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958A -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958A
KR20240006958A KR1020220083885A KR20220083885A KR20240006958A KR 20240006958 A KR20240006958 A KR 20240006958A KR 1020220083885 A KR1020220083885 A KR 1020220083885A KR 20220083885 A KR20220083885 A KR 20220083885A KR 20240006958 A KR20240006958 A KR 20240006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afety step
platform
tr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디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디에이
Priority to KR1020220083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958A/ko
Publication of KR2024000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에 의하면, 전동차가 주행시 안전발판이 접혀져야 하는데 접혀지지 않는 비상상태 발생시, 전동차는 안전발판(20)보다 충격 감지 유닛(200)의 열차 접촉판(210)과 먼저 접촉하게 되고, 그에 따라 휨판(220)이 휘어져서 감지센서(260)의 감지 거리 내로 근접하면, 감지센서(260)는 감지 신호를 안전발판 컨트롤러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한 안전발판 컨트롤러는 구동유닛(100)의 구동모터(11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무빙바(60)를 구속하는 구동력은 해제되고, 리턴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무빙바(60)는 안전발판(20)을 접히도록 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무빙바(60)와 연동하는 암레버(50) 및 암(30)의 회전에 따라 결국 안전발판(20)은 강제적으로 접히게 된다.

Description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PLATFORM SAFETY SCAFFOLD SYSTEM HAVING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시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발판이 강제적으로 접히도록 하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역사의 승강장(Platform)과 전동차 사이에 간격이 넓게 형성된 곳의 경우 승객의 안전을 위해 안전발판이 설치된다. 이러한 안전발판은 평소에는 접혀져 있으며, 전동차가 승강장의 정위치에 정차하여 출입문이 개방하였을 때 펼쳐지도록 작동한다.
안전발판을 구동하기 위한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은 보통 안전발판을 펼쳤다 접혔다 하도록 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에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컨트롤러을 포함하며, 상세한 구조는 하기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다.
그런데, 여러 가지 오류에 의해 전술한 정상상태가 아닌 비상상태의 경우, 즉 안전발판이 펼쳐진 상태에서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입하거나, 또는 승강장에 정차한 전동차가 안전발판이 접히지 못하고 펼져진 상태에서 부득이 출발할 경우, 전동차와 안전발판은 충돌 또는 접촉하여 전동차와 안전발판이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18262호(2013.10.1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전동차 주행시 접혀져야할 안전발판이 펼쳐져있는 비상상태의 경우 상기 안전발판을 강제적으로 접히도록 하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은, 승강장 벽면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접혔다 펼쳤다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안전발판과, 상기 안전발판의 저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암과, 상기 암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암을 회전시키는 암레버와, 상기 암레버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암이 상기 안전발판의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안전발판이 펴졌을 때의 제1위치와 상기 암이 안전발판의 저면을 지지하지 않아 상기 안전발판이 졉혀졌을 때의 제2위치로 직선 이동하는 무빙바와, 상기 무빙바에 연결되어 상기 무빙바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안전발판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치가 적용된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은, 상기 안전발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발판보다 먼저 전동차와 접촉하여 충격을 감지하고, 이 감지신호를 상기 안전발판 컨트롤러에 보내는 충격 감지 유닛; 및, 일단이 상기 무빙바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무빙바를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충격 감지 유닛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기 안전발판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상기 리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무빙바는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안전발판이 접혀지도록 한다.
상기 충격 감지 유닛은, 전동차 진입방향 상 상기 안전발판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기 안전발판보다 전동차 방향으로 일정길이 더 돌출되어, 전동차 진입 또는 출발 시 상기 안전발판보다 먼저 접촉하는 열차 접촉판; 상기 열차 접촉판이 일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열차 접촉판이 부착된 부위를 포함한 일정 부위가 휘는 구조를 갖는 휨판; 및, 일단부가 상기 안전발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휨판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휨판의 휘는 부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센서 고정판;을 포함한다. 상기 열차 접촉판은 전동차와 접촉하고 이에 따라 상기 휨판이 휘어져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거리 내로 근접하면, 상기 감지센서는 감지신호를 상기 안전발판 컨트롤러로 보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휨판의 휘는 일정 부위의 타측면에 센서 검지판이 부착되고, 상기 휨판이 휠 때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 검지판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 고정판에는 위치가 가변되게 고정되는 센서 거리조절판이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센서 거리조절판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안전발판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원통형 구조의 헬리컬 피니언 기어; 및, 상기 무빙바에 설치되며, 상기 헬리컬 피니언 기어와 결합하는 바 구조의 헬리컬 랙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헬리컬 랙 기어는 상기 헬리컬 피니언 기어를 따라 전후좌우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상기 무빙바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로 직선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발판이 펼쳐진 상태에서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입하거나, 또는 승강장에 정차한 전동차가 안전발판이 접히지 못하고 펼져진 상태에서 부득이 출발할 경우 등의 비상상태에서, 전동차가 안전발판에 충돌 또는 접촉하기 전에 강제로 안전발판은 접히도록 함으로써, 전동차와 안전발판이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인명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안전발판이 펼쳐진 상태일 때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안전발판이 접힘중 상태일 때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안전발판이 접혀진 상태일 때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지 유닛의 확대도,
도 8은 도 7의 충격 감지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7의 충격 감지 유닛의 센서 거리조절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의 안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 장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전동차 주행시 접혀져야할 안전발판이 펼쳐져있는 비상상태의 경우 안전발판을 강제적으로 접히도록 하게 된다. 이하 종래 구조의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을 먼저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안전발판이 펼쳐진 상태일 때의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안전발판이 접힘중 상태일 때의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안전발판이 접혀진 상태일 때의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승강장이 도시되지 않았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은 메인 프레임(10), 안전발판(20), 암(30), 암레버(50), 무빙바(60), 구동유닛(100), 충격 감지 유닛(200), 리턴 스프링(300) 및 안전발판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0)은 승강장 벽면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되게 설치되며, 보통 하나의 전동차 출입문에 대응되도록 승강장 벽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설치 가능하다.
안전발판(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대해 접혔다 펼쳤다 할 수 있게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안전발판(20)은 모터 등과 같은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아니고, 그 밑에 위치한 암(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측으로 펼쳐져 승강장과 전동차 출입문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그 자중에 의해 메인 프레임(10) 측으로 접혀지게 된다.
암레버(50)는 암(30)에 일단이 고정되어 암(30)을 회전시키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버(50) 및 암(30)은 하나의 안전발판(20)에 대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암(30)은 대략 'ㄱ'자 구조를 갖게 되며,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이 완료될 때 그 상단부가 상기 안전발판(20)의 저면에 설치된 캠(70)의 단부에 위치하여 캠(70)을 지지하는데 이는 결국 안전발판(20)을 지지하는 것이며 이 때가 안전발판(20)이 펴진 상태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와 같이 암(30)이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회전시 암(30)의 상단부는 캠(7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가 안전발판(20)이 접힘중 상태이며, 도 5 및 도 6과 같이 암(30)이 타방향으로 회전이 완료될 때 그 상단부는 캠(70)과 접촉하지 않고 결국 안전발판(20)의 저면과 접촉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따라서 안전발판(20)은 자중에 의해 접혀지게 된다.
무빙바(60)는 상기 복수의 암레버(50)의 타단에 결합되며 도면상 좌우로 직선이동한다. 즉 무빙바(60)는 상기 안전발판(20)이 펴졌을 때의 제1위치와, 상기 안전발판(20)이 졉혀졌을 때의 제2위치로 직선 이동하게 되며, 무빙바(6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이와 연동하여 암레버(50) 및 암(30)은 회전 이동하여 안전발판(20)을 졉히고 펼쳐지도록 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 안전발판(20), 암(30), 암레버(50) 및 무빙바(60)의 구조와 동작은 전술한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유닛(100)은 무빙바(60)에 연결되어 상기 무빙바(60)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동유닛(100)은 상기 무빙바(160)를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이면 특별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유닛(100)은 구동모터(110)와, 상기 구동모터(110)의 축에 설치되는 원통 구조의 헬리컬 피니언 기어(130)와, 상기 헬리컬 피니언 기어(130)와 결합하며 상기 무빙바(60)에 설치되는 바 구조의 헬리컬 랙 기어(1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안전발판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10)가 구동하여 구동모터의 축은 회전하고, 상기 축에 결합된 상기 헬리컬 피니언 기어(130) 역시 회전하며, 상기 무빙바(60)에 설치된 상기 헬리컬 랙 기어(150)는 상기 헬리컬 피니언 기어(13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이에 의해 상기 무빙바(60)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로 전후좌우 이동하며 결국 무빙바(60)와 연동하는 암레버(50) 및 암(30)이 회전하여 안전발판(20)이 펼쳐지고 접히게 된다.
충격 감지 유닛(200)은 안전발판(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발판(20)보다 먼저 전동차와 접촉하여 충격을 감지하고, 이 감지신호를 상기 안전발판 컨트롤러에 보내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충격 감지 유닛(200)은 열차 접촉판(210)과, 휨판(220)과, 감지센서(260)가 고정되는 센서 고정판(240)을 포함한다.
열차 접촉판(210)은 즉 전동차의 진행방향 상 전단 상기 안전발판(20)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기 안전발판(20)보다 전동차 방향으로 일정길이 더 돌출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전동차가 승강장에 집입하거나 또는 출발 시 열차 접촉판(210)은 상기 안전발판(20)보다 먼저 전동차와 접촉하게 된다. 열차 접촉판(210)은 전동차와 접촉하므로 접촉시 전동차에 손상을 주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부드러운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패드 등이 적용되는 것이 좋다.
휨판(220)은 상기 열차 접촉판(2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열차 접촉판(210)을 지지하며, 상기 열차 접촉판(210)이 부착된 부위를 포함한 일정 부위 또는 모든 부위가 휘는 구조를 갖게 된다. 휨판(200)은 휘는 구조를 가지므로 연성의 재질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차 접촉판(210)이 전동차와 접촉하는 경우 열차 접촉판(210)이 부착된 휨판(220)판은 일부가 휘어지게 된다. 상기 휨판(220)의 휘는 부위의 타측면에는 센서 검지판(230)이 부착될 수 있다.
센서 고정판(240)은 일단부가 상기 안전발판(2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휨판(220)의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센서 고정판(240)에는 센서 거리조절판(250)이 설치되며, 상기 센서 거리조절판(250)에는 상기 휨판(220)의 휘는 부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60)가 부착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거리조절판(250)은 그 설치 위치가 가변되게 고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센서 거리조절판(250)에는 상하로 형성된 고정홀(252)이 형성되며, 이 고정홀(252)에 볼트가 결합하여 센서 거리조절판(250)을 센서 고정판(240)에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발판의 크기나 휨판 과의 거리 등에 따라 상기 감지센서(26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게 되므로, 감지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260)가 센서 거리조절판(250)에 부착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센서 거리조절판(250)을 삭제하고 상기 감지센서(260)가 센서 고정판(240)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260)가 휨판(220)이 휘는 것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휨판(220)에 센서 검지판(230)이 설치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센서 검지판(230)을 삭제하고 상기 감지센서(260)가 휨판(220)의 휘는 부위를 직접 감지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리턴 스프링(300)은 일단이 상기 무빙바(6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연결되며, 상기 무빙바(60)를 상기 안전발판(20)이 접히도록 하는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탄성력(복원력)을 제공한다.
안전발판 컨트롤러(미도시)는 상기 구동유닛(100)의 구동모터(110)의 구동을 제어하여 정상상태일 때 안전발판(20)이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정상상태란 전동차가 승강장의 정위치에 정차하여 출입문을 개방하였을 때 안전발판이 펼쳐지도록 하고, 그 외 전동차가 주행하거나, 완전 정지 이전 상태 일 때는 안전발판이 접혀있도록 한다. 이 때 안전발판 컨트롤러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전동차가 보내는 신호와 승강장에 설치되는 스크린도어 시스템으로부터 신호를 2중으로 수신하여 구동모터(11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안전발판 컨트롤러는 안전발판(20)에 승객이 있는 경우 별도의 검출수단(하중센서, 광센서, 터치센서 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안전발판이 접히지 않도록 한다.
한편, 여러 가지 오류에 의해 전술한 정상상태가 아닌 비상 상태의 경우, 즉 상기 안전발판(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입하거나, 또는 승강장에 정차한 전동차가 안전발판이 접히지 못하고 펼져진 상태에서 부득이 출발할 경우, 전동차와 안전발판(20)은 충돌 또는 접촉하여 전동차와 안전발판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비상 상태의 경우, 전동차는 안전발판(20)보다 열차 접촉판(210)과 먼저 접촉하게 되고, 그에 따라 휨판(220)이 휘어져서 상기 감지센서(260)의 검지 거리 내로 근접하면, 상기 감지센서(260)는 감지 신호를 안전발판 컨트롤러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한 안전발판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유닛(100)의 구동모터(11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바(60)를 구속하는 구동력은 해제되고, 상기 리턴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무빙바(60)는 제1위치(도 1 및 도 2)에서 제2위치(도 5 및 도 6)으로 이동하게 되고, 무빙바(60)와 연동하는 암레버(50) 및 암(30)의 회전에 따라 결국 상기 안전발판(20)은 강제적으로 접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차가 주행시 안전발판이 접혀져야 하는데 접혀지지 않는 비상상태 발생시, 전동차가 안전발판에 충돌 또는 접촉하기 전에 충격 감지 유닛이 먼저 전동차와 접촉하여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수신한 안전발판 컨트롤러는 구동유닛의 구동모터의 전원을 차단하게 되고, 따라서 구속력이 해제된 무빙바는 리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안전발판이 접혀지는 위치로 이동하여 결국 안전발판은 강제로 접혀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메일 프레임 20. 안전발판
30. 암 50. 암레버
60. 무빙바 100. 구동유닛
110. 구동모터 130. 헬리컬 피니온 기어
150. 헬리컬 랙 기어 200. 충격 감지 유닛
210. 열차 접촉판 220. 휨판
230. 센서 검지판 240. 센서 고정판
250. 센서 거리조절판 260. 감지센서
300. 리턴 스프링

Claims (5)

  1. 승강장 벽면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접혔다 펼쳤다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안전발판과, 상기 안전발판의 저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암과, 상기 암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암을 회전시키는 암레버와, 상기 암레버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암이 상기 안전발판의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안전발판이 펴졌을 때의 제1위치와 상기 암이 안전발판의 저면을 지지하지 않아 상기 안전발판이 졉혀졌을 때의 제2위치로 직선 이동하는 무빙바와, 상기 무빙바에 연결되어 상기 무빙바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안전발판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발판보다 먼저 전동차와 접촉하여 충격을 감지하고, 이 감지신호를 상기 안전발판 컨트롤러에 보내는 충격 감지 유닛; 및,
    일단이 상기 무빙바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무빙바를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 감지 유닛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기 안전발판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상기 리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무빙바는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안전발판이 접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감지 유닛은,
    전동차 진입방향 상 상기 안전발판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기 안전발판보다 전동차 방향으로 일정길이 더 돌출되어, 전동차 진입 또는 출발 시 상기 안전발판보다 먼저 접촉하는 열차 접촉판;
    상기 열차 접촉판이 일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열차 접촉판이 부착된 부위를 포함한 일정 부위가 휘는 구조를 갖는 휨판; 및,
    일단부가 상기 안전발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휨판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휨판의 휘는 부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센서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열차 접촉판은 전동차와 접촉하고 이에 따라 상기 휨판이 휘어져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거리 내로 근접하면, 상기 감지센서는 감지신호를 상기 안전발판 컨트롤러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휨판의 휘는 일정 부위의 타측면에 센서 검지판이 부착되고,
    상기 휨판이 휠 때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 검지판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판에는 위치가 가변되게 고정되는 센서 거리조절판이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센서 거리조절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안전발판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원통형 구조의 헬리컬 피니언 기어; 및,
    상기 무빙바에 설치되며, 상기 헬리컬 피니언 기어와 결합하는 바 구조의 헬리컬 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헬리컬 랙 기어는 상기 헬리컬 피니언 기어를 따라 전후좌우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상기 무빙바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로 직선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KR1020220083885A 2022-07-07 2022-07-07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KR20240006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885A KR20240006958A (ko) 2022-07-07 2022-07-07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885A KR20240006958A (ko) 2022-07-07 2022-07-07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958A true KR20240006958A (ko) 2024-01-16

Family

ID=8971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885A KR20240006958A (ko) 2022-07-07 2022-07-07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9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262B1 (ko) 2013-04-12 2013-10-16 김원경 승강장 안전발판 및 그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262B1 (ko) 2013-04-12 2013-10-16 김원경 승강장 안전발판 및 그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0663B2 (ja) スライドステップ
KR10091867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2000692B1 (ko) 비상시 안전발판의 강제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장의 전동차 안전발판장치
KR100770435B1 (ko) 플랫폼용 스텝장치
KR101318262B1 (ko) 승강장 안전발판 및 그 구동장치
KR101940649B1 (ko) 구조가 간단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JP2008514527A (ja) エレベータかごの安全停止装置
KR102044445B1 (ko)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KR20240006958A (ko)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KR20040074784A (ko) 발목상해 방지용 능동 브레이크 페달 시스템
WO2005040030A1 (en) Elevator system
KR101701391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EP3328777A1 (en) Lock strike plate provided with an emergency unlocking system, and lock-ing device comprising said lock strike plate
KR101608483B1 (ko) 플랫폼 스텝 장치
KR102349019B1 (ko)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KR20240041018A (ko) 안전발판 탈락 기능을 갖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KR102435273B1 (ko)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US20230234619A1 (en) Safe foothold apparatus for platform
KR100336343B1 (ko) 승객 수송장치의 발판 안전장치
KR102514076B1 (ko) 기계식 주차장용 차량 추락 차단장치
KR101627812B1 (ko) 플랫폼 스텝 장치
JP3171699B2 (ja) 自動回転ドア
KR102132286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2488015B1 (ko) 지하철 승강장 안전발판
KR101613465B1 (ko) 플랫폼 스텝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