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994B1 -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 - Google Patents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994B1
KR100972994B1 KR1020080069067A KR20080069067A KR100972994B1 KR 100972994 B1 KR100972994 B1 KR 100972994B1 KR 1020080069067 A KR1020080069067 A KR 1020080069067A KR 20080069067 A KR20080069067 A KR 20080069067A KR 100972994 B1 KR100972994 B1 KR 100972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hydraulic
hydraulic cylinder
cylinder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531A (ko
Inventor
이종국
김정암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9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36Load-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42Constructional features with self-contained pumps, e.g. actuated by han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건조 공정 중에 천장 부위에 소부재를 취부/용접할 때 사용되는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는 다수의 작업자가 발판 위에 올라서서 소부재를 손으로 들어올려 받친 상태로 취부/용접 작업을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을 위한 바퀴가 달린 작업용 발판과; 상기 작업용 발판의 중앙을 관통해서 설치되는 유압식 실린더와, 상기 작업용 발판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발로 밟아서 상기 유압 실린더의 유압을 작동시키는 족동식 유압장치와, 상기 유압 실린더의 상측부에 삽입 설치되어 유압작동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실린더 스트로크(Cylinder Stroke)와, 상기 유압 실린더의 상단부 외측부에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을 올려놓기 위한 정반과, 상기 실린더 스트로크의 상단부에 플랜지 연결을 통해 연결되는 상단 샤프트와, 상기 상단 샤프트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부재 취부용 지그 수단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쉽게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고 족동식 유압 잭을 작동시켜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여 소부재 취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선박, 소부재, 취부, 천장, 발판, 지지대, 리프트

Description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SEMI-AUTO LIFTER FOR FIT-UP FITTING}
본 발명은 선박 건조 공정에서 관통 파이프와 같은 소부재를 천정과 같은 부위에 취부할 때 리프트를 이용하여 수평 및 수직도를 맞추어서 취부 할 수 있도록 한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 공정중에는 천장부에 관통되는 소부재 즉, 관통 파이프와 같은 부재를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소부재를 작업자가 직접 천정에 대고 볼트 체결 또는 용접 등을 수행하고 있었다.
한편, 선박의 각종 장비 작동에 따른 오일 누수등으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일 코밍을 설치하는데, 블록 선행의장 작업시 윗보기 형태로 작업을 하게 되며, 수작업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시 과다하게 시간이 소비되고, 2M이상의 높이로 인해 안전 작업에도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코밍과 선체 사이 간격이 발생되는 경우 취부자재(도그피스&쇄기)를 사용하여 취부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취부자재(도그피스) 제거후 용접 및 사상등의 재작업이 발생되어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선박 건조 공정중 소부재 취부 작업 설명 사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소부재 취부 방법은, 작업자가 받침대를 놓고 그 받침대위에 올라서서 소부재를 손으로 직접 천정에 대고서 취부/용접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통상 혼자 작업하기 어렵고 작업자 2~3명이 소부재(파이프)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소부재 취부 방법은, 파이프 취부/용접 작업시 작업자 과투입과 안전사고 위험이 있다. 또한, 설치시 정도 즉, 수평/수직도 문제에 따른 재작업 공수가 발생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이동 가능한 작업용 발판에 유압식 실린더를 설치하고, 유압식 실린더를 족동식 유압장치으로 작동시키도록 하여 실린더 스트로크를 승/하강시키고, 그 실린더 스트로크 상부에 부재 취부용 지그를 설치하여 원하는 높이로 올려서 천정에 소부재 취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재 취부용 지그를 소부재 취부용 쉘이나, 코밍 취부용 지그로 취부하고자 하는 부재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는,
이동을 위한 바퀴가 달린 작업용 발판과; 상기 작업용 발판의 중앙을 관통해서 설치되는 유압식 실린더와, 상기 작업용 발판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발로 밟아서 상기 유압 실린더의 유압을 작동시키는 족동식 유압장치와, 상기 유압 실린더의 상측부에 삽입 설치되어 유압작동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실린더 스트로크(Cylinder Stroke)와, 상기 유압 실린더의 상단부 외측부에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을 올려놓기 위한 정반과, 상기 실린더 스트로크의 상단부에 플랜지 연결을 통해 연결되는 상단 샤프트와, 상기 상단 샤프트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부재 취부용 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재 취부용 지그는, 소부재를 상부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소부재 취부용 쉘이나, 오일 코밍과 같은 코밍을 지지하여 취부하기 위한 코밍 취부용 지그로서 구성되고, 취부하고자 하는 부재에 따라 취부 각도나 방향 등을 세팅시켜 안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홀더 또는 지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용 발판의 중앙하부의 유압 실린더 하단에는 고정용 실린더 지지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업용 발판의 상면에는 상기 유압 실린더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보강 브라켓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에 바퀴 고정용 스토퍼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부재 취부용 리프트는, 정반위에 작업하고자 하는 작업물(예; 소부재)를 올려놓고, 리프트 장치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켜 고정용 실린더 지지대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고정시키고, 소부재 취부용 쉘에 소부재를 올려놓고, 족동식 유압 잭을 작동시켜 취부용 소부재를 취부 위치에 로딩시킨 후 취부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부재 취부 리프트를 이용하게 되면, 작업자 혼자서도 소부재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취부위치로 로딩후 작업 할 수 있어서, 인력절감 효과가 있고, 유압식 잭을 이용하여 손쉽게 상승 및 하강시켜 작업할 수 있으며, 고정용 실린더 지지대를 이용해 바닥에 고정시켜두고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대 위에 서서 작업할 수 있으며, 정반을 이용하여 다수의 소부재를 올려놓고 작업이 가능하여 취부를 실시할 수 있어서 작업의 편리성 및 안정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의 구성을 보인 사진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을 위한 바퀴(11)가 달린 작업용 발판(10)과; 상기 작업용 발판(10)의 중앙을 관통해서 설치되는 유압식 실린더(20)와, 상기 작업용 발판(10)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발로 밟아서 상기 유압 실린더(20)의 유압을 작동시키는 족동식 유압장치(30)와, 상기 유압 실린더(20)의 상측부에서 삽입 설치되어 유압작동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실린더 스트로크(Cylinder Stroke)(40)와, 상기 유압 실린더(20)의 상단부 외측부에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을 올려놓기 위한 정반(50)과, 상기 실린더 스트로크(40)의 상단부에 플랜지(70) 연결을 통해 연결되는 상단 샤프트(60)와, 상기 상단 샤프트(6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취부용 부재 지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취부용 부재 지그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부재를 상부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소부재 취부용 쉘(80)이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코밍과 같은 코밍(80a)을 결합지지하여 취부하기 위한 코밍 취부용 지그(8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취부하고자 하는 부재에 따라 취부 각도나 방향 등을 세팅시켜 안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홀더 또는 지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밍 취부용 지그(80')는 "U"자형 지그로서 철판 형태의 코밍(80a)을 지그 사이에 삽입결합하여 리프트를 상승시켜 취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작업용 발판(10)의 중앙하부의 유압 실린더(20) 하단에는 고정용 실린더 지지대(12)가 더 포함되어 고정용 실린더 지지대(12)를 이용해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용 실린더 지지대(12)는 원통형 유압 실린더(20)의 외측부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시켜서 바닥면에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업용 발판(10)의 상면에는 상기 유압 실린더(20)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보강 브라켓(13)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퀴(11)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에 바퀴 고정용 스토퍼(14)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족동식 유압장치(30)는, 오일 탱크(30a)의 오일을 오일호스(32)를 통해서 상기 실린더(20)에 연결하고, 상기 오일탱크(30a)에는 족동식 유압 잭(31)이 설 치되어 작업자가 발로 밟아서 유압을 상승시키고, 누른 상태를 지속하게 되면 압력이 제거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통상의 족동식 유압 장치와 같은 구동방식이다. 여기서 도면의 미설명 부호 31a는 족동식 유압잭(31)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1a)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작업자가 정반(50) 위에 작업물(소부재/코밍)를 올려놓고 리프트 장치를 이동시켜 작업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바퀴(11)가 달려 있기 때문에 작업자 혼자서도 손쉽게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정반(50) 위에 작업물인 부재들을 올려서 함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되면, 고정용 실린더 지지대(12)를 조작하여 바닥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즉, 고정용 실린더 지지대(12)를 회전시켜 바닥면에 밀착되게 하여 지지함으로써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발판(10)위에 올라서서 정반(50) 위의 부재를 취부 방향과 각도를 맞추어서 취부용 부재 지그 수단에 올려놓고, 족동식 유압잭(31)을 발로 작동시켜서 상승시키게 된다.
족동식 유압잭(31)을 작동시키게 되면, 유압 실린더(20)의 내부 유압이 상승되면서 실린터 스트로크(40)를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취부용 부재 지그수단이 상승되어 취부하고자 하는 위치로 상승된다. 부재가 원하는 위치에 로딩 되면, 부재를 고정시켜 취부 작업을 수행한다.
부재 취부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족동식 유압잭(31)을 밟은 상태로 유지하 게 되면 압력이 제거되면서 실린더 스트로크(40)는 하강하게 되고,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부재 취부용 리프트는, 작업자 혼자서도 정반위에 작업하고자 하는 부재(예; 소부재)를 올려놓고, 바퀴가 달린 리프트 장치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고정용 실린더 지지대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고정시키고, 정반위의 소부재를 소부재 취부용 쉘에 소부재를 올려놓고, 족동식 유압 잭을 작동시켜 취부용 소부재를 취부 위치에 로딩시킨 후 취부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소부재 취부용 쉘(80) 대신에 코밍 취부용 지그(80')를 설치한 경우, 코밍 취부용 지그(80')의 사이에 코밍(80a)을 끼워서 결합하여 천정으로 상승시켜 로딩시킬 수 있어서 취부자재(도그피스&쇄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천정에 로딩된 상태로 유지시킬수 있어서 손쉽게 설치할 수가 있고, 리프트에 장착된 유압 장치를 이용하여 승하강 시키고 상승된 상태를 고정시켜 취부작업을 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도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소부재 취부 작업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의 구성을 보인 사진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업용 발판 11 : 바퀴
12 : 고정용 실린더 지지대 13 : 보강 브라켓
14 : 바퀴 고정용 스토퍼 20 : 유압 실린더
30 : 족동식 유압장치 30a : 오일 탱크
31 : 유압 잭 31a : 스프링
32 : 오일 호스 40 : 실린더 스트로크
50 : 정반 60 : 상단 샤프트
70 : 플랜지 80 : 소부재 취부용 쉘
80' : 코밍 취부용 지그 80a : 코밍

Claims (6)

  1. 이동을 위한 바퀴(11)가 달린 작업용 발판(10)과;
    상기 작업용 발판(10)의 중앙을 관통해서 설치되는 유압식 실린더(20)와;
    상기 작업용 발판(10)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족동식 유압잭(31)을 발로 밟아서 상기 유압 실린더(20)의 유압을 작동시키는 족동식 유압장치(30)와;
    상기 유압 실린더(20)의 상측부에서 삽입 설치되어 유압작동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실린더 스트로크(Cylinder Stroke)(40)와;
    상기 유압 실린더(20)의 상단부 외측부에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을 올려놓기 위한 정반(50)과;
    상기 실린더 스트로크(40)의 상단부에 플랜지(70) 연결을 통해 연결되는 상단 샤프트(60)와;
    상기 상단 샤프트(6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취부하고자 하는 부재의 방향 및 각도에 맞게 취부용 부재를 올려놓거나 끼워서 리프트 작동에 의해 취부 위치로 로딩시킬 수 있는 지그로서, 취부용 부재의 종류에 따라 소부재 취부용 쉘(80) 또는 코밍 취부용 지그(80')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교체 설치하는 취부용 부재 지그 수단과;
    상기 작업용 발판(10)의 중앙하부의 유압 실린더(20) 하단에는 원통형 유압 실린더(20)의 외측부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용 실린더 지지대(1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발판(10)의 상면에는 상기 유압 실린더(20)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보강 브라켓(13)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11)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에 바퀴 고정용 스토퍼(14)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
  6. 삭제
KR1020080069067A 2008-07-16 2008-07-16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 KR100972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067A KR100972994B1 (ko) 2008-07-16 2008-07-16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067A KR100972994B1 (ko) 2008-07-16 2008-07-16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531A KR20100008531A (ko) 2010-01-26
KR100972994B1 true KR100972994B1 (ko) 2010-07-30

Family

ID=4181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067A KR100972994B1 (ko) 2008-07-16 2008-07-16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9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28Y1 (ko) 2011-06-23 2013-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오일코밍
KR101564019B1 (ko) 2014-01-24 2015-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천장 구조물용 지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273B1 (ko) * 2017-11-21 2019-06-11 (주)효원엔브이 고소 작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368U (ko) * 1996-10-01 1998-07-15 신영균 선박용 관통홀 플랜지 지지장치
KR19980066399U (ko) * 1997-05-16 1998-12-05 신영균 전동식 관통관 취부장치
KR20030046998A (ko) * 2001-12-07 2003-06-18 주식회사 한틀시스템 자동개표 시스템에서의 투표용지 인식 방법
KR200346998Y1 (ko) * 2004-01-05 2004-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형 곡블럭 서포터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368U (ko) * 1996-10-01 1998-07-15 신영균 선박용 관통홀 플랜지 지지장치
KR19980066399U (ko) * 1997-05-16 1998-12-05 신영균 전동식 관통관 취부장치
KR20030046998A (ko) * 2001-12-07 2003-06-18 주식회사 한틀시스템 자동개표 시스템에서의 투표용지 인식 방법
KR200346998Y1 (ko) * 2004-01-05 2004-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형 곡블럭 서포터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28Y1 (ko) 2011-06-23 2013-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오일코밍
KR101564019B1 (ko) 2014-01-24 2015-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천장 구조물용 지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531A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1963A (ko) 안전 작업대를 구성한 리프트장치
KR100972994B1 (ko)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
KR20140086385A (ko) 선박용 모터의 커플링 조립장치
KR100961862B1 (ko)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JP2004196283A (ja) 廃自動車反転方法および廃自動車反転装置並びに廃自動車解体設備
JP4978443B2 (ja) 落橋防止pcブロック取付工事用特殊作業台車装置
US20120180283A1 (en) Mobile jack for a storage tank floating roof
KR20170044981A (ko) 유압 램 일체형 스크류 잭을 구비한 서포트 타워 및 그 작업방법
KR200462150Y1 (ko) 펌프타워 세팅용 지그 세트
KR20090102342A (ko) 특수 족장 설비 빅 거더 해체용 지그
KR20130002481U (ko) 작업용 안전발판
KR100681661B1 (ko) 러더 혼 탑재 전용 서포트 타워
JP6366312B2 (ja) 建設機械
JP4224692B2 (ja) 舵板取付け取外し装置
JP5419003B2 (ja) 貯槽用ジャッキ装置と浮屋根式貯槽の工事施工法
KR101955416B1 (ko) 중장비를 이용하여 승강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선미 축/타계 작업대
JP2011252318A (ja) 荷取り構台およびその移設方法
JPH05323092A (ja) 倒立型キャンドモータポンプのための整備装置及び方法
CN214661243U (zh) 一种油缸拆装试验装置
CN215846610U (zh) 一种钢管stt焊接封底辅助工装
CN114195004A (zh) 船用大型低压变压器顶升工装件及安装方法
KR20200069533A (ko) 발전소 보일러 연소실 내부 코너부 작업대 및 시공방법
CN220449703U (zh) 一种大型门式起重机起升机构卷筒检修辅助工装
CN217750264U (zh) 一种液压维修装配机
KR100625843B1 (ko) 선박용 지주 파이프 철거용 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