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702B1 -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 Google Patents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702B1
KR101025702B1 KR1020100135109A KR20100135109A KR101025702B1 KR 101025702 B1 KR101025702 B1 KR 101025702B1 KR 1020100135109 A KR1020100135109 A KR 1020100135109A KR 20100135109 A KR20100135109 A KR 20100135109A KR 101025702 B1 KR101025702 B1 KR 101025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flip
flop
remote control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홍식
Original Assignee
엄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홍식 filed Critical 엄홍식
Priority to KR102010013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702B1/ko
Priority to PCT/KR2011/003330 priority patent/WO201209122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8Mobile camera plat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붐과 상기 크레인 붐을 회전시키거나 신장시키는 크레인 붐 구동부를 적재한 크레인 붐(boom) 차량의 크레인 붐 체결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크레인 붐 체결부에 대해 일면이 밀착되어 직접 볼트 및 너트로써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리모콘에 의해 작업대의 전, 후, 좌, 우의 이동 제어가 용이하며, 위험 상황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크레인 붐과 상기 크레인 붐을 회전시키거나 신장시키는 크레인 붐 구동부를 적재한 크레인 붐(boom) 차량에 대해 간단히 상기 크레인의 크레인 붐 체결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리모콘에 의해 작업대의 전, 후, 좌, 우의 이동 제어가 용이하며, 위험 상황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작업대와 조작실 간에 별도의 제어를 위한 전기적 배선이 불필요하고 이로부터 크레인 붐의 신장에 따른 전기적 배선의 기계적인 지지부가 없어, 빈번한 붐의 신장에 따른 고장이 배제된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Stand-alone working platform combinable with a boom}
본 발명은, 크레인 붐과 상기 크레인 붐을 회전시키거나 신장시키는 크레인 붐 구동부를 적재한 크레인 붐(boom) 차량의 크레인 붐 체결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에 있어서, 크레인 붐 체결부에 대해 일면이 밀착되어 직접 볼트 및 너트로써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리모콘에 의해 작업대의 전, 후, 좌, 우의 이동 제어가 용이하며, 위험 상황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인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06-076286호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기술은 다단식 붐의 종단에 곤돌라를 장착하고, 상기 곤돌라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곤돌라 본체가 상하좌우로 구동되도록 실린더를 구비하며 실린더 내지 신축 붐의 구동원을 곤돌라 장치 내에 설치한 이동식 크레인 장착형의 고소 작업용 곤돌라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 곤돌라 장치는 조작실3에서 곤돌라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곤돌라와 조작실 간에 별도의 제어를 위한 전기적 배선이 필요하게 되며 이로부터 크레인 붐의 신장에 따른 기계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전기적 배선의 기계적인 지지부는 빈번한 붐의 신장에 따라 고장의 원인이 되어 안전상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미국등록특허 US 7,311,452 B2의 카메라 크레인의 구성이 도면 제2도에 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유압시스템에 의해 원활하고 정확한 카메라의 레벨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카메라 크레인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이 기술도 크레인 종단부의 카메라를 구동하는 구성 요소들이 크레인 암 하단부의 구동시스템100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전기적 배선이 크레인 암을 따라 배설되고 크레인 암의 신장에 따라 기계적인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크레인의 종단에 작업자가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에 의한 일체의 조작이 불가능한 제약을 가지며, 아울러 위급한 고장 상황이나 위험 사태 시에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76156호의 이동식 카고 크레인을 도시한다. 이 기술은, 운전실과 적재함의 사이에서 회전반상에 직립상태로 설치되는 칼럼과, 이 칼럼의 상단에 관절을 이용해 적재함 상에서 수평, 수직상태로 접어지고 펼쳐짐과 동시, 그 길이가 다단계적으로 신축조절이 가능한 붐 유닛을 설치해 소기의 운반작업을 이루는 이동식 카고 크레인을 요지로 한다. 이 기술은 보조 붐30에 3개의 액추에이터와 회전수단을 구비하여 그 제어가 복잡하고, 전술한 종래 기술들과 마찬가지로 전기적 배선이 가로대 및 세로대 들을 따라 배치되어야 하므로 고장의 원인이 되며, 바스켓을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없어 그 안전성에 제약을 가진다.
JP 06-076286 U US 7311452 B2 KR 10-0976156 B1
본 발명은, 크레인 붐과 상기 크레인 붐을 회전시키거나 신장시키는 크레인 붐 구동부를 적재한 크레인 붐(boom) 차량에 대해 간단히 상기 크레인의 크레인 붐 체결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크레인 붐 체결부에 대해 일면이 밀착되어 직접 볼트 및 너트로써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리모콘에 의해 작업대의 전, 후, 좌, 우의 이동 제어가 용이하며, 위험 상황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아울러 작업대와 조작실 간에 별도의 제어를 위한 전기적 배선이 불필요하고 이로부터 크레인 붐의 신장에 따른 전기적 배선의 기계적인 지지부가 없어, 빈번한 붐의 신장에 따른 고장이 배제된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크레인 붐과 상기 크레인 붐을 회전시키거나 신장시키는 크레인 붐 구동부를 적재한 크레인 붐(boom) 차량의 크레인 붐 체결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에 있어서, 크레인 붐 체결부에 대해 일면이 밀착되어 직접 볼트 및 너트로써 결합될 수 있는 크레인 붐 결합부와 상기 크레인 붐 결합부의 이면에 고정 부착되는 크레인 붐 지지부 및 상기 크레인 붐 지지부가 일단에 용접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캐비넷을 구비하고, 상기 크레인 붐 지지부는 캐비넷의 상단으로 돌출된 두 장의 날개 구조로 캐비넷에 고정 부착되며 상기 돌출된 두 장의 날개 사이로 실린더의 실린더 아이렛 a가 위치하여 상기 돌출된 두 장의 날개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을 통해 제1회동부 볼트와 제1회동부 너트로써 상기 실린더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캐비넷의 타단에는 캐비넷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고정되는 두 장의 평행한 금속판으로 구성된 캐비넷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넷 지지부의 두 장의 평행한 금속판에는 회동 고정을 위한 관통 구멍이 캐비넷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축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며, 상기 캐비넷 지지부에는 H빔이 고정되되, 상기 H빔을 가로지르는 금속판에 고정된 두 장의 날개부분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회동 결합을 위한 관통 구멍들이 구비되고, 상기 H빔의 하단은 캐비넷 지지부의 두 장의 평행한 금속판이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제2회동부 볼트와 제2회동부 너트로써 회동 결합되며, 상기 캐비넷 지지부의 두 장의 평행한 금속판 사이에는 파이프 형상의 제2회동부 가이드를 구비하여 보다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H빔을 가로지르는 금속판에 고정된 두 장의 날개부분의 상단에는 실린더의 타단에 구비된 실린더 아이렛b가 두 장의 날개 사이에 위치하여 제3회동부 볼트와 제3회동부 너트로써 관통 구멍을 통해 회동결합되며, 동시에 H빔의 두 날개 상단에는 금속판으로 구성된 테이블이 고정 부착되고, 상기 테이블의 아래 면에는 테이블 모터가 고정되며, 상기 테이블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테이블을 관통하여 테이블 상면에 위치한 회전이 자유로운 원형의 모터기어가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기어에는 원형의 회전기어가 맞물려 회전 구동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기어의 상단은 작업대가 고정되어 모터 기어의 회전에 따라 작업대가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기어는 중앙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구멍에는 베어링을 위치시켜 테이블 상에서 작업대가 테이블 모터에 의해 자유자재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은, 내부에 실린더를 구동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 및 테이블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부,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리모콘 수신부 및 상기 유압펌프, 제어부 및 리모콘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크레인 붐과 상기 크레인 붐을 회전시키거나 신장시키는 크레인 붐 구동부를 적재한 크레인 붐(boom) 차량에 대해 간단히 상기 크레인의 크레인 붐 체결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크레인 붐 체결부에 대해 일면이 밀착되어 직접 볼트 및 너트로써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리모콘에 의해 작업대의 전, 후, 좌, 우의 이동 제어가 용이하며, 위험 상황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작업대와 조작실 간에 별도의 제어를 위한 전기적 배선이 불필요하고 이로부터 크레인 붐의 신장에 따른 전기적 배선의 기계적인 지지부가 없어, 빈번한 붐의 신장에 따른 고장을 배제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인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06-076286호의 구성
도2는 종래 기술인 미국등록특허 US 7,311,452 B2의 카메라 크레인의 구성
도3은 종래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76156호의 이동식 카고 크레인의 구성
도4는 기존의 차량에 부착되어 이동식으로 사용하는 크레인 붐(boom) 차량
도5는 이동식으로 사용하는 크레인 붐(boom) 차량에 대해 크레인 붐(100)이 신장된 구성
도6은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구성을 전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에 구비된 수평센서의 작용관계
도9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수평 유지
도10은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에서 -x방향으로 테이블이 기울어진 경우
도11은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에서 +x방향으로 테이블이 기울어진 경우
도12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캐비넷 내부의 구성
도13은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구성에 있어 연결관계
도14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리모콘 구성의 일실시예
도15는 본 발명의 리모콘 수신부의 일실시예
도16은 본 발명의 리모콘 수신부의 또 다른 실시예
도17은 본 발명의 제어부를 구성하는 릴레이
도18은 본 발명의 제어부를 구성하는 플립플롭(flip-flop)회로와 이들 플립플롭을 초기화 시키는 회로
도19는 본 발명의 제어부
도20은 본 발명의 제어부에 전원이 투입된 직후의 작용 관계
도21은 본 발명의 제어부에 전원 투입 후 제1 리모콘의 ‘스타트’ 키를 누른 경우의 작용관계
도22는 본 발명의 제어부에 전원 투입 후 제1 리모콘의 ‘스타트’ 키를 누르고, 이어 ‘매뉴얼’ 키를 누른 경우의 작용관계
도23은 본 발명의 제어부에 전원 투입 후 제2 리모콘에 의한 작용관계
도24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와 리모콘 배치의 일례
도25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가 붐이 확장되는 경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제4도는 기존의 차량에 부착되어 이동식으로 사용하는 크레인 붐(boom) 차량을 도시한다. 통상의 크레인 붐 차량은 크레인 붐(100)과, 상기 크레인 붐을 회전시키거나 신장시키는 크레인 붐 구동부(102)를 적재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크레인의 종단부는 크레인 붐 체결부(101)가 구비되어 사용하고자 하는 바스켓이나 작업대를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크레인 붐 체결부(101)는 볼트와 너트로서 다른 작업용 기구를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상의 크레인 체결부(101)는 4개의 홀을 구비한 평면상의 형태로 산업계에서는 보편화(standard de facto)되어 있는 제품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도면 제5도는 제4도에서 설명한 이동식으로 사용하는 크레인 붐(boom) 차량에 대해 크레인 붐(100)이 신장된 구성을 도시한다. 크레인 붐 구동부(102)는 크레인 붐(100)의 신장 및 수직방향으로 기립시키는 장치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조작은 차량의 전원과 크레인 붐 구동부(102)에 구비된 제어 스위치나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크레인 붐 체결부(101)에 별도의 실린더 내지 모터 구동부가 구비된 바스켓이나 작업대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이들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전원 라인과 제어를 위한 전기적 배선이 크레인 붐 구동부(102)로부터 바스켓이나 작업대까지 설치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잦은 고장이나 안전사고의 위험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구성을 전개한 도면이다. 도면의 하단으로부터 설명하면, 본 발명의 작업대는 도면 제4도 및 제5도에서 설명한 크레인 붐 체결부(101)에 대해 일면이 밀착되어 직접 볼트 및 너트로써 결합될 수 있는 크레인 붐 결합부(103)와 상기 크레인 붐 결합부(103)의 이면에 고정 부착되는 크레인 붐 지지부(104) 및 상기 크레인 붐 지지부(104)가 일단에 용접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캐비넷(107)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크레인 붐 지지부(104)는 캐비넷(107)의 상단으로 돌출된 두 장의 날개 구조로 캐비넷(107)에 고정 부착되며 상기 돌출된 두 장의 날개 사이로 실린더(109)의 실린더 아이렛 a(108)이 위치하여 상기 돌출된 두 장의 날개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을 통해 제1회동부 볼트(105)와 제1회동부 너트(106)로써 상기 실린더(109)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캐비넷(107)의 타단에는 캐비넷(107)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고정되는 두 장의 평행한 금속판으로 구성된 캐비넷 지지부(110)가 구비되며 상기 캐비넷 지지부(110)의 두 장의 평행한 금속판에는 회동 고정을 위한 관통 구멍이 캐비넷(107)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축방향으로 각각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 지지부(110)에는 H빔(117)이 고정되는 데, 상기 H빔(117)을 가로지르는 금속판에 고정된 두 장의 날개부분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회동 결합을 위한 관통 구멍들이 구비된다.
H빔(117)의 하단은 전술한 캐비넷 지지부(110)의 두 장의 평행한 금속판이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제2회동부 볼트(112)와 제2회동부 너트(113)로써 회동 결합되며, 상기 캐비넷 지지부(110)의 두 장의 평행한 금속판 사이에는 파이프 형상의 제2회동부 가이드(111)를 구비하여 보다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캐비넷 지지부(110)의 두 장의 평행한 금속판이 상기 H빔(117)의 하단의 바깥쪽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제2회동부 볼트(112)와 제2회동부 너트(113)로써 회동 결합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 때 제2회동부 가이드(111)는 H빔(117)의 두 장의 날개부분 사이에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H빔(117)을 가로지르는 금속판에 고정된 두 장의 날개부분의 상단에는 실린더(109)의 타단에 구비된 실린더 아이렛 b(115)가 두 장의 날개 사이에 위치하여 제3회동부 볼트(114)와 제3회동부 너트(116)으로써 관통 구멍을 통해 회동결합되며, 동시에 H빔(117)의 두 날개 상단에는 금속판으로 구성된 테이블(118)이 고정 부착된다. 상기 테이블(118)의 아래 면에는 테이블 모터(510)이 고정되며, 상기 테이블 모터(510)의 회전축은 테이블(118)을 관통하여 테이블(118) 상면에 위치한 회전이 자유로운 원형의 모터기어(122)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모터기어(122)에는 원형의 회전기어(121)가 맞물려 회전 구동된다. 상기 회전기어(121)의 상단은 작업대(123)가 고정되어 모터 기어(122)의 회전에 따라 작업대가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기어(121)는 중앙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구멍에는 베어링(120)을 위치시켜 테이블(118) 상에서 작업대(123)가 테이블 모터(510)에 의해 자유자재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베어링(120)은 턴테이블 형태의 베어링을 비롯하여 작업대(123)의 회전 운동이 가능한 형태의 베어링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120)의 저면은 테이블(118)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기어(121)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 제6도에서 테이블 모터(510)와 모터기어(122)는 회전기어(121)의 좌측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테이블 모터(510)과 모터기어(122)의 위치는 상기 회전기어(121)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기어(121)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위치에 임의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한 특징적 구성만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각 회동부의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회동부들은 보다 원활한 회동 구조를 위해 베어링 내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적인 수단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실린더(109)의 제어를 위한 유압 파이프들은 캐비넷(107)의 내부로 연결되어 후술할 유압펌프(500)로써 구동된다.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테이블 모터(5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기어(121)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기어(121)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위치에 임의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 제7도의 테이블 모터(510)는 이해를 돕기 위해 작업대의 중심을 기준으로 실린더(109)의 방향으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제1회동부(103)를 기준으로 실린더(109)가 신축함에 따라 제2회동부(131)과 제3회동부(132)가 회동되므로, 작업대(123)의 기울기가 캐비넷(107)의 길이 방향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H빔(117)을 가로 지르는 금속판에는 수평센서(410)를 구비하여 작업대의 기울기를 감지하도록 하고, 제2회동부(131)가 캐비넷 지지부(110)에 대해 일정각도를 벗어나는 회동을 할 경우 동작되는 리미트 스위치(420)을 H빔(117)에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단일의 실린더(109)와 단일의 테이블 모터(510)에 의해 작업대(123)의 회전과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에 구비된 수평센서(410)의 작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통상의 수평 센서는 특정 각도 이내에서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그 감지의 축이 단일의 축방향, x-y 2축 방향, x-y-z의 3축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 본 발명의 수평센서(410)는 단축 방향으로서 그림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x 및 -x축 방향의 접점과 공통단자 Vs 및 상기 공통단자와 항상 연결된 도체로 구성된다. 상기 도체는 점성을 가지는 도전성 유체로 도시하였으며, 도전성 금속 구슬이나 로터리 인코더를 활용한 수평센서도 보편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평센서(410)는 +x 및 -x축 방향으로 각각 소정각 +θ1 ~ -θ2 이내에서는 Vs단자와 +x 및 -x 단자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차단이 되며, 해당 각도를 벗어나는 기울기에 대해 +x 및 -x 단자와 Vs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평센서(410)가 허용하는 기울기는 0.1도 내지 2도 정도의 범위로서 작업대(123)의 기울기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수평 유지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식으로 사용하는 크레인 붐(boom) 차량에 대해 크레인 붐(100)이 신축하거나 회전할 때에도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후술할 기술에 의해 항상 주어진 각도 이내에서 수평을 유지한다. 종래의 고소 작업용 크레인들은 수동으로 작업대의 수평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크레인 붐(100)의 작동에 따라 정확한 수평 유지가 곤란하여 안전에 위협이 되고 있다.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에서 -x방향으로 테이블(118)이 기울어진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 제11도는 +x방향으로 테이블(118)이 기울어진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제4도 및 제5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식으로 사용하는 크레인 붐(boom) 차량에 대해 크레인 붐(100)이 신축하거나 회전할 때에도 테이블(118)을 수평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테이블(118)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없는 사고 등에 의한 순간에도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캐비넷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에서 실린더(109)를 구동하는 유압 파이프는 캐비넷 내부의 유압펌프(500)에 연결되어 구동되며, 상기 유압펌프(500)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400)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에는 수평센서(410)와 리미트 스위치(420)가 연결되어 후술할 제어부(400)의 내부 회로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에는 리모콘 수신부(3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리모콘 수신부(300)는 본 발명의 리모콘들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400)에 공급한다. 도면 제12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캐비넷(107)은 상기 리모콘 수신부(300)가 외부로부터의 리모콘 신호를 원활하게 하기위해 안테나를 외부로 돌츌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케비넷(107)에 전원부(200)를 함께 구비하며 상기 전원부(200)는 전술한 유압펌프(500), 제어부(400), 리모콘 수신부(30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200)는 그 일례로서 이차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이차전지를 충전하기위한 충전회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붐의 동작과는 독립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며 리모콘들에 의해 제어되는 특징을 가진다.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구성에 있어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부(400)에는 수평센서(410)과 리미트 스위치(420)가 입력 장치로 연결되고, 전술한 실린더(109)를 구동하는 유압펌프(500) 및 테이블 모터(510)가 출력 장치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상기 유압펌프(500)은 모터 내장형으로서 상기 실린더(109) 내부의 유체를 펌핑하여 실린더(109)의 신축운동을 구동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에는 리모콘 수신부(300)의 출력이 연결되는데 상기 리모콘 수신부(300)는 제1 리모콘(301), 제2 리모콘(302) 및 제3 리모콘(303)의 키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각각의 키별로 구분하여 제어부(400)에 공급한다. 이때 리모콘 수신부(300)의 출력 신호는 전원부의 전압을 이용하여 직접 유압펌프(500)나 테이블 모터(510)을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제1 리모콘(301), 제2 리모콘(302) 및 제3 리모콘(303)은 유무선 방식의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리모콘(301)이 무선방식, 제3 리모콘(303)은 유선방식, 그리고 제2 리모콘(302)이 유선 또는 무선인 경우로 설명한다.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리모콘 구성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리모콘 구성의 일실시예로서 제1 리모콘(301), 제2 리모콘(302) 및 제3 리모콘(303)이 구비되는데, 제1리모콘(301)은 무선방식으로서 스타트(START)키를 구비하며, 상기 스타트 키를 누름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작동이 개시된다. 또한, 제1리모콘(301)은 전술한 작업대(123)를 테이블 모터(510)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좌/우 키와, 전술한 실린더(109)를 신장/수축시켜 작업대(123)를 전방과 후방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전/후 키를 구비하며, 아울러 제1 리모콘(301)에 의한 작동을 차단하고 제3 리모콘(303)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뉴얼(MANUAL) 키를 구비한다. 상기 매뉴얼 키에 의한 제3 리모콘(303)의 조작은 리모트(REMOTE) 키를 누름으로써 다시 제1 리모콘(301)의 조작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리모콘(302)은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고장이나 이상동작에 대한 비상용 리모콘의 기능을 가진다. 제2 리모콘(302)은 전술한 제1 리모콘(301)과 같은 무선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후술할 구성과 같은 유선방식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모콘(302)은 비상 키를 구비하여 상기 비상 키가 눌려진 경우 전체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작동이 모두 차단되도록 구성되며, 비상 또는 해제 키를 누름에 따라 전원 전압의 신호가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차단 상태는 제2 리모콘(302)에 구비된 해제 키를 누름으로써 이전의 작동상태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리모콘(302)은 본 발명의 제1 리모콘(301) 및 제3 리모콘(303)에 대해 최우선의 순위로 작동되도록 하여, 위급한 상황에 대해 모든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동작을 모두 차단시켜 정지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을 기할 수 있다.
도면 제14도의 (c)는 본 발명의 제3 리모콘(303)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3 리모콘(303)은 제어부(400)에 케이블로 직접 접속되어 작업대(123)의 전후좌우의 이동을 조작한다. 상기 제3 리모콘(303)은 전후좌우의 키를 누름에 따라 전원 전압이 각 키의 출력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 제3 리모콘(303)은 전술한 제1 리모콘(301)에서 매뉴얼(MANUAL) 키를 눌렀을 때에만 작동이 개시되며, 이때 상기 제3 리모콘(303)이 작동 가능 상태임을 알리는 램프가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제1 리모콘(301)의 매뉴얼 키에 의한 제3 리모콘(303)의 조작은 리모트(REMOTE) 키를 누름으로써 다시 제1 리모콘(301)의 조작으로 전환된다.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의 리모콘 수신부(3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 제15도는 제1 리모콘(301)과 제2 리모콘(302)이 모두 무선 방식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리모콘 수신부(300)는 리모콘 안테나(304)를 통해 제1 리모콘(301)과 제2 리모콘(302)의 키가 눌러짐에 따라 송신되는 전자파를 수신한다. 리모콘 RF수신부(305)는 사용하는 리모콘의 대역 신호만을 수신하여 증폭하고, 이어 리모콘 복조부(306)는 리모콘 RF수신부(305)로부터 전달된 수신 전자기파로부터 기저대역(base band)의 신호를 복조한다. 리모콘 디코더(307)는 상기 리모콘 복조부(306)로부터 전달받은 기저대역(base band)의 신호로부터 제1 리모콘(301)과 제2 리모콘(302)의 해당 키별 신호를 디코딩하여 각각의 단자들로 출력한다. 상기의 단자들은 제1 리모콘(301)의 스타트, 리모트, 매뉴얼, 전, 후 , 좌, 우의 키와 제2 리모콘(302)의 비상, 해제 키별로 구비되며, 이 때 리모컨 디코더(307) 각각의 단자 출력은 전술한 유압펌프(500)과 테이블 모터(510)를 충분히 구동할 수는 전압과 전류값을 가지도록 릴레이를 사용하여 부스트 시킨다.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리모콘 수신부(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 제16도는 제1 리모콘(301)이 무선 방식이고 제2 리모콘(302)이 유선방식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리모콘 수신부(300)는 리모콘 안테나(304)를 통해 제1 리모콘(301)의 키가 눌러짐에 따라 송신되는 전자파를 수신하고 전술한 도 16과 같이 스타트, 리모트, 매뉴얼, 전, 후, 좌, 우의 키별 출력을 각각의 단자로 출력한다. 제2 리모콘(302)은 상기 리모콘 수신부(300)에 제2리모콘 케이블(308)로써 연결되며, 비상, 해제의 키가 눌러짐에 따라 전원전압이 출력단자로 전달되도록 구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어부(400)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제어부(400)를 구성하는 개별 구성요소를 특정하여 설명한다.
도면 제 17도는 본 발명의 제어부(400)를 구성하는 릴레이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릴레이는 솔레노이드 단자, 즉 인에이블(E: enable) 단자에 논리 ‘1’의 신호인 전원 전압이 공급되면 회로가 접속되고 ‘0’이 입력되면 회로가 차단된다.
다음의 도면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어부(400)을 구성하는 플립플롭(flip-flop)회로와 이들 플립플롭을 초기화 시키는 회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플립플롭은 R-S(reset-set) 타입과 T(toggling) 타입의 플립플롭을 사용하며, 각각의 플립플롭은 초기화 단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플립플롭은 각각 제 1 RS플립플롭(440), 제2 RS플립플롭(442) 및 T플립플롭(446)으로 정의한다. 상기 각각의 플립플롭에 대해 초기화 단자로 ‘0’에서 ‘1’로 전이(transition)하는 신호가 공급되면 모든 플립플롭의 정출력(Q)은 ‘1’로 초기화 된다. 이때 초기화를 위한 신호는 도면과 같이 R-C 시정수 회로와 두 개의 인버터를 사용하여 전원 투입 후 일정 시간 뒤 초기화 신호가 전체 플립플롭회로의 초기화 단자들로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어부(400)를 도시한다. 도면의 좌측단으로부터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400)는 리모콘 수신부(300)에서 전술한 제1 리모콘(301)의 수신 신호가 디코딩되어 스타트, 리모트, 매뉴얼, 전, 후 , 좌, 우의 키별 출력으로 제공되며, 유선 방식의 제3 리모콘(303) 출력으로서 전, 후, 좌, 우의 키별 출력이 별도로 제공된다. 아울러 무선 또는 유선방식의 제2 리모콘(302)의 비상, 해제 키 신호가 리모콘 수신부(300)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제어부(400)의 타단에는 수평센서(410) 및 리미트 스위치(420)를 입력으로 하고, 전술한 실린더(109)를 신장하거나 감소시키는 유압펌프(500)을 구동하거나, 테이블 모터(510)을 순방향 내지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전기적 출력을 공급하는 단자가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어부(400) 내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리모콘 디코더(307)로부터 제공되는 제1 리모콘 디코딩 신호는 스타트, 리모트, 매뉴얼, 전, 후, 좌, 우의 키별 출력이다. 제1 리모콘의 전, 후, 좌, 우 신호는 제1 릴레이(441)의 4개의 입력으로 각각 제공되며, 상기 제1 릴레이(441)의 출력은 각각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의 역류를 방지한다. 상기 다이오드들을 거친 제1 리모콘의 전, 후, 좌, 우 신호는 다시 제3 릴레이(444)의 입력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제3 릴레이(444)의 4개의 출력 단자는 제4 릴레이(445)를 거쳐 모터 구동부(450)로 공급된다. 모터 구동부(450)는 4개의 모터 드라이버(449)로 구성되며, 전후좌우 신호들 중 ‘전’의 신호에 대해 유압펌프(500)의 모터를 실린더(109)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구동하고, ‘후’의 신호에 대해서는 유압펌프(500)의 모터를 실린더(109)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좌’의 신호에 대해서는 테이블 모터(510)를 순방향으로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고, ‘우’의 신호에 대해서는 테이블 모터(510)를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모터 드라이버(449)는 2회로 4접점방식의 릴레이로 구성한다.
제3 리모콘(30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400)에 직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제3 리모콘(303)의 전, 후, 좌, 우 신호는 제2 릴레이(443)의 4개의 입력으로 각각 제공되며, 상기 제2 릴레이(443)의 출력은 각각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의 역류를 방지한다. 상기 다이오드들을 거친 제3 리모콘의 전, 후 좌, 우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들을 거친 제1 리모콘의 전, 후 좌, 우 신호들과 각각 OR결합하여 제3 릴레이(444)의 입력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어부(400)에 연결된 수평센서(410)는 2개의 출력을 구비하며, 도면 제8도에서 설명한 구조에 대해 Vs단자에 전원 전압을 연결함으로써 테이블(118)이 실린더(109)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허용 각도 이상으로 기울게 되면 감소방향 단자로 ‘1’의 신호가 공급되고, 실린더(109)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허용 각도 이상으로 기울게 되면 신장방향 단자로 ‘1’의 신호가 공급된다. 상기 수평센서(410)의 출력은 각각 리미트 스위치(420)의 스위치 박스(421)를 거쳐 제5 릴레이(448)를 거친 후 다이오드를 직렬로 통과하여 제어 신호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리미트 스위치(420)은 테이블(118)이 실린더(109)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리미트 각도 이상으로 기울게 되면 스위치 박스(421)에 의해 수평센서(410)의 감소방향 단자 신호를 차단하며, 실린더(109)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허용 각도 이상으로 기울게 되면 스위치 박스(421)에 의해 수평센서(410)의 신장방향 단자 신호를 차단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센서(410)의 출력은 리미트 스위치(420)의 리미트 각도 이내에서만 제5 릴레이(448)를 거쳐 공급된다. 상기 제5 릴레이(448)를 거친 후 다이오드를 직렬로 통과한 수평센서(410)의 출력은 제3 릴레이(444)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출력과 OR 결합되는데, 상기 수평센서(410)의 출력이 감소 방향으로 ‘1’이 되면 이 출력 신호가 유압펌프(500)를 신장하고, 수평센서(410)의 출력이 신장 방향으로 ‘1’이 되면 이 출력 신호가 유압펌프(500)를 감소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수평센서(410)는 허용각도 이내에서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모콘 디코더(307)로부터 제공되는 제1 리모콘 디코딩 신호들 중 ‘스타트’ 신호는 T 플립플롭(446)의 T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T 플립플롭(446)의 정출력(Q)은 제5 릴레이(448)의 인에이블 단자 E에 연결되어 상기 T 플립플롭(446)의 정출력(Q)이 ‘1’일 때 제5 릴레이(448)의 각 접점이 ‘on' 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리모콘 디코더(307)로부터 제공되는 제1 리모콘 디코딩 신호들 중 ‘리모트’ 신호는 제1 RS플립플롭(440)의 ‘set' 단자에 연결되고, ‘매뉴얼’ 신호는 제1 RS플립플롭(440)의 ‘reset'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1 RS플립플롭(440)의 정출력(Q)은 전술한 제1 릴레이(441)의 인에이블 단자 E에 연결되어 상기 제1 RS플립플롭(440)의 정출력(Q)이 ‘1’일 때 제1 릴레이(441)의 각 접점이 ‘on'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RS플립플롭(440)의 부출력(Q bar)은 전술한 제2 릴레이(443)의 인에이블 단자 E에 연결되어 상기 제1 RS플립플롭(440)의 부출력(Q bar)이 ‘1’일 때 제2 릴레이(443)의 각 접점이 ‘on' 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부(400)을 구성하는 제1 릴레이(441)와 제2 릴레이(443)는 제1 RS플립플롭(440)의 정출력(Q)과 부출력(Q bar)에 의해 서로 반대로 ‘on’과 ‘off’ 동작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리모콘 디코더(307)로부터 제공되는 제2 리모콘 디코딩 신호들 중 ‘비상’ 신호는 제2 RS플립플롭(442)의 ‘reset' 단자에 연결되고, ‘해제’ 신호는 제2 RS플립플롭(442)의 ‘set'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2 RS플립플롭(442)의 정출력(Q)은 전술한 제4 릴레이(445)의 인에이블 단자 E에 연결되어 상기 제2 RS플립플롭(442)의 정출력(Q)이 ‘1’일 때 제4 릴레이(445)의 각 접점이 ‘on’ 되고 제2 RS플립플롭(442)의 정출력(Q)이 ‘0’일 때 제4 릴레이(445)의 각 접점이 ‘off’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400)를 구성하는 제1 RS플립플롭(440), 제2 RS플립플롭(442) 및 T 플립플롭(446)은 도면 제18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이 투입되면 모두 초기화되어 각각의 플립플롭의 정출력(Q)이 ‘1’ 로 세트된다.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어부(400)에 전원이 투입된 직후의 작용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부(400)를 구성하는 제1 RS플립플롭(440), 제2 RS플립플롭(442) 및 T 플립플롭(446)은 도면 제19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이 투입되면 모두 초기화되어 각각의 플립플롭의 정출력(Q)이 ‘1’ 로 세트되므로, T 플립플롭(446)의 정출력은 ‘1’로 되어 제5 릴레이(448)가 ‘on’ 상태로 되며, 상기 T 플립플롭(446)의 부출력은 ‘0’로 되어 제3 릴레이(444)가 ‘off’ 상태로 된다. 또한 제2 RS플립플롭(442)의 정출력(Q)이 ‘1’이 되므로 제4 릴레이(445)는 ‘on’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어부(400)에 전원이 투입된 직후에는 리미트 스위치(420)의 리미트 범위 이내에서 수평센서(410)의 출력이 제5 릴레이(448) 및 제4 릴레이(445)를 통해 모터 구동부(450)로 공급되므로 감소방향으로 기울 경우에는 유압펌프(500)로써 실린더(109)를 신장시키고, 신장방향으로 기울 경우에는 유압펌프(500)로써 실린더(109)를 감소시켜 테이블(118)의 수평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1 리모콘의 ‘스타트’ 키를 누르게 되면 디코딩 신호가 전달되어 T 플립플롭(446)의 정출력은 ‘0’로 되므로 수평센서(410)로부터의 신호는 제5 릴레이(448)가 차단되어 전달되지 않으며, 제3 릴레이(444)가 ‘on’되므로 상기 제3 릴레이(444) 전단의 신호로써 유압펌프(500)와 테이블 모터(510)가 제어된다. 또한 재차 제1 리모콘의 ‘스타트’ 키를 누르게 되면 수평센서(410)의 출력이 제5 릴레이(448) 및 제4 릴레이(445)를 통해 모터 구동부(450)로 공급되도록 복귀한다.
다음의 도면 제21도는 전원 투입 후 제1 리모콘(301)의 ‘스타트’ 키를 누른 경우의 작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전원 투입 후 정출력(Q)이 ‘1’로 세트된 T플립플롭(446)은 제1 리모콘(301)의 ‘스타트’ 키를 누름에 따라 디코딩된 신호가 전달되어 정출력(Q)이 ‘0’로 되고 이에 따라 수평센서(410)로부터의 신호는 제5 릴레이(448)에 의해 차단된다. 이 때 제1 RS 플립플롭(440)은 초기화 상태이므로 정출력(Q)에 의해 제1 릴레이(441)가 ‘on’되고, T플립플롭(446)의 부출력(Q bar)에 의해 제3 릴레이(444)가 각각 ‘on’되어 제1 리모콘(301)으로부터의 ‘전’, ‘후’, ‘좌’, ‘우’의 디코딩 신호가 제4 릴레이(445)를 거쳐 모터 구동부(450)로 공급되므로, 상기 제1 리모콘(301)으로부터의 ‘전’, ‘후’, ‘좌’, ‘우’의 디코딩 신호에 의해 테이블(118)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다음의 도면 제22도는 전원 투입 후 제1 리모콘(301)의 ‘스타트’ 키를 누르고, 이어 ‘매뉴얼’ 키를 누른 경우의 작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전원 투입 후 정출력(Q)이 ‘1’로 세트된 T플립플롭(446)은 제1 리모콘(301)의 ‘스타트’ 키를 누름에 따라 디코딩된 신호가 전달되어 정출력(Q)이 ‘0’로 되고 이에 따라 수평센서(410)로부터의 신호는 제5 릴레이(448)에 의해 차단되며 제3 릴레이(444)는 상기 T플립플롭(446)의 부출력(Q bar)에 의해 ‘on’된다. 이 때 제1 RS 플립플롭(440)은 초기화 상태로부터 ‘매뉴얼’ 키를 누름에 따라 ‘reset'되어 정출력(Q)은 ‘0’가 되고 부출력(Q bar)은 ‘1’이 된다. 제1 RS 플립플롭(440)의 정출력(Q)에 의해 제1 릴레이(441)가 ‘off’되고, 부출력(Q bar)에 의해 제2 릴레이(443)가 ‘on’되므로, 제3 리모콘(303)으로부터의 ‘전’, ‘후’, ‘좌’, ‘우’의 신호가 제2 릴레이(443), 제3 릴레이(444) 및 제4 릴레이(445)를 거쳐 모터 구동부(450)로 공급되므로, 상기 제3 리모콘(303)으로부터의 ‘전’, ‘후’, ‘좌’, ‘우’의 디코딩 신호에 의해 테이블(118)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제1 RS 플립플롭(440)의 부출력(Q bar) 단자에는 제3 리모콘(303)에 구비된 램프를 연결하여 상기 제3 리모콘(303)이 작동상태임을 알 수 있도록 구성한다.
만약 여기에서 제1 리모콘(301)의 ‘리모트“ 키를 누르면 제1 RS 플립플롭(440)은 정출력(Q)이 ‘1’이 되므로 도 21의 상태로 복귀하여 제1 리모콘(301)으로부터의 ‘전’, ‘후’, ‘좌’, ‘우’의 디코딩 신호에 의해 테이블(118)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리모콘(301)의 ‘리모트’ 키는 상기 제1 리모콘(301)에 의한 테이블(118)의 ‘전’, ‘후’, ‘좌’, ‘우’ 제어를 연결하며, ‘매뉴얼’ 키는 제3 리모콘(303)에 의한 테이블(118)의 ‘전’, ‘후’, ‘좌’, ‘우’ 제어를 연결한다.
다음의 도면 제23도는 전원 투입 후 제2 리모콘(302)에 의한 작용관계를 도시한다. 제2 리모콘(30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비상’과 ‘해제’ 키를 구비한다. 전원 투입 후 초기화 상태로 설정된 제2 RS플립플롭(442)은 제2 리모콘(302)의 ‘비상’ 키를 누르게 되면 ‘reset’이 되므로 정출력(Q)의 값이 ‘0’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RS플립플롭(442)의 정출력(Q) 값 ‘0’은 제4 릴레이(445)를 차단하므로 모든 제어 신호가 차단되어 유압펌프(500) 및 테이블 모터(510)의 동작이 정지하게 된다.
이어 제2 리모콘(302)의 ‘해제’ 키를 누르게 되면 제2 RS플립플롭(442)의 정출력(Q)의 값이 ‘1’로 복귀하므로 제4 릴레이(445)가 ‘on’되어 제4 릴레이(445)의 전단 신호에 의한 동작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제2 리모콘(302)은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에 대하여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시, 전체 시스템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도면 제24도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와 리모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전체 시스템에 전원 투입된 상태에서 무선으로 작동하는 제1 리모콘(301)과 제2 리모콘(302)은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외부에 위치하고, 유선 방식의 제3 리모콘은 바람직하게는 작업대(123)에 배치하여 작업대(123) 상에 위치한 작업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한다.
도면 제25도는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가 붐이 확장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전원 투입 후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도면 제19도에서 설명된 초기 상태로서, 리미트 스위치(420)의 리미트 범위 이내에서 수평센서(410)의 출력이 모터 구동부(450)로 공급되므로 감소방향으로 기울 경우에는 유압펌프(500)로써 실린더(109)를 신장시키고, 신장방향으로 기울 경우에는 유압펌프(500)로써 실린더(109)를 감소시켜 테이블(118)의 수평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작업대(123) 상에 작업자 없이 테이블(118)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제1 리모콘(301)의 ‘리모트’ 키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제1 리모콘(301)의 키 조작에 의해 상기 작업대(123) 및 테이블(118)을 ‘전’, ‘후’, ‘좌’, ‘우’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대(123) 상에 작업자가 조작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제1 리모콘(301)의 ‘매뉴얼’ 키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제3 리모콘(303)의 램프가 점등되고 제3 리모콘(303)의 키 조작에 의해 상기 작업대(123) 및 테이블(118)을 작업대(123)의 위치에서 ‘전’, ‘후’, ‘좌’, ‘우’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시에는 제2 리모콘(302)의 ‘비상’ 키를 눌러 전체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후 제2 리모콘(302)의 ‘해제’ 키를 눌러 이전의 상태로 복구시킬수 있다.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크레인 붐과 상기 크레인 붐을 회전시키거나 신장시키는 크레인 붐 구동부를 적재한 크레인 붐(boom) 차량에 대해 간단히 상기 크레인의 크레인 붐 체결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크레인 붐 체결부에 대해 일면이 밀착되어 직접 볼트 및 너트로써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리모콘에 의해 작업대의 전, 후, 좌, 우의 이동 제어가 용이하며, 위험 상황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작업대와 조작실 간에 별도의 제어를 위한 전기적 배선이 불필요하고 이로부터 크레인 붐의 신장에 따른 전기적 배선의 기계적인 지지부가 없어, 빈번한 붐의 신장에 따른 고장을 배제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크레인 붐101 : 크레인 붐 체결부
102 : 크레인 붐 구동부103 : 크레인 붐 결합부
104 : 크레인 붐 지지부105 : 제1회동부 볼트
106 : 제1 회동부 너트107 : 캐비닛
108 : 실린더 아이렛 a109 : 실린더
110 : 캐비닛 지지부111 : 제2 회동부 가이드
112 : 제2 회동부 볼트113 : 제2 회동부 너트
114 : 제3 회동부 볼트115 : 실린더 아이렛 b
116 : 제3 회동부 너트117 : H빔
118 : 테이블120 : 베어링
121 : 회전기어122 : 모터 기어
123 : 작업대131 : 제2 회동부
132 : 제3 회동부200 : 전원부
300 : 리모콘 수신부301 : 제1 리모콘
302 : 제2리모콘303 : 제3 리모콘
304 : 리모콘 안테나305 : 리모콘 RF수신부
306 : 리모콘 복조부307 : 리모콘 디코더
400 : 제어부410 : 수평센서
420 : 리미트 스위치500 : 유압펌프
510 : 테이블 모터

Claims (20)

  1. 크레인 붐과 상기 크레인 붐을 회전시키거나 신장시키는 크레인 붐 구동부를 적재한 크레인 붐(boom) 차량의 크레인 붐 체결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붐 체결부에 대해 일면이 밀착되어 직접 볼트 및 너트로써 결합될 수 있는 크레인 붐 결합부;와
    상기 크레인 붐 결합부의 이면에 고정 부착되는 크레인 붐 지지부; 및
    상기 크레인 붐 지지부가 일단에 용접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캐비넷;을 구비하고
    상기 크레인 붐 지지부는 상기 캐비넷의 상단으로 돌출된 두 장의 날개 구조로 상기 캐비넷에 고정 부착되며 상기 돌출된 두 장의 날개 사이로 실린더의 실린더 아이렛 a가 위치하여 상기 돌출된 두 장의 날개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을 통해 제1회동부 볼트와 제1회동부 너트로써 상기 실린더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캐비넷의 타단에는 상기 캐비넷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고정되는 두 장의 평행한 금속판으로 구성된 캐비넷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넷 지지부의 두 장의 평행한 금속판에는 회동 고정을 위한 관통 구멍이 상기 캐비넷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축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며,
    상기 캐비넷 지지부에는 H빔이 고정되되, 상기 H빔을 가로지르는 금속판에 고정된 두 장의 날개부분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회동 결합을 위한 관통 구멍들이 구비되고,
    상기 H빔의 하단은 상기 캐비넷 지지부의 두 장의 평행한 금속판이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제2회동부 볼트와 제2회동부 너트로써 회동 결합되며,
    상기 캐비넷 지지부의 두 장의 평행한 금속판 사이에는 파이프 형상의 제2회동부 가이드를 구비하여 보다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H빔을 가로지르는 금속판에 고정된 두 장의 날개부분의 상단에는 상기 실린더의 타단에 구비된 실린더 아이렛b가 두 장의 날개 사이에 위치하여 제3회동부 볼트와 제3회동부 너트로써 관통 구멍을 통해 회동결합되며,
    동시에 상기 H빔의 두 날개 상단에는 금속판으로 구성된 테이블이 고정 부착되고,
    상기 테이블의 아래 면에는 테이블 모터가 고정되며,
    상기 테이블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테이블을 관통하여 테이블 상면에 위치한 회전이 자유로운 원형의 모터기어가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기어에는 원형의 회전기어가 맞물려 회전 구동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기어의 상단은 작업대가 고정되어 모터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작업대가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기어는 중앙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구멍에는 베어링을 위치시켜 상기 테이블 상에서 상기 작업대가 상기 테이블 모터에 의해 자유자재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는 제1회동부를 기준으로 상기 실린더가 신축함에 따라 제2회동부와 제3회동부가 회동됨으로써, 상기 작업대의 기울기가 상기 캐비넷의 길이 방향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빔은 상기 H빔을 가로 지르는 금속판에 수평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작업대의 기울기를 감지하도록 하고, 제2회동부가 상기 캐비넷 지지부에 대해 일정각도를 벗어나는 회동을 할 경우 동작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4. 크레인 붐과 상기 크레인 붐을 회전시키거나 신장시키는 크레인 붐 구동부를 적재한 크레인 붐(boom) 차량의 크레인 붐 체결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붐 체결부에 대해 일면이 밀착되어 직접 볼트 및 너트로써 결합될 수 있는 크레인 붐 결합부와
    상기 크레인 붐 결합부의 이면에 고정 부착되는 크레인 붐 지지부 및
    상기 크레인 붐 지지부가 일단에 용접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캐비넷을 구비하고
    상기 캐비넷의 타단에는 상기 캐비넷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고정되는 두 장의 평행한 금속판으로 구성된 캐비넷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넷 지지부에는 H빔이 고정되되,
    상기 H빔을 가로지르는 금속판에 고정된 두 장의 날개부분의 상단에는 실린더의 타단에 구비된 실린더 아이렛b가 두 장의 날개 사이에 위치하여 제3회동부 볼트와 제3회동부 너트로써 관통 구멍을 통해 회동결합되며,
    상기H빔을 가로 지르는 금속판에 수평센서를 구비하여 작업대의 기울기를 감지하도록 하고, 제2회동부가 상기 캐비넷 지지부에 대해 일정각도를 벗어나는 회동을 할 경우 동작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고,
    동시에 상기 H빔의 두 날개 상단에는 금속판으로 구성된 테이블이 고정 부착되고,
    상기 테이블의 아래 면에는 테이블 모터가 고정되며,
    상기 테이블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테이블을 관통하여 테이블 상면에 위치한 회전이 자유로운 원형의 모터기어가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기어에는 원형의 회전기어가 맞물려 회전 구동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기어의 상단은 작업대가 고정되어 상기 모터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작업대가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기어는 중앙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구멍에는 베어링을 위치시켜 상기 테이블 상에서 상기 작업대가 상기 테이블 모터에 의해 자유자재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캐비닛은,
    내부에 상기 실린더를 구동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 및 상기 테이블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부;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리모콘 수신부; 및
    상기 유압펌프, 제어부 및 리모콘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센서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입력 장치로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를 구동하는 상기 유압펌프 및 상기 테이블 모터가 출력 장치로 연결되고,
    상기 리모콘 수신부는 제1 리모콘, 제2 리모콘 및 제3 리모콘의 키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각각의 키별로 구분하여 상기 제어부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모콘은 무선방식으로서 스타트(START)키와 상기 작업대의 상기 테이블 모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좌/우 키와, 상기 실린더를 신장/수축시켜 상기 작업대를 전방과 후방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전/후 키를 구비하며,
    아울러 상기 제1 리모콘에 의한 작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3 리모콘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뉴얼(MANUAL) 키와,
    다시 상기 제1 리모콘의 조작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리모트(REMOTE) 키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리모콘은 비상 키를 구비하여 상기 비상 키가 눌려진 경우 전체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작동이 모두 차단되도록 하여 위급한 상황에 대해 상기 전체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의 동작을 모두 차단시켜 정지 상태가 되도록 하며, 다시 이전의 작동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해제 키를 구비하며,
    상기 제3 리모콘은 상기 제어부에 케이블로 직접 접속되어 상기 작업대의 전후좌우의 이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7. 청구항 제4항에서;
    상기 리모콘 수신부는,
    리모콘 안테나를 통해 제1 리모콘과 제2 리모콘의 키가 눌러짐에 따라 송신되는 전자파를 수신하고,
    사용하는 리모콘의 대역 신호만을 수신하여 증폭하는 리모콘 RF수신부;
    상기 리모콘 RF수신부로부터 전달된 수신 전자기파로부터 기저대역(base band)의 신호를 복조하는 리모콘 복조부;
    상기 리모콘 복조부로부터 전달받은 기저대역(base band)의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리모콘과 상기 제2 리모콘의 해당 키별 신호를 디코딩하여 각각의 단자들로 출력하는 리모콘 디코더를 구비하고,
    상기의 단자들은 상기 제1 리모콘의 스타트, 리모트, 매뉴얼, 전, 후 , 좌, 우의 키와 상기 제2 리모콘의 비상, 해제 키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8. 청구항 제4항에서;
    상기 리모콘 수신부는,
    리모콘 안테나를 통해 제1 리모콘의 키가 눌러짐에 따라 송신되는 전자파를 수신하고,
    사용하는 리모콘의 대역 신호만을 수신하여 증폭하는 리모콘 RF수신부;
    상기 리모콘 RF수신부로부터 전달된 수신 전자기파로부터 기저대역(base band)의 신호를 복조하는 리모콘 복조부;
    상기 리모콘 복조부로부터 전달받은 기저대역(base band)의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리모콘의 해당 키별 신호를 디코딩하여 각각의 단자들로 출력하는 리모콘 디코더를 구비하고,
    제2 리모콘은 상기 리모콘 수신부에 제2리모콘 케이블로써 연결되어, 비상, 해제의 키가 눌러짐에 따라 전원전압이 출력단자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9.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리모콘의 전, 후 좌, 우 신호를 제1 릴레이의 4개의 입력으로 각각 제공하며, 상기 제1 릴레이의 출력은 각각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다이오드들을 거친 상기 제1 리모콘의 전, 후 좌, 우 신호는 다시 제3 릴레이의 입력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릴레이의 4개의 출력 단자는 제4 릴레이를 거쳐 모터 구동부로 공급되며, 상기 모터 구동부는 4개의 모터 드라이버로 구성되며, 전후좌우 신호들 중 ‘전’의 신호에 대해 유압펌프의 모터를 상기 실린더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구동하고, ‘후’의 신호에 대해서는 유압펌프의 모터를 상기 실린더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며,
    ‘좌’의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테이블 모터를 순방향으로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고, ‘우’의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테이블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10.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3 리모콘의 전, 후 좌, 우 신호를 제2 릴레이의 4개의 입력으로 각각 제공하며, 상기 제2 릴레이의 출력은 각각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다이오드들을 거친 제1 리모콘의 전, 후 좌, 우 신호는 다이오드들을 거친 상기 제1 리모콘의 전, 후 좌, 우 신호들과 각각 OR결합하여 상기 제3 릴레이의 입력단자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11.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상기 수평센서가 2개의 출력을 구비하며, Vs단자에 전원 전압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테이블이 상기 실린더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허용 각도 이상으로 기울게 되면 감소방향 단자로 ‘1’의 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실린더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허용 각도 이상으로 기울게 되면 신장방향 단자로 ‘1’의 신호가 공급되도록 하는 상기 수평센서와,
    상기 수평센서의 출력은 각각 리미트 스위치의 스위치 박스를 통해 제5 릴레이를 거친 후 다이오드를 직렬로 통과하여 제어 신호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테이블이 상기 실린더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리미트 각도 이상으로 기울게 되면 상기 스위치 박스에 의해 상기 수평센서의 감소방향 단자 신호를 차단하며, 상기 실린더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허용 각도 이상으로 기울게 되면 상기 스위치 박스에 의해 상기 수평센서의 신장방향 단자 신호를 차단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평센서의 출력은 상기 제5 릴레이를 거쳐 다이오드를 직렬로 통과하여 제3 릴레이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출력과 OR 결합되고,
    상기 수평센서의 출력이 감소 방향으로 ‘1’이 되면 이 출력 신호가 상기 유압펌프를 신장하고, 상기 수평센서의 출력이 신장 방향으로 ‘1’이 되면 이 출력 신호가 상기 유압펌프를 감소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12.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의 리모콘 디코더로부터 제공되는 제1 리모콘 디코딩 신호인 ‘스타트’ 신호를 T 플립플롭의 T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T 플립플롭의 정출력(Q)은 제5 릴레이의 인에이블 단자 E에 연결되어 상기 T 플립플롭의 정출력(Q)이 ‘1’일 때 상기 제5 릴레이의 각 접점이 ‘on’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13.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의 리모콘 디코더로부터 제공되는 제1 리모콘 디코딩 신호인 ‘리모트’ 신호를 제1 RS플립플롭의 ‘set' 단자에 연결되고, ‘매뉴얼’ 신호는 상기 제1 RS플립플롭의 ‘reset'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1 RS플립플롭의 정출력(Q)은 제1 릴레이의 인에이블 단자 E에 연결되어 상기 제1 RS플립플롭의 정출력(Q)이 ‘1’일 때 상기 제1 릴레이의 각 접점이 ‘on' 되며,
    상기 제1 RS플립플롭의 부출력(Q bar)은 전술한 제2 릴레이의 인에이블 단자 E에 연결되어 상기 제1 RS플립플롭의 부출력(Q bar)이 ‘1’일 때 제2 릴레이의 각 접점이 ‘on' 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 릴레이와 제2 릴레이는 상기 제1 RS플립플롭의 정출력(Q)과 부출력(Q bar)에 의해 서로 반대로 ‘on’과 ‘off’ 동작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14.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의 리모콘 디코더로부터 제공되는 제2 리모콘 디코딩 신호들 중 ‘비상’ 신호를 제2 RS플립플롭의 ‘reset' 단자에 연결되고, ‘해제’ 신호를 상기 제2 RS플립플롭의 ‘set' 단자에 연결하며, 상기 제2 RS플립플롭의 정출력(Q)은 제4 릴레이의 인에이블 단자 E에 연결되어 상기 제2 RS플립플롭의 정출력(Q)이 ‘1’일 때 제4 릴레이의 각 접점이 ‘on’ 되고 상기 제2 RS플립플롭의 정출력(Q)이 ‘0’일 때 상기 제4 릴레이의 각 접점이 ‘off’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15. 청구항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구성하는 제1 RS플립플롭, 제2 RS플립플롭 및 T 플립플롭은 전원이 투입되면 모두 초기화되어 각각의 플립플롭의 정출력(Q)이 ‘1’ 로 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16.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투입되면 상기 제어부를 구성하는 제1 RS플립플롭, 제2 RS플립플롭 및 T 플립플롭은 모두 초기화되어 각각의 플립플롭의 정출력(Q)이 ‘1’ 로 세트되고,
    상기 T 플립플롭의 정출력은 ‘1’로 되어 제5 릴레이가 ‘on’ 상태로 되며,
    상기 T 플립플롭의 부출력은 ‘0’로 되어 제3 릴레이가 ‘off’ 상태로 되고,
    상기 제2 RS플립플롭의 정출력(Q)이 ‘1’이 되므로 제4 릴레이는 ‘on’ 상태가 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리미트 범위 이내에서 상기 수평센서의 출력이 제5 릴레이 및 제4 릴레이를 통해 모터 구동부로 공급되어,
    상기 테이블이 감소방향으로 기울 경우에는 상기 유압펌프로써 상기 실린더를 신장시키고, 신장방향으로 기울 경우에는 상기 유압펌프로써 상기 실린더를 감소시켜 상기 테이블의 수평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17.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투입 후 제1 리모콘의 ‘스타트’ 키를 누르면, 전원 투입 후 정출력(Q)이 ‘1’로 세트된 T플립플롭은 정출력(Q)이 ‘0’로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평센서로부터의 신호는 제5 릴레이에 의해 차단되고, 제1 RS 플립플롭(440)은 초기화 상태이므로 정출력(Q)에 의해 제1 릴레이가 ‘on’되고, T플립플롭의 부출력(Q bar)에 의해 제3 릴레이가 각각 ‘on’되어 상기 제1 리모콘으로부터의 ‘전’, ‘후’, ‘좌’, ‘우’의 디코딩 신호가 제4 릴레이를 거쳐 모터 구동부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제1 리모콘으로부터의 ‘전’, ‘후’, ‘좌’, ‘우’의 디코딩 신호에 의해 상기 테이블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18.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투입 후 제1 리모콘의 ‘스타트’ 키를 누르고, 이어 ‘매뉴얼’ 키를 누른 경우,
    전원 투입 후 정출력(Q)이 ‘1’로 세트된 T플립플롭은 상기 제1 리모콘의 ‘스타트’ 키를 누름에 따라 디코딩된 신호가 전달되어 정출력(Q)이 ‘0’로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평센서로부터의 신호는 제5 릴레이에 의해 차단되며 제3 릴레이는 상기 T플립플롭의 부출력(Q bar)에 의해 ‘on’되고,
    제1 RS 플립플롭은 초기화 상태로부터 ‘매뉴얼’ 키를 누름에 따라 ‘reset'되어 정출력(Q)은 ‘0’가 되고 부출력(Q bar)은 ‘1’이 되며,
    상기 제1 RS 플립플롭의 정출력(Q)에 의해 제1 릴레이가 ‘off’되고, 부출력(Q bar)에 의해 제2 릴레이가 ‘on’되어, 제3 리모콘으로부터의 ‘전’, ‘후’, ‘좌’, ‘우’의 신호가 상기 제2 릴레이, 상기 제3 릴레이 및 제4 릴레이를 거쳐 모터 구동부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제3 리모콘으로부터의 ‘전’, ‘후’, ‘좌’, ‘우’의 디코딩 신호에 의해 상기 테이블의 제어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1 RS 플립플롭의 부출력(Q bar) 단자에는 상기 제3 리모콘에 구비된 램프를 연결하여 상기 제3 리모콘이 작동상태임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19.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투입 후 제2 리모콘에 의한 ‘비상’과 ‘해제’의 동작을 제어하며, 전원 투입 후 초기화 상태로 설정된 제2 RS플립플롭은 상기 제2 리모콘(302)의 ‘비상’ 키를 누르게 되면 ‘reset’이 되므로 정출력(Q)의 값이 ‘0’가 되고, 상기 제2 RS플립플롭의 정출력(Q) 값 ‘0’은 제4 릴레이를 차단하므로 모든 제어 신호가 차단되어 상기 유압펌프 및 상기 테이블 모터의 동작이 정지하며,
    이어 상기 제2 리모콘의 ‘해제’ 키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제2 RS플립플롭의 정출력(Q)의 값이 ‘1’로 복귀하고 상기 제4 릴레이가 ‘on’되어 상기 제4 릴레이의 전단 신호에 의한 동작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20.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대 상에 작업자 없이 상기 테이블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제1 리모콘의 ‘리모트’ 키를 누름으로써, 상기 제1 리모콘의 키 조작에 의해 상기 작업대 및 상기 테이블을 ‘전’, ‘후’, ‘좌’, ‘우’로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작업대 상의 작업자가 조작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상기 제1 리모콘의 ‘매뉴얼’ 키를 누름으로써 제3 리모콘의 램프가 점등되고 상기 제3 리모콘의 키 조작에 의해 상기 작업대 및 상기 테이블을 작업대의 위치에서 ‘전’, ‘후’, ‘좌’, ‘우’로 조작할 수 있으며,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시에는 제2 리모콘의 ‘비상’ 키를 눌러 전체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제2 리모콘의 ‘해제’ 키를 눌러 이전의 상태로 복구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KR1020100135109A 2010-12-27 2010-12-27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KR101025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109A KR101025702B1 (ko) 2010-12-27 2010-12-27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PCT/KR2011/003330 WO2012091227A1 (en) 2010-12-27 2011-05-04 Stand-alone platform combinable with a b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109A KR101025702B1 (ko) 2010-12-27 2010-12-27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702B1 true KR101025702B1 (ko) 2011-03-30

Family

ID=43939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109A KR101025702B1 (ko) 2010-12-27 2010-12-27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5702B1 (ko)
WO (1) WO201209122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373B1 (ko) 2012-08-20 2012-09-26 엄홍식 붐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독립작업대의 각도 조절장치
KR101390178B1 (ko) * 2013-08-21 2014-05-02 주식회사 정도산업 탑승함을 구비한 로더
KR101468697B1 (ko) * 2013-04-30 2014-12-05 전진중공업(주)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
EP2802525A4 (en) * 2012-01-13 2015-11-11 Chapman Leonard Studio Equip TELESCOPE CAMERA CRANE
KR200482680Y1 (ko) * 2016-08-08 2017-02-22 중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관용 리프터
KR20200113470A (ko) * 2019-03-25 2020-10-07 김재일 고소작업차용 안전 유압제어시스템, 그리고 유압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유압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68617T3 (es) * 2013-07-03 2016-05-03 Palvi, S.L. Grúa de segmentos telescópicos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la misma
DK179024B1 (da) * 2016-05-09 2017-08-28 Time Exp As Støttearrangement for en kurv til mandskabslift
DE202017104769U1 (de) 2017-08-09 2017-10-06 Thomas Haug Fernsteuerungsanordnung
CN107381456B (zh) * 2017-08-14 2022-11-15 北京送变电公司 起重机吊篮
IT201900010932A1 (it) * 2019-07-04 2021-01-04 Momek S R L Dispositivo di presa per carichi, dispositivo di sollevamento per carichi, sistema di sollevamento per carichi, e relativo metodo di sollevamento
US11919756B2 (en) 2020-02-04 2024-03-05 Xtreme Manufacturing, Llc Aerial work vehicle boom auxiliary control panel
EP4067292A1 (en) * 2021-03-22 2022-10-05 Xtreme Manufacturing, LLC Aerial work vehicle auxiliary wireless control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286U (ja) * 1993-04-08 1994-10-28 喜三郎 上野 移動式クレーン装着型の高所作業用ゴンドラ装置
JPH08302748A (ja) * 1995-05-09 1996-11-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安全装置および駆動回路
KR200424574Y1 (ko) 2006-06-12 2006-08-22 허동길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KR100976156B1 (ko) 2007-12-21 2010-08-16 전영수 이동식 카고 크레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3632A (en) * 1984-04-06 1985-11-19 Griffiths Edward E Auto-leveled crane boom man baskets
JPH11139788A (ja) * 1997-11-13 1999-05-25 Furukawa Co Ltd 高所作業車のバケットの制御装置
JP5235115B2 (ja) * 2008-08-22 2013-07-10 株式会社タダノ 高所作業車の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286U (ja) * 1993-04-08 1994-10-28 喜三郎 上野 移動式クレーン装着型の高所作業用ゴンドラ装置
JPH08302748A (ja) * 1995-05-09 1996-11-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安全装置および駆動回路
KR200424574Y1 (ko) 2006-06-12 2006-08-22 허동길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KR100976156B1 (ko) 2007-12-21 2010-08-16 전영수 이동식 카고 크레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2525A4 (en) * 2012-01-13 2015-11-11 Chapman Leonard Studio Equip TELESCOPE CAMERA CRANE
KR101186373B1 (ko) 2012-08-20 2012-09-26 엄홍식 붐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독립작업대의 각도 조절장치
KR101468697B1 (ko) * 2013-04-30 2014-12-05 전진중공업(주)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
KR101390178B1 (ko) * 2013-08-21 2014-05-02 주식회사 정도산업 탑승함을 구비한 로더
KR200482680Y1 (ko) * 2016-08-08 2017-02-22 중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관용 리프터
KR20200113470A (ko) * 2019-03-25 2020-10-07 김재일 고소작업차용 안전 유압제어시스템, 그리고 유압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유압제어 방법
KR102239834B1 (ko) * 2019-03-25 2021-04-12 김재일 고소작업차용 안전 유압제어시스템, 그리고 유압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유압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1227A1 (en)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702B1 (ko)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US10294688B2 (en) Multi-axial mast positioning system
RU2641395C1 (ru) Крановый контроллер
US10189683B2 (en) Mobile crane with ballast receiving apparatus
JP5356809B2 (ja) 荷役用昇降床
JP6101828B2 (ja) 定置ブームおよび回転ヘッドを備えた作業機
WO2014200354A1 (en) Hybrid crane
US7931320B2 (en) Self-adjusting load bar
JP2013071511A (ja) 長尺物運搬装置
KR890003880B1 (ko) 고소작업차의 작업 안정장치
JP5374207B2 (ja) 作業台のレベリング装置及び高所作業車
KR200439555Y1 (ko) 조명장치
KR19990083784A (ko) 고소작업 시스템
KR200315892Y1 (ko) 고소작업장치의 탑승함 회전구조
KR20210030671A (ko) 갠트리 크레인 장치
CN220811639U (zh) 角钢夹持机构和高空作业机械
CN216664304U (zh) 回转限位装置、液压系统及作业机械
KR101536203B1 (ko) 중대형 구조물(인공위성) 조립용 트롤리
WO2023228246A1 (ja) 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
ES2724878T3 (es) Grúa
CN117446660A (zh) 角钢夹持控制总成、角钢夹持控制方法和高空作业机械
JPH1149499A (ja) 高所作業架台の遠隔操作による非常停止装置及びその方法
JP3184172U (ja) クレーン動作制御装置
US20160176684A1 (en) Luffing cross member
CN117400171A (zh) 角钢安装属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