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273B1 - 고소 작업 장치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273B1
KR101987273B1 KR1020170155449A KR20170155449A KR101987273B1 KR 101987273 B1 KR101987273 B1 KR 101987273B1 KR 1020170155449 A KR1020170155449 A KR 1020170155449A KR 20170155449 A KR20170155449 A KR 20170155449A KR 101987273 B1 KR101987273 B1 KR 101987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ixing
rotation
height adjusting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943A (ko
Inventor
조웅래
조용태
Original Assignee
(주)효원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원엔브이 filed Critical (주)효원엔브이
Priority to KR1020170155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2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지면 및 천장에 동시에 밀착된 상태로 작업대의 리프팅을 지지하여 리프팅 안정성이 개선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대의 이송가능한 위치의 범위가 확장된 고소 작업 장치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소 작업 장치는 하부에서 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고, 상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일단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상기 고정부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연장 또는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붐대 및 상기 붐대의 타단에 결합되는 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유압을 통해 상기 지면에 수직한 축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 또는 수축하여 상기 지면 및 천장들 각각과 밀착한다.

Description

고소 작업 장치{LIFTING APPARATU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고소 작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를 다양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이송이 가능한 고소 작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 장치는 작업자가 탑승한 작업대를 높은 위치로 리프팅 시키거나,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안정적으로 지면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양한 위치의 작업들이 필요한 경우, 작업이 필요한 위치를 향한 이동 및 리프팅 구동을 번갈아 진행해야 하고, 고소 작업 장치의 중량만으로 리프팅을 지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916호는 압착사고 방지기가 설치된 고소작업대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6724호는 센서를 이용하여 안전성을 강화한 고소작업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지면에 대한 밀착력만으로 리프팅을 지지하는 단점이 있다.
지면 및 천장에 동시에 밀착된 상태로 작업대의 리프팅을 지지하여 리프팅 안정성이 개선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대의 이송가능한 위치의 범위가 확장된 고소 작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소 작업 장치는 하부에서 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고, 상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일단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상기 고정부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연장 또는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붐대 및 상기 붐대의 타단에 결합되는 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유압을 통해 상기 지면에 수직한 축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 또는 수축하여 상기 지면 및 천장들 각각과 밀착한다.
또한, 고소 작업 장치의 일단은 상기 이송부에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붐대의 일단이 결합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서 상기 이송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웜휠 및 상기 웜휠과 맞물리고 인접하도록 형성된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웜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높이조절장치 및 일단은 상기 고정부와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높이조절장치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 이동을 제어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고소 작업 장치는 하부에서 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고, 상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일단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상기 고정부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연장 또는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붐대 및 상기 붐대의 타단에 결합되는 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일단은 유압을 통해 상기 지면에 수직한 축을 따라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측면에 결합된 랙기어와 맞물린 기어의 회전을 통해 천장과 밀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볼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상기 이송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웜휠 및 상기 웜휠과 맞물리고 인접하도록 형성된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웜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볼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상기 이송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웜휠 및 상기 웜휠과 맞물리고 인접하도록 형성된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웜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소 작업 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높이조절장치 및 일단은 상기 고정부와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높이조절장치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 이동을 제어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소 작업 장치는 상부 및 하부 각각을 향해 연장되어 지면 및 천장 각각에 밀착되는 고정부를 통해 안정적으로 지면에 고정되어 붐대에 연결된 작업대의 안정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소 작업 장치는 고정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회전부에 붐대가 연결되어 지면과 천장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축으로 안정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고소 작업 장치는 회전부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이송부와 고정부의 결합력을 유지시키므로 회전부가 일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쉽게 마모되는 부분의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하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소 작업 장치의 회전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고소 작업 장치의 구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고소 작업 장치를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고소 작업 장치의 회전부를 확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2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 작업 장치(100)는 이송부(200), 고정부(400), 회전부(600), 붐대(800) 및 작업대(900)를 포함한다.
고소 작업 장치(100)는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작업이 필요한 경우 사용하는 장치로, 작업자가 작업대(900)에 위치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작업자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중앙의 고정력을 개선시킨 장치이다.
이송부(200)는 고소 작업 장치(100)의 하부에서 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작업대(90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안정성을 위해 소정의 중량 이상을 가지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이송부(200)는 하부플레이트(220), 휠(240) 및 손잡이(260)를 포함한다.
하부플레이트(220)는 직사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가장자리 양측면에 휠(240)들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후방 상부에는 손잡이(260)가 형성되어 손잡이(260)를 잡고 고소 작업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부(400)는 제1 가압연장유닛(420), 상부밀착판(440), 제2 가압연장유닛(460) 및 지면밀착판(480)을 포함한다.
고정부(400)는 이송부(200)를 상기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이송부(200)와 결합되고, 유압을 이용한 구동을 통해 상기 지면에 수직한 축을 따라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상기 지면 및 천장들 각각을 압박한다.
제1 가압연장유닛(420)은 이송부(2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크기의 유압실린더들 각각이 텔레스코픽 형태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거나 하부를 향해 수축되도록 구동하며, 상단 끝부분에는 상부밀착판(440)이 결합된다.
상부밀착판(440)은 상부는 상기 지면과 수평하도록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지면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가압연장유닛(420)이 연장되면 상부밀착판(440)의 상부면이 천장에 밀착된다.
제2 가압연장유닛(460)은 이송부(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단일 또는 복수의 유압실린더들이 텔레스코픽 형태로 상기 지면을 향해 연장되거나 상부를 향해 수축되도록 구동되며, 하단 끝부분에는 지면밀착판(480)이 결합된다.
지면밀착판(480)은 상부는 상기 천장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면은 상기 지면과 수평하도록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제2 가압연장유닛(460)이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면 상기 지면에 저면이 밀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가압연장유닛(420, 460)들 각각이 상부 및 하부를 향해 각각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면, 상부밀착판(440) 및 지면밀착판(480)들 각각이 상기 천장 및 지면 각각을 압박하여 이송부(2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회전부(600)는 일단은 이송부(200)에 상기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부(400)를 둘러싸는 형태로 붐대(800)와 결합되며, 고정부(40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회전부(600)는 바디(620), 웜휠(640), 웜기어(660) 및 모터(680)를 포함한다.
바디(620)의 저면은 볼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이송부(200)의 상부에 상기 축을 기준으로 이송부(2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고정부(400)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부(40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고정부(400)와 인접한 바디(620)의 일부분은 고정부(400)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고정부(400)의 외측면과 바디(620)의 내측면이 밀착되는 면적이 증가한다.
웜휠(640)은 바디(620)의 가장자리 측면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 돌출된 이(teeth)들은 측면에 배치되는 웜기어(66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웜기어(660)는 측면이 웜휠(640)과 맞물리고, 중심축은 모터(680)의 구동축과 결합되어, 모터(68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고, 웜휠(640) 및 바디(620)를 고정부(400)를 축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웜휠(640) 및 웜기어(660)를 통해 바디(620)는 이송부(200)의 상부에서 고정부(400)를 축으로 회전하고, 회전부(600)에 결합된 붐대(800) 및 작업대(90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바디(620)는 고정부(400)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붐대(800) 및 작업대(900)의 중량의 영향으로 회전부(600)가 붐대(800) 및 작업대(900)가 위치한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 경우 고정부(400)와 밀착되는 면적이 넓어서 안정적으로 붐대(800) 및 작업대(900)를 지지한다.
붐대(800)는 일단이 고정부(400)의 일측에서 바디(620)의 가장자리 상부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형성되며, 작업대(9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작업대(900)는 붐대(800)의 타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붐대(800) 일단의 상승 또는 하강 구동과 회전부(600)의 회전 구동을 통해 다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고소 작업 장치의 구동을 나타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대(800)는 제1 유압실린더(820), 제2 유압실린더(840) 및 제3 유압실린더(850)들을 포함한다.
제1 유압실린더(820)의 일단은 바디(620) 하부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부(4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작업대(900)의 저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유압실린더(840)의 일단은 고정부(400)를 둘러싸는 바디(620)의 상부 가장자리 측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유압실린더(820)의 측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3 유압실린더(850)들 각각의 일단은 제1 유압실린더(820)의 타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 유압실린더(820)의 양측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유압실린더(820)의 타단과 이격되도록 고정부(400)와 인접한 위치에서 작업대(900)의 저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유압실린더(820)는 연장 또는 수축 구동에 따라 작업대(900)와 고정부(400) 사이의 거리 및 작업대(900)와 상기 지면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고, 제2 유압실린더(840)는 구동에 따라 작업대(900)와 고정부(400) 사이의 거리를 제어한다.
또한, 제3 유압실린더(850)들은 고소 작업 장치(100)가 경사진 지면상에 고정되는 경우, 구동하여 작업대(900)의 수평을 제어하고, 작업대(900)에 탑승하는 작업자들의 중량 및 작업자들이 발생시키는 진동을 완화하여 탑승감을 개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플레이트(220)는 고정판(222)을 더 포함하고, 회전부(600)는 볼베어링(690)을 더 포함한다.
고정부(400)는 외측면을 따라 환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하부플레이트(400)의 상부에 삽입되어 고정판(222)을 통해 하부플레이트(220)에 결합된다.
고정판(222)은 고정부(400)를 둘러싸는 환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플레이트(220)의 상부에 삽입 및 고정되어, 고정부(400)의 상기 돌출부를 하부플레이트(220)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고정판(222)의 상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하부를 향해 반원형태로 함몰되는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홀들 사이에는 상기 홀들의 함몰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함몰되는 와이어 형태의 연결홈들이 형성된다.
볼베어링(690)은 복수의 볼들 각각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볼들 각각의 사이에는 상기 볼들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볼들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들이 형성된다.
상기 볼들 각각의 일부는 고정판(222)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홀들 각각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들 각각은 상기 연결홈들 각각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부(600)의 바디(620) 저면이 볼베어링(690)의 상기 볼들 각각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모터(680)가 구동하여 웜휠(640)이 회전하면, 상기 볼들 각각이 회전하면서 상기 바디(620)가 상기 고정부(400)를 축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회전부(600)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바디(620), 붐대(800) 및 작업대(900)들의 중량이 고정판(222) 및 상기 돌출부를 압박하기 때문에 하부플레이트(220) 및 고정부(400)의 결합력이 증가하여 회전부(600)가 회전하는 동안 하부플레이트(220) 또는 고정부(400)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회전부(600)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고정판(222)이 하부플레이트(2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회전부(600), 붐대(800) 및 작업대(900)의 중량이 고정부(400)의 상기 돌출부 상부에 전달될 수 없으므로, 고정판(222)의 저면 및 하부플레이트(22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면, 고정부(400) 및 하부플레이트(220) 사이의 결합력이 낮아져 고정부(400)가 기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정판(222)이 하부플레이트(220)와 일체되는 구조와 달리, 회전부(600), 붐대(800) 및 작업대(900)의 지속적인 중량에 노출되어 고정판(222)이 파손되는 경우, 하부플레이트(220)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고정판(222)을 하부플레이트(220)에서 탈착하여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고소 작업 장치를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120)는 고정부(5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의 고소 작업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 작업 장치(120)는 고정부(500)를 포함하고, 고정부(500)는 제3 가압연장유닛(520) 및 렌치(540)를 포함한다.
제3 가압연장유닛(520)은 서로 다른 크기의 실린더들이 텔레스코픽 형태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거나 하부를 향해 이동하며 축소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들 각각은 렌치(540)를 회전시켜 상부를 향해 연장하거나 하부를 향해 이동하며 축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가압연장유닛(520)은 프레임(521), 제1 로드(522), 제1 기어(524), 제2 로드(526) 및 제2 기어(528)를 포함한다.
프레임(521)은 일단은 회전부(6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2 가압연장유닛(460) 및 지면밀착판(480)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바디(620)의 상단보다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로드(522)는 프레임(521)의 내측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 로드(522)의 이동 방향에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랙기어가 형성된다.
제1 기어(524)는 프레임(521)의 상단 가장자리에 프레임(521)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로드(522)의 랙기어와 맞물려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로드(52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제1 기어(524)는 렌치(540)와 결합되어 렌치(5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로드(522)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로드(526)는 제1 로드(52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제2 로드(526)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단 끝부분에는 상부밀착판(440)이 결합된다.
제1 로드(52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제2 기어(528)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 로드(522)와 결합되고, 제2 기어(528)는 제2 로드(526)의 일측에 형성되는 랙기어와 맞물린다.
따라서, 제2 로드(526)는 결합된 렌치(5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부를 향해 이동하거나 제1 로드(522)의 내측면을 따라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 장치(140)는 연결관(150) 및 높이조절장치(155)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의 고소 작업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 작업 장치(140)는 연결관(150) 및 높이조절장치(155)를 포함한다.
연결관(150)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하는 일단은 상부밀착판(440)이 분리된 제1 가압연장유닛(420)의 상단에 제1 가압연장유닛(420)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 가압연장유닛(420)과 결합된다.
연결관(150)의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높이조절장치(155)의 일단 외측면 일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연결관(150)의 타단 내측면에는 반원 형태의 돌기가 연결관(150) 타단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반원링이 형성되어 연결관(150)은 제1 가압연장유닛(420)의 연장 방향을 축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155)의 일단은 연결관(150)의 타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연결관(150) 내측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상부밀착판(440)과 결합된다.
따라서, 해당 작업자는 제1 가압연장유닛(420)이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상부밀착판(440)과 상기 천장이 서로 인접한 경우, 연결관(150)의 회전을 통해 높이조절장치(155)를 상승시켜 섬세하고 정밀하게 상부밀착판(440)을 상기 천장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밀착판(440)의 정밀한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여, 상부밀착판(440)과 밀착되는 상기 천장의 표면의 손상 발생 가능성이 감소하고, 작업대(900)에 탑승한 작업자가 편리하게 상부밀착판(44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고소 작업 장치(100, 120, 140)들 각각은 손잡이(260) 또는 작업대(900)에 설치된 제어장치를 통해 고정부(400) 및 붐대(800)를 제어할 수 있고, 무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단말기를 통해 제어가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고소 작업 장치 200: 이송부
400: 고정부 600: 회전부
800: 붐대 900: 작업대

Claims (7)

  1. 하부에서 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고, 상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일단은 상기 이송부에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타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웜휠과 맞물리는 웜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회전부;
    일단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연장 또는 축소되는 붐대;
    상기 붐대의 타단에 결합되는 작업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높이조절장치; 및
    일단은 상기 고정부와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높이조절장치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 이동을 제어하는 연결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유압을 통해 상기 지면에 수직한 축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지면과 밀착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연결관의 회전을 통해 천장과 밀착 또는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하부에서 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고, 상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일단은 상기 이송부에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형성된 웜휠과 맞물리는 웜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회전부;
    일단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연장 또는 축소되는 붐대;
    상기 붐대의 타단에 결합되는 작업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높이조절장치; 및
    일단은 상기 고정부와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높이조절장치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 이동을 제어하는 연결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일단은 유압을 통해 상기 지면에 수직한 축을 따라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측면에 결합된 랙기어와 맞물린 기어의 회전을 통해 상승하며,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연결관의 회전을 통해 천장과 밀착 또는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70155449A 2017-11-21 2017-11-21 고소 작업 장치 KR101987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449A KR101987273B1 (ko) 2017-11-21 2017-11-21 고소 작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449A KR101987273B1 (ko) 2017-11-21 2017-11-21 고소 작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43A KR20190057943A (ko) 2019-05-29
KR101987273B1 true KR101987273B1 (ko) 2019-06-11

Family

ID=6667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449A KR101987273B1 (ko) 2017-11-21 2017-11-21 고소 작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963B1 (ko) * 2019-07-25 2021-07-19 윤상업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770B1 (ko) * 1989-06-05 1993-02-04 조원호 패각부착 전복 진주 양식방법
JPH0731800U (ja) * 1993-12-03 1995-06-16 新明和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装置
KR100323803B1 (ko) * 1998-05-14 2002-06-20 하태홍 이동식작업대
KR20090104324A (ko) * 2008-03-31 2009-10-06 김형옥 유압잭 리프트장치
KR100972994B1 (ko) * 2008-07-16 2010-07-3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소부재 취부용 족동식 유압 리프트
KR20150091961A (ko) * 2014-07-04 2015-08-12 남영석 농업용 붐형 고소 작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43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791B1 (ko) 수술대를 위한 수술대 기둥
CN102631271B (zh) 手术台支柱
US20130309055A1 (en) Robot turning apparatus for extending working area of robot
US9945134B2 (en) Load-adjustable vertically moving scaffold
KR101580528B1 (ko)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JP2010159624A (ja) 作業用足場(workplatform)を持ち上げかつ位置合わせ(positioning)するための装置
KR101987273B1 (ko) 고소 작업 장치
KR100921320B1 (ko) 오일 그루브 가공을 위한 실린더 라이너용 지그
KR102195815B1 (ko) 중량물의 흔들림 방지가 가능한 리프팅 장치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JP5792352B1 (ja) ワーク昇降装置
KR101435935B1 (ko) 경사지에서 걷는 고소 작업대
KR101317190B1 (ko) 전로 내 내화물 축조장치
CN215885239U (zh) 一种顶升旋转横移输送设备
JP3621350B2 (ja) 台車
ITVI20130280A1 (it) Ponte di sollevamento per veicoli, del tipo a pantografo
KR10166915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차
CN212445131U (zh) 一种机械加工用可调节角度升降平台
CN213248975U (zh) 一种组合验光台的升降摇摆调节机构
KR102283570B1 (ko) 크랭크 케이스 또는 변속기 케이스를 파지하기 위한 유압식 그리퍼
JP3228185B2 (ja) 工作機械のパレット交換装置
KR102125627B1 (ko) 대형물 틸팅 장치
CN219689277U (zh) 高空作业车及其控制系统
CN210635364U (zh) 一种能够调节高度的数控式机械手臂装置
JPH0530091U (ja) 高所作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