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522B1 -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522B1
KR102073522B1 KR1020190079212A KR20190079212A KR102073522B1 KR 102073522 B1 KR102073522 B1 KR 102073522B1 KR 1020190079212 A KR1020190079212 A KR 1020190079212A KR 20190079212 A KR20190079212 A KR 20190079212A KR 102073522 B1 KR102073522 B1 KR 102073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djustment bar
opening
door
construction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환
Original Assignee
벽산중기산업 주식회사
최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산중기산업 주식회사, 최덕환 filed Critical 벽산중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층별로 설치된 세대도어를 개폐시키는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로서, 상기 세대도어의 잠금부를 단속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상기 잠금부의 이동영역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단속부재와, 상기 단속부재를 이동시키는 조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세대도어에 장착된 도어부 차단유닛; 및 상기 조정바를 이동시키기 위해 건설 리프트가 상기 세대도어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경우 상기 조정바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설 리프트에 장착된 개폐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door }
본 발명은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 등의 산업 현장에는 작업자 혹은 건설 자재 등을 운반하기 위해 리프트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건설 작업용 리프트는 작업자 혹은 건설 자재 등을 운반하는 리프트카와, 고층 건물 등의 고층 작업을 위해 필요한 높이까지 수직으로 설치되어 리프트카의 승하강 경로를 가이드하며, 다수의 고강도 구조관을 트러스 구조로 조립시킨 골격 구조물 형태의 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리프트카에는 리프트카의 승하강을 위해 구동 모터가 장착되고, 리프트카의 정지를 위한 제동 장치 및 제동 장치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기계적인 안전장치가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마스트를 따라 승강되어 건설자재 또는 인력을 층별로 운반해주는 리프트(lift)가 설치된다.
이러한 리프트는 건축물의 외벽에 수직으로 설치된 마스터를 타고 이동되면서 각 층에 정차하여 출입문을 여닫는 구조이며, 호출된 해당 층에 도착하면 도어의 앞에 연결된 발판을 건축물 쪽으로 젖혀 건물의 외벽과 리프트의 출입구 사이에 공간을 막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발판을 건축물 쪽으로 젖히는 작업은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리프트가 해당층에 정차하여 도어가 열리면 발판을 건축물 쪽으로 젖히는 작업을 반드시 수행해서 건물의 외벽과 리프트의 출입구 사이의 간격이 메워지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건설 리프트는 작업자가 리프트에서 내릴 때마다 수작업을 통해서 발판을 건물 측으로 내리는 작업을 일일이 수행해야 하며, 부주의한 경우에 발판을 건물 측으로 젖히지 않은 상태에서 리프트에서 내리면 건물과 리프트 사이의 공간으로 작업자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된다.
또한, 리프트에 탑승한 작업자의 손에 공구나 건설 자재 등의 물품이 들려 있을 경우에는 발판을 내리기 위해 손에 들고 있던 물품을 리프트의 바닥에 내려 놓은 후 발판을 젖히고 내려놓은 물품을 다시 들어야 하므로 작업자를 매우 번거롭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발판을 없애고 세대 안전문을 개폐하고자 그동안 사용해 왔던 T-Bar, L-Bar를 없애고 운반구를 보다 건물과 가깝게 하여 재해예방을 위함이다.
본 발명은 건설리프트의 이동 위치에 따른 전기적 스위치부에 의해 각 층의 세대도어의 개폐가 자동으로 단속되는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층별로 설치된 세대도어를 개폐시키는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로서, 상기 세대도어의 잠금부를 단속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상기 잠금부의 이동영역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단속부재와, 상기 단속부재를 이동시키는 조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세대도어에 장착된 도어부 차단유닛; 및 상기 조정바를 이동시키기 위해 건설 리프트가 상기 세대도어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경우 상기 조정바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설 리프트에 장착된 개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 차단유닛은 상기 조정바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바디부와, 상기 조정바의 일측에 결합된 지지부재와, 일단은 상기 바디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조정바에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바는 상기 개폐유닛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바디부 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정바는 원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일단부는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일단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작동될 경우 상기 연결부재는 이동되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조정바를 이동시키고,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되고,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는 원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코어 및 코일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리프트의 이동 위치에 따른 전기적 스위치부에 의해 각 층의 세대도어의 개폐가 자동으로 단속되는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가 장착된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가 장착된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2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부 차단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도어부 차단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개폐장치에 있어서, 개폐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제1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제2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개폐유닛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가 장착된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가 장착된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2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건설 리프트(2000)는 각 층별 세대도어(3000)를 통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타워를 통해 승강된다.
또한, 건설 리프트(2000)가 세대도어(3000)에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세대도어(3000)가 개방되지 않아 이에 따른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건설 리프트(2000)가 세대도어(3000)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경우 자동락 개폐장치(1000)에 의해 세대도어(3000)의 도어의 개방차단부를 작동시켜 세대도어(3000)를 오픈 가능하도록 작동시킨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의 세부기술구성 및 이들의 유기적 결합구조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1000)는 도어부 차단유닛(1100)과 개폐유닛(12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부 차단유닛(1100)은 세대도어에 장착되고 세대도어의 잠금부(3100)를 단속하기 위한 것이고, 개폐유닛(1200)은 건설 리프트(2000)에 결합되고 도어부 차단유닛(110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이를 위해 건설 리프트(2000)가 세대도어(3000)에 대향되도록 위치될 경우, 도어부 차단유닛(1100)은 개폐유닛(1200)의 작동영역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부 차단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도어부 차단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부 차단유닛(1100)은 조정바(1110), 탄성부재(1120), 단속부재(1130), 바디부(1140) 및 지지부재(115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정바(1110)는 개폐유닛(1200)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는 개폐유닛(1200)에 대향되고 타단부에는 단속부재(1130)가 결합된다.
조정바(1110)의 일측에는 지지부재(1150)가 결합되고, 조정바(1110)의 타측에는 단속부재(1130)가 결합된다.
또한, 조정바(1110)는 바디부(1140)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탄성부재(1120)의 일단은 바디부(1140)에 지지되고, 탄성부재(1120)의 타단은 조정바(1110)에 결합된 지지부재(1150)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조정바(1110)는 탄성부재(1120)에 의해 바디부(114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즉, 조정바(1110)가 개폐유닛에 의해 가압되어 바디부(1140) 측으로 이동될 경우 탄성부재(1120)는 압축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탄성부재(112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된다.
단속부재(1130)는 원위치에서는 세대도어 잠금부(3100)의 이동영역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단속부재(1130)는 조정바(1110)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될 경우 잠금부(3100)의 이동영역 이외의 영역에 위치되어 잠금부(3100)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다.
즉, 단속부재(1130)는 조정바에 의해 선택적으로 잠금부(3100)의 이동영역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잠금부(3100)는 세대도어의 개방시 세대도어에 가압되어 회동되고, 잠금부(3100)의 회동이 차단될 경우 세대도어는 오픈되지 않는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개폐장치에 있어서, 개폐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유닛(1200)은 작동부재(1210), 연결부재(1220) 및 구동부(12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부재(1210)는 도어부 차단유닛의 조정바(1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건설 리프트(2000)가 세대도어(3000)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경우 작동부재(1210)는 조정바(1110)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또한, 작동부재(1210)는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1220)는 구동부(1230)의 구동력을 조정바(111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는 작동부재(12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구동부(1230)에 연결된다.
구동부(1230)는 선택적으로 작동부재(12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코어 및 코일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거나, 전자기력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구동부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제1 사용상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건설 리프트(2000)가 세대도어(3000)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경우로서, 도어부 차단유닛(1100)은 개폐유닛(1200)의 작동영역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개폐유닛(1200)의 구동부(1230)는 연결부재(1220)를 이동시키고, 연결부재(1220)의 이동에 연동되어 작동부재(1210)은 조정바(1110)를 향해 이동된다.
조정바(1110)는 작동부재(1210)에 의해 가입되어 이동된다.
그리고 조정바(1110)의 이동에 연동되어 단속부재(1130)는 잠금부(3100)의 이동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세대도어를 오픈시킬 경우 잠금부(3100)는 제1 화살표(A)방향으로 가압되고, 제2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세대도어의 잠김이 해제된다.
개폐유닛(1200)은 탄성부재(12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1240)는 연결부재(1220)을 복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탄성부재(1240)의 일단은 구동부(1230)에 연결되고, 탄성부재(1240)의 타단은 연결부재(1220)의 일측 또는 작동부재(12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이에 대한 일례로서 탄성부재(1240)의 타단은 연결부재(1220)의 일측에 연결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구동부(1230)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연결부재(1220)는 이동되면서, 작동부재(1210)은 조정바(1110)를 이동시키고, 이때 연결부재(1220)의 이동에 따라 탄성부재(1240)가 인장된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제2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고 개폐유닛(1200)의 구동부(1230)는 연결부재(1220)를 이동시키고, 연결부재(1220)의 이동에 연동되어 작동부재(1210)은 조정바(111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경우, 조정바(1110)는 탄성부재(112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조정바(1110)의 이동에 연동되어 단속부재(1130)는 잠금부(3100)의 이동영역 영역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잠금부(3100)는 세대도어를 오픈하기 위해 제1 화살표(A)방향으로 가압시킬 경우, 단속부재(1130)에 의해 제2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세대도어의 잠김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구동부(123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 탄성부재(124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부재(1210)가 원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는 건설 리프트(2000)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센서부는 건설 리프트(2000)가 세대도어(3000)에 대향되도록 위치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개폐유닛(1200)의 구동부를 작동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유닛은 작동부재(1210a), 연결부재(1221a, 1222a), 구동부(1230a) 및 탄성부재(1240a)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부재(1210a)는 도어부 차단유닛의 조정바(1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건설 리프트(2000)가 세대도어(3000)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경우 작동부재(1210)는 조정바(1110)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또한, 작동부재(1210a)는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1221a, 1222a)는 구동부(1230)의 구동력을 조정바(111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1221a, 1222a)는 제1 연결부재(1221)와 제2 연결부재(1222a)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재(1221)의 일단은 구동부(1230)에 연결되고, 제1 연결부재(1221a)의 타단은 제2 연결부재(1222a)에 연결된다.
제2 연결부재(1222a)는 작동부재(1210a)와 제1 연결부재(1221a)에 연결되고,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개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1230a)는 선택적으로 작동부재(1210a)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코어 및 코일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거나, 전자기력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구동부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탄성부재(1240a)는 연결부재(1221a, 1222a)의 이동을 복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탄성부재(1240a)의 일단은 구동부(1230a)에 연결되고, 탄성부재(1240a)의 타단은 제2 연결부재(1222a)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개폐유닛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1230a)에 의해 연결부재(1221a, 1222a)는 이동되고, 연결부재(1221a, 1222a)의 이동에 연동되어 작동부재(1210a)가 이동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자동락 개폐장치 1100: 도어부 차단유닛
1110: 조정바 1120: 탄성부재
1130: 단속부재 1140: 바디부
1150: 지지부재 1200: 개폐유닛
1210: 작동부재 1220: 연결부재
1230: 구동부 1240: 탄성부재
2000: 건설 리프트 3000: 세대도어
3100: 잠금부

Claims (7)

  1. 건물의 층별로 설치된 세대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세대도어의 잠금부를 단속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상기 잠금부의 이동영역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단속부재와, 상기 단속부재를 이동시키는 조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세대도어에 장착된 도어부 차단유닛; 및
    상기 조정바를 이동시키기 위해 건설 리프트가 상기 세대도어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경우 상기 조정바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일단부는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작동부재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건설 리프트에 장착된 개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복수개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는 코어 및 코일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도어부 차단유닛은
    상기 조정바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바디부와,
    상기 조정바의 일측에 결합된 지지부재와,
    일단은 상기 바디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조정바에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바는 상기 개폐유닛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바디부 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정바는 원위치로 이동되는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일단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작동될 경우 상기 연결부재는 이동되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조정바를 이동시키고,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되고,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는 원위치로 이동된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7. 삭제
KR1020190079212A 2019-07-02 2019-07-02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KR102073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212A KR102073522B1 (ko) 2019-07-02 2019-07-02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212A KR102073522B1 (ko) 2019-07-02 2019-07-02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522B1 true KR102073522B1 (ko) 2020-02-04

Family

ID=6957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212A KR102073522B1 (ko) 2019-07-02 2019-07-02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134B1 (ko) * 2020-06-19 2021-09-03 송정훈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552U (ja) * 1992-01-31 1994-11-04 株式会社サンポウロック 電気錠
KR101481731B1 (ko) * 2014-06-17 2015-01-27 주식회사 금강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552U (ja) * 1992-01-31 1994-11-04 株式会社サンポウロック 電気錠
KR101481731B1 (ko) * 2014-06-17 2015-01-27 주식회사 금강 건설용 리프트의 안전문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134B1 (ko) * 2020-06-19 2021-09-03 송정훈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22723A1 (en) Elevator car
US10001861B2 (en) Elevator with maintenance opening in the car floor
WO2013140575A1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US11358837B2 (en) Elevator car ceiling access system
CN106904516A (zh) 用于电梯维护操作的方法和装置
KR102073522B1 (ko)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US10822201B2 (en) Elevator landing door unlocking system
KR102009164B1 (ko) 건설 리프트용 세대도어 자동락 개폐장치
JPWO2005102900A1 (ja) エレベータの乗場戸解錠装置
WO2001081225A1 (fr) Dispositif de commutation en mode de maintenance pour un ascenseur
KR102086246B1 (ko) 엘리베이터 클러치 장치
JP2015016957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0804065B1 (ko) 접이식 발판 및 그 접이식 발판을 갖는 산업용 승강장치
JP2010215381A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KR100812471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KR102007318B1 (ko)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장치
JP2012188200A (ja) エレベータ安全確保方法及びエレベータ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JP6676386B2 (ja) エレベーターにおける搬器扉の開閉装置
KR100867247B1 (ko) 도어 개폐제어구조를 갖는 산업용 승강장치
US11390491B2 (en) Device for unlocking a landing door
KR100804068B1 (ko) 도어 개폐제어구조를 갖는 산업용 승강장치
KR101315401B1 (ko) 승강기의 개문발차 방지장치
KR10176474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 이탈방지구조
KR200472877Y1 (ko) 엘리베이터의 하부구동형 도어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