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890B1 -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 Google Patents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890B1
KR101564890B1 KR1020150108811A KR20150108811A KR101564890B1 KR 101564890 B1 KR101564890 B1 KR 101564890B1 KR 1020150108811 A KR1020150108811 A KR 1020150108811A KR 20150108811 A KR20150108811 A KR 20150108811A KR 101564890 B1 KR101564890 B1 KR 101564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engine
lift
bus
fram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혜경
Original Assignee
유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혜경 filed Critical 유혜경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the effective length of which is variable in operation, e.g. longitudinally displaceable, exte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에 장착된 버스엔진의 탈 부착 시 버스엔진 이동에 따른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저면에 이동롤러가 설치되며, 마주보는 내측면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둘레면에 이동손잡이가 연결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승 하강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 상기 상부패널에 설치되며, 경사각이 조절되는 버스엔진안착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버스엔진안착부에 안착된 버스엔진을 리프팅 하는 승강리프트; 그리고 상기 버스엔진안착부에 설치되어 버스엔진의 중심과 상기 버스엔진안착부의 중심 위치를 맞추도록 상기 버스엔진을 향하여 빛을 출사하는 포인팅부재;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moving type lift for bus engine servicing}
본 발명은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에 장착된 버스엔진의 탈 부착 시 버스엔진 이동에 따른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정비시에는 차량을 지면에 세워 둔 상태에서 보닛을 열어 부품을 수리하거나, 차량을 리프트를 이용하여 승강시킨 다음 차량 하부에서 정비 도구를 이용하여 수리를 진행하게 된다.
승용차의 버스엔진을 정비시에는 버스엔진과 차량 본체에 연결된 각종 볼트 및 연결구를 제거하고 버스엔진 상부에 체인을 연결한 다음, 체인과 연결된 리프팅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차량본체에서 버스엔진을 분리하게 된다.
또한 버스의 버스엔진을 정비시에는 차량 본체의 후방에 버스엔진이 설치되어 있어서 차량 본체의 후방을 상당부분 해체한 후 작업자가 차량 본체에 들어가 버스엔진을 수리하게 된다.
그런데, 버스의 버스엔진을 작업자가 수리하는 과정에서는 버스엔진을 버스 본체에서 안전하게 분리하고 재 장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비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버스 내부에서 버스엔진을 수리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버스엔진의 수리 시 상당한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작업자가 정비를 진행하게 됨에 따라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사례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특허공개 제 2003-1654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버스에 장착된 버스엔진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 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한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엔진의 탈착 시 포인팅부재를 통해 리프트의 중심과 버스엔진의 중심부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신속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면에 이동롤러가 설치되며, 마주보는 내측면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둘레면에 이동손잡이가 연결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승 하강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 상기 상부패널에 설치되며, 경사각이 조절되는 버스엔진안착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버스엔진안착부에 안착된 버스엔진을 리프팅 하는 승강리프트; 그리고 상기 버스엔진안착부에 설치되어 버스엔진의 중심과 상기 버스엔진안착부의 중심 위치를 맞추도록 상기 버스엔진을 향하여 빛을 출사하는 포인팅부재; 를 포함한다.
상기 버스엔진안착부는 버스엔진이 안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레버;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측에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의 경사각이 조절되는 경사각조절레버; 상기 버스엔진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링; 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리프트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축 회전 가능한 형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주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과 힌지 결합된 암과 상기 암과 연결되어 암을 승하강 시키는 암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리프트는 수동 작동 또는 전원 공급에 따라 조작레버에 의해 상기 암실린더가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인팅부재는 복수개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는 버스에 장착된 버스엔진을 포인팅부재를 통해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 부착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정비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를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의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의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에 버스엔진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에 안착된 버스엔진이 승강리프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의 정면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의 평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에 버스엔진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에 안착된 버스엔진이 승강리프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100)는 베이스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된 승강프레임(20)과 승강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패널(40)과 상부패널(40)에 설치된 버스엔진안착부(30)와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어 버스엔진(E)을 리프팅하는 승강리프트(50)와 버스엔진(E)의 중심부와 버스엔진안착부(30)의 중심위치를 맞추도록 빛을 출사하는 포인팅부재(60)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0)은 다수의 금속빔 단부를 용접을 통해 연결하여 구성된 것으로, 일측에 설치공(17)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주보는 각 내측면에 가이드홈(1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2)은 베이스프레임(10)의 둘레면 전체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베이스프레임(10)의 길이가 긴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마주보며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의 전후 방향 외측에는 이동롤러(14)가 설치된다. 이동롤러(14)는 베이스프레임(10)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한된 범주내에서 회전되게 구성되거나 360°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에는 베이스프레임(10)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손잡이(16)가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10)의 내부에는 유압실린더(22)가 장착되어 유압실린더(22)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홈(12)을 따라 승 하강되도록 승강프레임(20)이 설치된다.
승강프레임(20)은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양측 단부가 위치되고, 반대측부가 상호 교차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유압실린더(22)는 교차되며 설치되는 승강프레임(20) 중 어느 하나의 승강프레임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유압실린더(22)는 교차되게 설치된 승강프레임(20) 중 어느 하나의 승강프레임(20)에 설치되며, 피스톤 단부가 승강프레임(20)의 교차부위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유압실린더(22)가 작동되어 피스톤이 인출되면, 승강프레임(20)이 베이스프레임의 가이드홈(12)을 따라 이동하면서 승강프레임(20) 전체가 수직으로 승강하게 된다.
또한 승강프레임(20)의 상부에는 상부패널(40)이 구성되어 있다. 상부패널(40)은 승강프레임(20)의 상부 양측 단부가 저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부패널(40)의 상부에는 버스엔진안착부(30)가 설치된다. 버스엔진안착부(30)는 상부패널(40)의 측단부와 힌지 또는 나사 결합되며, 반대측부의 높이조절에 따라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버스엔진안착부(30)는 버스엔진(E)이 안착되는 플레이트(32)와 플레이트(32)를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레버(33)와 플레이트(32)의 단부측에 설치되어 경사각조절레버의 회전에 따라 플레이트(32)의 경사각이 조절되는 경사각조절레버(34)와 버스엔진(E)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플레이트(32)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링(35)을 포함한다.
즉, 버스엔진안착부(30)는 상부패널(40)과 나사산이 형성된 좌우이동레버(33)를 통해 결합됨에 따라 좌우이동레버(33)의 회전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32)의 선단부에 설치된 경사각조절레버(34)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경사각조절레버(34)를 회전시키게 되면 플레이트(32)가 경사각을 이루며 상승 또는 하락하게 됨으로써 플레이트(32)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32)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링(35)은 플레이트(32)에 버스엔진(E)이 안착된 후 버스엔진(E)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버스엔진(E)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별도의 스트랩(70) 등을 통해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베이스프레임(10)에는 버스엔진안착부(30)에 안착된 버스엔진(E)을 리프팅하도록 승강리프트(50)가 설치된다. 승강리프트(50)는 베이스프레임의 설치공(17)에 축 회전 가능한 형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주프레임(52)과 지주프레임(52)과 힌지 결합된 암(54)과 암(54)과 연결되어 암(54)을 승하강 시키는 암실린더(56)를 포함한다.
즉, 승강리프트(50)는 베이스프레임(10)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공(17)을 중심으로 축회전하게 된다. 이때, 승강리프트(50)는 베이스프레임의 설치공(17)에 끼워지는 지주프레임(52)이 암(54)과 힌지 결합되어 있어 암(54)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호를 그리면서 승 하강 하게 된다. 암(54)의 승 하강은 암실린더(56)의 피스톤의 인출에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암실린더(56)는 조작레버(80)와 연결되어 있으며, 조작레버(80)가 수동인 경우 암실린더(56)를 수동으로 제어하게 되며, 반대로 조작레버(80)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전자식인 경우 전원에 의해 암실린더(56)의 인출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패널(40) 또는 버스엔진안착부의 플레이트(32)에는 버스에 장착된 버스엔진(E)의 중심부와 플레이트(32)의 중심부가 정확히 일치되어 안정적인 탈거 및 이송이 가능하도록 버스엔진을 향하여 빛을 출사하는 포인팅부재(60)가 설치된다.
포인팅부재(60)는 복수개의 LED가 사용될 수 있다. 각 포인팅부재(60)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32)의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 상방향을 향해 레이저와 같이 빛을 출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에 버스엔진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에 안착된 버스엔진이 승강리프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엔진(E)을 버스로부터 탈거 시에는 먼저 본 발명의 이동식 리프트(100)를 버스 내부로 이동시킨다.
이동식 리프트(100)가 대략 버스엔진(E)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포인팅부재(60)에 전원을 공급하여 빛을 수직 상방향으로 출사하게 된다.
포인팅부재(60)의 빛은 레어저와 같이 직진성을 가지면서 수직 상방향으로 출사되므로, 버스엔진(E)의 위치와 버스엔진안착부(30)의 위치가 어느 정도 맞춰졌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버스엔진(E)의 위치와 버스엔진안착부(30)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된 것을 확인하게 되면, 승강프레임(20)을 작동시켜 승강시키게 된다.
이때, 버스엔진(E)과 버스엔진안착부(30)의 위치를 수직으로 미세하게 일치시킬때에는 좌우이동레버(33)를 회전시켜 플레이트(3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승강프레임(20)이 승강하여 버스엔진(E)의 저면에 밀착되면 작업자가 버스엔진(E)을 버스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렇게 버스엔진(E)이 버스로부터 분리되면 승강프레임(20)을 천천히 하강시킨다.
버스엔진(E)이 완전히 하강되면, 이동손잡이를 잡고 당겨 이동식 리프트(100)를 버스 내부에서 외부로 완전히 이동시킨다.
여기서, 버스엔진(E)의 저면은 일반적으로 편평한 상태가 아닌 일정각도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경사각조절레버(34)를 통해 버스엔진(E)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절하게 된다.
이후, 버스엔진(E)에는 플레이트(32)에 설치된 고정링(35)들을 스트랩(70)을 통해 연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버스엔진(E)이 버스엔진안착부(30)에 안착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이동식 리프트(100)를 작업공간으로 이송하게 된다.
작업공간으로 버스엔진(E)이 이송되면, 고정링(35)에 연결된 스트랩(70)을 해제한 다음 조작레버(80)의 조작으로 승강리프트(50)를 작동시켜 버스엔진(E)의 상부에 암 단부의 걸림고리(54a)를 걸게 된다.
걸림고리(54a)가 버스엔진(E)에 걸려진 후에는 암실린더(56)를 작동시켜 버스엔진(E)을 플레이트(32)로부터 승강시키게 되고, 버스엔진(E)이 놓여질 위치로 회전시킨 다음 조작레버(80)를 다시 작동시켜 버스엔진(E)을 이동시키게 된다.
버스엔진(E)이 이송된 후에는 암 단부의 걸림고리(54a)를 버스엔진(E)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식 리프트(100)는 버스에 설치된 버스엔진(E)을 버스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 및 이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승강리프트(50)에 의하여 이송된 버스엔진(E)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효율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프레임
12: 가이드홈
14: 이동롤러
16: 이동손잡이
17: 설치공
20: 승강프레임
22: 유압실린더
30: 버스엔진안착부
32: 플레이트
33: 좌우이동레버
34: 경사각조절레버
35: 고정링
40: 상부패널
50: 승강리프트
52: 지주프레임
54: 암
54a: 걸림고리
56: 암실린더
60: 포인팅부재
70: 스트랩
80: 조작레버
100: 이동식 리프트
E: 버스엔진

Claims (5)

  1. 저면에 이동롤러가 설치되며, 마주보는 내측면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둘레면에 이동손잡이가 연결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승 하강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
    상기 상부패널에 설치되며, 경사각이 조절되는 버스엔진안착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버스엔진안착부에 안착된 버스엔진을 리프팅 하는 승강리프트; 그리고
    상기 버스엔진안착부에 설치되어 버스엔진의 중심과 상기 버스엔진안착부의 중심 위치를 맞추도록 상기 버스엔진을 향하여 빛을 출사하는 포인팅부재; 를 포함하는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엔진안착부는 버스엔진이 안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레버;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측에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의 경사각이 조절되는 경사각조절레버; 상기 버스엔진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링; 을 포함하는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리프트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축 회전 가능한 형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주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과 힌지 결합된 암과 상기 암과 연결되어 암을 승하강 시키는 암실린더를 포함하는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리프트는 수동 작동 또는 전원 공급에 따라 조작레버에 의해 상기 암실린더가 동작하도록 구성된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부재는 복수개의 LED로 구성된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KR1020150108811A 2015-02-10 2015-07-31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KR101564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9934 2015-02-10
KR1020150019934 2015-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890B1 true KR101564890B1 (ko) 2015-10-30

Family

ID=5443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811A KR101564890B1 (ko) 2015-02-10 2015-07-31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8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010A (ko) 2017-09-11 2019-03-20 (주)세아이에프 엔진 분해 및 조립장치
CN109534221A (zh) * 2018-11-15 2019-03-29 马鞍山市宏泰建筑设备租赁有限公司 一种升降机防坠器的安装拆卸方法及其安装拆卸专用车
KR101986440B1 (ko) * 2017-12-27 2019-09-2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전동리프트의 작동방법
KR20200114333A (ko) * 2019-03-28 2020-10-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지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904A (ja) 1999-02-18 2000-09-05 Sumitomo Heavy Ind Ltd スタッカクレー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904A (ja) 1999-02-18 2000-09-05 Sumitomo Heavy Ind Ltd スタッカクレーン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010A (ko) 2017-09-11 2019-03-20 (주)세아이에프 엔진 분해 및 조립장치
KR101986440B1 (ko) * 2017-12-27 2019-09-2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전동리프트의 작동방법
CN109534221A (zh) * 2018-11-15 2019-03-29 马鞍山市宏泰建筑设备租赁有限公司 一种升降机防坠器的安装拆卸方法及其安装拆卸专用车
KR20200114333A (ko) * 2019-03-28 2020-10-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지그장치
KR102163552B1 (ko) * 2019-03-28 2020-10-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지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890B1 (ko)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KR101834141B1 (ko) 조립 및 검사용 지그 인터체인지 작업대
KR101666344B1 (ko) 타이어 리프트
CN110884383A (zh) 换电装置
WO2018046487A1 (en) Apparatus for the reparation of post-collision, damaged or under maintenance vehicles
KR101824660B1 (ko) 금형 제조장치
KR20090091903A (ko)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KR101635367B1 (ko) 운반장치
CN104772617B (zh) 可移动式炉辊更换装置
KR101824659B1 (ko) 금형 제조장치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20220055685A (ko) 벽면패널 부착장치
KR10221331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밸브 정비용 대차
CN109066424B (zh) 水平向及垂直向组合的断路器机构检修小车
CN204482046U (zh) 一种箱式应急基站
KR101955416B1 (ko) 중장비를 이용하여 승강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선미 축/타계 작업대
KR100500133B1 (ko) 차량정비 도크용 리프트
JP2005035320A (ja) 運搬装置及び運搬方法
KR200483416Y1 (ko) 벽체에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된 내부공간에서 활용되는 승강장치가 설치 가능한 이동용 지지장치
JP2006335530A (ja) 作業用リフト装置
KR20160127464A (ko) 지게차 수리용 받침장치
CN110589012A (zh) 一种飞机发动机插装安装装置和安装方法
KR20030054388A (ko) 이동식 분리형 입도 선별장치
KR101680803B1 (ko)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KR102573696B1 (ko) 용해로용 내화 슬리브의 교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