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007B1 -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007B1
KR101765007B1 KR1020160048689A KR20160048689A KR101765007B1 KR 101765007 B1 KR101765007 B1 KR 101765007B1 KR 1020160048689 A KR1020160048689 A KR 1020160048689A KR 20160048689 A KR20160048689 A KR 20160048689A KR 101765007 B1 KR101765007 B1 KR 101765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uskets
sensor
time valu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
Original Assignee
이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웅 filed Critical 이웅
Priority to KR1020160048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켓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수평 유지장치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 유지장치의 잦은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장치의 수명과 효율을 극대화하여 전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소 작업용 버스켓을 밀거나 잡아당겨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수평 조절부와, 버스켓의 흔들림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부와, 수평 감지부에서 감지된 기울기 변화에 따라 수평 조절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of basket for high place works}
본 발명은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켓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수평 유지장치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 유지장치의 잦은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장치의 수명과 효율을 극대화하여 전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는 건축물의 외부공사, 전신주의 전선 설치작업, 대형 구조물의 유지 보수작업 등과 같이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필요로 할 경우 사용되는 특장차를 말한다.
이러한 고소작업차는 화물차량에 크레인이 장착된 구조로 크레인의 신축되는 끝부분에 작업자나 물품을 싣기 위한 버스켓이 구비되며, 크레인의 신축방식에 따라 직진식, 굴절식 등으로 구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소작업차(1)는 차대(2)에 크레인이 설치되고, 상기 크레인은 기둥프레임(3)과 다단으로 이루어진 붐대(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붐대(4)는 유압제어에 따라 작동되는 피스톤 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인출되거나 수납되면서 그 길이와 기울기가 조절되고, 붐대(4)의 끝단에는 연결대(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대(5)에는 좌·우 회전을 조절하는 회전수단(20)을 포함한 버스켓(10)이 구비된 받침대(6)가 힌지연결되어 구비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이러한 고소작업차(1)는 붐대(4)의 길이와 기울기 조절에 따른 변화에도 버스켓(10)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버스켓(10)에 탑승한 작업자나 물품을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는 수평 유지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수평 유지장치(30)의 일 실시예로, 버스켓(10) 하부의 받침대(6)가 연결대(5)에 힌지결합되어 버스켓(10)이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운전실에 위치한 운전자가 붐대(4)의 기울기에 따른 버스켓(10)의 기울어진 상태를 인지하여 유압실린더(31)을 운전자가 수동으로 신축함으로써 버스켓(10)을 수평상태로 조절하게 된다.
또는, 작업자가 탑승한 버스켓(10)의 내부에 컨트롤러 등의 제어수단을 별도로 구비하고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자 스스로가 기울기 변화에 따라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제어수단을 조절하여 유압실린더(31)의 유압량을 조절함으로써 버스켓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31)는 수평유지장치의 일 실시예로, 모터와 기어구조에 따라 길이 조절 작동되는 샤프트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제어방식이나 신호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버스켓(10)의 잡아당기거나 밀어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평 유지장치는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운전자나 작업자들이 직접 수평 유지장치를 작동하여 수평 상태를 조절함에 따라 붐대의 인출에 따른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에 대응이 원활하지 못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미처 대응하지 못하는 작업자의 경우, 기울어진 버스켓(10)에서 불안한 자세로 작업을 해야 하고 이는 활동량이 많은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함은 물론 작업의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더불어, 고소작업차의 붐대(4)가 인출됨에 따라 버스켓(10)이 운전자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되는 경우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아 버스켓(10)의 기울어진 상태를 알 수 없어 운전자나 작업자가 수평 유지장치를 정확하게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공보 제20-0424574호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에서는 버스켓 즉, 탑승구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수평 유지장치를 작동하기 용이한 수단으로 중량을 가지는 기울기추와 리미트스위치를 사용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상기 기울기추가 버스켓의 기울기에 따라 기울기추의 양측에 형성된 리미트스위치에 닿을 때마다 기울기의 반대방향으로 수평 유지장치를 작동시켜 버스켓의 수평을 유지하고자 구성하고 있다.
한편, 고소작업차의 붐대(4)가 인출됨에 따라 버스켓(10)은 잦은 기울기 변화가 생길 수 밖에 없다.
그리고, 흔들림에 따른 버스켓의 기울기가 변화할 때마다 기울기추와 리미트스위치는 다수번의 잦은 접촉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이때마다 종래의 수평 유지장치는 그 횟수에 따라 동작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잦은 작동은 수평 유지장치의 작동 오류를 가져올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버스켓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기울기추가 일측의 리미트스위치에 접한 상태에서 작동하기 시작하여 타측의 리미트스위치에 접할 때 까지 작동되는데, 붐대가 인출됨에 따라 버스켓의 잦은 기울기 변화가 생기는 시간 동안 기울기를 수평으로 맞추고자 하는 수평 유지장치의 작동이 많아 이에 따른 버스켓의 덜컹거림이 많아질 수 밖에 없으며, 이는 버스켓에 탑승한 작업자의 자세불안을 증대시키고 심적인 작업 부담감을 가중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기울기추와 리미트스위치가 접할 때마다 수평 유지장치가 작동되는데, 수평 유지장치의 작동을 멈추기 위한 시점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어 자동으로 작동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운전자나 작업자가 기울기추와 리미트스위치의 접한 상태를 확인하고 수평 유지장치의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수평을 유지하는 방법이 있으나 버스켓이 붐대의 인출에 따라 거리가 멀어질 경우 시인성이 낮아져 정확한 수평 유지장치의 멈춤 시점을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공보 제20-0424574호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는 기울기추와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종래의 고속작업차에 적용이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이를 작동하고 멈추기 위한 구조가 불명확하고, 잦은 기울기 변화에 따른 기울기추와 리미트스위치의 접촉이 발생되며 이때마다 수평 유지장치가 작동되기 때문에 장치의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실용공보 제20-0424574호(2006.08.16.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낮은 비용으로 품질을 개선함과 아울러 버스켓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수평 유지장치의 응답성을 향상시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며, 버스켓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전체적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평 유지장치의 잦은 작동을 제어하여 장치의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장치의 수명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는, 수평 조절부와 수평 감지부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수평 감지부는,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버스켓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는 방향으로 작동된다.
수평 감지부는, 힌지 고정된 기울기추와, 기울기추의 인접된 좌측에 위치된 정감지센서와, 기울기추의 인접된 우측에 위치된 역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정.역감지센서와 기울기추의 접촉에 따라 버스켓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수평 감지부에 감지된 버스켓의 기울기 변화를 시간 값으로 연산하여 기울기추와 정.역감지센서의 접촉 횟수가 최소가 되도록 수평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는, 타이머회로와 연산회로 및 명령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타이머회로는, 수평 감지부의 기울기추가 정감지센서 또는 역감지센서와 1차 접촉한 후, 역감지센서 또는 정감지센서와 2차 접촉하기 까지의 시간 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연산회로는, 타이머회로에서 입력된 시간 값을 연산하여 수평 감지부의 기울기추가 정감지센서 또는 역감지센서와 1차 접촉한 후, 역감지센서 또는 정감지센서와 2차 접촉하지 않을 시간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명령회로는, 연산회로에서 산출된 시간 값에 따라 수평 조절부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여 동작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연산회로가 산출한 시간 값은 타이머회로가 측정한 시간 값의 절반의 시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수평 조절부는, 붐대 또는 연결대와 일측이 힌지 고정되고, 버스켓 또는 버스켓이 위치고정된 받침대와 타측이 힌지 고정되어 길이 조절 작동되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평 감지부는, 버스켓 또는 버스켓이 위치고정된 받침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는, 기울기추와 정.역감지센서를 구성함에 따라 낮은 비용으로 버스켓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수평 유지장치의 동작 응답성을 향상시켜 용이하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버스켓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시간 값을 산출하고 수평 유지장치가 최소한의 횟수로 작동되어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버스켓의 덜컹거림과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전체적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기울기추와 정.역감지센서의 접촉 시간 값을 산출하고 이를 연산하여 보정하고 수평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수평 유지장치의 잦은 작동이 조절되고 장치의 오작동을 최소화하여 수평 유지장치의 수명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속작업차의 수평 유지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에 적용되는 수평 감지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에 의한 수평 유지 작동 흐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는 지면에서 멀어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하부는 지면과 가까워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방향은 기울기추가 정감지센서 측에서 역감지센서 측으로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역방향은 기울기추가 역감지센서 측에서 정감지센서 측으로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에 적용되는 수평 감지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100)는, 크게 버스켓(10)을 밀거나 잡아당겨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수평 조절부(110)와, 상기 버스켓(10)의 흔들림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부(120)와, 상기 수평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기울기 변화에 따라 수평 조절부(11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3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고소작업을 위한 붐대(4)의 인출에 따라 버스켓(10)이 흔들려 기울기가 변화하게 되면, 상기 수평 감지부(120)는 버스켓(10)의 흔들림에 따라 기울기가 어느 방향으로 변화되는지를 감지하여 제어부(130)에 알리게 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평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 즉 방향과 정도에 따라 상기 수평 조절부(110)를 어떤 방향으로 어느 시간 동안 작동시킬 것인지를 연산하여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버스켓(10)은 붐대(4)의 인출에 따른 높이와 기울기 변화에도 항상 안정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버스켓(10)의 내부 공간에서 작업을 위해 탑승한 작업자나 물품이 안전하게 작업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어 작업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100)는, 버스켓(10)의 기울기가 변화하더라도 항상 지면 즉, 중력방향(C)을 향하도록 중량을 가지는 기울기추(121)와, 버스켓(10)에 위치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상기 기울기추(121)와 접촉하여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정감지센서(122) 및 역감자센서(12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상기 정.역감지센서(122, 123)가 기울기추(121)와 접촉되는 시간 값을 측정하고 이를 연산하여 상기 정.역감지센서(122, 123)와 기울기추(121)의 접촉 횟수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수평 조절부(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100)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술된 수평 유지장치(100)의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제어부(130)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버스켓(10)의 수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버스켓(10) 또는 버스켓(10)과 동일 기울기 변화를 가지는 받침대(6)를 잡아 당기거나 밀게 되는 방향으로 작동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붐대(4) 또는 연결대(5)와 일측이 힌지 고정되고, 상기 버스켓(10) 또는 상기 버스켓(10)이 위치고정된 받침대(6)와 타측이 힌지 고정되어 길이 조절 작동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량을 조절하여 길이 조절함으로써 버스켓(10) 또는 받침대(6)를 붐대(4) 또는 연결대(5)에 대하여 기울기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다른 실시예로 모터와 기어구조에 따라 길이 조절 작동되는 샤프트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130)는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샤프트를 길이 조절함으로써 버스켓(10) 또는 받침대(6)를 붐대(4) 또는 연결대(5)에 대하여 기울기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버스켓(1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버스켓(10)의 흔들림에 따라 기울기 변화가 많아지더라도 제어부(130)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빠른 시간안에 동작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평 감지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 고정된 기울기추(121)와, 상기 기울기추(121)의 인접된 좌측에 위치된 정감지센서(122)와, 상기 기울기추(121)의 인접된 우측에 위치된 역감지센서(123)로 구성되어 상기 정.역감지센서(122, 123)가 상기 버스켓(10)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기울기추(121)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감지센서, 기울기추(121) 및 역감지센서(123)의 간격 내의 버스켓 기울기 변화는 작업자가 버스켓(10) 상에서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기울기 변화로 판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수평 유지장치(100)는 상기 기울기추(121)가 정.역감지센서(122, 123)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한다.
한편, 상기 수평 감지부(120)는 바람직하게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버스켓(10)에 구비되거나 상기 버스켓(10)이 위치고정되어 동일 기울기 변화를 가지게 되는 받침대(6)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울기추(121)는 상부가 힌지축에 힌지 고정되어 진자운동이 가능한 상태이며, 하부는 중량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울기추(121)는 상기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에도 힌지축에 대하여 회동되어 항상 지면, 즉 중력방향(C)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감지센서(122)와 역감지센서(123)는, 상기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에서 기울기추(121)와 접촉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 그 접촉됨을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판 상의 형상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리미트스위치 또는 압점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수평 감지부(120)의 구조에 따라, 버스켓(10)이 흔들리면서 기울기가 변화하게 되면, 상기 정감지센서(122)와 역감지센서(123)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에서 기울기추(121)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버스켓(10)의 기울기가 변화하였음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정,역감지센서(122, 123)는 기울기추(121)와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버스켓(10)의 기울기가 변화하였다는 것을 상기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평 감지부(120)에 감지된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를 시간 값으로 연산하여 상기 버스켓(10)의 잦은 흔들림에 따른 기울기 변화에도 상기 기울기추(121)와 정.역감지센서(122, 123)의 접촉 횟수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수평 조절부(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최소한의 수평 조절부(110) 작동을 통해 상기 버스켓(1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130)는 타이머회로(133)와, 연산회로(132) 및 명령회로(1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타이머회로(133)는,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상기 수평 감지부(120)의 기울기추(121)가 정감지센서(122)와 1차 접촉한 다음 역감지센서(123)와 2차 접촉하기까지의 시간 값을 측정하거나, 상기 수평 감지부(120)의 기울기추(121)가 역감지센서(123)와 1차 접촉한 다음 정감지센서(122)와 2차 접촉하기까지의 시간 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연산회로(132)는, 상기 타이머회로(133)에서 측정되어 입력된 시간 값을 연산하여 상기 수평 감지부(120)의 기울기추(121)가 정감지센서(122) 또는 역감지센서(123)와 1차 접촉한 후, 역감지센서(123) 또는 정감지센서(122)와 2차 접촉하지 않는 시간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명령회로(131)는, 상기 연산회로(132)에서 산출된 시간 값에 따라 상기 수평 조절부(110)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여 작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평 감지부(120)의 정.역감지센서(122, 123)와 기울기추(121)가 접촉되는 시간 값을 측정하고 이를 연산하여 보정함으로써 수평 조절부(110)의 잦은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장치(100)의 오작동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수명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연산회로(132)가 산출한 시간 값은 상기 타이머회로(133)가 측정한 시간 값의 절반값으로 산출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평 조절부(110)의 작동 시간이 설정되어 작동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에 의한 수평 유지 작동 흐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재차,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장치(100)의 수평 유지 작동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100)가 설치된 고소 작업용 차량의 크레인이 고소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탑승한 버스켓(10)을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크레인의 붐대(4)가 상부 작업 위치로 높이와 경사를 가지며 인출되는데, 상기 붐대(4)의 끝단 연결대(5)에 연결된 받침대(6)는 붐대(4)의 인출에 따라 힌지축에 의해 힌지 회동되면서 흔들리게 되고 상기 받침대(6)에 위치고정된 버스켓(10) 또한 이동 중 흔들리면서 기울어져 상하 방향으로 각도 변화가 생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스켓(10)과 동일 기울기 변화를 가지는 받침대(6) 일측에 설치된 수평 감지부(120)의 기울기추(121)는 상부 힌지축과 하부 중량체의 무게에 의한 구조에 의해 항상 지면 방향(C)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버스켓(10)의 흔들림 즉, 기울기 변화에 따라 상기 기울기추(121)는 인접된 정감지센서(122) 또는 역감지센서(123)와 근접하거나 접촉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버스켓(10)의 흔들림에 따라 상기 정감지센서(122)가 먼저 기울기추(121)와 접촉됨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상기 기울기추(121)는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정감지센서(122)와 A 지점에서 접촉하게 된다.
이를 감지한 제어부(130)는 명령회로(131)를 통해 수평 조절부(110)의 작동을 명령하고,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버스켓(10)을 끌어당겨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상기 수평 조절부(110)의 동작 작동시간과 멈춤명령은 입력되지 않은 바, 상기 역감지센서(123)가 기울기추(121)와 B 지점에서 접촉할 때까지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기울기추(121)가 역감지센서(123)와 접촉하게 되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여 수평 조절부(110)의 작동을 멈춘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의 타이머회로(133)는 정방향(A→B)으로 상기 정감지센서(122)가 기울기추(121)와 1차 접촉한 다음 상기 역감지센서(123)와 2차 접촉하기까지의 시간 값(t1)을 산출하고 이를 연산회로(132)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연산회로(132)는 버스켓(10)의 수평 유지를 위해 수평 조절부(110)를 동작시켜 역방향(B→A)으로 진행될 시, 정감지센서(122)와 기울기추(121)가 접촉하지 않는 시간 값을 입력된 시간 값(t1)을 토대로 연산하여 산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산회로(132)가 산출한 시간 값은 상기 타이머회로(133)에서 측정된 시간 값(t1)의 절반의 시간 값(½t1)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명령회로(131)는 역방향(B→A)으로 버스켓(10)이 이동되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산회로(132)의 산출된 시간 값(½t1) 동안 수평 조절부(110)가 작동되도록 명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 조절부(110)를 산출된 시간 값(½t1) 동안 작동하였을 때, 정감지센서(122)가 기울기추(121)가 접촉하지 않는다면, 수평 조절부(110)는 작동을 멈추게 되고 버스켓(10)의 수평은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한다.
한편, 상기 버스켓(10)은 붐대(4)가 인출되면서 작업 위치까지 위치되어 정지할 때까지 높이와 기울기 변화가 생긴다.
따라서, 제어부(130)에서 산출된 시간 값(½t1) 동안 수평 조절부(110)를 작동하는 동안 상기 버스켓(10)의 기울기에 또다른 변화가 생기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제 버스켓(10)의 기울기가 변화하여 재차 역방향(B→A)으로 진행시 기울기추(121)와 정감지센서(122)가 접촉하게 되는 실제 시간 값(t2)이 산출된 시간 값(½t1) 보다 작다면 버스켓(10)의 수평 상태는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t2의 시간 값이 ½t1의 시간 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수평 조절부(110)의 작동 중에 상기 기울기추(121)와 정감지센서(122)는 접촉하게 되고, 재차 제어부(130)의 타이머회로(133)는 정확한 역방향(B→A)으로 진행시 시간 값(t2)을 산출하여 연산회로(132)로 보내고 연산회로는 이를 토대로 재차 수평 조절부(110)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켜 정방향(A→B) 진행시 역감지센서(123)와 기울기추(121)가 접촉하지 않는 시간 값(½t2)을 입력된 시간 값(t1)을 토대로 연산하여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스켓(10)이 작업 위치에 도달하여 정지될 때 까지 상기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는 발생되고,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장치(100)는 수평 감지부(120)의 정.역감지센서(122, 123)와 기울기추(121)와의 접촉 시간 값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130)에서 연산 보정하여 상기 버스켓(10)의 수평 조절부(110)의 최소한의 작동 동작에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수평 감지부(120)에 감지된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를 시간값으로 연산하여 기울기추(121)와 정.역감지센서(122, 123)의 접촉 횟수가 최소가 되도록 수평 조절부(1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110 : 수평 조절부 120 : 수평 감지부
121 : 기울기추 121-1 : 힌지축
122 : 정감지센서 123 : 역감지센서
130 : 제어부 131 : 명령회로
132 : 연산회로 133 : 타이머회로

Claims (5)

  1.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버스켓(10)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는 방향으로 작동되는 수평 조절부(110)와; 힌지 고정된 기울기추(121)와, 상기 기울기추(121)의 인접된 좌측에 위치된 정감지센서(122)와, 상기 기울기추(121)의 인접된 우측에 위치된 역감지센서(123)로 구성되어, 상기 정.역감지센서(122, 123)와 기울기추(121)의 접촉에 따라 상기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부(120)와; 상기 수평 감지부(120)에 감지된 버스켓(10)의 기울기 변화를 시간 값으로 연산하여 상기 기울기추(121)와 정.역감지센서(122, 123)의 접촉 횟수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수평 조절부(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평 감지부(120)의 기울기추(121)가 정감지센서(122) 또는 역감지센서(123)와 1차 접촉한 후, 역감지센서(123) 또는 정감지센서(122)와 2차 접촉하기 까지의 시간 값을 측정하는 타이머회로(133)와,
    상기 타이머회로(133)에서 입력된 시간 값을 연산하여 상기 수평 감지부(120)의 기울기추(121)가 정감지센서(122) 또는 역감지센서(123)와 1차 접촉한 후, 역감지센서(123) 또는 정감지센서(122)와 2차 접촉하지 않을 시간 값을 산출하는 연산회로(132)와,
    상기 연산회로(132)에서 산출된 시간 값에 따라 상기 수평 조절부(110)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회로(13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회로(132)가 산출한 시간 값은 상기 타이머회로(133)가 측정한 시간 값의 절반의 시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붐대(4) 또는 연결대(5)와 일측이 힌지 고정되고, 상기 버스켓(10) 또는 상기 버스켓(10)이 위치고정된 받침대(6)와 타측이 힌지 고정되어 길이 조절 작동되는 유압실린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감지부(120)는,
    상기 버스켓(10) 또는 상기 버스켓(10)이 위치고정된 받침대(6)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KR1020160048689A 2016-04-21 2016-04-21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KR101765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689A KR101765007B1 (ko) 2016-04-21 2016-04-21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689A KR101765007B1 (ko) 2016-04-21 2016-04-21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007B1 true KR101765007B1 (ko) 2017-08-03

Family

ID=5965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689A KR101765007B1 (ko) 2016-04-21 2016-04-21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0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574Y1 (ko) * 2006-06-12 2006-08-22 허동길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574Y1 (ko) * 2006-06-12 2006-08-22 허동길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2326C2 (ru) Кран, а также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предохранения от перегрузок такого крана
US10597266B2 (en) Cran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verload protection of such a crane
CA2976589A1 (en) Crane and method for influencing a deformation of a jib system of such a crane
KR101229085B1 (ko) 차동 압력식 하중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소작업 차량의 붐 규제장치
KR20200082874A (ko) 작업 차량의 전도/전복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765007B1 (ko)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US11174134B2 (en) Apparatus for compensating diagonal pull in cranes
CN105110190A (zh) 带活动配重系统的轮胎吊车配重控制方法
JPH1046799A (ja) 複数マストの移動式昇降足場
JP2006282301A (ja) アウトリガの安全装置
KR101286589B1 (ko) 다단인출 굴절식 고소작업차량의 탑승함 수평유지시스템
JP2021091508A (ja) レールブラケット固定部の自動計測システム
CN116368091A (zh) 车辆用升降装置
JPH11171477A (ja) アウトリガを有する車両に用いられる自動水平形成装置
WO2017208758A1 (ja) 旅客搭乗橋
EP3763664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rane, crane operation system and crane comprising it
JP2536053B2 (ja) 船体位置検出装置
JP2508376Y2 (ja) ブ―ム作業車の作業範囲表示装置
KR101938249B1 (ko) 특장차용 붐 전고 높낮이 조절 및 균형 감지 장치
JP3117791B2 (ja) クレーンの起伏停止制御装置
JP2631280B2 (ja) ブーム作動制御装置
JP3428509B2 (ja) 高所作業車
JP2020111418A (ja) 移動式揚重装置
KR20230096194A (ko) 고소 작업차량을 위한 전복 방지 장치
KR20240112655A (ko) 고소작업차의 자동 수평유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