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903A -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903A
KR20090091903A KR1020080017118A KR20080017118A KR20090091903A KR 20090091903 A KR20090091903 A KR 20090091903A KR 1020080017118 A KR1020080017118 A KR 1020080017118A KR 20080017118 A KR20080017118 A KR 20080017118A KR 20090091903 A KR20090091903 A KR 20090091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fixing
small
scaffold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1862B1 (ko
Inventor
이종국
김정암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86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건조 공정 중에 천장 부위에 소부재를 취부/용접할 때 사용되는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는 다수의 작업자가 발판 위에 올라서서 소부재를 손으로 들어올려 받친 상태로 취부/용접 작업을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을 위한 바퀴가 달린 작업용 발판과; 상기 작업용 발판의 중앙을 관통해서 설치되고 높이를 작업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승하강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작업하고자 하는 소부재를 올려놓고 상기 리프트의 상승 조작에 의해 작업 위치로 상승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부재 취부용 쉘로 구성된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 혼자서도 바퀴가 설치되어 있어서 손쉽게 위치를 이동시키고, 몸체 고정스토퍼 및 바퀴고정 스토퍼로 고정해두고, 소부재 취부용 쉘에 작업하고자 하는 소부재를 올려놓고, 1단 리프트 부재를 적정 높이로 올려 고정한 후, 2단 리프트 부재의 휠을 돌려 높이를 미세조정하여 취부용 소부재를 취부 위치에 로딩시킨 후 취부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LIFTER FOR FIT-UP FITTING}
본 발명은 선박 건조 공정에서 관통 파이프와 같은 소부재를 천정과 같은 부위에 취부할 때 리프트를 이용하여 수평 및 수직도를 맞추어서 취부 할 수 있도록 한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 공정중에는 천장부에 관통되는 소부재 즉, 관통 파이프와 같은 부재를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소부재를 작업자가 직접 천정에 대고 볼트 체결 또는 용접 등을 수행하고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선박 건조 공정중 소부재 취부 작업 설명 사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소부재 취부 방법은, 작업자가 받침대를 놓고 그 받침대위에 올라서서 소부재를 손으로 직접 천정에 대고서 취부/용접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통상 혼자 작업하기 어렵고 작업자 2~3명이 소부재(파이프)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소부재 취부 방법은, 파이프 취부/용접 작업시 작업자 과투입과 안전사고 위험이 있다. 또한, 설치시 정도 즉, 수평/수직도 문제에 따른 재작업 공수가 발생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이동 가능한 작업용 발판에 리프트 바를 설치하고 그 리프트 바의 상단에 취부용 소부재를 올려서 리프트를 이용해서 상승시켜 천정에 취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 혼자서 리프트를 조작하여 소부재를 취부부위에 로딩시켜서 취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을 위한 바퀴가 달린 작업용 발판과;
상기 작업용 발판의 중앙을 관통해서 설치되고 높이를 작업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승하강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작업하고자 하는 소부재를 올려놓고 상기 리프트의 상승 조작에 의해 작업 위치로 상승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부재 취부용 쉘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작업용 발판은 복수의 다단으로 이루어져 구성되고, 작업용 발판을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몸체 고정용 스토퍼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에 바퀴 고정용 스토퍼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승 및 하강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높이 조정홀이 형성된 1단 리프트 부재와; 상기 작업용 발판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1단 리프트 부재를 삽입하여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1단 리프트 부재의 높이 조정홀과 대응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리프트 하우징과; 상기 리프트 하우징의 임의의 고정공과 상기 1단 리프트 부재의 임의의 높이 조정홀을 일치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1단 리프트 부재의 상단 중간부에 결합되고 내측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부가 형성되어 상기 1단 리프트 부재의 상단에서 끼워져 결합되고 중간부 외측으로 미세조정 휠이 설치되며, 상단부에 플랜지를 통해 상기 소부재 취부용 쉘을 결합시키기 위한 2단 리프트 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는, 바퀴가 설치되어 있어서 손쉽게 위치를 이동시키고, 몸체 고정스토퍼 및 바퀴고정 스토퍼로 고정시켜두고, 소부재 취부용 쉘에 작업하고자 하는 소부재를 올려놓고, 1단 리프트 부재를 적정 높이로 올려 고정한 후, 2단 리프트부재의 휠을 돌려 높이를 미세조정하여 취부용 소부재를 취부 위치에 로딩시킨 후 취부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부재 취부 지지대를 이용하게 되면, 작업자 혼자서도 소부재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취부위치로 로딩후 작업 할 수 있어서, 인력절감 효과가 있고, 작업대를 고정하는 수단들이 있어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대 위에 서서 작업할 수 있으며, 2차 미세조정으로 소부재의 수평 및 수직 정도를 손쉽게 조정하고 취부를 실시 할 수 있어서 작업의 편리성 및 안정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소부재 취부 작업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의 구성을 보인 사진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업용 발판 11 : 너트부
12 : 발판 고정 스토퍼 20 : 바퀴
21 : 바퀴 고정용 스토퍼 30 : 리프트
31a : 높이 조정홀 32 : 리프트 하우징
32a : 고정공 33 : 너트부
34 : 2단 리프트부재 34a : 스크류부
35 : 고정부재 36 : 플랜지
40 : 소부재 취부용 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의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을 위한 바퀴가 달린 작업용 발판(10)과; 상기 작업용 발판(10)의 중앙을 관통해서 설치되고 높이를 작업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승하강 리프트(30)와; 상기 리프트(3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작업하고자 하는 소부재를 올려놓고 상기 리프트의 상승 조작에 의해 작업 위치로 상승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부재 취부용 쉘(40)로 구성된다.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단의 작업용 발판(10)에 바퀴(20)가 설치된다. 상기 바퀴(20)에는 바퀴(21)가 구르지 않도록 결합시켜 고정하기 위한 바퀴 고정용 스토퍼(21)가 바퀴 근처에 매달려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용 발판(1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발판 고정용 스토퍼(12)가 설치되며, 상기 발판 고정용 스토퍼(12)는 상기 작업용 발판(10)에 스크류 결합 너트부(11)가 설치되고 그 스크류 결합 너트부(11)에 발판 고정용 스토퍼(12)의 스크류부분이 결합되고, 그 발판 고정용 스토퍼(12)는 상단부가 절곡된 손잡이 부분이 형성되고, 하단부분에는 바닥면에 접촉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작업용 발판(10)의 중앙에는 리프트(30)가 설치된다. 상기 리프트(30)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승 및 하강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높이 조정홀(31a)이 형성된 1단 리프트 부재(31)와; 상기 작업용 발판(1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1단 리프트 부재(31)를 삽입하여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1단 리프트 부재(31)의 높이 조정 홀(31a)과 대응되는 고정공(32a)이 형성되는 리프트 하우징(32)과; 상기 리프트 하우징(32)의 임의의 고정공(32a)과 상기 1단 리프트 부재(31)의 임의의 높이 조정홀(31a)을 일치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36)와; 상기 1단 리프트 부재(31)의 상단 중간부에 결합되고 내측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부(33)와; 상기 너트부(33)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부(34a)가 형성되어 상기 1단 리프트 부재(31)의 상단에서 끼워져 결합되고 중간부 외측으로 미세조정 휠(35)이 설치되며, 상단부에 플랜지(36)를 통해 상기 소부재 취부용 쉘(40)을 결합시키기 위한 2단 리프트 부재(34)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의 사진 도면이다.
본 발명의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는, 작업용 발판(10)에 바퀴(20)가 달려 있으므로 작업자 혼자서도 쉽게 밀거나 당겨서 원하는 장소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발판 고정용 스토퍼(12)를 회전시켜 하단부가 바닥에 밀착되게 하여 작업용 발판(10)을 고정한다. 아울러 바퀴 고정용 스토퍼(21)를 바퀴(20)에 결합시켜 바퀴(20)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한다.
이후, 리프트(30)의 상단에 설치된 소부재 취부용 쉘(40) 위에 작업용 소부재를 올려놓고, 리프트를 조작하여 천장 부위로 올려서 맞춘 후 소부재 취부 작업을 한다.
상기 리프트(30)를 조정하는 방법은, 1단 리프트 부재(31)를 들어올려 적정 높이에서 1단 리프트 부재(31)의 높이 조정홀(31a)과 리프트 하우징(32)의 고정공(32a)을 일치시켜 고정부재(36)를 끼워서 고정한다.
1단 리프트부재(31)를 적정 높이로 조정한 후, 상기 소부재 취부용 쉘(40)의 상부에 올려진 소부재를 원하는 각도로 맞추어서 소부재 설치위치에 끼우거나 로딩시키게 된다. 이때, 미세조정 휠(35)을 돌리게 되면, 2단 리프트 부재(34)의 하단부네 형성된 스크류부(34a)가 너트부(33)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소부재를 천정의 설치위치에 정확히 로딩시켜두고, 취부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는, 작업자 혼자서도 바퀴가 설치되어 있어서 손쉽게 위치를 이동시키고, 몸체 고정스토퍼 및 바퀴고정 스토퍼로 고정시켜두고, 소부재 취부용 쉘에 작업하고자 하는 소부재를 올려놓고, 1단 리프트 부재를 적정 높이로 올려 고정한 후, 2단 리프트부재의 휠을 돌려 높이를 미세조정하여 취부용 소부재를 취부 위치에 로딩시킨 후 취부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이동을 위한 바퀴(20)가 달린 작업용 발판(10)과;
    상기 작업용 발판(10)의 중앙을 관통해서 설치되고 높이를 작업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승하강 리프트(30)와;
    상기 리프트(3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작업하고자 하는 소부재를 올려놓고 상기 리프트의 상승 조작에 의해 작업 위치로 상승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부재 취부용 쉘(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발판(10)은,
    상기 작업용 발판(1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발판 고정용 스토퍼(12)가 설치되며, 상기 발판 고정용 스토퍼(12)는 상기 작업용 발판(10)에 스크류 결합너트부(11)가 설치되고 그 스크류 결합 너트부(11)에 발판 고정용 스토퍼(12)의 스크류부분이 결합되고, 그 발판 고정용 스토퍼(12)는 상단부가 절곡된 손잡이 부분이 형성되고, 하단부분에는 바닥면에 접촉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20)는,
    바퀴(21)가 구르지 않도록 결합시켜 고정하기 위한 바퀴 고정용 스토퍼(21)가 바퀴 근처에 매달려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30)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승 및 하강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높이 조정홀(31a)이 형성된 1단 리프트 부재(31)와; 상기 작업용 발판(1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1단 리프트 부재(31)를 삽입하여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1단 리프트 부재(31)의 높이 조정 홀(31a)과 대응되는 고정공(32a)이 형성되는 리프트 하우징(32)과; 상기 리프트 하우징(32)의 임의의 고정공(32a)과 상기 1단 리프트 부재(31)의 임의의 높이 조정홀(31a)을 일치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36)와; 상기 1단 리프트 부재(31)의 상단 중간부에 결합되고 내측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부(33)와; 상기 너트부(33)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부(34a)가 형성되어 상기 1단 리프트 부재(31)의 상단에서 끼워져 결합되고 중간부 외측으로 미세조정 휠(35)이 설치되며, 상단부에 플랜지(36)를 통해 상기 소부재 취부용 쉘(40)을 결합시키기 위한 2단 리프트 부재(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KR1020080017118A 2008-02-26 2008-02-26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KR100961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118A KR100961862B1 (ko) 2008-02-26 2008-02-26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118A KR100961862B1 (ko) 2008-02-26 2008-02-26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903A true KR20090091903A (ko) 2009-08-31
KR100961862B1 KR100961862B1 (ko) 2010-06-09

Family

ID=4120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118A KR100961862B1 (ko) 2008-02-26 2008-02-26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8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4102A (zh) * 2011-10-20 2012-04-25 江门市南洋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船舶坞墩装卸墩木的装置
KR101226013B1 (ko) * 2011-04-07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갑판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N102921994A (zh) * 2012-10-11 2013-02-13 江苏熔盛重工有限公司 一种船舶艉部镗孔平台
CN103482017A (zh) * 2013-09-23 2014-01-01 浙江海洋学院 船体分段支撑座
CN112078749A (zh) * 2020-07-29 2020-12-15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单壳体燃料舱的总组支撑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670B1 (ko) 2019-10-04 2020-04-14 채용섭 지지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1297U (ko) * 1973-06-21 1975-03-11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013B1 (ko) * 2011-04-07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갑판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N102424102A (zh) * 2011-10-20 2012-04-25 江门市南洋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船舶坞墩装卸墩木的装置
CN102921994A (zh) * 2012-10-11 2013-02-13 江苏熔盛重工有限公司 一种船舶艉部镗孔平台
CN103482017A (zh) * 2013-09-23 2014-01-01 浙江海洋学院 船体分段支撑座
CN112078749A (zh) * 2020-07-29 2020-12-15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单壳体燃料舱的总组支撑方法
CN112078749B (zh) * 2020-07-29 2022-12-13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单壳体燃料舱的总组支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862B1 (ko)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862B1 (ko)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US10260283B2 (en) Stepladder based crane system
KR101632201B1 (ko) 발전설비용 조립식 강관 비계틀
KR200490977Y1 (ko)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1564890B1 (ko)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KR200424574Y1 (ko)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KR200386876Y1 (ko) 건축용 승강식 작업대
KR20130002481U (ko) 작업용 안전발판
CN114822890B (zh) 核电站设备闸门安装方法
JP2000335884A (ja) ウィン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出窓の設置方法
KR100972994B1 (ko)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
CN212154222U (zh) 一种钢结构施工用安全带固定装置
KR200482734Y1 (ko) 정압기의 안전밸브 분해 조립용 리프터
JP2010132362A (ja) エレベータの足場台装置
CN219732692U (zh) 作业平台
JP2000027491A (ja) ステップ付昇塔防止金具
JP4886292B2 (ja) エレベータ据え付け工事における親綱の保持構造
KR101652066B1 (ko) 중량 구조물의 승강 제어장치
KR20130000129U (ko) 곡외판 작업용 승강대
CN220502350U (zh) 一种电梯维修架挂架
CN208380047U (zh) 新型建筑工程用脚手架
CN217557625U (zh) 一种建筑爬架附着支座安装提升装置
JP2005035320A (ja) 運搬装置及び運搬方法
KR100579288B1 (ko) 드롭 리프트 시스템의 어저스트 아암 장치
KR100771088B1 (ko) 원터치식 지주간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