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377B1 -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377B1
KR102058377B1 KR1020180066041A KR20180066041A KR102058377B1 KR 102058377 B1 KR102058377 B1 KR 102058377B1 KR 1020180066041 A KR1020180066041 A KR 1020180066041A KR 20180066041 A KR20180066041 A KR 20180066041A KR 102058377 B1 KR102058377 B1 KR 102058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ngle
hull
actuat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487A (ko
Inventor
이재훈
원광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6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37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B63B27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botic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대상물인 선체블록 또는 곡블록의 형상에 대응하여 지지기반의 각도를 변경하거나, 블록 하중에 따른 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으로서, 선박의 선체블록을 받치기 위하여 선체블록에 직접 접촉하는 면의 각도와 서로간의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한 두개 이상의 블록접촉부; 및 상기 블록접촉부로부터 전달받은 선체블록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는 블록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A BLOCK SUPPORT FOR CONTROLLING ANGLE AND DISTANCE AND A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각도 및 간격을 조절하여 선박의 곡블록을 가장 효율적으로 받칠 수 있는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선소에서는 선박의 여러부분을 미리 제작하여 야드에 적치하여 두고 이를 도크에서 배의 선체를 완성할 때 이용한다.
이는 선박의 공기를 단축하고 도크 회전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크는 조선소에서 가장 중요한 설비중 하나로서 도크 회전율을 높이게 되면 같은 도크설비에서 보다 많은 선박을 건조할 수 있다.
배의 선체(Hull)는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선체가 배의 운항시 마찰력을 줄여서 연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선체가 유선형으로 바닷물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선형의 형상의 일부분에는 곡블록이라 불리는 곡면을 가지는 블록도 많은 수가 미리 제작된다.
이러한 곡블록은 야드의 시멘트바닥에 두면 바닥에 고인 물이나 습기로 인하여 부식이 빨리 진행되고 곡 블록의 밑면에 용접이나 도장작업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로 곡블록을 권상하여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과 위험함이 있다.
크레인은 상당히 비싼 장비로 용접 작업이나 도장작업 등이 진행될 동안 중량물을 들고 있는 것은 제품에 원가부담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크레인이 중량물을 떨어뜨리게 되면 아래 작업자가 큰 사고를 입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중량물을 안전하게 받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조선소내 야드에서는 블록받침을 일반적인 형강으로 제작해서 사용하는데, 특히 곡블록을 받치기 위해서는 블록과 직접 접촉하는 부위에 경사가 있는 블록접촉부를 구비한 블록받침이 형강으로 제작되어서 쓰인다.
하지만, 이러한 블록받침은 고정된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필요에 의하여 만들 때 받치고자 했던 곡블록의 사이즈와 무게와 곡면에 맞게 제작되지만, 이후 이러한 받침대를 다른 형상의 곡블록에 쓰려면 크기가 안 맞아서 쓰기가 어려운 경우도 있고, 곡면의 경사가 안 맞는 경우도 있고, 블록접촉부간의 간격이 안 맞는 경우도 있다. 현재는 이럴 때는 별도로 현재 만들어지는 곡블록에 맞는 블록받침을 다시 제작하고 있다.
이는 비용부담도 크고 작업자의 시간을 낭비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다양한 무게와 형상의 곡블록을 받칠 수 있는 블록받침의 필요성이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구체적으로는 지지 대상물인 선체블록 또는 곡블록의 형상에 대응하여 지지기반의 각도를 변경하거나, 블록 하중에 따른 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의 선체블록을 받치기 위하여 선체블록에 직접 접촉하는 면의 각도와 서로간의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한 두개 이상의 블록접촉부; 및 상기 블록접촉부로부터 전달받은 선체블록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는 블록지지부;를 포함하는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지지부는, 상기 블록접촉부의 각도 및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선체블록의 형상과 치수정보를 가지고 있는 선체블록 설계정보저장부; 및 상기 선체블록의 무게를 측정하는 권상장비내의 무게측정부로부터 무게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선체블록 설계정보저장부로부터 선체블록의 형상에 따른 치수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무게정보 및 상기 치수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접촉부에게 요구되는 최적의 간격과 경사를 계산하는 간격/경사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지지부는, 지면에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 끝단에서 상향으로 각각 돌출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사이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된 레일; 및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레일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스토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접촉부는, 상기 두개 이상의 블록접촉부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부; 및 상기 두개 이상의 블록접촉부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서, 상기 선체블록의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받침판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정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가지고 있는 복수개의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각각 설치된 수평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액추에이터의 축길이의 신장 또는 축소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레일을 따라 서로 가깝게 또는 멀리 이동되어 상기 블록접촉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선체블록의 표면경사 또는 곡면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체를 기반으로 서로 동일한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이동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설치 위치와 상기 선체블록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는 복수개의 센서; 및 상기 이동체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체의 저면 밖으로 스토퍼핀을 출몰시켜서, 상기 블록지지부에 마련된 스토퍼홈에 록킹 또는 언록킹되는 수직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정부는, 상기 이동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된 복수개의 경사 액추에이터; 및 상기 경사 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경사 액추에이터의 경사 조정에 따라 배치 각도가 조절되는 받침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에 연결된 제어장치에 의해, 지지하려는 선체블록의 무게측정값과 상기 선체블록의 곡면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에 구비된 간격/경사 계산부에 의해, 복수개의 블록접촉부 사이의 간격을 정하는 최적 거리 산출 단계; 상기 간격을 만들기 위해 수평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거리유압구동부에 의해, 블록접촉부의 이동체를 이동 또는 정지시키는 거리 이동 단계; 상기 이동체의 이동 도중 또는 정지시에 상기 이동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상기 선체블록의 표면경사 또는 곡면기울기를 측정하는 각도 측정 단계; 및 상기 이동체의 내부에 설치된 경사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사유압구동부에 의해, 상기 선체블록을 받칠 수 있도록 상기 경사 액추에이터로 받침판의 배치 각도를 조정 또는 유지하는 기울기 유지 단계;를 포함하는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 이동 단계는, 상기 거리유압구동부에 의해, 수직 액추에이터가 블록지지부의 몸체부의 스토퍼홈으로부터 스토퍼핀을 수직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평 액추에이터가 상기 이동체를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이동체가 정지한 후,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가 상기 스토퍼핀을 상기 스토퍼홈을 향하여 수직 하방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선체블록 또는 곡블록의 형상 및 하중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접촉 포인트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곡블록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곡블록의 전도 또는 휨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은, 블록접촉부에 탑재된 복수개의 센서를 통해 실제 곡블록의 곡면 정보를 파악하여 각도 및 간격조절을 수행함으로써, 구조 보강으로 인해 설계값이 시스템적으로 반영되기 전의 선체블록에 대해서도 안전한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은, 블록접촉부의 간격 조정을 위해 이동체를 이동시킨 후, 이동체에 탑재된 수직 액추에이터로 스토퍼핀을 가동시켜서, 이동체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된 지지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과 권상장비간 협업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 A-A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B-B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 C-C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블록접촉부의 응용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구성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어방법의 거리이동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과 권상장비간 협업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10)은 블록접촉부(100) 및 블록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10)은 조선소, 야드, 블록 적재장 또는 작업장에서 선체 제작용 블록, 곡블록, 분할블록 등 이하의 내용에서 선체블록으로 통칭된 받침 대상물을 지면에 지지하거나, 블록 운송용 트랜스포터에 탑재할 수 있는 블록받침 또는 가교형 받침대일 수 있고, 허용 하중, 사용처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가교형 받침대로서 블록지지부(200)는 수평 구조의 빔 형상 구조물인 몸체부(210)의 양측 끝단 하부에 연결된 복수개의 다리부(220)를 포함하여, 다리부(220) 사이의 몸체부(210) 아래 공간에 트랜스포터 등이 들어갈 수 있는 교각 구조물일 수 있다.
블록접촉부(100) 및 블록지지부(200)에서 구조를 담당하는 구성품은 고하중물인 선체블록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철재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블록접촉부(100)는 적어도 1개 또는 두개 이상으로 블록지지부(200)의 상에서 이동 또는 정지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블록접촉부(100)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선박의 선체블록을 받치기 위하여 선체블록에 직접 접촉하는 면의 각도(R)와 서로간의 간격(D)을 가변적으로 조정가능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간격(D)은 블록접촉부(100)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블록지지부(200)는 블록접촉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선체블록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지지부(200)는 지면에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다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220)는 영문 A자 또는 일자형 다리(미 도시)일 수 있고, 사용처에 따라 두개 이상으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몸체부(210)는 다리부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 구조의 빔 형상 구조물, 거더, 붐 등의 철재 구조물로서의 역할과, 블록접촉부(100)의 이동 기반이 될 수 있다.
또한, 블록지지부(200)는 하기에 설명할 수평 액추에이터(111)의 설치를 위한 복수개의 브래킷(101)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브래킷(101)은 몸체부(210)의 양측 끝단에서 상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수평 액추에이터(111)에 의해, 블록접촉부(100)의 간격(D)은 줄여지거나 커질 수 있다.
또한, 블록지지부(200)는 브래킷(101)의 사이 위치를 기준으로 몸체부(210)의 상부에 배치된 레일(102)을 포함한다.
여기서, 레일(102)은 블록접촉부(100)의 개수만큼 몸체부(2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레일(102)은 몸체부(210)의 상면 중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블록지지부(200)는 몸체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레일(102)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몸체부(210)의 상부에 형성된 스토퍼홈(103)을 포함한다.
스토퍼홈(103)은 레일(102)의 양측에 쌍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고, 하기에 설명할 수직 액추에이터의 작동 암의 끝단에 마련된 스토퍼핀과 함께 블록접촉부(100)의 정지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지지부(200)는 블록지지부(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 가능한 제어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장치(300)는 블록접촉부(100)의 각도 및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이를 위해 통상적인 전기, 전자 제어 구성품 및 유압 구성품 혹은 장치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제어장치(300)는 하기의 도 7을 통해 상세히 설명할 구성 또는 작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접촉부(100)는 두개 이상의 블록접촉부(100)의 간격(D)을 조정하는 간격조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록접촉부(100)는 두개 이상의 블록접촉부(100)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서, 곡블록을 포함한 선체블록(W)의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받침판(131)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조정부(110)의 간격(D)은 선체블록(W)의 형상 또는 무게에 대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크레인 등의 권상장비(P)는 무게측정부(T)와 통신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즉, 권상장치(P)는 선체블록(W)을 들어 올릴 때, 크레인 케이블 장력 등의 힘을 측정하여 선체블록(W)의 하중 또는 무게를 측정할 수 있고, 통신장치를 통해 무게 측정값을 외부 시스템에서 이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제어장치(300)는 선체블록(W)의 무게를 측정하는 권상장비(P)내의 무게측정부(T)로부터 무게측정값, 즉 무게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300)는 조선소 내의 선체블록 설계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해당 선체블록(W)의 형상 및 설계값 혹은 곡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300)는 선체블록(W)의 무게 중심을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수평 액추에이터(111)를 개별적으로 작동시켜서, 최적화된 접촉 포인트 또는 지지 포인트를 체크한 후, 블록접촉부(100) 사이의 간격(D)을 조절하거나, 또는 블록접촉부(100) 각각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받침판(131)과 선체블록(W)의 표면간 접촉 위치가 최적화된 위치로 가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간격조정부(110)는 공압 방식, 유압 방식 혹은 랙피니언 방식(미도시)으로 블록접촉부(100)의 이동체(120)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접촉부(100)는 복수개의 이동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이동체(120)는 각 간격조정부(110)에 의해 블록지지부(200)의 몸체부(210)의 레일(10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레일(102)에 결합되어 있다. 각 이동체(120)는 그의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동체(120)는 선체블록(W)과 블록지지부(200)의 몸체부(210)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각도조정부(130)의 설치 기반이 될 수 있다.
이동체(120)는 선체블록(W)의 하중을 블록지지부(200) 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이동체(120)의 벽 및 바닥은 구조설계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어진 두께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미도시된 복수개의 보강리브 들을 더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제작 당시 이동체(120)의 상면은 경사진 상태로 개방되어 있으나, 경사 액추에이터(132)의 작동 암의 끝에 조립된 받침판(131)에 의해 덮여 있을 수 있다.
특히, 받침판(131)의 저면은 이동체(120)의 벽 상부 경사형 테두리와 비접촉 상태로 경사 액추에이터(132)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수 있다.
경사 액추에이터(132)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작동 암의 스트로크를 서로 다르게 또는 동일하게 조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받침판(131)의 경사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정부(130)는 이동체(12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된 복수개의 경사 액추에이터(132)를 포함한다.
또한, 각도조정부(130)는 작동 암의 끝의 피벗조인트을 통해서 경사 액추에이터(132)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경사 액추에이터(132)가 서로 다른 스트로크에 대응하게 각각 작동 암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것과 같은 경사 액추에이터(132)의 경사 조정에 따라 배치 각도가 조절되는 받침판(13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경우 경사 액추에이터(132) 중 일측(예: 좌측)의 액추에이터 축길이를 상대적으로 조금 연장시키면서 타측(예: 우측)의 액추에이터 축길이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연장시키면, 받침판(131)의 각도(R)가 조정되면서, 받침판(131)이 곡블록 등의 접촉대상물(예: 선체블록(W))에 밀착할 수 있는 경사진 상태 또는 평블록 등에 적합한 수평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경사 액추에이터(132)의 실린더 몸체에는 이동체(120)의 바닥면을 기반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서브 액추에이터(133)의 작동 암이 연결되어 있다.
즉, 서브 액추에이터(133)의 작동 암의 스트로크에 대응하게 경사 액추에이터(132) 자체의 설치 각도도 변화될 수 있다.
각 경사 액추에이터(132) 및 서브 액추에이터(133)의 끝단은 피벗조인트 결합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서브 액추에이터(133)의 작동으로 인해 경사 액추에이터(132)에 지지되는 받침판(131)의 변위도 조정이 가능하거나, 받침판(131)의 스윙 동작도 가능할 수 있다.
즉, 받침판(131)은 복수개의 경사 액추에이터(132)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경사진 상태 또는 수명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면서도, 서브 액추에이터(133)에 의해 받침판(131)이 경사진 상태로 회동 될 수 있으므로, 선체블록(W)에 대한 받침판(131)을 밀착시키는 공정을 매우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받침판(131)은 이동체(120)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받침판(131)의 평면적이 이동체(120)의 개방된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으므로, 외부 이물질 또는 빗물 등이 이동체(120)의 내부로 쉽게 유입되지 않을 수 있고, 이동체(120) 내부의 구성품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 A-A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B-B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 C-C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병행 참조하면, 블록접촉부(100)는 이동체(120), 받침판(131), 간격조정부(110), 각도조정부(130) 및 복수개의 센서(140)를 각각 구비한다.
받침판(131)은 선체블록(W)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판 구조물이거나, 복공판 사이에 트러스 구조물을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경량화된 판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특히 받침판(131)이 복공판 및 트러스 구조물로 만들어지는 경우, 선체블록(W)에도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고, 받침판(131) 자체의 무게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받침판(131)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데 사용되는 이동체(120) 내부의 경사 액추에이터(132)의 작동 용량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블록접촉부(100)의 간격조정부(110)는 이동체(120)와 브래킷(101) 사이에 각각 설치된 수평 액추에이터(111)를 포함한다.
즉,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동체(120)의 저면에는 레일(10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복수개의 롤러(1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롤러(121)를 제외한 이동체(120)의 저면에는 이동체(120)의 이동시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선체블록(W)의 하중을 블록지지부(200)의 몸체부(210)의 상면 쪽으로 분산 시켜서, 이동체(120)의 구조적 안전성 및 작동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개의 볼 캐스터(122)가 더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300)에 의해 제어되는 수평 액추에이터(111)의 축길이의 신장 또는 축소에 대응하여, 이동체(120)는 레일(102)을 따라 서로 가깝게 또는 멀리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블록접촉부(100)의 간격(D)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수평 액추에이터(111)의 실린더 몸체의 끝과, 작동 암의 끝에는 각각 피벗조인트 또는 유니버셜조인트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피벗조인트는 이동체(120)의 외측면 또는 브래킷(101)의 외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액추에이터(111)의 작동시 받을 수 있는 비틀림 응력 등에도 수평 액추에이터(111)의 구조적 안전성이 각각의 피벗조인트에 의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120)는 수직 액추에이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액추에이터(112)는 각각의 이동체(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수직 액추에이터(112)는 단수개 또는 복수개로 이동체(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각각의 수직 액추에이터(112)는 이동체(120)의 저면 밖으로 스토퍼핀(114)을 출몰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따라 스토퍼핀(114)는 블록지지부(200)의 몸체부(210)의 스토퍼홈(103)에 록킹 또는 언록킹될 수 있다.
수직 액추에이터(112)의 실린더 몸체는 중공형 장착대(113)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중공형 장착대(113)는 이동체(120)의 바닥에 세워질 수 있도록, 이동체(120)의 바닥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중공형 장착대(113)는 그의 저부 테두리에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중공형 장착대(113)의 플랜지에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볼트 및 플랜지의 볼트홀을 통해 중공형 장착대(113)는 이동체(120)의 바닥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 액추에이터(112)는 중공형 장착대(113)를 통해 이동체(120)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중공형 장착대(113)는 스토퍼홈(103)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이동체(120)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중공형 장착대(113)의 저면과 이동체(120)의 저면에는 수직 액추에이터(112)의 작동 암의 끝의 스토퍼핀(114)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홀을 통해서, 수직 액추에이터(112)의 스토퍼핀(114)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스토퍼핀(114)의 출몰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이동체(120)는 선체블록(W)의 표면경사 또는 곡면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40)는 이동체(120)를 기반으로 서로 동일한 레벨을 유지하도록 이동체(12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140)는 그의 설치 위치와 선체블록(W)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센서(140)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이거나, 조선소에서 사용 가능한 초음파 거리 측정기로서, 센서(140)를 복수개로 사용하여 거리 측정 이후, 삼각함수 등의 연산을 통해 선체블록(W)에 대한 각도를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센서(140)는 이동체(120)와 함께 이동되면서,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을 기준으로 거리(예: 수직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장치(300)로 입력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센서(140) 사이의 수평 거리는 설계치로서 미리 정해져 있고, 센서(140)는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여 상향으로 곡블록 등과 같은 해당 선체블록(W)의 표면 지점까지의 수직 거리를 구한다.
이때, 제어장치(300)는 센서(140)의 수직 거리 차이값을 연산하고, 미리 알고 있는 수평 거리와 상기 수직 거리 차이값을 입력치로하는 삼각함수 등의 일반적인 경사 또는 기울기 공식을 적용하여 센서(140) 위쪽의 선체블록(W)의 표면경사 또는 곡면기울기를 구한다.
예컨대, 제어장치(300)의 간격/경사 계산부의 산술 기능에 의해서 표면경사 또는 곡면기울기는 구해질 수 있다.
표면경사 또는 곡면기울기에 대한 정보는 제어장치(300)가 이동체(120)를 이동시키거나 받침판(131)의 각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120)의 내부에는 유압 분배기(123)가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유압 분배기(123)는 복수개의 경사 액추에이터(132), 서브 액추에이터(133) 및 수직 액추에이터(112)에 유압을 분배 또는 회수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유압 분배기(123)의 사용에 따라 유압 분배 및 회수가 용이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체(120)의 내부에는 정션박스(124)가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정션박스(124)는 센서(140)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제어장치(30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정션박스(124)의 적용에 따라 전선 처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블록접촉부의 응용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응용 예에 따른 블록접촉부(100a)는 그의 이동체(120)의 내부에 앞서 설명한 도 4에서 설명한 경사 액추에이터(132)대신 스튜어트 플랫폼 타입의 각도조절장치(16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각도조절장치(160)는 이동체(120)의 바닥 평면을 기준으로 분산 배열된 복수개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각도조절장치(160)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작동 암 끝단에는 받침판(131)이 결합될 수 있다.
각도조절장치(160)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작동 암은 스튜어트 플랫폼 타입의 제어를 통해서 받침판(131)의 변위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각도조절장치(160)는 더욱더 복잡한 표면 형상을 갖는 선체블록(미도시)에 밀착되게 받침판(131)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스튜어트 플랫폼 타입의 각도조절장치(160)의 적용으로 인하여, 유압 분배기(123) 및 수직 액추에이터(112)의 설치 위치도 스튜어트 플랫폼 타입의 각도조절장치(160)에 간섭이 되지 않은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구성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장치(300)는 외부의 권상장비내의 무게측정부(T)로부터 지지하려는 선체블록의 무게측정값 또는 무게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장치(300)는 권상장비의 통신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310)와, 제어장치(300)의 전반적인 작동에 관여하는 중앙제어기(32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장치(300)는 선체블록 설계정보저장부(330)를 포함한다.
선체블록 설계정보저장부(330)는 조선소 내의 선체블록 설계시스템(미도시)로부터 전달받은 선체블록의 형상과 치수정보 또는 곡면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선체블록 설계정보저장부(330)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곡면정보 등을 전산적으로 활용 가능하게 저장하고 있다.
중앙제어기(320)는 미도시된 레버 또는 버튼 타입의 콘솔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콘솔을 이용하여 제어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300)는 간격/경사 계산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간격/경사 계산부(340)는 선체블록의 무게를 측정하는 권상장비내의 무게측정부(T)로부터 무게측정값 또는 무게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간격/경사 계산부(340)는 선체블록 설계정보저장부(330)로부터 선체블록의 형상에 따른 치수정보 또는 곡면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간격/경사 계산부(340)는 무게정보 및 상기 치수정보에 대응하여 앞서 설명한 블록접촉부에게 요구되는 최적의 간격과 경사를 계산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간격/경사 계산부(340)는 일반적인 수치 연산 방법에 따라 센서(140) 또는 선체블록 설계정보저장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치수정보 및 무게정보를 고려하여 간격과 경사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에 대응한 제어요청신호를 중앙제어기(320) 쪽으로 전달한다.
중앙제어기(320)는 거리유압구동부(350) 및 경사유압구동부(36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리유압구동부(350)는 앞서 언급한 수평 액추에이터 및 수직 액추에이터의 동작(예: 수평구동과 수직구동)을 제어하는 유압구동회로부를 의미할 수 있고, 경사유압구동부(360)는 앞서 언급한 경사 액추에이터 및 서브 액추에이터의 동작(예: 경사구동)을 제어하는 유압구동회로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어방법의 거리이동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에 연결된 제어장치에 의해, 지지하려는 선체블록의 무게측정값과 선체블록의 곡면정보를 입수하는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선체블록의 무게측정값과 선체블록의 곡면정보의 입수는 동시적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선체블록의 곡면정보는 선체블록 설계정보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선체블록의 형상에 따른 치수정보일 수 있다.
또한, 무게측정값은 권상장비내의 무게측정부로부터 전달받은 값일 수 있다.
이후, 제어장치에 구비된 간격/경사 계산부에 의해, 복수개의 블록접촉부 사이의 간격을 정하는 최적 거리 산출 단계(S110)가 이루어진다.
또한, 거리유압구동부는 앞서 언급한 수평 액추에이터 및 수직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최적 거리 산출 단계(S110)의 산출값에 대응하게 블록접촉부의 이동체를 이동시키고, 이동체 사이의 간격이 상기 산출값에 일치하는 시점에서 이동체를 정지시키는 거리 이동 단계(S120)를 수행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거리 이동 단계(S120)에서는 수직 액추에이터의 상승 작동에 따라 수직 액추에이터의 스토퍼핀에 대한 수직 상방 이동(S201)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거리유압구동부에 의해, 수직 액추에이터는 블록지지부의 몸체부의 스토퍼홈으로부터 스토퍼핀을 수직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이동체와 블록지지부의 몸체부를 서로 언록킹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런 언록킹 상태에서 수평 액추에이터의 작동 암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이동체에 대한 수평 이동(S202)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장치의 거리유압구동부에 의해 제어되는 수평 액추에이터는 이동체에 밀거나 또는 당기는 힘을 가하여, 레일을 따라서 이동체를 수평 이동시키게 된다.
이후, 수평 액추에이터의 동작 스톱으로 인해 이동체가 정지되었을 때, 수직 액추에이터의 하강 작동에 따라 수직 액추에이터의 스토퍼핀에 대한 수직 하방 이동(S203)이 이루어져서, 이동체가 블록지지부의 몸체부에서 정지상태, 즉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동체가 정지한 후, 수직 액추에이터가 상기 스토퍼핀을 상기 스토퍼홈을 향하여 수직 하방 이동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과정은 필요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재 참조하면, 거리 이동 단계(S120) 동안 또는 거리 이동 단계(S120) 이후에는 이동체의 이동 도중 또는 정지시, 이동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선체블록의 표면경사 또는 곡면기울기를 측정하는 각도 측정 단계(S130)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각도 측정 단계(S130) 이후 간격 보정 또는 각도 보정이 필요한 경우, 선체블록 또는 곡블록의 탑재 전에 상기 거리 이동 단계(S120)가 더 수행됨으로써, 설계치가 아닌 실제 선체블록 또는 곡블록에 대한 각도 및 접촉 포인트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기울기 유지 단계(S140)는 이동체의 내부에 설치된 경사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사유압구동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기울기 유지 단계(S140)는 선체블록을 받칠 수 있도록 경사 액추에이터로 받침판의 배치 각도를 조정 또는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 결과 경사 액추에이터에 연결된 받침판은 선체블록 또는 곡블록 등을 지지할 수 있는 경사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권상장비의 협업에 의해, 선체블록 또는 곡블록은 블록접촉부의 받침판 위에 안정되게 놓일 수 있고, 선체블록의 좌우 방향으로의 전복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은 선체블록 또는 곡블록의 형상 및 하중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접촉 포인트 또는 지지 포인트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곡블록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곡블록의 전도 또는 휨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접촉부에 탑재된 복수개의 센서를 통해 실제 곡블록의 곡면 정보를 파악하여 각도 및 간격조절을 수행함으로써, 구조 보강으로 인해 설계값이 시스템적으로 반영되기 전의 선체블록에 대해서도 안전한 보관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블록접촉부 101: 브래킷
110: 간격조정부 111: 수평 액추에이터
112: 수직 액추에이터 120: 이동체
121: 롤러 130: 각도조정부
131: 받침판 132: 경사 액추에이터
140: 센서 200: 블록지지부
210: 몸체부 220: 다리부

Claims (9)

  1. 선박의 선체블록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체블록에 접촉하는 면의 각도와 상호 간격이 조정되는 두개 이상의 블록접촉부; 및
    상기 블록접촉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선체블록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는 블록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접촉부는,
    상기 두개 이상의 블록접촉부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부; 및
    상기 두개 이상의 블록접촉부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선체블록과 접촉되는 받침판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정부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복수개의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정부는 상기 이동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경사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판은 상기 경사 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경사 액추에이터의 경사 조정에 따라 배치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지지부는,
    상기 블록접촉부의 각도 및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선체블록의 형상과 치수정보를 가지고 있는 선체블록 설계정보저장부; 및
    상기 선체블록의 무게를 측정하는 권상장비내의 무게측정부로부터 무게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선체블록 설계정보저장부로부터 상기 선체블록의 형상에 따른 치수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무게정보 및 상기 치수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접촉부에게 요구되는 최적의 간격과 경사를 계산하는 간격/경사 계산부를 포함하는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지지부는,
    지면에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 끝단에서 상향으로 각각 돌출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사이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된 레일; 및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레일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스토퍼홈;을 포함하는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부는,
    상기 이동체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각각 설치된 수평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상기 수평 액추에이터의 축길이의 신장 또는 축소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서로 가깝게 또는 멀리 이동되어 상기 블록접촉부의 간격을 조정하는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선체블록의 표면경사 또는 곡면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체를 기반으로 서로 동일한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이동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설치위치와 상기 선체블록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는 복수개의 센서; 및
    상기 이동체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체의 저면 밖으로 스토퍼핀을 출몰시켜서, 상기 블록지지부에 마련된 스토퍼홈에 록킹 또는 언록킹되는 수직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7. 삭제
  8.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에 연결된 제어장치에 의해, 지지하려는 선체블록의 무게측정값과 상기 선체블록의 곡면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에 구비된 간격/경사 계산부에 의해, 복수개의 블록접촉부 사이의 간격을 정하는 최적 거리 산출 단계;
    상기 간격을 만들기 위해 수평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거리유압구동부에 의해, 블록접촉부의 이동체를 이동 또는 정지시키는 거리 이동 단계;
    상기 이동체의 이동 도중 또는 정지시에 상기 이동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상기 선체블록의 표면경사 또는 곡면기울기를 측정하는 각도 측정 단계; 및
    상기 이동체의 내부에 설치된 경사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사유압구동부에 의해, 상기 선체블록을 받칠 수 있도록 상기 경사 액추에이터로 받침판의 배치 각도를 조정 또는 유지하는 기울기 유지 단계를 포함하는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이동 단계는,
    상기 거리유압구동부에 의해, 수직 액추에이터가 블록지지부의 몸체부의 스토퍼홈으로부터 스토퍼핀을 수직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평 액추에이터가 상기 이동체를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이동체가 정지한 후, 상기 수직 액추에이터가 상기 스토퍼핀을 상기 스토퍼홈을 향하여 수직 하방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의 제어방법.
KR1020180066041A 2018-06-08 2018-06-08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58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41A KR102058377B1 (ko) 2018-06-08 2018-06-08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41A KR102058377B1 (ko) 2018-06-08 2018-06-08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87A KR20190139487A (ko) 2019-12-18
KR102058377B1 true KR102058377B1 (ko) 2019-12-23

Family

ID=6905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041A KR102058377B1 (ko) 2018-06-08 2018-06-08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0773A (zh) * 2021-01-13 2021-05-18 吴冰 一种船舶制造用支撑固定装置
CN115258054A (zh) * 2022-08-30 2022-11-01 中船绿洲镇江船舶辅机有限公司 一种模块化、集成式可调节托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801B1 (ko) 2010-12-30 2013-01-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KR101599947B1 (ko) * 2014-06-24 2016-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블록용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801B1 (ko) 2010-12-30 2013-01-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곡블럭용 트래슬 서포터 조립모듈
KR101599947B1 (ko) * 2014-06-24 2016-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블록용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87A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43736B (zh) 用於從受制於運動之船隻的甲板提升物件的裝置及方法
KR102058377B1 (ko) 각도 및 간격조절 블록받침 및 그의 제어방법
CN110525578B (zh) 一种吊舱安装装置及安装方法
JP6701362B2 (ja) Stsマルチトロリーポータルガントリーコンテナクレーン
KR100623202B1 (ko) 대형 구조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JP2006111435A (ja) 移動式発電装置の自揚降動制御方法及び自揚降型架台制御装置
JP4818039B2 (ja) 階段揚重装置
JP2011089958A (ja) 重心高さ測定方法
CN111827131A (zh) 一种模块车架设钢箱梁精确定位施工方法
WO2011122961A2 (en) Lifting frame device
EP3295134B1 (en) Mobile pallet scale
KR101141594B1 (ko) 평형 유지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0328309B1 (ko)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건조공법 및 이를 위한 스키드 보기 시스템
KR200402250Y1 (ko) 크레인용 인양물의 무게중심 조정장치
US9238945B2 (en) Base beam and self-propelled derrick rig assembly
CN116005557B (zh) 大跨度飞燕式提篮钢箱拱桥空间异型拱肋结构的安装方法
RU169192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автономная грузоподъемная поворотная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трела
KR20150021230A (ko) 자동 앵커리지, 위치센서 및 무게선서가 설치된 빔 런처를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공법
CN211733692U (zh) 一种具备吊装和姿态调整的设备
EP2362021A1 (en) A turning arrangement for turning an elongated element, method and uses of the turning arrangement
CN210917052U (zh) 大吨位顶推装置
KR102606246B1 (ko) 대형 중량물 운반시 자동 수평 이송장치 및 방법
KR20220011827A (ko) 써포트 장치
US20140231609A1 (en) Base beam for supporting a self-propelled derrick rig
CN219032947U (zh) 架桥机轨道调平装置和调平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