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801B1 -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 Google Patents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801B1
KR101222801B1 KR1020100138575A KR20100138575A KR101222801B1 KR 101222801 B1 KR101222801 B1 KR 101222801B1 KR 1020100138575 A KR1020100138575 A KR 1020100138575A KR 20100138575 A KR20100138575 A KR 20100138575A KR 101222801 B1 KR101222801 B1 KR 101222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lock
supporter
rail
rai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845A (ko
Inventor
박선만
김병환
곽석필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8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801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은, 트래슬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블럭의 외면을 측방향에서 접촉하여 트러스 지지되도록 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서포터의 트래슬 상부에서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된 레일 플레이트; 및 상기 레일 플레이트의 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트래슬로부터 레일 플레이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동시에 레일 플레이트와 트래슬 사이에 제동력을 발생시켜 레일 플레이트 및 서포터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는레일 일체형 클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Unified Trestle Support For Curved Block}
본 발명은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에 선체를 블럭 단위로 제작한 후 이를 조립하게 되는데, 상기 단위 블럭(Block)의 이동과 현장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서, 일종의 작업대인 트래슬(TRESTLE)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트래슬은 H빔이 수평방향으로 놓여지고, 그 양측 끝단이 A자 형태의 받침대에 올려져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H빔 상부에 블럭이 지지되도록 하는데, 특히 선미쪽 블럭의 경우에는 바닥부가 큰 곡률을 이루고 있어, 지지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서포트부재가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서포트 부재로는 도1,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은 파이프(31) 또는 앵글(33)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파이프를 이용한 트래슬 서포터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의 앵글을 이용한 트래슬 서포터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서포터부재(31,33)는 형태에서의 차이가 있을 뿐, 설치방법이나 하는 역할은 동일하다.
상기한 서포트부재(31,33)는 트래슬(20)과 블럭(10) 사이에 설치된 후, 용접을 통해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블럭(20)은 스테이지(Stage)를 이동시켜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점점 블럭의 형태가 대형화 되고, 이로 인하여 블럭(20)의 서포트 지점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트래슬(20)과 블럭(10) 사이를 지지해 주고 있는 서포트부재(31,33)를 용접해서 붙였다가 다시 제거 하는 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선체 외판의 서포트 지점에는 용접 비드(Bead) 및 서포트부재(31,33)의 잔재가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잔재를 제거하기 위한 그라인딩(Grinding) 작업이 추가되어야 하는데, 이는 작업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작업인력의 추가확보되어야 하고, 도장공정이 보류되는 등 전체공정이 지연되어 생산성 향상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서포트부재(31,33)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트래슬(20)과 블럭(10)의 지지점 사이의 거리가 달라짐으로써, 쓰다 남은 서포트부재(31,33)를 재활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를 보관하는데 따른 물류비용이 추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럭의 지지방식을 기존의 용접방식에서 단순 지지 방식으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블럭의 스테이지 이동에 따른 서포트부재의 용접과 절단, 그리고 절단면에 대한 그라인딩 공정이 생략되도록 하는 트래슬 서포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 보류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에 서포트부재로 사용하던 앵글과 파이프 잔재를 재활용하거나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자재 수율이 개선되도록 하는 트래슬 서포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트래슬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블럭의 외면을 측방향에서 접촉하여 트러스 지지되도록 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서포터의 트래슬 상부에서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된 레일 플레이트; 및 상기 레일 플레이트의 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트래슬로부터 레일 플레이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동시에 레일 플레이트와 트래슬 사이에 제동력을 발생시켜 레일 플레이트 및 서포터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레일 일체형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터는, 상호 습동되도록 관 결합되는 제1, 제2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에 일측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메인지지대; 상기 제2베이스에 일측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보조지지대; 상기 메인지지대의 소정위치에 보조지지대의 타측단부가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부재; 상기 메인지지대의 타측단부에 스크류 결합되어 회전량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스크류잭; 및 상기 스크류잭 선단에 결합되어 블럭 외면을 접촉 지지하는 가압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제 2베이스 각각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통공이 겹치는 지점에 핀부재를 삽입시켜 제1, 제 2베이스 간이 거리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지지대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들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과 보조지지대의 힌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메인지지대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 2베이스의 저면에 바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일체형 클램프는, 레일 플레이트의 측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트래슬 측단이 내측에 대면되도록 연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외면에 형성되는 힌지 결합부; 상기 힌지결합부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일단부의 원주 둘레에 기어치를 형성하도록 된 레버; 상기 본체의 하단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일단부가 레버의 일단부에 형성된 기어치와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치를 형성하고, 레버의 회동조작에 연동되어 트래슬 측단의 저면을 압착하도록 된 제동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블럭의 지지방식을 기존의 용접방식에서 단순 지지 방식으로 변환함에 따라, 블럭의 스테이지 이동에 따른 용접과 절단, 그리고 절단면에 대한 그라인딩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고, 전체 공정이 단축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기여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보류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예컨대, 기존의 서포트 지점이 도장 보류 구간이 됨에 따라 후행 스테이지에서 도장보류구간에 대한 도장 작업을 다시 진행하여야 하는 추가공정을 없앨 수 있게 됨에 따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재 수율 향상의 효과를 갖는다. 예컨데, 기존에 서포트부재로 사용하던 앵글과 파이프 잔재를 재활용하거나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폐자재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파이프를 이용한 트래슬 서포터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앵글을 이용한 트래슬 서포터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3의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5는 도 4의 레일 일체형 클램프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은 크게 서포터(130), 레일 플레이트(140), 레일 일체형 클램프(1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서포터(130)에 대해 설명하면, 트래슬(120)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블럭(110)의 외면을 측방향에서 접촉하여 트러스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자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서포터(130)는, 상호 습동되도록 제1, 제2베이스(131)(132)가 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베이스(131)(132)는 각각 사각형상의 관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제 2베이스(131)(132) 각각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131a)(132a)들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통공(131a)(132a)이 겹치는 지점에 핀부재(133)를 삽입시켜 고정하게 된다.
상기 통공(131a)(132a)이 겹치는 지점를 조정시켜 핀부재(133)로 고정함으로써, 제1, 제 2베이스(131)(132) 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제1, 제 2베이스(131)(132)의 저면에 바퀴(134)를 형성함으로써, 이동이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베이스(131)에 일측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메인지지대(135)와, 상기 제2베이스(132)에 일측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보조지지대(136)가 개시된다.
이때, 상기 메인지지대(135)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135a)들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35a)과 보조지지대(136)의 힌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메인지지대(135)의 경사각도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메인지지대(135)의 소정위치에 보조지지대(136)의 타측단부가 힌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힌지부재(137)를 삽입시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지지대(135)의 타측단부에 스크류잭(138)이 스크류 결합되는데, 상기 스크류잭(138)은 회전량이나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잭(138) 선단에는 접시 형태의 가압판(139)이 결합됨에 따라 블럭(110) 외면을 접촉하여 지지하게 된다.
다음, 상기 레일 플레이트(140)에 대해 설명하면, 서포터(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서포터(130)의 트래슬(120) 상부에서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레일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트래슬(120)의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사각 형태의 판체로 제작되며, 폭은 트래슬(120)의 폭과 같거나 좀더 넓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레일 플레이트(140)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절개시켜 레일홈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홈 내에 서포터(130)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레일 일체형 클램프(15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레일 일체형 클램프(150)는 레일 플레이트(140)의 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트래슬(120)로부터 레일 플레이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동시에 레일 플레이트(140)와 트래슬(120) 사이에 제동력을 발생시켜 레일 플레이트(140) 및 서포터(130)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레일 일체형 클램프(150)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4의 레일 일체형 클램프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한 확대도이다.
삭제
도 5를 참조하면, 레일 일체형 클램프(150)는 레일 플레이트(140)의 측단에 본체(151)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본체(151)는 레일 플레이트(140)와의 결합부로 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서, 연장된 내측면이 트래슬(120)의 측단부와 대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51)에 외면에는 레버(153)가 설치되는데, 상기 레버(153)는 일단이 힌지결합부(155)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힌지결합부(155)는 일정간격 이격된 두 개의 판체 사이에 레버(153)의 일단을 축 결합시켜 상기 레버(153)가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버(153)는 힌지결합부(155)에 결합되는 일단부의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하되, 그 원주 둘레에 기어 이빨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51)의 하단에는 제동판(157)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동판(157)은 레버(153)의 회동조작에 연동되는 것으로서, 이둘은 기어물림 구조로 연결된다.
예컨대, 상기 본체(151)에 힌지 결합되는 제동판(157)의 일단부와 레버(153)의 일단부에 상호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되, 양측에 모두 기어 이빨이 형성되도록 하여 슬립되지 않고 동력전달이 이루어져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레버(153)를 상측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제동판(157)이 회동되어 트래슬(120) 측단의 저면을 압착시켜 제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레버(153)를 하측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제동판(157)이 트래슬(120)과 이격되어 제동이 해제되도록 작동된다.
이때, 상기 트래슬(120) 저면에 접촉하는 제동판(157)의 접촉면에 패킹(159)를 형성함으로써, 트래슬(120)과의 접지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레일 일체형 클램프(150)의 작동에 의해 레일 플레이트(140) 및 서포터(130)의 위치가 트래슬(120) 상부에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블럭의 지지방식을 기존의 용접방식에서 단순 지지 방식으로 변환함에 따라, 블럭의 스테이지 이동에 따른 용접과 절단, 그리고 절단면에 대한 그라인딩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고, 전체 공정이 단축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기여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보류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예컨대, 기존의 서포트 지점이 도장 보류 구간이 됨에 따라 후행 스테이지에서 도장보류구간에 대한 도장 작업을 다시 진행하여야 하는 추가공정을 없앨 수 있게 됨에 따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재 수율 향상의 효과를 갖는다. 예컨데, 기존에 서포트부재로 사용하던 앵글과 파이프 잔재를 재활용하거나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폐자재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110: 블럭 120: 트래슬
130: 서포터 131: 제1베이스
131a: 통공 132: 제2베이스
132a: 통공 133: 핀부재
134: 바퀴 135: 메인지지대
135a: 통공 136: 보조지지대
137: 힌지부재 138: 스크류잭
139: 가압판 140: 레일 플레이트
150: 레일 일체형 클램프 151: 본체
153: 레버 155: 힌지결합부
157: 제동판 159: 패킹

Claims (6)

  1. 트래슬(120)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블럭(110)의 외면을 측방향에서 접촉하여 트러스 지지되도록 하는 서포터(130);
    상기 서포터(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서포터(130)의 트래슬(120) 상부에서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된 레일 플레이트(140); 및
    상기 레일 플레이트(140)의 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트래슬(120)로부터 레일 플레이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동시에 레일 플레이트(140)와 트래슬(120) 사이에 제동력을 발생시켜 레일 플레이트(140) 및 서포터(130)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레일 일체형 클램프(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130)는,
    상호 습동되도록 관 결합되는 제1, 제2베이스(131)(132);
    상기 제1베이스(131)에 일측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메인지지대(135);
    상기 제2베이스(132)에 일측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보조지지대(136);
    상기 메인지지대(135)의 소정위치에 보조지지대(136)의 타측단부가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부재(137);
    상기 메인지지대(135)의 타측단부에 스크류 결합되어 회전량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스크류잭(138); 및
    상기 스크류잭(138) 선단에 결합되어 블럭(110) 외면을 접촉 지지하는 가압판(13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 2베이스(131)(132) 각각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131a)(132a)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통공(131a)(132a)이 겹치는 지점에 핀부재(133)를 삽입시켜 제1, 제 2베이스(131)(132) 간이 거리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대(135)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135a)들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135a)과 보조지지대(136)의 힌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메인지지대(135)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5. 제 2항에 있어서,
    제1, 제 2베이스(131)(132)의 저면에 바퀴(13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일체형 클램프(150)는,
    레일 플레이트(140)의 측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트래슬(120) 측단이 내측에 대면되도록 연장되는 본체(151);
    상기 본체(151)에 외면에 형성되는 힌지 결합부(155);
    상기 힌지결합부(155)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일단부의 원주 둘레에 기어치를 형성하도록 된 레버(153);
    상기 본체(151)의 하단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일단부가 레버(153)의 일단부에 형성된 기어치와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치를 형성하고, 레버(153)의 회동조작에 연동되어 트래슬(120) 측단의 저면을 압착하도록 된 제동판(15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KR1020100138575A 2010-12-30 2010-12-30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KR101222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575A KR101222801B1 (ko) 2010-12-30 2010-12-30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575A KR101222801B1 (ko) 2010-12-30 2010-12-30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845A KR20120076845A (ko) 2012-07-10
KR101222801B1 true KR101222801B1 (ko) 2013-01-15

Family

ID=4671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575A KR101222801B1 (ko) 2010-12-30 2010-12-30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377B1 (ko) 2018-06-08 2019-1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592B1 (ko) * 2012-09-27 2014-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지지용 반목장치
KR101481252B1 (ko) * 2013-01-29 2015-01-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블록 건조용 조립식 서포터
KR101487276B1 (ko) * 2013-03-14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지지 장치
KR101540397B1 (ko) * 2013-07-11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전도 방지용 지지 장치
KR200490990Y1 (ko) * 2018-06-01 2020-0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직 베슬 지지장치
CN113628518B (zh) * 2021-09-14 2023-08-08 中国地质调查局长沙自然资源综合调查中心 一种动水环境下可变河道形态的滑坡涌浪传播试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293Y1 (ko) 2005-10-07 2005-1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블록 서포터
KR100837321B1 (ko) 2007-01-23 2008-06-12 (주)에스피에스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KR100977668B1 (ko) 2008-05-07 2010-08-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293Y1 (ko) 2005-10-07 2005-1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블록 서포터
KR100837321B1 (ko) 2007-01-23 2008-06-12 (주)에스피에스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KR100977668B1 (ko) 2008-05-07 2010-08-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타워형 서포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377B1 (ko) 2018-06-08 2019-1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845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801B1 (ko)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CA2516337A1 (en) Self centering skate holder
KR20140000310U (ko) H형 빌트업 형강재 취부지그
JP2011073088A (ja) パイプ切断用治具
KR20170056116A (ko) 커팅날 교체 구조를 갖춘 환봉 절단장치
JP5653781B2 (ja) トロリ線の曲げ具
CN202155203U (zh) 一种颚式破碎机肘板盒固定结构
CN203991834U (zh) 简易型钢弯曲装置
CN101245707B (zh) 可缩刚性间转换的u型钢支架搭接段连接方法
CN103663078B (zh) 自动扶梯导轨型上下部梯路总成
KR20200032550A (ko) 무용접 조립식 앙카베이스 시스템
CN101584531A (zh) 一种密集架导轨
CN209233310U (zh) 一种可移动的切缆架
CN203664979U (zh) 支架定位装置
CN208083709U (zh) 易拆装式焊接轨道
CN203936179U (zh) 一种管件弯管装置
CN203592256U (zh) 一种小型箱型梁组焊工装
CN202240249U (zh) 钢桥面板结构焊接胎具
CN111085815A (zh) 一种轮辋螺栓座点焊模具
KR20160065638A (ko) 형강 빔을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대
CN104153516A (zh) 桁架系统、快速夹具及移动式金属成型设备
CN214492318U (zh) 一种轻型高强度的铝横梁
CN204735785U (zh) 一种卧式带锯床
KR101007305B1 (ko) 선로분기부의 텅레일 조정장치
CN217670086U (zh) 一种预制构件生产用自滑动悬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