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326A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326A
KR20090116326A KR1020080042190A KR20080042190A KR20090116326A KR 20090116326 A KR20090116326 A KR 20090116326A KR 1020080042190 A KR1020080042190 A KR 1020080042190A KR 20080042190 A KR20080042190 A KR 20080042190A KR 20090116326 A KR20090116326 A KR 20090116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support
block
tower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7668B1 (ko
Inventor
이종원
정병규
이재섭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2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66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의 건조시 선미부 및 선수부 블록을 지지해 주는 서포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각 바닥판의 상부에 탑 형태로 설치된 지지체의 일측부에 사다리가 구비되고 상부 주연부에는 난간이 구비된 작업대가 설치되며, 지지체의 내부에서 상,하부에는 수개의 지지바를 통해 보조 서포터 지지링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 타워형 메인 서포터와; 저면에 실린더 결합판을 구비하고 상기 타워형 메인 서포터의 지지링에 끼워지는 형태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선박의 블록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을 실질적으로 받쳐주는 지주형 보조 서포터와; 상기 타워형 메인 서포터의 바닥판 상면과 지주형 보조 서포터의 실린더 결합판 네 모서리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형 보조 서포터를 직접 승강시켜 서포터의 전체 높이 조절을 통해 블록의 경사각을 조절함은 물론 선박 건조 후 지주형 보조 서포터를 하강시켜 서포터 자체를 블록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개의 실린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서포터의 높이 자체를 실린더를 이용하여 쉽게 조절할 수 있고, 타워형 메인 서포터의 하면이 충분히 넓게 지면과 접촉되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지주형 보조 서포터의 높이를 선미부 및 선수부 블록의 높이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메인 및 보조 서포터를 조립된 상태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타작업 장소로 쉽게 운반할 수 있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선박, 타워형, 지주형, 서포터, 높이 조절, 블록, 실린더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Height adjustable tower suppor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건조과정에서 선미부 및 선수부 블록을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는 서포터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타워형으로 형성하여, 높이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크레인의 가동률 향상과 생산성 증가 및 서포터의 설치와 분해에 따른 작업의 향상 및 작업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조선, 컨테이너선, 액화천연가스 수송선 등의 상선은 보통 300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대형선이다.
이러한 선박을 건조할 경우, 전체의 선형을 한 번에 제작할 수 없어, 선박의 블록을 제작한 후, 제작된 상기 블록을 도크에서 조립하게 된다.
이때, 선박의 중앙부 블록의 밑면은 지면과 닿는 면이 넓어 측면으로 기울어질 염려가 없으나, 선수부나 선미부의 블록의 밑면은 지면과 닿는 면이 좁아 측면 으로 기울어지게 됨에 따라 선미부 또는 선수부 블록을 제작할 경우 선미부 블록 또는 선수부 블록의 양 측면에 서포터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미부나 선수부 블록의 제작 시 사용되는 상기 서포터로는 단순한 파이프 형상을 갖는 지주형 서포터와 사다리와 난간 등을 구비한 타워형 서포터가 있는데, 이들 모두는 그 길이가 일정하게 제작되는데 반하여 건조되는 선박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여 상기 서포터가 선체 블록을 효율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에 있어서 서포터가 설치되는 지면이 평평하지 않을 경우 또한 상기 서포터가 선체 블록을 효율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파이프 형상을 갖는 지주형 서포터의 설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지주형 서포터(60)가 선체 블록의 외판까지 닿지 않는 경우, 상기 지주형 서포터(60)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그 상단부에 형성된 장방형 구멍(61)과 블록(50)에 용접 고정된 받침판(51)의 구멍(52)에 볼트를 끼워 너트를 체결하는 방식을 통해 지주형 서포터(60)의 상단을 블록에 고정한 다음, 블록 자체를 타측 방향으로 좀 과도하게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지주형 서포터(60)의 아래에는 쐐기(40)를 삽입한 후 상기 지주형 서포터(60)의 하방부 일부를 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도 1의 가상선과 같이 절단해 가는 방식을 통해 높이를 조절하여 블록의 경사각을 바로 잡는 방식으로 설치하였다.
물론, 상기 지주형 서포터(60)가 설치되는 지면이 평평하지 않아 상기 지주형 서포터(60)가 기울어진 경우에는 기울어진 부위에 쐐기(40)를 삽입하여 기울어 진 상기 지주형 서포터(60)의 자세를 바로 잡았다.
또한, 선박 건조 완료후 상기 지주형 서포터(60)들을 블록(50)으로부터 분해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지주형 서포터(60)의 하부 일부를 절단하여 블록(50)의 받침판(51)을 받쳐주고 있는 서포터의 상단부를 장방형 구멍(61)의 길이만큼 받침판(51)의 저면으로부터 하강시킨 후 사다리 등을 타고 작업자가 올라가 상기 지주형 서포터(60)의 상단부와 받침판(51) 사이에 결합된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해제한 다음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서포터를 블록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지주형 서포터의 설치 및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건비 등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주형 서포터는 지면과 접하는 면이 작아 매우 불안하다. 즉, 외부에서 적은 힘이 가해져도 상기 지주형 서포터가 쓰러질 수 있고, 상기 지주형 서포터가 쓰러지면 상기 선수부 및 선미부 블록도 쓰러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대형 인명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실제 현장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지주형 서포터의 주변에 바리케이트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종래 사각 탑 형상을 갖는 타워형 서포터(70)의 경우는 도 2와 같이, 서포터가 설치될 바닥이 평평할 경우는 그대로 바닥에 세워 놓고, 그렇지 않고 기울어진 경우에는 서포터의 하방부에 받침목이나 쐐기 등을 설치하고, 상기 타워형 서포터(70)의 상면과 블록(50)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51) 사이에 쐐기(40)들을 삽입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그 높이 및 블록의 기울기를 조절하며, 타워형 서포터(70)의 해체시에는 자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사다리(71)를 타고 올라가는 상기 블록(50)의 받침판(51)과 서포터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쐐기(40)들을 강제로 빼낸 타워형 서포터를 선수부 및 선미부 블록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타워형 서포터는 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어떠한 기구적 구성물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선박의 선미부 및 선수부의 높이에 대략적으로 부응하는 높이를 갖는 타워형 서포터들을 다량으로 제작해 두었다가 각각 설치하고자 하는 블록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서포터를 선별하여 설치한 후 쐐기를 통해 정밀한 높이 조절 및 블록의 각도를 조절해야하므로 서포터의 설치 및 해체시 크레인의 잦은 사용과, 많은 인력이 소모되어 선박 건조에 따른 생산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선박의 건조과정에서 선미부 및 선수부 블록을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는 서포터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타워형으로 형성하여, 서포터의 하면이 충분히 넓게 지면과 접촉되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서포터의 높이를 선미부 및 선수부 블록의 높이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서포터를 조립된 상태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타작업 장소로 쉽게 운반할 수 있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건조시 선미부 및 선수부 블록을 지지해 주는 서포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각 바닥판의 상부에 탑 형태로 설치된 지지체의 일측부에 사다리가 구비되고 상부 주연부에는 난간이 구비된 작업대가 설치되며, 지지체의 내부에서 상,하부에는 수개의 지지바를 통해 보조 서포터 지지링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 타워형 메인 서포터와; 저면에 실린더 결합판을 구비하고 상기 타워형 메인 서포터의 지지링에 끼워지는 형태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선박의 블록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을 실질적으로 받쳐주는 지주형 보조 서포터와; 상기 타워형 메인 서포터의 바닥판 상면과 지주형 보조 서포터의 실린더 결합판 네 모서리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형 보조 서포터를 직접 승강시켜 서포터의 전체 높이 조절을 통해 블록의 경사각을 조절함은 물론 선박 건조 후 지주형 보조 서포터를 하강시켜 서포터 자체를 블록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개의 실린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건조과정에서 선미부 및 선수부 블록을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는 서포터를 타워형 메인 서포터와 지주형 보조 서포터 및 수개의 실린더로 구성하여 서포터의 높이 자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워형 메인 서포터의 하면이 충분히 넓게 지면과 접촉되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지주형 보조 서포터의 높이를 선미부 및 선수부 블록의 높이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메인 및 보조 서포터를 조립된 상태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타작업 장소로 쉽게 운반할 수 있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타워형 서포터를 초기에 블록에 설치할 때의 측면도를 나타 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타워형 서포터를 이용하여 블록의 경사각을 조절 완료한 상태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는, 선박의 건조시 선미부 및 선수부 블록을 지지해 주는 서포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각 바닥판(11)의 상부에 탑 형태로 설치된 지지체(12)의 일측부에 사다리(13)가 구비되고, 상부 주연부에는 난간(14)이 구비된 작업대(15)가 설치되며, 지지체(12)의 내부에서 상,하부에는 수개의 지지바(16)를 통해 보조 서포터 지지링(17)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 타워형 메인 서포터(10)와;
저면에 실린더 결합판(21)을 구비하고 상기 타워형 메인 서포터(10)의 지지링(17)에 끼워지는 형태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선박의 블록(50)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51)을 실질적으로 받쳐주며 블록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지주형 보조 서포터(20)와;
상기 타워형 메인 서포터(10)의 바닥판(11) 상면과 지주형 보조 서포터(20)의 실린더 결합판(21) 네 모서리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주형 보조 서포터(20)를 직접 승강시켜 서포터의 전체 높이 조절을 통해 블록(50)의 경사각을 조절함은 물론 선박 건조 후 지주형 보조 서포터(20)를 하강시켜 서포터 자체를 블록(50)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개의 실린더(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타워형 서포터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타워형 메인 서포터(10)와 지주형 보조 서포터(20) 및 수개의 실린더(30)를 상호 결합시켜 서포터 자체의 높이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타워형 메인 서포터(10)는 비교적 그 면적이 큰 사각 바닥판(11)의 상부에 종래의 타워형 서포터와 같이 탑 형태로 지지체(12)를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12)의 일측부에는 사다리(13)를 구비시키되, 상부 주연부에는 난간(14)이 구비된 작업대(15)를 설치하고, 또 상기 지지체(12)의 내부에서 상,하부에는 수개의 지지바(16)를 통해 보조 서포터 지지링(17)을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지주형 보조 서포터(20)는 저면에 실린더 결합판(21)을 구비하고 상기 타워형 메인 서포터(10)의 지지링(17)에 끼워지는 형태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갖고 후술하는 실린더(30)의 구동높이에 부응하여 선박의 블록(50)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51)을 실질적으로 받쳐주며 블록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실린더(30)들은 타워형 메인 서포터(10)의 받침판(51) 상면과 지주형 보조 서포터(20)의 실린더 결합판(21) 네 모서리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구성을 갖고 지주형 보조 서포터(20)를 직접 승강시켜 서포터의 전체 높이 조절을 통해 블록(50)의 경사각을 조절하거나, 선박 건조 후 지주형 보조 서포터(20)를 하강시켜 서포터 자체를 블록(50)으로부터 쉽게 분리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 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타워형 서포터를 이용하여 선박의 선수부 또는 선미부 블록(50)을 지지해 주고자 할 때에는 먼저, 지게차나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선박이 건조되는 장소로 옮긴 후 선수부 또는 선미부 블록(50) 중 서포터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이들을 옮길 수 있으므로 서포터들을 타작업 장소로 쉽게 운반할 수 있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주형 보조 서포터(20)는 저면에 실린더 결합판(21)을 구비하고 상기 타워형 메인 서포터(10)의 지지링(17)에 끼워지는 형태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주형 보조 서포터(20) 자체가 타워형 메인 서포터(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음은 물론 상기 지주형 보조 서포터(20)가 쓰러지지 않게 되므로 그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대형 인명 사고 등돠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타워형 서포터가 설치되는 장소가 평평하지 않으면 쐐기 등을 이용하여 바닥판(11)이 지면에 평평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타워형 메인 서포터(10)를 설치하면 되며, 이와 같이 상기 타워형 메인 서포터(10)의 하면이 충분히 넓게 지면과 접촉되므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타워형 메인 서포터(10)의 받침판(51) 상면과 지주형 보조 서포터(20)의 실린더 결합판(21) 네 모서리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개의 실린더(30)들 작동시켜 지주형 보조 서포터(20)를 타워형 메인 서포터(10)의 지지링(17)을 따라 직접 승강시켜 그의 상단부가 블록(50)의 받침판(51)을 상방향으 로 밀어주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서포터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여 블록(50)의 경사각을 조절하면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30)들을 이용하여 상기 지주형 보조 서포터(20)를 승강시키는 방식을 통해 서포터 자체의 높이를 조절하여 블록(50)의 경사각도를 맞춘 후에는 상기 타워형 메인 서포터(10)의 바닥판(11) 상면과 지주형 보조 서포터(20)의 실린더 결합판(21) 저면 사이에 도 4와 같이 쐐기(40)들을 설치하여 지주형 보조 서포터(20)를 받쳐주게 되면 실린더(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줄 수 있음은 물론 지주형 보조 서포터(20) 자체가 블록(50)의 하중 등에 의해 하강하여 블록의 경사각이 변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타워형 서포터들을 이용하여 선박의 선수부 또는 선미부 블록의 경사각을 원하는 각도로 맞춘 상태에서 선박의 건조를 완료한 후에는 상기 실린더(30)를 약간 상방향으로 작동시켜 타워형 메인 서포터(10)의 바닥판(11) 상면과 지주형 보조 서포터(20)의 실린더 결합판(21) 저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쐐기(40)들을 빼낸 다음 상기 실린더(30)을 하방향으로 작동시켜 지주형 보조 서포터(20)를 하강시키게 되면 블록(50)의 받침판(51)과 밀착된 상태로 받쳐주던 상기 지주형 보조 서포터(20)의 상단부가 받침판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본 발명의 타원형 서포터를 선박의 블록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서포터의 높이 자체를 실린더를 이용하여 쉽게 조절할 수 있고, 타워형 메인 서포터의 하면이 충분히 넓게 지면과 접촉되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지주형 보조 서포터의 높이를 선미부 및 선수부 블 록의 높이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메인 및 보조 서포터를 조립된 상태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타작업 장소로 쉽게 운반할 수 있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지주형 서포터의 설치상태 예시도.
도 2는 종래 타워형 서포터의 설치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타워형 서포터를 초기에 블록에 설치할 때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타워형 서포터를 이용하여 블록의 경사각을 조절 완료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타워형 메인 서포터 11 : 바닥판
12 :지지체 13 : 사다리
14 : 난간 15 : 작업대
16 : 지지바 17 : 보조 서포터 지지링
20 : 지주형 보조 서포터 21 : 실린더 결합판
30 : 실린더 40 : 쐐기
50 : 블록 51 : 받침판

Claims (1)

  1. 선박의 선미부 및 선수부 블록을 지지해 주는 서포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각 바닥판의 상부에 탑 형태로 설치된 지지체의 일측부에 사다리가 구비되고 상부 주연부에는 난간이 구비된 작업대가 설치되며, 지지체의 내부에서 상,하부에는 수개의 지지바를 통해 보조 서포터 지지링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 타워형 메인 서포터와;
    저면에 실린더 결합판을 구비하고 상기 타워형 메인 서포터의 중심부에서 지지링에 끼워지는 형태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선박의 블록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을 실질적으로 받쳐주는 지주형 보조 서포터와;
    상기 타워형 메인 서포터의 바닥판 상면과 지주형 보조 서포터의 실린더 결합판 네 모서리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형 보조 서포터를 직접 승강시켜 서포터의 전체 높이 조절을 통해 블록의 경사각을 조절함은 물론 선박 건조 후 지주형 보조 서포터를 하강시켜 서포터 자체를 블록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개의 실린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
KR1020080042190A 2008-05-07 2008-05-07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 KR100977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190A KR100977668B1 (ko) 2008-05-07 2008-05-07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190A KR100977668B1 (ko) 2008-05-07 2008-05-07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326A true KR20090116326A (ko) 2009-11-11
KR100977668B1 KR100977668B1 (ko) 2010-08-24

Family

ID=4160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190A KR100977668B1 (ko) 2008-05-07 2008-05-07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6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2609A (ko) * 2010-09-29 2012-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플랜트의 상부구조물 설치방법
KR200473210Y1 (ko) * 2010-04-26 2014-06-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슬랜트형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KR101399942B1 (ko) * 2012-03-28 2014-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타워 서포트용 커넥터
CN111098998A (zh) * 2019-09-16 2020-05-05 周雨桐 船用胎架防倾覆保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801B1 (ko) 2010-12-30 2013-01-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KR101481252B1 (ko) * 2013-01-29 2015-01-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블록 건조용 조립식 서포터
KR102045022B1 (ko) 2013-06-17 2019-11-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체 블록 서포트 기구 및 그 사용방법
KR20200072881A (ko) 2018-12-13 2020-06-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의장품 간섭 방지 장치
KR20230077552A (ko) 2021-11-25 2023-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곡블록 지지용 h빔 구조물의 제거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210Y1 (ko) * 2010-04-26 2014-06-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슬랜트형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KR20120032609A (ko) * 2010-09-29 2012-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플랜트의 상부구조물 설치방법
KR101399942B1 (ko) * 2012-03-28 2014-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타워 서포트용 커넥터
CN111098998A (zh) * 2019-09-16 2020-05-05 周雨桐 船用胎架防倾覆保护装置
CN111098998B (zh) * 2019-09-16 2022-07-29 周雨桐 船用胎架防倾覆保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668B1 (ko) 201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66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
KR102529595B1 (ko) 무거운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
CN104278843B (zh) 一种钢结构梁吊装对接的纠偏装置及使用方法
KR20140081934A (ko) 선박의 블록용 턴오버 방법
KR101364198B1 (ko)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KR20140146465A (ko) 선체 블록 서포트 기구 및 그 사용방법
KR100681661B1 (ko) 러더 혼 탑재 전용 서포트 타워
CN216582948U (zh) 一种用于建筑模板生产的上料装置
KR101481252B1 (ko) 선박블록 건조용 조립식 서포터
CN115159334A (zh) 用于塑料膜壳整体吊装的吊装装置及施工方法
KR20140006180U (ko) 조인트 파이프 지지 장치
KR200402251Y1 (ko) 크레인용 인양물의 정밀자세 조정구조
TWI537459B (zh) 圓筒型槽的建構方法
CN207737870U (zh) 一种大型储罐倒装提升装置
KR101412379B1 (ko)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KR101399942B1 (ko) 타워 서포트용 커넥터
CN219031472U (zh) 建筑幕墙单元可微调吊装吊具
KR101769041B1 (ko) 작업발판 승강용 작업대 및 이를 포함하는 거푸집 시스템
JP4243574B2 (ja) 塔状構造物の解体装置およびその解体方法
CN217478856U (zh) 一种塑料膜壳吊装装置
CN216102705U (zh) 一种高度可调节的钢支撑工装
KR102125627B1 (ko) 대형물 틸팅 장치
KR101413805B1 (ko)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CN220312209U (zh) 一种框架式高桩施工作业平台
KR101354851B1 (ko)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