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622A -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622A
KR20010011622A KR1019990031086A KR19990031086A KR20010011622A KR 20010011622 A KR20010011622 A KR 20010011622A KR 1019990031086 A KR1019990031086 A KR 1019990031086A KR 19990031086 A KR19990031086 A KR 19990031086A KR 20010011622 A KR20010011622 A KR 20010011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upling
guide block
guid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6346B1 (ko
Inventor
한학기
임우영
Original Assignee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장병우
Priority to KR1019990031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34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도어 커플링 장치는 가이드 블록 하단부에 형성된 랙 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의 각 상단 사이에 연결된 커플링 아암과 한쌍의 링크로서 연결하여 힌지 결합시켜야 하므로 그 연결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시의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며, 제작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작동하기 위한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카의 카도어와 각층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장 도어를 연결하여 함께 개폐시키기 위한 커플링 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인 피니언을 커플링 스케이트 상단 사이의 커플링 아암에 직접 연결하여 베이스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써 사용 부품의 감소에 따른 제작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동하기 위한 설치 공간을 축소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DOOR COUPLING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카의 카도어와 각층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장 도어를 연결하여 함께 개폐시키기 위한 커플링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는 카(= 케이지)에 설치되는 카도어와 건물 각층에서 승강로와 연통하는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장 도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층에서의 승객의 승,하차 출입을 위해서는 그 카도어와 승장 도어를 모두 개폐하여야 한다. 동력을 사용하여 카도어와 승장 도어의 개폐함에 있어서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각각 다른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구동원을 카측에 설치하여 카도어와 승장 도어를 함께 개폐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카에 설치된 하나의 구동원으로 카도어와 승장 도어를 함께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카가 각층에 정차하였을 때 카도어와 승장 도어를 연결해주는 이른바 도어 커플링 장치(coupling device)가 사용된다.
한편, 카가 지정된 정차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승장 도어가 수동으로 열리게 되면 승강로 아래로 추락할 위험이 있으므로, 그 승장 도어를 임의로 열 수 없게 록킹하고 카가 지정된 위치에 정차한 상태에서 카도어의 열림 동작이 개시될 때만 상기 커플링 장치에 의해 해제되는 랜딩 도어록 장치(landing door lock device)가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승장 도어의 랜딩 도어록 장치와 관련한 종래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가 카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a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가 승장 도어의 랜딩 도어록 장치를 잠금 해제하기 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b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가 승장 도어의 랜딩 도어록 장치를 잠금 해제한 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의 카(도시는 생략함) 상부에 카도어 프레임(1a)이 설치되고, 카도어 프레임(1a)의 상단부 일측에는 구동 모터(2)가 장착되며, 상기 카도어 프레임(1a)에는 구동 모터(2)와 감속 벨트(3)로서 연결되어 감속 회전되는 구동 풀리(4)가 설치되고, 구동 풀리(4)는 종동 풀리(5)와의 사이에 순환 이동하는 구동 벨트(6)로서 연결되며, 카도어(7)(7a)는 카도어 프레임(1a)에 설치된 안내 레일(8)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헹거 플레이트(9)(9a)의 하단부에 일체로 매달린 상태로 설치된다.
종래의 도어 커플링 장치(10a)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카도어(7)의 헹거 플레이트(9)에 고정된 베이스(11a) 상에 설치되어 전술한 승장 도어의 잠금 수단인 랜딩 도어록 장치(12)의 록킹 해제로울러(13)를 출입시킬 수 있는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한쌍의 가동형 커플링 스케이트(140)(140a)와, 상기한 구동 벨트(6)에 직접 이끌리도록 연결되어 전술한 승장 도어의 랜딩 도어록 장치를 잠그는 잠금 위치와 그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를 포함하여 도어의 개폐구간을 이동하도록 지지된 랙 기어부(16)를 갖는 가이드 블록(15a)과, 이 가이드 블록(15)에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21a)을 포함하는 연동수단으로서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0)(140a)의 각 상단들 사이 그리고 각 하단들 사이에 연결되고 베이스(11a)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커플링 아암(200)(200a)과, 이중의 상측 커플링 아암(200)과 적당한 간격을 두고 베이스(11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측 커플링 아암(200)과 피니언(21a)을 대칭하게 연결하는 링크(100)(100a)와, 가이드 블록(15a)이 도어의 개폐 구간에서 카도어를 이끌도록 상호 구속시키는 구속수단으로서의 가이드 블록(15a)에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연동 구간에 대응하여 형성된 안내공(17a)과 이 안내공(17a)에 삽입되어 있고 베이스(11a)와 연결되어 있는 안내 로울러(240)와, 그리고 도어 닫힘시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0)(140a)의 간격이 변화하지 않도록 그 구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 블록(15a)에 피봇지지되어 안내공(17a)의 잠금 해제위치에 대응하는 한쪽 단부에서 안내 로울러(17a)를 가둘 수 있는 걸림단(250a)을 가지고 있고 타측에 연동 로울러(270)가 설치되어 있는 구속 유지레버(250)와, 이 구속 유지레버(250)의 걸림단(250a)이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구간에서는 해제되어 있도록 그 연동 로울러(270)를 연동시키는 캠 플레이트(290) 및 구속 유지레버(250)를 그 구속 유지하는 자세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을 보유하는 스프링(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캠 플레이트(290)는 카도어 프레임(1a)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카도어(7)(7a)가 닫히고 카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전술한 승장 도어는 물론 그 잠금 수단인 랜딩 도어록 장치(12)에 의해 잠겨 있게 되는 데, 이러한 상태에서 가이드 블록(15a)은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이동해 있게 되며, 이때 안내 로울러(240)는 가이드 블록(15a)에 형성된 안내공(17a)의 그 잠금 위치에 대응하는 좌단에 위치되고, 연동 로울러(270)가 캠 플레이트(290) 위로 올라가 있음으로써 구속 유지레버(250)의 걸림단(250a)은 그 안내홈(17a)의 잠금 해제위치에 대응하는 우단측으로부터 아래로 벗어나 있게 된다.
또한, 피니언(32a)은 가이드 블록(15a)의 하단부에 형성된 랙 기어부(16)의 좌단부에 맞물려 있고,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0)(140a)의 간격이 최대로 넓혀져 있어서 전술한 승장 도어의 잠금 수단인 랜딩 도어록 장치(12)의 록킹 해제로울러(13)를 그 사이로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다.
카가 이동하여 어느 한층의 승강장에 정차하면,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0)(140a) 사이의 넓혀진 간격으로 그 승강장에 설치된 승장 도어의 잠금 수단인 랜딩 도어록 장치(12)의 록킹 해제로울러(13)가 들어오게 되며. 물론,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0)(140a)의 간격이 충분히 넓으므로 랜딩 도어록 장치(12)는 그 래치(31)가 록커(32)에 걸려 있는 상태로 있음에 따라 전술한 승장 도어는 임의로 열릴 수 없는 잠김상태로 유지된다.
도 2a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 모터(2)가 도어 개방을 위해 작동되면, 그 구동모터(2)에 의해 구동 벨트(6)가 해당 방향으로 순환 이동되고 이에 따라 구동 벨트(6)와 연결된 가이드 블록(15a)이 도어 열림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블록(15a)의 이동 구간은 초기의 승장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0)(140a)를 연동시키는 연동 구간과, 그 연동 이후의 순수 도어 개폐구간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즉, 카도어측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11a)와 연결되어 있는 안내 로울러(240)가 가이드 블록(15a)에 형성된 안내공(17a)의 좌단(도 2a 참조)에서 우단(도 2b 참조)에 걸려 그 도어 열림방향으로 구속되기까지가 이른바 연동 구간에 해당된다. 이 연동 구간에서는 카도어 및 승장 도어는 아직 열리지 않고 그 가이드 블록(15a)만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그 연동 구간에서의 가이드 블록(15a)의 이동에 따라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21a)은 대략 90°회전되고 링크(100)(100a)와 커플링 아암(200)(200a)이 연동됨으로써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0)(140a)의 간격이 좁아진다.
커플링 스케이트(140)(140a)의 간격이 좁아지면, 도 2b에 함께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사이에 들어온 랜딩 도어록 장치(12)의 록킹 해제로울러(13)가 비스듬한 상태에서 똑바로 기립되며, 그 래치(31)가 록커(32)에서 빠져 승장도어의 잠금상태는 해제된다. 따라서 이때부터는 가이드 블록(15a)은 그 안내공(17a)의 우단에 걸려 있는 안내 로울러(240)를 통해 도어 열림방향으로 구속되어진 카도어를 이끌게 되고, 카도어는 그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0)(140a) 사이에 연결되어진 록킹 해제로울러(13)를 통해 그 잠금 해제된 승장 도어를 이끌게 되어 된다. 따라서 카도어와 승장 도어가 동시에 열리는 것이다.
한편, 도 2b에서 가이드 블록(15a)에 달려서 같이 이동하게 되는 구속 유지레버(250)는 연동 로울러(270)가 캠 플레이트(290)를 타고 내려오면서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 연동 로울러(270)가 가이드 블록(15a)에 형성된 안내공(17a)의 우단과 그 구속 유지레버(250)의 걸림단(250a) 사이에 가두어짐으로써 그 가이드 블록(15a)과 카도어 상호간의 구속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300)은 구속 유지레버(250)를 구속시키는 자세를 안정하게 유지하여 준다.
이와 같이 가이드 블록(15a)과 카도어를 구속 유지하므로써 도어 열림 동작후 그 역으로의 도어 닫힘 동작이 개시될 때 가이드 블록(15a)에 형성된 안내공(17a)의 좌단이 안내 로울러(240)에 닿기까지 그 가이드 블록(15a)이 도어에 대해 이동하여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0)(140a)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어 닫힘 동작시의 유동을 방지하여 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어 닫힘 동작은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 열림 동작의 역순으로 진행되며, 카도어 및 승장 도어가 완전히 닫히면 승장 도어가 다시 잠기게 되고, 카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커플링 장치(10a)는 가이드 블록(15a) 하단부에 형성된 랙 기어부(16)와 맞물리는 피니언(21a)을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0)(140a)의 각 상단 사이에 연결된 커플링 아암(200)과 한쌍의 링크(100)(100a)로서 연결하여 힌지 결합시켜야 하므로 그 연결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시의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며, 제작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작동하기 위한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카의 카도어와 각층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장 도어를 연결하여 함께 개폐시키기 위한 커플링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부품의 감소에 따른 제작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하기 위한 설치 공간을 축소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가 카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a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가 승장 도어의 랜딩 도어록 장치를 잠금 해제하기 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b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가 승장 도어의 랜딩 도어록 장치를 잠금 해제한 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가 카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가 승장 도어의 랜딩 도어록 장치를 잠금 해제하기 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가 승장 도어의 랜딩 도어록 장치를 잠금 해제한 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카도어 프레임 2; 구동 모터
3; 감속 벨트 4; 구동 풀리
5; 종동 풀리 6; 구동 벨트
7,7a; 카도어 8; 안내 레일
9,9a; 헹거 플레이트 10; 커플링 장치
11; 베이스 12; 랜딩 도어록 장치
13; 록킹 해제로울러 14,14a; 커플링 스케이트
15; 가이드 블록 16; 랙 기어부
17; 안내공 18; 지지 브라켓
19; 리미트 스위치 20,20a; 커플링 아암
21; 피니언 22; 가이드 플레이트
23,23a; 안내축 24,24a; 안내 로울러
25; 구속 유지레버 26; 제 1 연동 로울러
27; 제 2 연동 로울러 28; 캠곡선
29; 캠 플레이트 30; 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 개폐수단이 구비된 카도어측에 설치되어 카의 이동시 승장 도어의 잠금 수단을 출입시킬 수 있는 간격을 두고 대향되며 그 간격을 좁혀서 잠금 수단을 해제시키도록 작동되는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와, 상기 도어 개폐수단에 의하여 승장 도어의 잠금 수단을 해제하기 위한 연동 구간 및 그 잠금 해제 이후의 도어 개폐구간을 이동하도록 지지된 가이드 블록과 이 가이드 블록과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을 포함하여 그 연동 구간에서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를 작동시키도록 연동되는 연동 수단, 그리고 상기 도어 개폐구간에서 가이드 블록과 카도어를 상호 구속시키는 구속 수단이 구비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을 구성하는 가이드 블록과 맞물려 있는 피니언이 커플링 스케이트 상단 사이의 커플링 아암에 연결되어 베이스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가 카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가 승장 도어의 랜딩 도어록 장치를 잠금 해제하기 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가 승장 도어의 랜딩 도어록 장치를 잠금 해제한 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도시는 생략함) 상부에 카도어 프레임(1)이 설치되고, 카도어 프레임(1)의 상단부 일측에는 구동 모터(2)가 장착되며, 상기 카도어 프레임(1)에는 구동 모터(2)와 감속 벨트(3)로서 연결되어 감속 회전되는 구동 풀리(4)가 설치되고, 구동 풀리(4)는 종동 풀리(5) 와의 사이에 순환 이동하는 구동 벨트(6)로서 연결되며, 카도어(7)(7a)는 카도어 프레임(1)에 설치된 안내 레일(8)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헹거 플레이트(9)(9a)의 하단부에 일체로 매달린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장치(10)로서 상기 한쪽 카도어(7)의 헹거 플레이트(9)에 고정된 베이스(11) 상부에는 승장 도어(도시는 생략함)의 잠금 수단인 랜딩 도어록 장치(12)의 록킹 해제로울러(13)를 출입시킬 수 있는 간격을 두고 대향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14a)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벨트(6)에는 승장 도어의 랜딩 도어록 장치(12)를 잠그는 잠금 위치와 그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를 포함하여 도어의 개폐 구간을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15)이 구동 벨트(6)와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블록(15)의 하단부에는 랙 기어부(16)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15)의 중앙부에는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연동 구간에 대응하도록 안내공(17)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15)의 일측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18)의 상단에는 도어의 개폐시 가이드 블록(15)의 이동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19)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 스케이트(14)(14a)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는 각각 커플링 아암(20)(20a)이 베이스(11)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커플링 스케이트(14)(14a) 상단 사이의 커플링 아암(20)에는 상기 가이드 블록(15) 하단부의 랙 기어부(16)와 맞물리는 피니언(21)이 연결되어 베이스(1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15) 후방의 카도어 프레임(1)에는 가이드 플레이트(22)가 고정되고, 가이드 플레이트(22)의 일측에는 가이드 블록(15)의 안내공(17)에 삽입되는 한쌍의 안내축(23)(23a)이 설치되며, 안내공(17) 내부의 안내축(23)(23a) 양단에는 각각 안내 로울러(24)(24a)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의 타측에는 도어 닫힘시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14a)의 간격이 변화하지 않도록 그 구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속 유지레버(2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구속 유지레버(25)의 일단에는 도어 닫힘시 잠금 해제위치에 대응하는 한쪽 단부에서 가이드 블록(15)과 접촉하여 정지시키기 위한 제 1 연동 로울러(2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속 유지레버(25)의 타단에는 제 2 연동 로울러(2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카도어 프레임(1)에는 제 1 연동 로울러(26)가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구간에서는 해제되어 있도록 제 2 연동 로울러(27)와 이격되는 캠곡선(28)이 형성된 캠 플레이트(29)가 설치되며, 상기 구속 유지레버(25)의 중앙부에는 구속 유지레버(25)를 구속 유지시키는 상태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을 보유하는 스프링(3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카의 카도어(7)(7a)가 닫히고 카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승장 도어는 그 잠금 수단인 랜딩 도어록 장치(12)에 의해 잠겨져 있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가이드 블록(15)은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 이동해 있게 되는 데, 이때 안내 로울러(24)(24a)는 가이드 블록(15)에 형성된 안내공(17)의 그 잠금 위치에 대응하는 좌단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구속 유지레버(25) 타단의 제 2 연동 로울러(27)는 캠 플레이트(29)의 캠곡선(28)과 이격되고, 상기 구속 유지레버(25) 일단의 제 1 연동 로울러(26)는 가이드 블록(15)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피니언(21)은 상기 가이드 블록(15)의 하단부에 형성된 랙 기어부(16)의 좌단부에 맞물려 있게 되고,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14a)의 간격이 최대로 넓혀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플링 스케이트(14)(14a)의 넓혀진 간격에서는 전술한 승장 도어의 잠금 수단인 랜딩 도어록 장치(12)의 록킹 해제로울러(13)를 그 사이로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카가 이동하여 어느 한층의 승강장에 정차하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 스케이트(14)(14a) 사이의 넓혀진 간격으로 그 승강장에 설치된 승장 도어의 록킹 해제로울러(13)가 들어오게 되며, 상기 커플링 스케이트(14)(14a)의 간격이 충분히 넓으므로 랜딩 도어록 장치(12)는 그 래치(31)의 록커(32)에 걸려 있는 상태로 있게 되므로 승장 도어는 임의로 열릴 수 없는 잠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 모터(2)가 도어 개방을 위해 작동되면, 그 구동 모터(2)에 의해 구동 벨트(6)가 해당 방향으로 순환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구동 벨트(6)에 결합된 가이드 블록(15)이 도어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데, 이러한 가이드 블록(15)의 이동 구간은 초기의 승장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14a)를 연동시키는 연동 구간과, 그 연동 이후의 순수 도어 개폐구간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블록(15) 후방의 카도어 프레임(1)에 고정된 가이드 플레이트(22)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안내축(23)(23a) 양단에 각각 설치된 안내 로울러(24)(24a)가 가이드 블록(15)의 안내공(17) 좌단(도 5a 참조)에서 우단(도 5b 참조)에 걸려 그 도어 열림 방향으로 구속되기까지가 연동 구간에 해당되는 데, 이 연동 구간에서는 카도어 및 승장 도어는 아직 열리지 않고 가이드 블록(15)만이 이동하게 되고, 그 연동 구간에서 가이드 블록(15)의 이동에 따라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21)이 대략 70°회전되며, 피니언(21)과 연결된 커플링 아암(20)(20a)이 연동되므로써 커플링 스케이트(14)(14a)의 간격이 좁아진다.
상기 커플링 스케이트(14)(14a)의 간격이 좁아지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사이에 들어온 랜딩 도어록 장치(12)의 록킹 해제로울러(13)가 비스듬한 상태에서 똑바로 기립됨과 동시에, 래치(31)가 록커(32)에서 빠지게 되므로 승장 도어의 감금 상태는 해제된다.
따라서, 이때부터 상기 가이드 블록(15)은 그 안내공(17)의 우단에 걸려 있는 안내 로울러(24)(24a)를 통해 도어 열림 방향으로 구속된 카도어를 이끌게 되고, 카도어는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14a) 사이에 연결되어진 록킹 해제로울러(13)를 통해 그 잠금 해제된 승장 도어를 이끌게 되므로 카도어와 승장 도어가 동시에 열리게 된다.
한편, 도 5b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15)이 이동함에 따라 구속 유지레버(25) 일단의 제 1 연동 로울러(26)는 가이드 블록(15)의 상단부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속 유지레버(25)가 하강하여 수평 상태로 되면서 가이드 블록(15)의 우측 단부를 밀어 줌과 동시에, 상기 구속 유지레버(25) 타단의 제 2 연동 로울러(27)는 캠 플레이트(29)의 캠곡선(28)에 걸리게 되므로써 상기 가이드 블록(15)과 카도어 상호간의 구속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속 유지레버(25)의 중앙부에 설치된 스프링(30)은 구속 유지레버(25)의 구속 상태를 유지시키는 안정적인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 블록(15)과 카도어를 구속 유지하므로써 도어 열림 동작후 그 역으로의 도어 닫힘 동작이 개시될 때 가이드 블록(15)의 안내공(17) 좌단이 안내 로울러(24)(24a)에 닿기까지 그 가이드 블록(15)이 도어에 대해 이동하여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14)(14a)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 닫힘 동작은 전술한 도어 열림 동작의 역순으로 진행하게 되며, 카도어 및 승장 도어가 완전히 닫히면 승장 도어가 다시 잠기게 되고, 카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장치(10)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의 하나인 피니언(21)을 별도의 링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커플링 스케이트(14)(14a) 상단 사이의 커플링 아암(20)에 직접 연결하여 베이스(1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카의 카도어와 각층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장 도어를 연결하여 함께 개폐시키기 위한 커플링 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인 피니언을 커플링 스케이트 상단 사이의 커플링 아암에 직접 연결하여 베이스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써 사용 부품의 감소에 따른 제작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동하기 위한 설치 공간을 축소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도어 개폐수단이 구비된 카도어측에 설치되어 카의 이동시 승장 도어의 잠금 수단을 출입시킬 수 있는 간격을 두고 대향되며 그 간격을 좁혀서 잠금 수단을 해제시키도록 작동되는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와, 상기 도어 개폐수단에 의하여 승장 도어의 잠금 수단을 해제하기 위한 연동 구간 및 그 잠금 해제 이후의 도어 개폐구간을 이동하도록 지지된 가이드 블록과 이 가이드 블록과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을 포함하여 그 연동 구간에서 한쌍의 커플링 스케이트를 작동시키도록 연동되는 연동 수단, 그리고 상기 도어 개폐구간에서 가이드 블록과 카도어를 상호 구속시키는 구속 수단이 구비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을 구성하는 가이드 블록과 맞물려 있는 피니언이 커플링 스케이트 상단 사이의 커플링 아암에 연결되어 베이스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1019990031086A 1999-07-29 1999-07-29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100336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086A KR100336346B1 (ko) 1999-07-29 1999-07-29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086A KR100336346B1 (ko) 1999-07-29 1999-07-29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622A true KR20010011622A (ko) 2001-02-15
KR100336346B1 KR100336346B1 (ko) 2002-05-13

Family

ID=1960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086A KR100336346B1 (ko) 1999-07-29 1999-07-29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3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316B1 (ko) * 1999-10-08 2002-06-12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안전 잠금장치
KR100351289B1 (ko) * 1999-10-29 2002-09-10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CN103738810A (zh) * 2013-12-09 2014-04-23 镇江新区科力迪机电科技有限公司 自发电消能电梯缓降器
CN105016182A (zh) * 2014-04-30 2015-11-04 天津市核奥达新技术开发有限公司 永磁变频齿条传动开门机
CN111085933A (zh) * 2020-02-14 2020-05-01 杭州真杭水晶有限公司 一种可切换磨砂轮的加工水晶机器人的抛光部件
IT202100009473A1 (it) * 2021-04-15 2022-10-15 Fge Elettr S R L Dispositivo di azionamento di porte di ascensori.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592B2 (ja) * 1989-07-10 1995-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係合装置の取付異常検出装置
FI101784B1 (fi) * 1995-09-13 1998-08-31 Kone Corp Menetelmä hissin tasonoven liikuttamiseksi ja mukaanottaja
FI100517B (fi) * 1995-09-13 1997-12-31 Kone Oy Menetelmä hissin tasonoven sulkemisessa ja mukaanottaja
US5651427A (en) * 1995-10-31 1997-07-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coupling and hold-close apparatus
JPH1135258A (ja) * 1997-07-16 1999-02-0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ベーン通り芯点検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316B1 (ko) * 1999-10-08 2002-06-12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안전 잠금장치
KR100351289B1 (ko) * 1999-10-29 2002-09-10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CN103738810A (zh) * 2013-12-09 2014-04-23 镇江新区科力迪机电科技有限公司 自发电消能电梯缓降器
CN105016182A (zh) * 2014-04-30 2015-11-04 天津市核奥达新技术开发有限公司 永磁变频齿条传动开门机
CN111085933A (zh) * 2020-02-14 2020-05-01 杭州真杭水晶有限公司 一种可切换磨砂轮的加工水晶机器人的抛光部件
IT202100009473A1 (it) * 2021-04-15 2022-10-15 Fge Elettr S R L Dispositivo di azionamento di porte di ascensori.
WO2022218586A1 (en) * 2021-04-15 2022-10-20 Fge Elettronica S.R.L. Device for actuating elevator do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6346B1 (ko) 200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2409C2 (ru) Замок двери кабины
JP3343229B2 (ja) エレベータードア装置
KR101153123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로크장치
JP5312449B2 (ja) エレベーター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JP201114863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WO201813889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33634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JPH08104487A (ja) エレベータかご扉と乗り場扉の連動装置
KR100336350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100340316B1 (ko)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안전 잠금장치
KR10033634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100351289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20020093527A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KR100414298B1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KR100336349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100336347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10034098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10035128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200356080Y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록킹장치
EP0762986B1 (en) A manual emergency opening device for automatic doors, in particular for lift and elevator doors
KR20020093535A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KR20020093533A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KR20020095981A (ko) 엘리베이터용 커플러의 도어닫힘 안정화장치
KR20020093534A (ko) 엘리베이터의 가동베인 작동장치
KR20210059992A (ko)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