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574Y1 -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574Y1
KR200424574Y1 KR2020060015753U KR20060015753U KR200424574Y1 KR 200424574 Y1 KR200424574 Y1 KR 200424574Y1 KR 2020060015753 U KR2020060015753 U KR 2020060015753U KR 20060015753 U KR20060015753 U KR 20060015753U KR 200424574 Y1 KR200424574 Y1 KR 2004245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horizontal
boarding gate
gat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동길
Original Assignee
허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동길 filed Critical 허동길
Priority to KR2020060015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5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5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5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작업차의 붐대 끝단부에 장착되는 탑승구의 수평유지장치를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차대(51)에서 다단으로 출입하도록 구비되는 붐대(52)와; 상기 붐대(52)의 상단부에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탑승구(53)와; 상기 탑승구(53)는 하방에 설치되는 받침대(56)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피동기어(57)와 연결하고; 상기 피동기어(57)와 맞물리면서 받침대(56)에 설치되는 구동수단(58)에 의하여 작동하는 구동기어(59)로 구성하여 탑승구(53)가 방향전환 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회전수단(54)과; 상기 회전수단(54)은 붐대(52)와 연결되는 수평유지장치(55)에 의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고소작업차(50)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장치(55)는 붐대(52)와 받침대(56) 사이에 붐대(52)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탑승구(53)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조절기(60)와;
상기 붐대(52)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수평조절기(60)를 작동시키는 기울기자(61)로 구성한다.
고소작업차, 탑승구, 수평

Description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Horizontality device for worktable}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고소작업차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인 수평유지장치가 적용된 고소작업차의 탑승구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의 중요부위를 발췌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고소작업차
54; 회전수단
55; 수평유지장치
60; 수평조절기
61; 기울기자
63; 조절기바디
63; 조절기바디
64; 스크류샤프트
71; 기울기추
73; 정리미트스위치
74; 역리미트스위치
본 고안은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차에 구비되는 붐대의 각도에 맞게 탑승구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수평유지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고소작업차는 건축물의 외부공사나 전신주에 전선 설치작업, 간판 및 조명(가로등)설치작업, 교량과 같은 구조물의 유지보수 및 설치작업 등과 같이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필요로 할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소작업차(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곳에서의 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크레인 또는 전용의 차대(51)에 다단으로 출입하면서 길이조절이 되고 일정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되는 붐대(52)를 구비하고, 상기 붐 대(52)의 상단부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53)가 연결된다.
상기 탑승구(53)는 붐대(52)에 대하여 회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작업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54)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수단(54)은 붐대(52)와 수평유지장치(55)와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수단(54)은 탑승구(53)의 하방에 설치되는 받침대(56)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탑승구(53)와 연결되는 피동기어(57)와 상기 피동기어(57)와 맞물리면서 받침대(56)에 설치되는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58)에 의하여 탑승구(53)가 방향(회전)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수단은 항상 수평이 유지된 상태에서 회전만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하게 되고, 상기 수평유지장치는 작업 높이에 따라 신장 및 수축되는 붐대에 맞게 탑승구(53)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수평유지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가장 대표적인 예를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탑승구(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2)을 가지는 받침대(3)를 붐대(4)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대(5)의 상단과 힌지 연결하고, 상기 연결대(5)의 하측에는 유압실린더(6)를 고정하고, 상기 유압실린더(6)의 로드(7)를 받침대(3)와 연결하여 수평유지장치(10)를 구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붐대의 신장과 수축이 있을 경우 신장 또는 수축에 따라 연결대와 연결된 받침대가 경사지게 되는 데 이를 수평유지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데, 붐대의 경사에 따라 유압실린더가 작동하여 받침대를 연결대에 대하여 기 울기를 조절하여 줌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고소작업차로부터 유압을 인출하여 유압호스와 호스릴과 유압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하고 배출하기 위한 체크밸브 등과 같은 부수적인 장비를 필요로 하고, 특히 이러한 장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수평유지장치의 원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유압에 의하여 수평을 조절하기 때문에 유압에 의하여 호스가 팽창된 상태가 됨으로서 유압오차가 발생하여 정확한 작동이 어렵게 되는 것은 물론 이로인하여 탑승구가 정확하게 수평유지가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탑승구가 정확하게 수평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고소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불안하게 되는 것은 물론, 수평유지 불가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까지 있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고소작업차의 붐대 끝단부에 장착되는 탑승구의 수평유지장치를 개선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함으로서 고소작업차의 전체적인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탑승구에 탑승한 작업자의 작업 편의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고소작업차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인 수평유지장치가 적용된 고소작업차의 탑승구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의 중요부위를 발췌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고소작업차(50)는 차대(51)에서 다단으로 출입하면서 각도 조절이 되는 붐대(52)를 구비하고, 상기 붐대(52)의 상단부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53)가 연결된다.
상기 탑승구(53)는 붐대(52)에 대하여 회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작업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54)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수단(54)은 붐대(52)와 수평유지장치(55)와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수단(54)은 탑승구(53)의 하방에 설치되는 받침대(56)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탑승구(53)와 연결되는 피동기어(57)와 상기 피동기어(57)와 맞물리면서 받침대(56)에 설치되는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58)에 의하여 작동하는 구동기어(59)로 구성하여 탑승구(53)가 방향(회전)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수평유지장치(55)를 개선하여 탑승구(53)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탑승구(53)에 탑승한 작업자의 작업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수평유지장치(55)는 붐대(52)와 상기 붐대(52)의 끝단에 회전수단(54) 과 탑승구(53)를 장착하여 연결되는 받침대(56) 사이에 붐대(52)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탑승구(53)를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조절기(60)를 설치하고, 상기 수평조절기(60)는 기울기자(61)에 의하여 붐대(52)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평조절기(60)는 붐대(52)와 힌지핀(62)으로 연결되는 조절기바디(63)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기바디(63)에는 스크류샤프트(64)를 내장하여 스크류샤프트(64)의 선단부는 받침대(56)와 힌지핀(65)으로 연결한다.
상기 스크류샤프트(64)는 조절기바디(63)의 외측에 장착되는 구동모터(66)의 구동축(67)에 고정되는 구동기어(6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스크류기어(69)와 맞물려 상기 구동모터(66)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스크류샤프트(64)가 받침대(56)방향으로 전,후진하여 받침대(56)를 가변 되는 붐대(52)에 대응하여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울기자(61)는 붐대(52)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구동모터(66)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붐대(52), 받침대(56) 또는 탑승구(53)와 같이 붐대(52) 작동으로 기울기가 발생하는 곳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을 것이나 가급적이면 탑승구(53)에 탑승한 작업자가 리모트콘트롤러 또는 전선으로 구동모터(66)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탑승구(53)와 구동모터(66)가 근접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기울기자(61)는 붐대(52), 받침대(56) 또는 탑승구(53)와 같은 곳에 설치되는 판상타입의 설치바디(70)에 중량체의 기울기추(71)를 힌지핀(72)으로 연결 하여 기울기추(71)가 항상 지면(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상기 기울기추(71)의 양측에는 기울기추(71)와 터치(연접)에 의하여 구동모터(66)을 정,역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정리미트스위치(73)와 역리미트스위치(74)를 구비하여 기울기추(71)의 연접(터치)에 의하여 구동모터(66)를 작동시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구동모터(66)의 작동시간은 기울기추(71)가 정,역리미트스위치(73,74)와 연접된 상태에서 작동하기 시작하여 정,역리미트스위치(73,74)와 이격될때 까지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자동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55)는,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소작업차(50)를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한 후 붐대(52)를 신장시켜 탑승구(53)를 작업위치로 상승시키고, 상승완료된 탑승구(53)는 붐대(52)의 신장에 대한 수평을 수평유지장치(55)를 이용하여 수평상태로 유지한 후 회전수단(54)을 작동시켜 작업위치에 작업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상기 수평유지장치(55)에 의하여 탑승구(53)가 수평을 유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탑승구(53)를 설치하여 붐대(52)와 연결된 받침대(56)는 붐대(52)의 신장과 수축에 따라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붐대(52), 받침대(56) 또는 탑승구(53)에 설치되는 기울기자(61)의 기울기추(71)가 신장 수축하는 붐대(52)에 관계없이 항상 아래 방향을 향하게 되고, 상기 기울기추(71)의 양측에 구비되는 정리미트스위치(73)와 역리미트스위치(74)와 근접 및 이탈하게 된다.
이는 붐대(52)의 신장과 수축 및 기울기에 따라 제 위치를 고수하는 기울기추(71)의 양측에 구비되는 정리미트스위치(73)와 역리미트스위치(74)가 기울기추(71)와 근접 및 이탈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기울기추(71)가 정리미트스위치(73)와 역리미트스위치(74)가 연접됨으로서 구동모터(66)를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66)에 의하여 스크류샤프트(64)가 작동하여 받침대(56)를 밀고 당기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붐대(52)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에 있는 받침대(56)를 밀고 당겨서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받침대(56)에 설치된 탑승구(53)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받침대(56)의 수평을 전기를 인가받는 모터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함으로서 탑승구(53)에 탑승한 작업자가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무선으로 조정되는 리모트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되며, 고소작업차(50) 전체를 제어하는 작업자가 지상에서도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탑승구(53)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장치를 전기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관련 구성품의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어 전체적인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 제어력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고소작업차의 붐대 끝단부에 장착되는 탑승구의 수평 유지장치를 개선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함으로서 고소작업차의 전체적인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탑승구에 탑승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Claims (1)

  1. 차대(51)에서 다단으로 출입하도록 구비되는 붐대(52)와;
    상기 붐대(52)의 상단부에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탑승구(53)와;
    상기 탑승구(53)는 하방에 설치되는 받침대(56)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피동기어(57)와 연결하고;
    상기 피동기어(57)와 맞물리면서 받침대(56)에 설치되는 구동수단(58)에 의하여 작동하는 구동기어(59)로 구성하여 탑승구(53)가 방향전환 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회전수단(54)과;
    상기 회전수단(54)은 붐대(52)와 연결되는 수평유지장치(55)에 의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고소작업차(50)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장치(55)는 붐대(52)와 받침대(56) 사이에 붐대(52)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탑승구(53)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조절기(60)와;
    상기 붐대(52)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수평조절기(60)를 작동시키는 기울기자(61)로 구성하고;
    상기 수평조절기(60)는 붐대(52)와 연결되는 조절기바디(63)와;
    상기 조절기바디(63)에 내장하여 선단부를 받침대(56)와 힌지핀(65)으로 연결하는 스크류샤프트(64)와;
    상기 조절기바디(63)의 외측에 장착되어 스크류샤프트(64)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66)로 구성하고;
    상기 스크류샤프트(64)는 구동모터(66)의 구동축(67)에 고정되는 구동기어(68)와 스크류기어(69)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도록 하고;
    상기 기울기자(61)는 붐대(52), 받침대(56) 또는 탑승구(53)에 설치되는 설치바디(70)에 힌지핀(72)으로 연결하여 항상 지면을 향하도록 하는 중량체의 기울기추(71)와;
    상기 기울기추(71)의 양측에 구비하여 기울기추(71)와 터치에 의하여 구동모터(66)을 정,역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정리미트스위치(73)와 역리미트스위치(7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KR2020060015753U 2006-06-12 2006-06-12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KR2004245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753U KR200424574Y1 (ko) 2006-06-12 2006-06-12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753U KR200424574Y1 (ko) 2006-06-12 2006-06-12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574Y1 true KR200424574Y1 (ko) 2006-08-22

Family

ID=4177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753U KR200424574Y1 (ko) 2006-06-12 2006-06-12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57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891B1 (ko) * 2006-12-20 2008-03-10 김성훈 고소작업차량의 탑승함 수평유지장치
KR101025702B1 (ko) 2010-12-27 2011-03-30 엄홍식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KR101102321B1 (ko) * 2009-11-10 2012-01-03 설재철 고소작업차용 탑승함 수평유지 시스템
KR101186373B1 (ko) 2012-08-20 2012-09-26 엄홍식 붐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독립작업대의 각도 조절장치
KR101212325B1 (ko) * 2011-12-26 2012-12-13 김성준 물품운반 및 작업용 바스켓을 포함하는 다목적 바스켓 복합체
KR101765007B1 (ko) * 2016-04-21 2017-08-03 이웅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891B1 (ko) * 2006-12-20 2008-03-10 김성훈 고소작업차량의 탑승함 수평유지장치
KR101102321B1 (ko) * 2009-11-10 2012-01-03 설재철 고소작업차용 탑승함 수평유지 시스템
KR101025702B1 (ko) 2010-12-27 2011-03-30 엄홍식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WO2012091227A1 (en) * 2010-12-27 2012-07-05 G.I.D. Co., Ltd. Stand-alone platform combinable with a boom
KR101212325B1 (ko) * 2011-12-26 2012-12-13 김성준 물품운반 및 작업용 바스켓을 포함하는 다목적 바스켓 복합체
KR101186373B1 (ko) 2012-08-20 2012-09-26 엄홍식 붐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독립작업대의 각도 조절장치
KR101765007B1 (ko) * 2016-04-21 2017-08-03 이웅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4574Y1 (ko)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KR101914261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하이브리드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구조물 승강방법
KR101580528B1 (ko)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JP4199719B2 (ja) 移動式発電装置の自動揚降制御方法及び自動揚降型架台制御装置
JP4619369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に沿ってプラットフォームを移動させるための装置
JPH08100411A (ja) 壁背面点検車
KR101954847B1 (ko) 지하 전력구 분할 배전선로 지지대
KR20090091903A (ko)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JP2019203249A (ja) 移動式足場装置
KR20200057303A (ko) 가변형 카메라 지주대 구조체
GB2390079A (en) Aerial lift platform with lifting jacks
JP5719143B2 (ja) 高所作業車
JP5976394B2 (ja) 昇降式足場装置
JP3638485B2 (ja) 作業車のジャッキ装置
JP5086032B2 (ja) 高所作業車のブーム自動格納装置
JP2009196790A (ja) エレベータ
KR100749572B1 (ko) 고소작업용 차량
JP7278554B1 (ja) 水平力分担構造体設置用架台、水平力分担構造体設置装置および水平力分担構造体設置方法
KR100495521B1 (ko) 음성응답 운전 조작반 및 비상제동 브레이크 구조와 편차조정 스트로크 장치가 형성된 무선점소등 승하강 제어조명타워
JP4389200B2 (ja) 落橋防止用鋼製ブラケットおよびブロックの取付け装置
JP4913776B2 (ja) 移動式発電装置の自動揚降制御方法及び自動揚降型架台制御装置
JP4573355B2 (ja) 床版の剥がし方法及び床版剥がし装置
KR200431799Y1 (ko) 고소작업용 차량
KR102418197B1 (ko) 시스템실링 리프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링 모듈 설치방법
JP2000095456A (ja) エレベータの仮設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