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승강기 와이어가 끊어졌을 때 견인판(102)이 떨어지면서 스토퍼 견인 스프링(110)이 상부스토퍼(111)를 상향 이동시켜 상부스토퍼 압착롤러(112)와 레일(300) 사이에 상부스토퍼(111)가 끼여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는,
    하부프레임(2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프레임(100)을 관통하는 지지로드(202);
    상기 지지로드(202)의 단부에 설치된 가압편(203); 및
    상기 가압편(203)과 상부프레임(100)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20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05)의 일 측 단부는 턴버클(103)에 체결되고, 상기 턴버클(103)은 견인판(102)에 체결됨으로써, 턴버클(103)을 통해 와이어(105)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부스토퍼 압착롤러(112)와 상부스토퍼(111)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05)는 가이드는 상부프레임(100)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06)에 의해 드라이브 샤프트(108)까지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테두리에 체결되고 레일(300)을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쐐기 형태의 상부스토퍼(111)가 상부스토퍼 압착롤러(112)와 레일(300) 사이에 꼈을 때 레일(30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하부스토퍼 압착롤러(208);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성형되고, 상기 하부스토퍼 압착롤러(208)와 레일(300)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스토퍼(209); 및
    상부프레임(100)의 테두리에 일 측단이 체결되고, 타 측단은 상기 하부스토퍼(209)에 체결되는 하부스토퍼 고정와이어(207);로 구성되어 상부프레임(100)에 설치된 추락방지 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면 상기 하부스토퍼(209)가 하부스토퍼 압착롤러(208)와 레일(300) 사이에 끼이면서 하부프레임(200)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KR1020140168235A 2014-11-28 2014-11-28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KR101646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235A KR101646393B1 (ko) 2014-11-28 2014-11-28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235A KR101646393B1 (ko) 2014-11-28 2014-11-28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527A true KR20160064527A (ko) 2016-06-08
KR101646393B1 KR101646393B1 (ko) 2016-08-08

Family

ID=5619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235A KR101646393B1 (ko) 2014-11-28 2014-11-28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3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3394A (zh) * 2020-09-01 2021-01-15 王文革 一种隧道防水用材料切割夹持装置及使用方法
KR20210047066A (ko) 2019-10-21 2021-04-29 (주)에이엔티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
CN114671315A (zh) * 2022-04-07 2022-06-28 南通润雅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紧急制动辅助的电梯安装用井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074Y1 (ko) * 2005-02-15 2005-05-11 박갑용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
KR100646813B1 (ko) * 2004-02-26 2006-11-17 채찬복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KR20080076066A (ko) * 2007-02-14 2008-08-20 이한성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
KR20140022484A (ko) 2012-07-20 2014-02-25 권회왕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813B1 (ko) * 2004-02-26 2006-11-17 채찬복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KR200384074Y1 (ko) * 2005-02-15 2005-05-11 박갑용 엘리베이터 카도어용 이중안전장치
KR20080076066A (ko) * 2007-02-14 2008-08-20 이한성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
KR100899360B1 (ko) 2007-02-14 2009-05-27 이한성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
KR20140022484A (ko) 2012-07-20 2014-02-25 권회왕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066A (ko) 2019-10-21 2021-04-29 (주)에이엔티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
CN112223394A (zh) * 2020-09-01 2021-01-15 王文革 一种隧道防水用材料切割夹持装置及使用方法
CN114671315A (zh) * 2022-04-07 2022-06-28 南通润雅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紧急制动辅助的电梯安装用井架
CN114671315B (zh) * 2022-04-07 2023-09-26 南通润雅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紧急制动辅助的电梯安装用井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393B1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5984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KR200461068Y1 (ko)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충격완화장치
JP5394776B2 (ja) 工事用リフトの安全装置
KR101646393B1 (ko) 승강기 이중 추락방지 장치
JP2007084290A (ja) エレベータの上効き非常止め装置
US6848544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evacuation of lift passengers
US20180319628A1 (en)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car
JPS5841275B2 (ja) ケンインクドウソウチ
JP6286330B2 (ja) エレベータ及びこれに備えられる非常止め装置
CN104803265A (zh) 一种电梯安全装置
JP5809755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
KR20140022484A (ko) 승강기 추락방지 장치
RU86180U1 (ru) Грузовой вертикальный подъемник
JP2014114130A (ja) エレベータ
CN109264533B (zh) 一种用于高楼的防坠落垂直电梯
KR20210059380A (ko)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JP200217937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5125294A1 (ja) エレベーターのタイダウン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US20150060211A1 (en) Fall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JP4607214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10130776A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장치
JP405647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503972B1 (ko) 건설용 마스트 축소형 벽체고정 리프트장치
JP2004224468A (ja) エレベーターかご
KR100853237B1 (ko) 간이 권동식 화물 리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