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810A -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810A
KR20220132810A KR1020210037818A KR20210037818A KR20220132810A KR 20220132810 A KR20220132810 A KR 20220132810A KR 1020210037818 A KR1020210037818 A KR 1020210037818A KR 20210037818 A KR20210037818 A KR 20210037818A KR 20220132810 A KR20220132810 A KR 20220132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ge
platform
opening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904B1 (ko
Inventor
이장문
Original Assignee
이장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문 filed Critical 이장문
Priority to KR1020210037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904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02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disengaged by a contact of a part mounted on the clutch with a stationarily-moun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장과 케이지 각기의 도어들이 주ㆍ종동 관계에서 연동하여 동시적인 개폐문을 이루게 하는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로서, 승강장 도어 한 쌍의 행거들 사이에서 승강장의 가로널에 탄력적으로 들락날락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의 양 행거들을 턱걸림 방식으로 결속 또는 해제시키는 인터로크와, 케이지의 가로널에 그 길이방향에서 양분되어 상호 역방향의 나선을 가지고 설치됨과 아울러, 케이지의 도어 행거와 유격을 가지고 결합되는 너트형의 가동자들이 각기 구비되는 한 쌍의 리드 스크루들과, 리스 스크루들 사이에서 인터로크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승강 설비의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력을 리드 스크루들 각기에 분배 공급함과 아울러 중심축 상에서 전후진하며 인터로크의 결속 상태를 해제시키는 밀핀이 구비되어 설치되는 동력 분배 유닛 및 동력 분배 유닛의 밀핀 전후진을 따라 들락하면서 날형 작동자와 결합ㆍ분리되며 케이지 도어의 개문 또는 폐문력을 승강장 도어에 전달되게 하는 클러치 유닛을 포함하여서, 승강 설비의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모터가 구동하면 상기 동력 분배 유닛의 밀핀이 전진하여 상기 승강장 도어의 행거를 결속시키고 있는 인터로크를 선행적으로 해제시킴과 동시, 상기 클러치 유닛이 상기 승강장 도어 행거에 구비된 날형 작동자와 결합되어서 상기 양 리드 스크루를 따라 이동하는 너트형 가동자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개문되는 상기 케이지 도어 개문력이 상기 승강장 도어 측으로 전달되어 상기 승강장 및 케이지 도어들을 연동적이고 동시적으로 개문 또는 폐문되도록 하여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과 개폐문 동작을 간소화하고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s on Elevated Equipment}
본 발명은 고층 건물에서 동력을 사용하여 거주자나 내방객을 상하로 실어 나르는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강 설비는 고층 건물에서 동력을 사용하여 거주자나 내방객을 아래위층으로 실어 나르는 편의 시설물로써, 그러한 승강 설비는 건물 각층의 소정 위치에 승강장들이 구비됨과 아울러 그 승강장들에 병행하여 건물 하층부터 상층으로 연이어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수직통로와, 이 수직통로의 가이드 레일을 타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구동하는 윈치로 오르내리게 하면서 거주자나 내방객을 실어 나르는 케이지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승강 설비의 승강장과 케이지 각기에는 거주자나 내방객의 승하차와 보호를 위해 필수적으로 도어들이 설치되고 있는데, 이 도어들은 케이지의 수직 승강과 교차하는 가로방향에서 좌ㆍ우 한 쌍으로 이뤄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개폐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개폐되게 함과 아울러 어느 하나의 도어 개문 또는 폐문력이 다른 하나의 도어에 전달되어 승강장과 케이지의 도어들이 주ㆍ종동 관계에서 연동하여 동시적인 개폐문을 이루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자동 승강설비의 승강장 또는 케이지 각기의 도어들은 케이지가 각기 층에 정차 시에서 주ㆍ종동 관계적으로 개폐문, 즉 승강장 도어는 케이지 도어의 개폐문 구동유닛에 의한 개폐문 구동력에 연동하여 동시적으로 개폐되게 하면서 거주자나 내방객의 승하차를 이루게 된다. 이때 개폐문 구동 유닛은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무한궤도의 드라이브 벨트 또는 리니어 모터들을 이용하고 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탑승구 도어는 어느 하나의 도어가 인터로크에 의해 폐문위치에 정치되어 있다 케이지가 당해 층에 정차 후, 케이지 도어가 개폐문 구동유닛에 의해 개문이 시작되면 그 케이지 도어의 개문력이 날형의 작동자(베인,가이드프레임)를 통해 승강장 도어 측으로 전달되어 1차적으로 승강장 도어 인터로크의 결속상태를 해제시키고, 그 다음 2차적으로 연속하여 승강장 도어의 개문을 이루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승강 설비에서 도어들의 개폐문 구동 유닛은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드라이브 벨트 또는 리니어 모터들로 이뤄 설비의 주변 구성물이 복잡해짐과 아울러 승강장과 케이지 각기의 도어들에 개폐문 단속을 위한 인터로크들이 개별적으로 부가되어 어느 하나의 도어 개문력에 의해 1,2차적인 해제 과정을 통하여 도어들이 개문되게 하고 있는 것으로, 개폐 장치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도어의 개폐문이 여러 단계로 이뤄 개폐동작이 안정되지 못한 등의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는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과 개폐문 동작을 간소화하고 안정화시킬 수 있는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구조 혁신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710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57878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 설비 도어의 개폐문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리드 스크루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이루어 도어 개폐 및 인터로크 구조의 간소화와 도어의 개폐 구동이 안정되고 안전사고를 방지시킬 있는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층 건물에서 동력을 사용하여 거주자나 내방객을 상하로 실어 나르는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장과 케이지 각기의 도어들이 주ㆍ종동 관계에서 연동하여 동시적인 개폐문을 이루게 하는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로서, 승강장 도어 한 쌍의 행거들 사이에서 승강장의 가로널에 탄력적으로 들락날락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의 양 행거들을 턱걸림 방식으로 결속 또는 해제시키는 인터로크와, 케이지의 가로널에 그 길이방향에서 양분되어 상호 역방향의 나선을 가지고 설치됨과 아울러, 케이지의 도어 행거와 유격을 가지고 결합되는 너트형의 가동자들이 각기 구비되는 한 쌍의 리드 스크루들과, 리스 스크루들 사이에서 인터로크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승강 설비의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력을 리드 스크루들 각기에 분배 공급함과 아울러 중심축 상에서 전후진하며 인터로크의 결속 상태를 해제시키는 밀핀이 구비되어 설치되는 동력 분배 유닛 및 동력 분배 유닛의 밀핀 전후진을 따라 들락하면서 날형 작동자와 결합ㆍ분리되며 케이지 도어의 개문 또는 폐문력을 승강장 도어에 전달되게 하는 클러치 유닛을 포함하여서, 승강 설비의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모터가 구동하면 상기 동력 분배 유닛의 밀핀이 전진하여 상기 승강장 도어의 행거를 결속시키고 있는 인터로크를 선행적으로 해제시킴과 동시, 상기 클러치 유닛이 상기 승강장 도어 행거에 구비된 날형 작동자와 결합되어서 상기 양 리드 스크루를 따라 이동하는 너트형 가동자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개문되는 상기 케이지 도어 개문력이 상기 승강장 도어 측으로 전달되어 상기 승강장 및 케이지 도어들을 연동적이고 동시적으로 개문 또는 폐문되도록 하여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과 개폐문 동작을 간소화하고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개폐 구조를 간소화하고 구동이 안정되어 승강 설비의 안전 관리와 설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 있다.
도 1은 본 발명 도어 개폐 장치가 적용된 승강 설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도어 개폐 장치가 적용된 승강 설비의 일부를 보여 주는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케이지 측을 바라보는도면.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승강장 측을 바라보는 도면. 도 5의 (a)(b)(c)는 본 발명 자동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장치 개폐문 과정을 보여 작동 설명도로서, (a)는 승강장 및 케이지 각기의 도어가 폐문된 상태를 보인 모습이고, (b)는 승강 설비의 제어부에서 주어지는 신호에 의한 모터의 구동으로 동력 분배 유닛에서의 밀핀이 전진하여 승강장 도어 폐문 상태를 유지하는 인터로크가 해제됨과 동시 클러치 유닛이 승강장 도어의 날형 작동자와 결합되어 승강장 및 케이지 도어들이 개문 상태를 대기하고 있는 모습이며, (c)는 동력 분배 유닛으로 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한 양 리드 스크루들의 회전으로 이동하는 너트형 가동자에 의해 케이지 및 승강장 각기의 도어가 연동하여 함께 개문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케이지 도어 행거와 너트형 가동자 사이에서 리드 스크루로부터 개폐문력이 전달되는 과정을 보여 주는 설명도로서, 도 6은 한 쌍의 문짝들로 이루는 케이지 도어 각 문짝의 행거에 구비되는 각 작동공의 내측에 너트형 가동자가 위치되어 폐문 상태의 모습을 보이고 있고, 도 7은 케이지 도어 문짝의 행거에 구비되는 각 작동공의 외측으로 너트형 가동자가 이동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도 8은 케이지 도어 문짝들이 리드 스크루를 타고 이동하는 너트형 가동자에 의해 양측으로 개문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가 적용된 승강 설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고층 건물에서 동력을 사용하여 거주자나 내방객을 아래위 층으로 실어 나르는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승강 설비는 대략 고층 건물의 소정 위치에서 하층부터 상층으로 연이어 수직통로(10)를 구비하고, 각기의 층에서 수직통로(10)와 연결되어 거주자나 화물의 승하차를 위한 승강장(20)이 배치되어 있다.
수직통로(10)에는 그 내벽에서 건물의 상ㆍ하층 전장으로 걸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을 타고 승강 설비 제어부의 신호로 구동하는 윈치를 이용해 승강하면서 거주나 내방객을 실어나르는 케이지(30)가 구비된다.
건물 각기 층의 승강장(20)과 케이지(30) 각기에는 케이지(30)의 수직 승강과 교차하는 가로방향에서 좌ㆍ우 한 쌍의 문짝으로 이룬 승강장 및 케이지 도어들(22,32)이 승강장(20)과 케이지(30) 각기의 상측에서 상호 대향 설치되는 각 가로널들(20a,30a)을 타고 이동하는 한 쌍으로 이루는 행거들(22a,32a)에 현수되어 개폐되게 함과 동시, 케이지(30)의 도어(32) 개문 또는 폐문력이 승강장 도어(22)에 구비되는 날형의 작동자(22b)를 통해 전달되어서 승강장(20)과 케이지(30) 각기의 도어들(22,32)이 주ㆍ종동 관계에서 연동하여 동시적인 개폐문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것이고, 본 발명에서의 핵심적인 기술은 승강장(20) 및 케이지(30) 각기의 도어들(22,32)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는 리드 스크루로 개폐되게 하여 장치의 구조 간소화 함과 아울러 확고한 구동과 안정화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토대는 케이지(30) 가로널(30a)의 양측 수평방향에서 좌ㆍ우 한 쌍으로 설치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리드 스크루들(SC)로 승강장 및 케리지 도어들(22,32)이 개폐문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승강장 도어(22) 한 쌍의 행거들(22a) 사이 중앙에서 승강장(20)의 가로널(20a)을 관통해 탄력적으로 들락날락하게 설치되어 승강장(20) 양 행거들(22a)의 내측 단 각기와 턱걸림 방식으로 결속 또는 해제되는 채널형의 인터로크(40)가 구비된다.
케이지(30)의 가로널(30a)에 그 길이방향에서 양분되어 상호 역방향의 나선을 가지고 설치됨과 아울러, 케이지 도어(32)의 행거(32a)와 유격을 가지고 결합되는 너트형의 가동자들(50)이 각기 구비되는 한 쌍의 리드 스크루들(SC)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너트형의 가동자들(50)은 승강 설비의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개폐문 신호에 의해 정역으로 구동하는 모터(M)로부터 동력 분배 유닛(60)을 통해 리드 스크루(SC) 전달되는 구동력을 케이지 도어(32)에 전달하는 매개체이다.
케이지(30) 가로널(30a)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승강 설비의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M)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양 리드 스크루들(SC) 또는 이후에 설명할 밀핀 측으로 분배 공급되게 하는 동력 분배 유닛(60)이 구비된다.
동력 분배 유닛(60)은 리스 스크루들(SC) 사이에서 인터로크(40)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승강 설비의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M)의 구동력을 양 리드 스크루들(SC) 각기에 분배 공급함과 아울러 그 공급 교차방향 중심축 상에서 나사결합에 의한 전후진을 이루게 하면서 인터로크(40)의 결속 상태를 해제시키는 밀핀(62)이 구비되어 있다.
동력 분배 유닛(60)의 밀핀(62)에는 그 밀핀(62)의 전후진을 따라 들락하면서 날형 작동자(22b)와 결합ㆍ분리되며 케이지 도어(32)의 개문 또는 폐문력을 승강장 도어(22)에 전달되게 하는 클러치 유닛(70)이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는 승강 설비의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모터(M)가 구동하면 동력 분배 유닛(60)의 밀핀(62)이 전진하여 승강장 도어(22)의 행거(22a)를 결속시키고 있는 인터로크(40)를 선행적으로 해제시킴과 동시, 클러치 유닛(70)이 승강장 도어(22) 행거(22a)에 구비된 날형 작동자(22b)와 결합되어서 양 리드 스크루(SC)를 따라 이동하는 너트형 가동자(5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개문되는 케이지 도어(32) 개문력이 승강장 도어(22) 측으로 전달되어 승강장 및 케이지 도어들(22,32)을 연동적이고 동시적으로 개문 또는 폐문되게 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너트형 가동자(50)는 케이지 도어(32) 행거(32a)에 리드 스크루(SC)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타공하여 이룬 작동공(34) 내에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식으로 끼워 맞춤 결합되게 함과 아울러, 작동공(34)은 밀핀(62)이 인터로크(40)의 해제 완료 시 까지 가동자(50)의 이동력이 케이지 도어(32) 행거(32a)에 전달되지 않게 하는 유격구간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유닛(70)은 밀핀(62)에 나사결합되어 함께 전후진하는 동체(72)와, 이 동체(72)를 중앙에 두고 양측으로 암수의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결합 또는 분리되는 양 분할자들(74)로 구성된다. 이때 양 분할자들(74)은 날형 작동자들(22b)과 암수 결합되는 결합요소(74a)가 구비되어 있다.
또 클러치 유닛(70)의 분할자들(74)은 아래윗면에 케이지 도어(32) 행거(32a)를 교차방향에서 관통하여 턱걸림 끼워 맞춤 결합됨과 아울러 클러치 유닛(70)이 날형 작동자(22b)와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이동 안내와, 그리고 케이지 도어(32)의 개폐문력을 전달하는 매개체인 돌기형 레일(74b)이 구비된다.
또한 클러치 유닛(70)의 동체(72)는 동력 분배 유닛(60) 전면 양측에서 병렬로 연장 설치되는 가이드 핀(61)을 타고 전후진되게 하고 있다.
그러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작동 과정을 설명하겠다.
도 5의 (a) 및 도 6은 승강장(20) 및 케이지(30) 각기의 도어들(22,32)이 폐문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때 승강장 도어(22)의 행거(22a)가 인터로크(40)와 정합되고, 케이지 도어(32)는 너트형 가동자들(50)에 의해 고정되어 폐문 상태를 유지한다.
도 5의 (b) 및 도 7은 승강 설비의 제어부에서 주어지는 신호에 의한 모터(M)의 구동으로 동력 분배 유닛(60)에서 밀핀(62)이 전진하여 승강장 도어(22) 폐문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인터로크(40)를 승강 도어(22)의 행거(22a)로부터 밀어내어 해제시킴과 동시, 클러치 유닛(70)이 승강장 도어(22)의 날형 작동자(22b)와 결합되어 승강장(20) 및 케이지(30) 각기의 도어들(22,32)이 개문 상태를 대기한다. 이때 동력 분배 유닛(60)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리드 스크루(SC)에 구비되는 너트형 가동자(50)는 케이지 도어(32)의 행거(32a)에 구비된 작동공(34)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인터로크(40)의 해제와 클러치 유닛(70)이 날형 작동자(22b)와의 결합을 완료하기 까지 도어들(22,32)의 개문 대기가 유지되게 하고 있다.
도 5의 (c) 및 도 8은 동력 분배 유닛(60)으로 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한 양 리드 스크루들(SC)의 회전으로 이동하는 너트형 가동자(50)에 의해 승강장(20) 및 케이지(30) 각기의 도어(22,32)가 연동하여 함께 개문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때 승강장 도어(22)의 날형 작동자(22b)와 결합되어 리드 스크루(SC)로부터 전달되는 케이지 도어(32)의 개문력을 승강장 도어(22) 측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유닛(70)은 그 동체(72)로부터 양 분할자들(74)이 분리되면서 그 분할자들(74)의 돌기형 레일(74b)를 통하여 케이지 도어(32)의 개문력이 승강장 도어(22) 측으로 전달되어 승강장 및 케이지 도어(22,32)가 연동적이고 동시적으로 이뤄 소기의 개문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승강장 및 케이지 도어들(22,32)의 폐문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개문 과정 역순으로 이루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수직통로 20: 승강장 22: 승강장 도어 30: 케이지 32: 케이지 도어 34: 작동공 40: 인터로크 50: 너트형 가동자 60: 동력 분배 유닛 61: 가이드 핀 62: 밀핀 70: 클러치 유닛 72: 동체 74: 분할자 74a: 결합요소 74b: 돌기형 레일

Claims (5)

  1. 건물 각층의 소정 위치에 승강장들이 구비됨과 아울러 그 승강장들에 병행하여 건물 하층부터 상층으로 연이어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수직통로와, 이 수직통로의 가이드 레일을 타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구동하는 윈치로 오르내리게 하면서 거주자나 내방객을 실어 나르는 케이지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장과 케이지 각기에는 상기 케이지의 수직 승강과 교차하는 가로방향에서 좌ㆍ우 한 쌍의 문짝으로 이룬 도어들이 상호 대향 설치되는 각 가로널들을 타고 이동하는 행거들에 현수되어 개폐되게 함과 동시 상기 케이지의 도어 개문 또는 폐문력이 상기 승강장 도어에 구비되는 날형의 작동자를 통해 전달되어서 상기 승강장과 케이지 각기의 도어들이 주ㆍ종동 관계에서 연동하여 동시적인 개폐문을 이루게 하는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로서,상기 승강장 도어 한 쌍의 행거들 사이에서 상기 승강장의 가로널에 탄력적으로 들락날락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의 양 행거들을 턱걸림 방식으로 결속 또는 해제시키는 인터로크;상기 케이지의 가로널에 그 길이방향에서 양분되어 상호 역방향의 나선을 가지고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지의 도어 행거와 유격을 가지고 결합되는 너트형의 가동자들이 각기 구비되는 한 쌍의 리드 스크루들;상기 리스 스크루들 사이에서 상기 인터로크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승강 설비의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리드 스크루들 각기에 분배 공급함과 아울러 중심축 상에서 전후진하며 상기 인터로크의 결속 상태를 해제시키는 밀핀이 구비되어 설치되는 동력 분배 유닛; 및상기 동력 분배 유닛의 밀핀 전후진을 따라 들락하면서 상기 날형 작동자와 결합ㆍ분리되며 상기 케이지 도어의 개문 또는 폐문력을 상기 승강장 도어에 전달되게 하는 클러치 유닛을 포함하며,여기서, 승강 설비의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모터가 구동하면 상기 동력 분배 유닛의 밀핀이 전진하여 상기 승강장 도어의 행거를 결속시키고 있는 인터로크를 선행적으로 해제시킴과 동시, 상기 클러치 유닛이 상기 승강장 도어 행거에 구비된 날형 작동자와 결합되어서 상기 양 리드 스크루를 따라 이동하는 너트형 가동자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개문되는 상기 케이지 도어 개문력이 상기 승강장 도어 측으로 전달되어 상기 승강장 및 케이지 도어들을 연동적이고 동시적으로 개문 또는 폐문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너트형 가동자는 상기 케이지의 도어 행거에 상기 리드 스크루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타공하여 이룬 작동공에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식으로 끼워 맞춤 결합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작동공은 상기 밀핀이 상기 인터로크의 해제가 완료 시 까지 상기 가동자의 이동력이 상기 케이지의 도어 행거에 전달되지 않게 하는 유격구간이 마련된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클러치 유닛은 상기 밀핀에 나사결합되어 함께 전후진하는 동체와, 이 동체를 중앙에 두고 양측에서 암수의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결합 또는 분리됨과 아울러 상기 날형 작동자들과 암수 결합되는 결합요소가 구비된 분할자들로 이룬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클러치 유닛의 분할자들은 아래윗면에 상기 케이지의 도어 행거를 교차방향에서 관통하여 턱걸림 끼워 맞춤 결합됨과 아울러 이동을 안내하는 돌기형 레일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상기 클러치 유닛의 동체는 상기 동력 분배 유닛 전면 양측에서 병렬로 연장 설치되는 가이드 핀을 타고 전후진되게 한 것을 더 포함하는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KR1020210037818A 2021-03-24 2021-03-24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KR102495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818A KR102495904B1 (ko) 2021-03-24 2021-03-24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818A KR102495904B1 (ko) 2021-03-24 2021-03-24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810A true KR20220132810A (ko) 2022-10-04
KR102495904B1 KR102495904B1 (ko) 2023-02-06

Family

ID=8360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818A KR102495904B1 (ko) 2021-03-24 2021-03-24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9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7369U (ko) * 1976-05-04 1977-11-08
KR100271017B1 (ko) 1997-12-17 2000-11-01 장병우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장치
KR101257878B1 (ko) 2011-08-12 2013-04-24 (주)금강테크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KR101436675B1 (ko) * 2010-10-29 2014-09-01 한국산업은행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102007318B1 (ko) * 2018-05-02 2019-08-12 이장문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7369U (ko) * 1976-05-04 1977-11-08
KR100271017B1 (ko) 1997-12-17 2000-11-01 장병우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장치
KR101436675B1 (ko) * 2010-10-29 2014-09-01 한국산업은행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101257878B1 (ko) 2011-08-12 2013-04-24 (주)금강테크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KR102007318B1 (ko) * 2018-05-02 2019-08-12 이장문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904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9780B1 (en) Platform door system
US20180222723A1 (en) Elevator car
CN109070902B (zh) 列车平台定位安全系统
KR100984073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EP3187452B1 (en) Elevator door coupler assembly
EP3398899B1 (de) Aufzuganlage mit bidirektionaler kommunikation zwischen kabine und haltestation
CN101362567A (zh) 电梯的轿厢固定装置
CN110304528B (zh) 电梯轿厢天花板进入系统
EP2727875A1 (de) Lift mit Wartungsöffnung im Kabinenboden
CN103562116A (zh) 电梯门装置及电梯设备
CN202558434U (zh) 一种电梯门手动门锁装置
CN108263937B (zh) 电梯层站门解锁系统
EP3693318B1 (en) Elevator car door interlock
KR20220132810A (ko)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 장치
EP3564174B1 (en) Openable elevator car wall panels
KR102009164B1 (ko)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KR102086246B1 (ko)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KR102007318B1 (ko)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장치
KR101741220B1 (ko) 자동 승강설비의 도어 개폐장치
KR102073522B1 (ko)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US20190210836A1 (en) Elevator maintenance access systems
CN112390117A (zh) 电梯的门装置
KR102313610B1 (ko)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CN109956386B (zh) 一种电梯门机系统
KR200472877Y1 (ko) 엘리베이터의 하부구동형 도어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