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610B1 -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610B1
KR102313610B1 KR1020210057910A KR20210057910A KR102313610B1 KR 102313610 B1 KR102313610 B1 KR 102313610B1 KR 1020210057910 A KR1020210057910 A KR 1020210057910A KR 20210057910 A KR20210057910 A KR 20210057910A KR 102313610 B1 KR102313610 B1 KR 102313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tation
safety door
door
platform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주)부영뉴텍
주식회사 비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영뉴텍, 주식회사 비재이 filed Critical (주)부영뉴텍
Priority to KR1020210057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of the vertical rod type
    • E05B65/1013Trigger means for holding the bolt in the retracted position and releasing the bolt when the door is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3/00Cams ; Non-rotary cams; or cam-followers, e.g. rollers for gear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와 신호선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비상시 승강장안전문가 오픈되도록 하는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강장안전문의 수직프레임을 가로질러 설치된 레버; 상기 레버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레버가 소정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루버;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루버 중 어느 하나의 회전루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장안전문에 설치되며, 회전루버의 한계 회전량을 기어들의 기어비 조합을 통해 증가시키면서 상기 락킹장치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Emergency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platform safety door of screen door}
본 발명은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와 신호선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비상시 승강장안전문이 오픈되도록 하는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도어 시스템은 경전철, 지하철 등의 전동차의 이동경로인 선로와 승객들이 전동차를 타고 내리는 승강장을 구획하는 안전장치의 일종이다.
이러한 스크린도어는 승강장 위에 승강장과 선로를 차단 및 구분하기 위하여 승강장에 고정되는 도어레일을 갖는 고정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고정프레임에는 전동차의 각 출입문과 연동되어 승객이 탑승 및 하차하도록 고정프레임의 도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각 출입문과 동시에 개폐되는 복수개의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린도어에는 승강장으로 전동차가 진입하거나 출발할 때 전동차 출입문과 연동하는 승강장안전문이 설치된다. 이 승강장안전문은 승강장으로 전동차가 진입 후 정차하면 출입문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열리면서 승객의 하차 및 탑승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동차 출발 전 출입문과 연동하여 닫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승객이 승강장에서 선로로 낙하하는 등의 안전사고 방지와 더블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전동차의 운행 중 발생하는 강한 바람과 같은 열차풍 및 먼지 등이 승강장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승강장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함은 물론 냉난방 효과를 증대시킨다.
한편, 스크린도어에는 전동차의 사고 및 갑작스런 운행정지 또는,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 시 전동차에 탑승한 승객이 전동차에서 승강장으로 또는, 선로에서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장안전문 양측으로 비상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비상도어는 선로에서 승강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이동통로 역할하도록 고정프레임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비상도어에는 이동하는 승객이 비상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도록 조작하는 패닉바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비상사태 시 선로에서 승강장으로 이동하는 승객은 패닉바를 밀면서 비상도어를 열어 선로측에서 승강장으로 이동한다. 더하여, 비상도어는 평상시에는 닫혀진 상태이다.
한편, 근래에는 미닫이 방식의 승강장안전문에도 패닉바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인데, 이는 비상시 패닉바의 푸싱이 이루어질 때 승강장안전문이 도어콘트롤유닛(DCU)의 제어에 의해 전기적신호를 받으면서 열리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빠른 탈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정확하게, 종래에는 전동차의 출입문이 승강장안전문과 일치하는 위치에서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승강장안전문의 수동개폐부 레버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승강장안전문를 양측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밀어내면서 탈출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노약자 또는 유아들이 조작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인이 보유한 국내등록특허 제10-2063609호에는, 캠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통해 승강장안전문의 락킹상태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778987호에는, 캠패널의 회전시 마이크로스위치의 로울러가 캠패널의 회동가이드를 타고 이동하면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승강장안전문의 로커를 해제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선행특허들은 스위치로부터 연장되는 신호선이 도어콘트롤유닛(DCU)에 연결되고, 이동하는 승강장안전문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케이블베어에 수용되기 때문에 신호선이 단락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갖는다. 이는, 승강장안전문의 이동을 제어하는 레일 및 도어행거 등으로 구성된 헤더박스(HEADERBOX)의 구동 공간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곡률반경이 작은 케이블베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한 반복적인 꺽임현상에 의해 케이블베어 내의 신호선이 단락되기 때문이다.
더하여, 헤더박스 내부로 케이블베어의 작업이 반드시 추가되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2063609호 국내등록특허 제10-17789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승강장안전문의 오픈을 위한 스위치, 신호선 및 신호선을 보호하는 케이블베어를 적용하지 않으면서, 승강장안전문의 수동개폐부와 연동하여 헤더박스 내의 락디바이스(LOCK DEVICE)의 락킹을 수동으로 해제하면서 도어콘트롤유닛의 제어에 의해 승강장안전문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는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는, 도어콘트롤유닛의 제어에 따라 오픈되는 한 쌍의 승강장안전문에 비상시 탈출을 위한 락킹장치와 연결된 수동개폐부와 비상 개폐장치가 각각 구비된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안전문의 수직프레임을 가로질러 설치된 레버; 상기 레버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레버가 소정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루버;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루버 중 어느 하나의 회전루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장안전문에 설치되며, 회전루버의 한계 회전량을 기어들의 기어비 조합을 통해 증가시키면서 상기 락킹장치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유닛은, 커버에 의해 폐쇄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승강장안전문의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회전루버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으로 노출된 샤프트에 고정되어 회전루버의 회전을 제어하는 캠플레이트; 상기 캠플레이트와 연동 회전하며, 치합 순서를 따라 기어비가 달라지도록 세팅되어 회전루버의 한정된 회전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복수개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부; 및 상기 커버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기어와 동축으로 결합되어 연동 회전하면서 상기 락킹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기어부는, 상기 캠플레이트에 고정된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며, 제1기어보다 감소하는 잇수를 갖는 제2-1기어와, 상기 제2-1기어와 일체를 이루면서 제2-1기어보다 증가하는 잇수를 갖는 제2-2기어로 구성된 제2기어; 및 상기 제2기어의 제2-2기어와 치합되며, 제2-2기어보다 감소하는 잇수를 갖는 제3기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캠플레이트 일측에는 회전하는 상기 레버가 하우징 중심의 직하방 수직선상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제1스톱퍼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레버의 초기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2스톱퍼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타측에는 상기 제2스톱퍼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캠플레이트에는 회전루버의 복귀를 위한 토션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 토션스프링은 샤프트에 끼워진 상태로 일단은 상기 캠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에 지지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어부의 기어와 동축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견인부재; 및 일단은 상기 견인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락킹장치에 연결되어 견인부재의 회전에 따라 락킹장치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제2와이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승강장안전문의 락킹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스위치와, 도어콘트롤유닛(DCU)와 연결되는 신호선 및 신호선이 수용되는 케이블베어를 적용하지 않고, 비상 개폐장치의 레버 회전을 통해 락디바이스의 락킹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승강장안전문을 통한 승객의 신속한 탈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어부의 기어들이 치합 순서를 따라 기어비가 달라지도록 세팅하여 한정된 회전루버의 회전량이 치합 순서를 거치면서 증가되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 또한 탁월하다.
또한, 비상 개폐장치의 구동이 기존의 수동개폐부의 락킹장치에 연결되어 연동됨에 따라 승강장안전문의 구조적 변화가 필요치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스위치, 도어콘트롤유닛과 연결되는 신호선 및 케이블베어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비상 개폐장치와 수동개폐부의 락킹장치가 기계적 결합구조를 이룸에 따라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개폐장치가 승강장안전문에 설치된 상태를 참고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비상 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한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비상 개폐장치의 제2와이어에 의해 락킹장치가 구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작용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비상 개폐장치의 구성중 커버를 제거한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7은 하우징을 단면한 요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개폐장치가 승강장안전문에 설치된 상태를 참고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비상 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한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비상 개폐장치의 제2와이어에 의해 락킹장치가 구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작용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비상 개폐장치의 구성중 커버를 제거한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7은 하우징을 단면한 요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 개폐장치(500)는, 상기 승강장안전문(110)의 수직프레임(111)을 가로질러 설치된 레버(200); 상기 레버(200)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레버(200)가 소정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루버(300);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루버(300) 중 어느 하나의 회전루버(3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장안전문(110)에 설치되며, 회전루버(300)의 한계 회전량을 기어들의 기어비 조합을 통해 증가시키면서 상기 락킹장치(150)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회전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 비상 개폐장치(500)의 가장 큰 특징은 비상시 승강장안전문(110)의 락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승강장안전문(110)의 오픈을 위한 스위치와 신호선 및 케이블베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비상 개폐장치(500)의 레버(200) 회동만으로 기 설치된 수동개폐부(140)의 락킹장치(150)를 작동시켜 승강장안전문(110)의 락킹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에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비상 개폐장치(500)를 통해 승강장안전문(110)에 기 설치된 수동개폐부(140)와 연결된 락킹장치(150)의 락킹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비상시 승강장안전문(110)이 오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스크린도어시스템(100)은 도 1과 같이 중심부에 승객의 입,출을 위한 한 쌍의 승강장안전문(1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장안전문(110)의 양측에는 각각 비상시 탈출을 위한 비상도어(120)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안전문(110)과 비상도어(120)의 상측으로는 비상도어(120)를 지지하면서 승강장안전문(110)을 이동시키는 헤더박스(100a)가 배치되어 있으며, 헤더박스(100a) 내부에는 한 쌍의 승강장안전문(110)을 락킹하기 위한 락디바이스(131)와 락디바이스(131)를 제어하는 도어콘트롤유닛(130)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비상 개폐장치(5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각 승강장안전문(110)의 각 수직프레임(111)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다.
비상 개폐장치(500)를 각 승강장안전문(110)에 설치하는 것은, 비상시 어느 하나의 비상 개폐장치(500)가 작동되더라도 락디바이스(131)의 락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승강장안전문(110)의 선로측을 향하는 수직프레임(111) 외면에는 비상시 선로측에서 승강장안전문(110)의 오픈을 위한 수동개폐부(1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수동개폐부(140) 상측의 수직프레임(111) 내부에는 도 2와 같이 제1와이어(153)를 통해 수동개폐부(140)와 연결되어 수동개폐부(140)의 작동을 통해 당겨지는 제1와이어(153)가 승강장안전문(110)을 락킹(닫힘상태)하는 락디바이스(131)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락킹장치(150)가 구비되어 있다.
락킹장치(150)는 승강장안전문(110)에 기 설치된 것으로써, 도 2 및 도 3과 같이 승강장안전문(110)의 수직프레임(111) 내부로 고정되며 소정길이의 슬롯(151a)이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브라켓(151)과, 수동개폐부(140)와 연결된 제1와이어(153)의 타측이 연결되며 슬롯(151a)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51) 일면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연장편(152a)을 갖는 회전플레이트(152)와, 락디바이스(131)를 향하여 고정브라켓(151)을 관통한 상태로 탄성지지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승강봉(154)과, 회전플레이트(152)의 연장편(152a)과 접촉된 상태로 연장편(152a)을 타고 구름운동하며 승강봉(154)과 슬롯(151a)에 지지된 롤러(155)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롤러(155)와 접촉되는 회전플레이트(152)의 연장편(152a)은 도 3의(b)와 같이 회전플레이트(152)가 회전할 때 롤러(155)의 구름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편평한 면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봉(154)의 탄성지지는 도 3과 같이 승강봉(154)의 하측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브라켓(151)의 하면에 지지되는 스프링(S)에 의해 구현된다.
여기서, 제1와이어(153)를 당기는 수동개폐부(140)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임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락킹장치(150)는, 비상시 사용자의 수동개폐부(140) 조작에 의해 제1와이어(153)가 도 3의(a)와 같이 회전플레이트(152)를 화살표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회전플레이트(152)의 연장편(152a)이 롤러(155)와 접촉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롤러(155)를 밀어올리기 때문에 결국 롤러(155)와 연결된 승강봉(154)을 도 3의(b)와 같이 도면상 상측방향으로 승강시키게 된다. 이때, 승강봉(154)의 상단이 락디바이스(131)의 락킹플레이트(미도시)를 밀어올림으로써 승강장안전문(110)의 락킹상태를 해제시켜 승강장안전문(110)이 열리게 된다.
위와 같은 락킹장치(150)의 승강장안전문(110) 락킹 해제는 본 발명의 비상 개폐장치(500)를 통해서도 구현된다. 즉, 종래에는 비상시 승강장안전문(110)을 통한 탈출이 수동개폐부(140)을 통해서 이루어지거나 스위치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연령대가 비상 개폐장치(500)를 통해 손쉽게 승강장안전문(110)을 열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비상 개폐장치(500)는 레버(200)와, 회전루버(300) 및 회전유닛(400)을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비상 개폐장치(5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각 승강장안전문(110)의 수직프레임(111)에 동일한 구조를 갖는 상태로 서로 마주하게 설치됨에 따라 이하에서는 단일의 비상 개폐장치(500)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레버(200)는 도 1과 같이 승강장안전문(110)의 선로측 수직프레임(111)에 수평선상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며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다.
레버(200)는 승강장안전문(110)의 유리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비상시 전동차 내의 승객이 승강장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승강장 방향으로 푸싱됨으로써 후술하는 회전유닛(400)의 구동을 통한 승강장안전문(110)의 오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회전루버(300)는 레버(200)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하는 것으로, 도 1과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레버(200)의 양 단부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승강장안전문(110)의 수직프레임(111)에 고정되는 회전유닛(4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회전루버(300)는 지지되는 레버(200)가 소정의 각도 즉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20도로 배치될 수 있도록 20도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후술하는 회전유닛(400)의 샤프트(424)에 결합되는데, 이는 레버(200)의 20도 각도가 인체공학적으로 손쉽게 푸싱될 수 있는 각도이기 때문에 비상시에도 연령대와 상관없이 승강장안전문(110)의 오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 회전루버(300)는 도 6과 같이 20도에서 0도로 회전하면서 회전유닛(400)을 구동시킨다.
회전유닛(400)은 레버(200)를 지지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회전루버(300) 중 어느 하나의 회전루버(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루버(300)의 회전에 의해 승강장안전문(110)이 오픈될 수 있도록 승강장안전문(110)의 수직프레임(111)에 수동개폐부(140)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6과 같이 회전루버(300)의 설정된 20도~0도까지의 한계 회전량을 복수개 기어들의 기어비 조합을 통해 증가시키면서 승강장안전문(110)을 잠금시키는 락디바이스(131)의 락킹상태를 락킹장치(150)를 통해 수동으로 해제시킨다.
즉, 회전유닛(400)은 회전루버(300)의 설정된 한계 회전량으로도 도 3의(b)와 같이 승강봉(154)의 원하는 스트로크(예를 들어 15mm)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락디바이스(131)의 락킹을 해제하여 승강장안전문(110)이 오픈되도록 한다.
이때, 승강장안전문(110)의 오픈은 락디바이스(131)의 락킹 해제 신호를 기반으로 도어콘트롤유닛(13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비상 개폐하는 것이다.
회전유닛(400)은 하우징(410)과, 캠플레이트(420)와, 기어부(430) 및 구동부(440)를 포함한다.
하우징(410)은 도 2 내지 도 7과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의 형태를 유지하고,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캠플레이트(420) 및 기어부(430)가 수용되는 소정 면적을 갖는 수용공간(411)이 형성되며, 수용공간(411)은 외부로부터 결합되는 커버(412)에 의해 패쇄된다.
하우징(410)의 일측으로는 하우징(410)이 승강장안전문(110)의 수직프레임(111)상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도 2, 도 4 및 도 5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갖는 결합편(413)이 형성되며, 이 결합편(413)은 고정볼트 또는 용접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직프레임(111)에 고정된다.
캠플레이트(420)는 판 상의 형태로 소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도 7과 같이 회전루버(300)와 연결된 상태로 수용공간(411)으로 노출된 샤프트(424)에 고정되어 회전루버(300)의 20도에서 0도의 회전을 제어한다.
즉, 캠플레이트(420)는 도 7과 같이 하우징(410)을 관통한 샤프트(424)의 우측으로 회전루버(300)가 연결된 상태로, 하우징(410)의 수용공간(411)으로 노출된 샤프트(424)에 고정된 것이다.
더하여, 도 6과 같이 캠플레이트(420)의 도면상 좌측에는 레버(200) 회전시 캠플레이트(420)의 좌측이 일점쇄선과 같이 수용공간(411)의 내벽에 접촉됨으로써 회전하는 레버(200)가 하우징(410) 중심의 직하방 수직선상(일점쇄선)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제1스톱퍼(421)가 형성되고, 도면상 우측에는 레버(200)의 초기상태(실선)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2스톱퍼(42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하우징(410)의 수용공간(411) 타측 즉 도면상 우측에는 제2스톱퍼(42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접촉면(410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접촉면(410a)은 캠플레이트(420)의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회전루버(300)의 초기상태(실선)가 상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캠플레이트(420)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초기상태에서 회전한 회전루버(300)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를 위한 토션스프링(423)이 구비된다.
이때, 토션스프링(423)은 수용공간(411)으로 노츨된 샤프트(424)에 끼워진 상태로 도면상 캠플레이트(420)의 후면과 수용공간(411)의 우측벽 사이로 배치되고, 토션스프링(423)의 일단은 캠플레이트(420)를 관통하여 고정되며, 타단은 도 6과 같이 수용공간(411)의 내벽에 지지된다.
따라서, 캠플레이트(420)는 제2스톱퍼(422)가 접촉면(410a)과 접촉된 상태에서 토션스프링(423)의 탄성지지를 받기 때문에 회전루버(300)를 도 6의 실선과 같이 상시적으로 위치시키고, 회전루버(300)의 회전(일점쇄선)이 이루어질 때에는 제1스톱퍼(421)가 일점쇄선과 같이 수용공간(411)의 내벽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여 레버(200)가 하우징(410)의 직하방 수직선상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캠플레이트(420)가 토션스프링(42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판스프링 또는 인장스프링 등과 같은 구조를 통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종류 및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
기어부(430)는 회전루버(300)의 회전에 의해 캠플레이트(420)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기어의 기어비가 치합 순서를 따라 달라지도록 세팅하여 한정된 회전루버(300)의 회전량을 치합 단계를 거치면서 증가시킨다.
기어부(430)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캠플레이트(420)에 샤프트(424)를 통한 축 결합되어 고정된 제1기어(431)와; 도 7과 같이 제1기어(431)의 하측으로 별도의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기어(431)와 치합되며 제1기어(431)보다 감소하는 잇수를 갖는 제2-1기어(432a)와, 제2-1기어(432a)의 도면상 좌측으로 배치되어 제2-1기어(432a)와 일체를 이루면서 제2-1기어(432a)보다 증가하는 잇수를 갖는 제2-2기어(432b)로 구성된 제2기어(432); 및 제2기어(432)의 제2-2기어(432b)의 도면상 상측으로 배치되어 제2-2기어(432b)와 치합되며, 제2-2기어(432b)보다 감소하는 잇수를 갖는 제3기어(433)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기어부(430)는 제1기어(431), 제2기어(432) 및 제3기어(433)로 구성되며, 제1기어(431)는 캠플레이트(420)와 일체를 이루면서 샤프트(424)와 연동하여 회전하고, 제2기어(432)는 서로 다른 잇수를 갖는 2개의 기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1기어(431)와 치합된 상태로 제1기어(431)에 의해 회전하며, 제3기어(433)는 단일로서 제2기어(432)와 치합된 상태에서 제2기어(432)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이다.
이때, 제3기어(433)는 후술하는 구동부(440)의 견인부재(441)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단일의 기어상태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기어(431)와 제2기어(432)를 거친 회전루버(300)의 증가된 회전량이 제3기어(433)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기어부(430)는 회전루버(300)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제1기어(431), 제2기어(432) 및 제3기어(433)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하고, 최초 회전루버(300)의 회전량이 각 기어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3기어(433)를 통해 견인부재(441)로 전달되는 회전루버(300)의 회전량이 증가된 상태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락킹부재의 승강봉(154)이 설정된 높이만큼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어부(430)는 실시예와 같이 회전루버(300)의 설정된(20도~0도) 회동 범위 내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도 3의(b)와 같이 승강봉(154) 승강(15mm)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하여, 기어부(430)는 승강장안전문(110)의 수직프레임(111) 폭이 60mm로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도 6과 같이 하우징(410)의 폭이 38mm 이상을 벗어날 수가 없는 수용공간(41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411) 상에서 회전하면서 회전루버(300)의 회전량을 증가시킨다.
다른면으로, 기어부(430)의 대체로 링크구조를 통해 회전루버(300)의 회전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나, 이러한 링크구조는 수용공간(411)이 넉넉해야 하기 때문에, 38mm로 제한된 하우징(410) 폭 내부의 수용공간(411)은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원초적으로 불가능하다.
기어부(430)를 통한 회전루버(300)의 회전량이 증가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기어부(430)의 제1기어(431)의 잇수가 32개, 제2기어(432)의 제2-1기어(432a)의 잇수가 16개, 제2-2기어(432b)의 잇수가 32개, 제3기어(433)의 잇수가 16개라고 가정하여 회전루버(300)가 도 6의 일점쇄선으로 이동하면 기어들은 다음과 같은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먼저, 제1기어(431)는 회전루버(300) 샤프트(424) 캠플레이트(420)와 연동회전하면서 20도 회전하고, 제1기어(431)와 치합된 제2기어(432)의 제2-1기어(432a)는 제1기어(431)보다 잇수가 배수로 적기 때문에 40도 회전하고 동시에 2-2기어도 40도 회전하게 되며, 제2-2기어(432b)와 치합된 제3기어(433)는 제2-2기어(432b)보다 배수로 작기 때문에 80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제3기어(433)의 80도 회전에 따른 호의 길이만큼 후술하는 견인부재(441)가 제2와이어(442)를 당기기 때문에 도 3의(b)와 같이 승강봉(154)을 15mm 상승시킨다. 승강봉(154)의 선단은 통상 락디바이스(131)로부터 12mm정도 이격된 상태이다.
여기서, 승강봉(154)의 상승 높이는 기어들의 직경 및 잇수에 달라짐은 당연하고, 승강봉(154)의 출몰 높이를 15mm로 셋팅하는 경우 기어의 통상 직경은 12이면 가능하다.
또한, 승강봉(154)의 출몰 높이를 더 연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어들의 직경을 증가시킬 수는 있지만, 이럴 경우에는 하우징(410)의 수용공간(411) 내부로의 설치가 어렵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기어를 통해 회전루버(300)의 회전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우징(410) 수용공간(411)의 크기에 따라 기어들의 개수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기어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구동부(440)는 기어부(430)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와 같이 하우징(410)의 수용공간(411)을 패쇄하는 커버(412)의 외면에 배치되며, 제3기어(433)와 동축으로 결합되어 연동 회전하면서 락킹장치(150)의 회전플레이트(152)를 구동시켜 승강장안전문(110)의 락킹을 해제시킨다.
구동부(440)는, 기어부(430)의 제3기어(433)와 동축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견인부재(441)와, 일단은 견인부재(441)에 고정되고 타단은 도 3과 같이 락킹장치(150)의 회전플레이트(152)에 연결되어 견인부재(441)의 회전에 따라 락킹장치(150)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제2와이어(442),로 구성된다.
제2와이어(442)는 도 2와 같이 일단이 견인부재(441)에 고정된 상태로 승강장안전문(110)의 수직프레임(111) 내부로 수용되어 타단이 락킹장치(150)의 회전플레이트(152)와 연결된다.
견인부재(441)는 원형의 드럼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제2와이어(442)의 일단이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3기어(433)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제2와이어(442)를 권취한다.
동시에, 락킹장치(150)의 회전플레이트(152)는 견인부재(441)에 권취되는 제2와이어(442)에 의해 당김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 3의(a)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승강봉(154)을 도 3의(b)와 같이 상승시킴으로써 승강장안전문(110)을 잠금하는 락디바이스(131)의 락킹을 해제시켜 도어콘트롤유닛(130)(DCU)의 제어를 통한 승강장안전문(110)의 오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회전유닛(400)에 결합된 레버(200)의 타측 회전루버(300)에는 회전유닛(400)의 하우징(410)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하우징(410)이 수직프레임(111)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41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타측 회전루버(30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어부(430)를 제외한 회전루버(300)와 결합되는 샤프트(424), 캠플레이트(420) 및 토션스프링(423) 만이 구비되어 있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는, 종래와 같이 승강장안전문의 락킹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스위치와, 도어콘트롤유닛(DCU)와 연결되는 신호선 및 신호선이 수용되는 케이블베어를 적용하지 않고, 비상 개폐장치의 레버 회전을 통해 락디바이스의 락킹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승강장안전문을 통한 승객의 신속한 탈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어부의 기어들이 치합 순서를 따라 기어비가 달라지도록 세팅하여 한정된 회전루버의 회전량이 치합 순서를 거치면서 증가되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 또한 탁월하다.
또한, 비상 개폐장치의 구동이 기존의 수동개폐부의 락킹장치에 연결되어 연동됨에 따라 승강장안전문의 구조적 변화가 필요치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스위치, 도어콘트롤유닛과 연결되는 신호선 및 케이블베어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비상 개폐장치와 수동개폐부의 락킹장치가 기계적 결합구조를 이룸에 따라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스크린도어시스템 100a : 헤더박스
110 : 승강장안전문 111 : 수직프레임
120 : 비상도어 130 : 도어콘트롤유닛
131 : 락디바이스 140 : 수동개폐부
150 : 락킹장치 151 : 고정브라켓
151a : 슬롯 152 : 회전플레이트
152a : 연장편 153 : 제1와이어
154 : 승강봉 155 : 롤러
200 : 레버 300 : 회전루버
400 : 회전유닛 410 : 하우징
410a : 접촉편 411 : 수용공간
412 : 커버 413 : 결합편
420 : 캠플레이트 421 : 제1스톱퍼
422 : 제2스톱퍼 423 : 토션스프링
424 : 샤프트 430 : 기어부
431 : 제1기어 432 : 제2기어
432a : 제2-1기어 432b : 제2-2기어
433 : 제3기어 440 : 구동부
441 : 견인부재 442 : 제2와이어
500 : 비상 개폐장치

Claims (6)

  1. 도어콘트롤유닛(130)의 제어에 따라 오픈되는 한 쌍의 승강장안전문(110)에 비상시 탈출을 위한 락킹장치(150)와 연결된 수동개폐부(140)와 비상 개폐장치(500)가 각각 구비된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안전문(110)의 수직프레임(111)을 가로질러 설치된 레버(200);
    상기 레버(200)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레버(200)가 소정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루버(300);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루버(300) 중 어느 하나의 회전루버(3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장안전문(110)에 설치되며, 회전루버(300)의 한계 회전량을 기어들의 기어비 조합을 통해 증가시키면서 상기 락킹장치(150)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회전유닛(40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유닛(400)은, 커버(412)에 의해 폐쇄되는 수용공간(411)을 가지며, 승강장안전문(110)의 수직프레임(111)에 결합되는 하우징(410); 상기 회전루버(30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411)으로 노출된 샤프트(424)에 고정되어 회전루버(300)의 회전을 제어하는 캠플레이트(420); 상기 캠플레이트(420)와 연동 회전하며, 치합 순서를 따라 기어비가 달라지도록 세팅되어 회전루버(300)의 한정된 회전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복수개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부(430); 및 상기 커버(412)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기어와 동축으로 결합되어 연동 회전하면서 상기 락킹장치(15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440);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부(430)는, 상기 캠플레이트(420)에 고정된 제1기어(431); 상기 제1기어(431)와 치합되며, 제1기어(431)보다 감소하는 잇수를 갖는 제2-1기어(432a)와, 상기 제2-1기어(432a)와 일체를 이루면서 제2-1기어(432a)보다 증가하는 잇수를 갖는 제2-2기어(432b)로 구성된 제2기어(432); 및 상기 제2기어(432)의 제2-2기어(432b)와 치합되며, 제2-2기어(432b)보다 감소하는 잇수를 갖는 제3기어(4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플레이트(420) 일측에는 회전하는 상기 레버(200)가 하우징(410) 중심의 직하방 수직선상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제1스톱퍼(4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레버(200)의 초기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2스톱퍼(422)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410)의 수용공간(411) 타측에는 상기 제2스톱퍼(422)와 접촉되는 접촉면(41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플레이트(420)에는 회전루버(300)의 복귀를 위한 토션스프링(423)이 구비되되,
    상기 토션스프링(423)은 샤프트(424)에 끼워진 상태로 일단은 상기 캠플레이트(4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411)의 내벽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40)는,
    상기 기어부(430)의 기어와 동축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견인부재(441); 및
    일단은 상기 견인부재(44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락킹장치(150)에 연결되어 견인부재(441)의 회전에 따라 락킹장치(150)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제2와이어(4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KR1020210057910A 2021-05-04 2021-05-04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KR102313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10A KR102313610B1 (ko) 2021-05-04 2021-05-04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10A KR102313610B1 (ko) 2021-05-04 2021-05-04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610B1 true KR102313610B1 (ko) 2021-10-19

Family

ID=7822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910A KR102313610B1 (ko) 2021-05-04 2021-05-04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6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3375A (ja) * 2012-04-04 2013-10-17 Hokuden Kogyo Kk 非常用扉の開閉装置
KR101523661B1 (ko) * 2014-02-26 2015-05-28 (주)부영뉴텍 패닉디바이스
KR101778987B1 (ko) 2017-07-11 2017-09-18 (주)에이.티.아이 더블 구조식 캠 회전체를 갖는 가동도어의 패닉바용 제어반
KR102063609B1 (ko) 2019-05-24 2020-02-11 이상용 캠 회전체, 제어장치, 및 스크린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3375A (ja) * 2012-04-04 2013-10-17 Hokuden Kogyo Kk 非常用扉の開閉装置
KR101523661B1 (ko) * 2014-02-26 2015-05-28 (주)부영뉴텍 패닉디바이스
KR101778987B1 (ko) 2017-07-11 2017-09-18 (주)에이.티.아이 더블 구조식 캠 회전체를 갖는 가동도어의 패닉바용 제어반
KR102063609B1 (ko) 2019-05-24 2020-02-11 이상용 캠 회전체, 제어장치, 및 스크린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073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US11192755B2 (en) Device for actuating a car or shaft door of an elevator system
KR10111116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 폭 이내 구간에 설치되는 카도어 자동개폐장치
KR20000038410A (ko)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
JP2019510148A (ja) 両開きのスライディングプラグドアシステム
JP336371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扉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2313613B1 (ko)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CN2937389Y (zh) 屏蔽门锁紧装置
KR102313610B1 (ko)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US4598499A (en) Sliding door edge support
JP4245371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3350657B2 (ja) 駅ホームの安全柵におけるパニックドア用ロック装置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JPH081222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A2038732C (en) Device and procedure for opening the doors of an elevator
JP3696940B2 (ja) 自動開閉装置を備えた横開きシャッター
JP4895580B2 (ja) シャッター装置およびシャッター装置を備える建物
CN114174143A (zh) 站台屏蔽
JP2000108889A (ja)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CN113682929A (zh) 一种可适用于电梯的开门保持系统
EP3467248A1 (en) A glass panel arrangement and a guide track for supporting a glass panel
KR102672739B1 (ko) 터널용 피난 갱문의 홀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터널용 피난 갱문
KR102642415B1 (ko) 양방향 슬라이딩 방식의 비상도어
WO1993005259A1 (en) Automatic door operator
JP2019163642A (ja) トンネル用の避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