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627B1 - 대형물 틸팅 장치 - Google Patents

대형물 틸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627B1
KR102125627B1 KR1020180157419A KR20180157419A KR102125627B1 KR 102125627 B1 KR102125627 B1 KR 102125627B1 KR 1020180157419 A KR1020180157419 A KR 1020180157419A KR 20180157419 A KR20180157419 A KR 20180157419A KR 102125627 B1 KR102125627 B1 KR 102125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support
tilting device
large object
mov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9875A (ko
Inventor
박형두
Original Assignee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6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52Orientable fix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2Vess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는 수직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부; 일단부가 상기 수직 지지부를 따라 이동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평 지지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테이블; 상기 수직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테이블의 일단과 연결되는 와이어 부재; 및 상기 와이어 부재를 통해 상기 이동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측에는 상기 수직 지지부를 향해 연장되는 메인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레일부는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수직 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형물 틸팅 장치{TILTING DEVICE FOR LARGE-SCALE OBJECT}
본 발명은, 대형물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 구동 및 수평 이송을 통해 대형물을 틸팅하는, 대형물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압력 용기는 주로 액화 천연 가스 저장 시설에 사용되는 것으로, 그 크기로 인해 복수의 부품을 결합하여 제조되고, 그 중 헤드는 이러한 대형 압력 용기의 덮개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금속 재질의 반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헤드 하나의 부품 조차도 상당한 크기의 대형 중량물에 속하기 때문에, 복수의 조각들을 용접하여 하나의 반구 형상의 헤드를 제조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용접하는 과정에 있어서, 종래에는 작업장 바닥에서 틸팅 없이 용접하는 경우에는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작업자의 수동 용접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생산성 및 품질의 저하를 수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동 장비를 이용하기 위해서 헤드를 틸팅하는 경우에는 대형의 중량물을 회전 또는 틸팅하기 위한 초대형의 장비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09-0034566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하 구동 및 수평 이송을 통해 대형물을 틸팅하는 대형물 틸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는 수직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부; 일단부가 상기 수직 지지부를 따라 이동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평 지지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테이블; 상기 수직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테이블의 일단과 연결되는 와이어 부재; 및 상기 와이어 부재를 통해 상기 이동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측에는 상기 수직 지지부를 향해 연장되는 메인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레일부는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수직 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부는 상기 메인 레일부가 상기 수직 지지부와 인접되는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테이블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지지부를 따라 이동되는 제1 롤러와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테이블의 상측에는 상기 이동 테이블의 이동시에 대형물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어셈블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장치 어셈블리는, 대형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이동 테이블의 타단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보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테이블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 레일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보조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보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장치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보조 레일부와 이격되는 제2 보조 레일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보조 레일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대형물과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부재는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형물이 상기 받침부재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대형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이동 테이블과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수직 방향 높이 또는 상기 이동 테이블과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지지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롤러를 가이드 하는 수직 레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는, 상하 구동 및 수평 이송이 가능한 이동 테이블을 통해 고중량의 대형물을 안전하게 연속적으로 틸팅 가능하여, 아래 보기 용접시 우수한 작업환경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 및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테이블에 보조 레일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대형물을 고정할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테이블에 회전부재를 구비하여 중량물을 안전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다양한 작업환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가 틸팅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대형물 틸팅 장치에서 A-A'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의 회전부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의 고정장치 어셈블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의 보조 지지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와이어 부재(150)에 의해 제1롤러(310)가 상승하는 방향을 상방 또는 상측으로 설명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하방 또는 하측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가 틸팅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대형물 틸팅 장치에서 A-A'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의 회전부재(500)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의 고정장치 어셈블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의 보조 지지부(450)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는 수직 지지부(100)와 수평 지지부(200), 수직 지지부(100)와 수평 지지부(200)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테이블(300), 와이어 부재(150) 및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0)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부가 수직 지지부(10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 이동하고, 타단부가 수평 지지부(200)를 따라 수평 이동됨으로써 이동 테이블(300)의 상측에 고정되는 압력용기의 헤드와 같은 대형 중량물을 기울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는 수직 지지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지지부(100)는 대체로 지면으로부터 수직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대형 압력 용기의 헤드와 같은 대형 구조물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지지부(100)는 후술할 수평 지지부(20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구조물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지지부(100)에는 와이어 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부재(150)를 당기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600)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부재(150)의 일단이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구동부(600)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부가 수직 지지부(10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테이블(300)에 고정된 대형물은 고중량의 제품이므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수직 지지부(100)가 균형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 부재(150)의 타단에는 적절한 중량의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직 지지부(100)의 내측에는 수직 레일부(미도시)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부가 끌어올려지면서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롤러(310)가 수직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는 수평 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지지부(200)는 작업장의 바닥면에 놓이는 구조물일 수 있다. 수평 지지부(200)는 작업수평 지지부(200)는 상술한 수직 지지부(10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 될 수 있다. 수평 지지부(200)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는 수직 지지부(100)의 하단부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수평 지지부(200)의 상측에는 이동 테이블(3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이동 테이블(300)이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동 테이블(300)이 수평 지지부(200)와 거의 평행하도록 놓일 수 있다. 수평 지지부(200)의 상면에는 수직 지지부(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평 지지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메인 레일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레일부(250)는 수평 지지부(20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레일부(250)는 지면과 대체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구간(251) 및 수직 지지부(100)에 가까워 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구간(2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경사구간(252)은 경사부(252)와 혼용될 수 있다. 경사부(252)는 수직 지지부(10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이어 부재(150)가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동 테이블(300)의 제2롤러(320)는 메인 레일부(250)의 수평구간(251)에 배치될 수 있고, 제1롤러(310)는 수직 지지부(100)의 수직 레일부(미도시)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 부재(150)가 당겨지면, 제2롤러(320)만이 메인 레일부(250)를 따라 가이드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 레일부(250)의 수직 지지부(100)와 인접하는 구간에 경사부(252)가 형성되더라도 제1롤러(310)가 경사부(252)에 의해 수직 지지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와이어 부재(150)가 당겨짐으로써 고중량의 대형물을 고정한 상태의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부가 들어올려지더라도, 제2롤러(320)가 경사부(252)를 따라 가이드 되기 때문에 고중량으로 인해 급격히 상승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는 이동 테이블(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테이블(300)은 압력용기의 헤드와 같은 고중량의 대형물을 고정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부에는 수직 지지부(10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제1롤러(310)가 배치되고, 타단부에는 수평 지지부(200)의 메인 레일부(250)를 따라 수평 이동되는 제2롤러(320)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테이블(300)은 와이어 부재(150)가 구동부(600)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지지부(200)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일단부가 연속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부가 상승되더라도 헤드와 같은 대형물은 고정장치 어셈블리에 의해 이동 테이블(300)의 상측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각도로 이동 테이블(300)을 기울인 후 고정된 헤드에 용접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동 테이블(300)의 상측에는 용접의 대상이 되는 헤드와 같은 대형물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고정장치 어셈블리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장치 어셈블리는 대형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재(410)와 이동 테이블(300)의 타단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보조 지지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재(410)는 원통 형상의 링형 받침부재(41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판상형의 받침부재(410)일 수 있으며, 지지되는 대형물의 하단부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받침부재(410)가 링 형상인 경우로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부재(410)는 제1체결부재(365)를 통해 이동 테이블(3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보조 레일부(360)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보조 레일부(360)가 단면이 “T”자 형 홈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체결부재(365)는 사각 헤드를 구비한 사각 볼트가 될 수 있고, 제1체결부재(365)의 돌출형 헤드가 “T”자 형 홈에 삽입됨으로써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단지 삽입만 된 상태에서는 제1체결부재(365)가 제1보조 레일부(36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이고, 이로써 받침부재(410)도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헤드와 같은 대형물의 사이즈에 따라 받침부재(410)를 적절하게 이동시킴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용접대상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는 너트를 조임으로써 제1체결부재(365)를 제1보조 레일부(360)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장치 어셈블리는 보조 지지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테이블(300)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부가 끌어올려지는 과정에서 헤드가 자중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지지부(450)는 대형물의 높이 또는 형상에 따라 그 높이 및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보조 지지부(450)는 이동 테이블(300)의 상면과 결합되는 브라켓(451), 브라켓(451)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받침대(452) 및 받침대(45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대형물을 상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지지하는 돌출형 지지대(45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452)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일정한 높이로 조정한 상태에서 체결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452)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테이블(300)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일자 형태의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몸체부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일정한 높이로 고정할 수 있다.
고정장치 어셈블리는 고정부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420)는 이동 테이블(300)의 상면에 제1보조 레일부(360)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보조 레일부(330)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재(425), 대형물의 일측에 결합되는 후크부재(421) 및 후크부재(421)와 제2 체결부재(425)를 연결하는 체인부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조 레일부(330)는 상술한 제1보조 레일부(360)과 비슷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 역시 상술한 제1체결부재(365)와 비슷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체결부재(425) 역시 제2보조 레일부(33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제2보조 레일부(330)는 제1보조 레일부(360) 또는 메인 레일부(25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체결부재(425)와 후크부재(421)를 연결하는 체인부재(422)는 하나의 체인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두개 이상의 체인부재가 턴버클과 같은 이음부(423)에 의해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대형물의 사이즈에 따라 제2체결부재(425)를 이동 시킨 후 적절한 위치에서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형물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재(410) 및 고정부재(420)가 각각 제1보조 레일부(360) 및 제2보조 레일부(330)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보조 지지부(450)의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대형물을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는 상기 대형물이 상기 받침부재(4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대형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는 받침부재(410)의 반경방향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테이블(300)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530)와 지지플레이트(530)에 대해 볼 베어링(52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5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대형물의 하단부를 들어올릴 수 있는 실린더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부(550)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잭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린더부(550)의 피스톤이 상승함에 따라 피스톤의 상단부가 대형물의 하단부와 접촉되고, 유압에 의해 대형물을 들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이 대형물과 접촉되는 부분은 대형물의 하단부 형상에 대응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는 반구형상의 헤드의 하단부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부(550)에 의해 대형물이 일정높이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대형물의 둘레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고, 회전부재(500)의 몸체부(510)가 베어링(520)에 의해 지지플레이트(530)에 대해 회전되어 대형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는 와이어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부재(150)는 체인 형태의 케이블 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 일뿐이고, 틸팅 하고자 하는 대형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이면 그 재질이나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와이어 부재(150)는 수직 지지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일단은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 부재(150)의 일단은 제2롤러(320)와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 부재(150)는 구동부(600)를 통해 상측으로 당겨지거나 반대로 하측으로 놓아질 수 있고, 이로써 일단에 연결된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이 수직 지지부(100)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 부재(150)의 타단에는 일정한 무게의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160)가 결합될 수 있다. 일단에 배치되는 대형물의 하중에 대하여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수직 지지부(10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는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0)는 와이어 부재(150)를 당기거나 이완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미도시), 속도 제어를 위한 감속기(미도시) 및 브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0)는 수직 지지부(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방 또는 하방으로 와이어를 구동시키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와이어 부재(150)에 대하여 하방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경우 대형물의 자중에 의해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부가 하강할 수 있으나, 제어부가 구동부(600)의 구동력을 제어함으로써 자유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600)의 구동 모터는 유압 또는 전기 모터 일 수 있으나, 틸팅하고자 하는 대형물의 하중을 들어올릴 수 있는 크기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구동 방식이나 배치 위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가 감속기를 제어함으로써 와이어가 당겨지거나 이완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이 특정 위치까지 상승 또는 하강한 경우 브레이크를 제어함으로써 용접에 필요한 특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대형물 틸팅 장치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구동부(600)와 연결되어 구동부(6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를 통해 와이어에 제공되는 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와이어를 당기거나 푸는 속도 및 힘을 일정하게 조절함으로써 이동 테이블(300)이 틸팅되는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동 테이블(300) 일단부의 상하 이동을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제어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틸팅 테이블은 이동 테이블(300)의 상측에 복수의 조각이 가접된 상태의 대형 압력 용기의 헤드부가 고정되고, 와이어에 구동력이 제공되어 와이어 부재(150)를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 테이블(30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롤러(310)가 수직 지지부(100)의 수직 레일부(미도시)를 따라 가이드되며, 이동 테이블(300)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제2롤러(320)가 수평 테이블의 메인 레일부(250)를 따라 가이드 될 수 있다. 와이어 부재(150)가 상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제2롤러(320)는 메인 레일부(250)의 수평구간(251) 및 경사구간(252)에 순차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테이블(300)이 대형물의 자중에 의해 급격하게 틸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테이블(300)의 상면에는 제1 및 제2보조 레일부(330)가 형성되고, 이를 따라 받침부재(410) 및 고정부재(4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고정될 수 있는 대형물의 크기의 변화에 다양하게 대응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테이블(300)의 타단부 상측에는 높이 또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보조 지지부(450)가 배치됨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대형물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테이블(300)의 틸팅 각도뿐만 아니라, 받침 부재 특히 링형상의 받침부재(410)에 반구형상의 헤드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회전부재(5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용접상태에 따라 현재의 용접에 용이하도록 받침 부재에 지지된 대형물의 배치구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물 틸팅 장치는 대형 압력용기의 헤드 부분과 같은 반구형상의 대형 구조물의 용접시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으로 아니고, 고중량의 대형 구조물의 틸팅 작업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직 지지부
150: 와이어 부재
200: 수평 지지부
250: 메인 레일부
300: 이동 테이블
310: 제1롤러
320: 제2롤러
410: 받침부재
450: 보조 지지부
600: 구동부

Claims (9)

  1. 수직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부;
    일단부가 상기 수직 지지부를 따라 이동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평 지지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테이블;
    상기 수직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테이블의 일단과 연결되는 와이어 부재; 및
    상기 와이어 부재를 통해 상기 이동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측에는 상기 수직 지지부를 향해 연장되는 메인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레일부는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수직 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대형물 틸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메인 레일부가 상기 수직 지지부와 인접되는 구간에 형성되는 대형물 틸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테이블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지지부를 따라 이동되는 제1 롤러와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테이블의 상측에는 상기 이동 테이블의 이동시에 대형물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어셈블리가 형성되는 대형물 틸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 어셈블리는,
    대형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이동 테이블의 타단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보조 지지부를 포함하는 대형물 틸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테이블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 레일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보조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보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대형물 틸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보조 레일부와 이격되는 제2 보조 레일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보조 레일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대형물과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대형물 틸팅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형물이 상기 받침부재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대형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대형물 틸팅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이동 테이블과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수직 방향 높이 또는 상기 이동 테이블과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대형물 틸팅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롤러를 가이드 하는 수직 레일부가 형성되는 대형물 틸팅 장치.

KR1020180157419A 2018-12-07 2018-12-07 대형물 틸팅 장치 KR102125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419A KR102125627B1 (ko) 2018-12-07 2018-12-07 대형물 틸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419A KR102125627B1 (ko) 2018-12-07 2018-12-07 대형물 틸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875A KR20200069875A (ko) 2020-06-17
KR102125627B1 true KR102125627B1 (ko) 2020-06-22

Family

ID=7114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419A KR102125627B1 (ko) 2018-12-07 2018-12-07 대형물 틸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6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832B1 (ko) 2001-03-05 2004-02-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관플랜지 용접용 틸팅 터닝롤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3842B2 (ja) * 1988-01-11 1995-07-12 川崎製鉄株式会社 鋼管内面溶接の終端割れ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118781B1 (ko) * 2007-06-19 2012-03-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3차원 형상의 오목, 볼록 판재 겸용 자동경사조절 장치
KR100932671B1 (ko) 2007-10-04 2009-12-2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레이저 용접용 틸팅 지그 장치
KR101276052B1 (ko) * 2011-05-02 2013-06-17 이상윤 대형 압력 용기의 헤드 용접용 틸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832B1 (ko) 2001-03-05 2004-02-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관플랜지 용접용 틸팅 터닝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875A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037B1 (ko) 선재 권취 드럼의 해권작업용 지지장치
US8127418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ructures with a continuous sidewall
KR20090116326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
KR20140086385A (ko) 선박용 모터의 커플링 조립장치
KR100905861B1 (ko) 선박블록 운반용 지지장치
KR102195815B1 (ko) 중량물의 흔들림 방지가 가능한 리프팅 장치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KR102125627B1 (ko) 대형물 틸팅 장치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1276052B1 (ko) 대형 압력 용기의 헤드 용접용 틸팅 장치
CN207108405U (zh) 移动式轻型顶升装置
KR101568524B1 (ko) 감속기용 구동커플링 커버 지지장치
US10874209B1 (en) Expandable and contractable suspended storage device
CN104150397A (zh) 一种升降架
CN116605746A (zh) 一种大型产品翻转方法、翻转装置及起重设备
KR101470517B1 (ko) 타워 작업용 곤도라
CN207014253U (zh) 一种升降平台
JP6751298B2 (ja) タービンケーシング回転装置
KR20030012789A (ko) 작업대장치
KR102258877B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JP6080741B2 (ja) 重量物運搬方法、及び重量物運搬装置
KR20130125179A (ko) 중량물 승강 장치
JP6101164B2 (ja) 調芯用球面座金
KR20160127464A (ko) 지게차 수리용 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