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305B1 - 선로분기부의 텅레일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선로분기부의 텅레일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305B1
KR101007305B1 KR1020080077762A KR20080077762A KR101007305B1 KR 101007305 B1 KR101007305 B1 KR 101007305B1 KR 1020080077762 A KR1020080077762 A KR 1020080077762A KR 20080077762 A KR20080077762 A KR 20080077762A KR 101007305 B1 KR101007305 B1 KR 101007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ongue
hydraulic cylinder
basic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8982A (ko
Inventor
노영채
신경규
Original Assignee
신경규
영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규, 영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경규
Priority to KR102008007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305B1/ko
Publication of KR20100018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6Distance kee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운행하면서 선로변환장치에 의해 선로를 변경시키는 분기부에 설치된 텅레일이 기본레일과의 간격을 규정된 간격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한 선로분기부의 텅레일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본레일에 각각의 텅레일이 설치되어 형성한 선로분기부의 변형된 텅레일을 기본레일에 규정된 접속과 이격거리로 조정하는 장치로 기본레일(10)과 텅레일(20)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형된 구간의 양측에 각각 기본레일 홀더(31)와 텅레일 홀더(32)로 연결되어 그 상단에 손잡이(33)가 형성되고 텅레일 홀더(32)측에 나사공(34)을 천공하여 고정볼트(35)를 결합시킨 제1클램퍼(30)와 동일구조의 제2클램퍼(30')로 클램핑시키고 상기 클램핑된 제1,2클램퍼(30)(30') 사이의 중앙에 선단에 램(41)이 결합되고 후단에 스톱퍼(42)가 설치되며 상단에 레일지지대(43)가 형성된 유압실린더(40)를 기본레일(10)과 텅레일(20)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고 바(44)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펌프(45)를 유압호스(46)를 통하여 유압실린더(40)에 연결시켜 유압펌프(45)의 작동으로 텅레일(20)를 조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로분기부,텅레일,클램퍼,유압실린더,유압펌프.

Description

선로분기부의 텅레일 조정장치{Railway line quarter bringing up for discussion tongue rail adjusting devic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운행하면서 선로변환장치에 의해 선로를 변경시키는 분기부에 설치된 텅레일(Tongue rail)이 기본레일과의 간격을 규정된 간격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한 선로분기부의 텅레일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클램퍼와 유압펌프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규정간격을 이탈한 구간의 양측에 기본레일과 텅레일을 각각의 클램퍼에 의해 클램핑시키고 그 사이의 중앙지점에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여 유압펌프에 의해 유압실린더를 확장시켜 기본레일과 텅레일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을 선로 상에서 방향을 변환시키기 위한 장치로 분기기(선로변환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분기기는 기본레일에 대하여 한 쌍의 텅레일을 설치하고 설치된 텅레일을 연결간으로 연결하며 이 연결간을 레버 등의 수동조작,전기모터 및 유압실린더에 의해 조작하여 기본레일에서 접속 및 이탈시킴으로써 레일의 내측 궤도면과 접속하는 철도차량의 차륜이 텅레일을 따라 이동하므로 선로의 변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기본레일과 텅레일 간의 간격은 정확한 접속과 규정간격으로 이격되어야 만 안전하게 선로를 변경하여 운행이 가능하고 텅레일이 기본레일과 정확한 접속이 안되거나 규정간격을 벗어나면 텅레일의 시작점인 선단이 차륜과 접촉되는 과정에서 마모 또는 손상되어 차량이 탈선 및 전복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또한 차량의 주행속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 선로분기부에 설치되는 분기기는 기본레일에 한 쌍의 텅레일을 설치하여 선로변환장치로 텅레일을 기본레일에 접속 또는 이격시키는 반복작동으로 장시간 사용시 선로변환장치로 텅레일을 기본레일에 접속시키는 작동 및 이격시키는 작동을 하여도 텅레일이 변형되어 기본레일에서 접속이 안되고 이격되거나 규정간격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텅레일의 선단이 마모 및 손상되어 차량이 탈선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분기기에 설치된 텅레일 전체를 교체하는 작업을 통하여 보수하였으나 상기의 텅레일은 통상 5-12m의 길이로 구성되기 때문에 보수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보수에 따른 시간이 지연되어 차량의 운행에도 지장을 초래하였다.
상기와 같이 텅레일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증대와 시간지연을 개선하기 위하여 텅레일의 마모 및 손상된 부위와 곡률이 변형된 부위만을 절단하여 교체하고 용접작업에 의해 연결시키므로 일부 비용절감의 효과는 있으나 이 또한 용접작업이 추가되므로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출된 것으로 텅레일의 교체없이 변형된 텅레일의 구간에 클램퍼와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기본레일과 텅레일의 규정간격을 조정하므로 텅레일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키고 최소 작업인원으로 클램퍼의 체결 및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규정간격을 조정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텅레일 조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기본레일과 텅레일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형된 구간의 양측에 각각 기본레일 홀더와 텅레일 홀더로 연결되어 그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텅레일 홀더측에 나사공을 천공하여 고정볼트를 결합시킨 제1클램퍼와 동일구조의 제2클램퍼로 클램핑시키고 상기 클램핑된 제1,2클램퍼 사이의 중앙에 선단에 램이 결합되고 후단에 스톱퍼가 설치되며 상단에 레일지지대가 형성된 유압실린더를 기본레일과 텅레일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고 바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펌프를 유압호스를 통하여 유압실린더에 연결시켜 유압펌프의 작동으로 텅레일를 조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러므로 본 발명은 분기부에 설치되는 고중량과 고가의 텅레일을 교체하지 않고 텅레일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텅레일의 변형된 구간 만을 조정하여 텅레일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므로 텅레일 교체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최소의 작업인원으로 작업이 가능케 하고 또한 텅레일 교체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선로이용 제한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발명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 클램퍼의 체결구조도로 기본레일과 텅레일에 기본레일,텅레일 홀더를 각각 거치시켜 고정볼트로 체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도 2 는 본 발명 유압실린더의 작동구조도로 기본레일과 텅레일 상단에 레일지지대로 거치시켜 유압실린더를 기본레일과 텅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하였고,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 텅레일 변형된 구간의 양측에 제1,2클램퍼를 체결시키고 그 사이 중앙에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여 유압펌프로 텅레일을 조정하는 사용상태를 도시하였다.
기본레일에 각각의 텅레일이 설치되어 형성한 선로분기부의 변형된 텅레일을 기본레일에 규정된 접속과 이격거리로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본레일(10)과 텅레일(20)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형된 구간의 양측에 각각 기본레일 홀더(31)와 텅레일 홀더(32)로 연결되어 그 상단에 손잡이(33)가 형성되고 텅레일 홀더(32)측에 나사공(34)을 천공하여 고정볼트(35)를 결합시킨 제1클램퍼(30)와 동일구조의 제2클램퍼(30')로 클램핑시키고 상기 클램핑된 제1,2클램퍼(30)(30') 사이의 중앙에 선단에 램(41)이 결합되고 후단에 스톱퍼(42)가 설치되며 상단에 레일지지대(43)가 형성된 유압실린더(40)를 기본레일(10)과 텅레일(20)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고 바(44)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펌프(45)를 유압호스(46)를 통하여 유압실린더(40)에 연결시켜 유압펌프(45)의 작동으로 텅레일(20)를 조정할 수 있게 한 구조이다.
본 발명의 조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텅레일(20)이 변형된 구간의 양측에 제1,2클램퍼(30)(30')를 체결하는 레일클램핑단계와;
상기 제1,2클램퍼(30)(30')가 체결된 사이의 중앙에 유압실린더(40)를 설치하는 유압실린더설치단계와;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유압호스(46)로 연결된 유압펌프(45)를 작동시키는 유압펌프작동단계에 의하여 변형된 텅레일(20)을 조정할 수 있게 하였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0)은 연결간이고,(60)(60')는 침목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선로분기부의 기본레일에 설치되는 텅레일을 유압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최소의 노동력으로 용이하게 조정하고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한 텅레일 조정장치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텅레일 조정장치는 크게 2개의 클램퍼(30)(30')와 유압펌프(45)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30)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제1,2클램퍼(30)(30')는 도 1 과 같이 기본레일(10)과 텅레일(20)을 체결시킬 수 있게 일측은 기본레일 홀더(31)가 설치되고 타측으로 텅레일 홀더(32)가 설치되어 연결되며 그 상단에는 이동이 용이하게 손잡이(33)가 부착되며 상기 텅레일 홀더(32)에는 나사공(34)을 천공하여 고정볼트(35)를 나사결합시킬 수 있게 하여 고정볼트(35)의 정역회전으로 기본레일(10)과 텅레일(20)을 체결 및 해제시킬 수 있게 구성되었다.
상기 유압실린더(40)는 도 2 와 같이 선단은 램(41)이 유압에 의해 전후진 작동케 하고 후단에는 스톱퍼(42)가 장착되며 상단으로 기본레일(10)과 텅레일(20) 사이에 거치시킬 수 있게 레일지지대(43)를 설치하여 바(44)의 승강작동으로 유압펌프(45)의 압유를 유압호스(46)를 통하여 유압실린더(30)로 공급하여 램(41)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의 조정방법은 도 3 과 같이 레일클램핑단계와,유압실린더설치단계 및 유압펌프작동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클램핑단계는 선로분기부에 기본레일(10)과 텅레일(20)이 설치된 구간에서 텅레일(20)의 선단이 선로변환장치를 작동시켜 기본레일(10)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기본레일(10)과 완전하게 밀착이 되지않고 이격되거나 선로변환장치로 텅레일(20)을 기본레일(10)에서 이격시키는 작동을 하여도 텅레일(20)이 기본레일(10)에서 규정된 이격거리로 이격되지 않는 구간의 양측 즉,변형된 부위의 일측과 타측에 제1,2클램퍼(30)(30')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1,2클램퍼(30)(30')에 설치된 손잡이(33)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키고 기본레일 홀더(31)와 텅레일 홀더(32)를 기본레일(10)과 텅레일(20)에 각각 거치시킨 후 고정볼트(35)를 나사공(34)에 삽입 회전시켜 일측과 타측을 체결시킨다.
상기 레일클램핑이 완료되면 유압실린더설치단계로 유압실린더(40)의 상단에 설치된 레일지지대(43)를 상기 제1,2클램퍼(30)(30')가 체결된 사이의 중앙지점 기본레일(10)과 텅레일(20) 의 상단에 제일지지대(43)를 거치시키되 유압실린더(40)의 스톱퍼(42)는 기본레일(10) 측에 위치하고 램(41)은 텅레일(20) 측에 위치되게 양레일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유압실린더(40)는 유압호스(46)에 의해 유압펌프(45)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면 유압펌프(45)의 바(44)를 작업자가 승강 작동시켜 압유를 유압호스(46)로 유압실린더(40)에 공급하고 유압실린더(40)는 램(41)을 전진시켜 텅레일(20)을 밀어내고 텅레일(20)의 변형정도에 따라 작업자가 육안으로 램(41)의 작동을 조절하는 유압펌프작동단계를 통하여 변형된 텅레일(20)을 조정하는 것이다.
상기의 텅레일 조정작업은 텅레일(20)의 변형정도와 변형길이에 따라 여러구간으로 나누어 상기와 같은 조정작업으로 원상태로 텅레일(20)을 복귀시킬 수 있는 것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 는 본 발명 클램퍼의 체결구조도
도 2 은 본 발명 유압실린더의 작동구조도
도 3 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본레일 20: 텅레일
30,30': 클램퍼 31: 기본레일 홀더
32: 텅레일 홀더 33: 손잡이
34: 나사공 35: 고정볼트
40: 유압실린더 41: 램
42: 스톱퍼 43: 레일지지대
44: 바 45: 유압펌프
46: 유압호스

Claims (2)

  1. 기본레일에 각각의 텅레일이 설치되어 형성한 선로분기부의 변형된 텅레일을 기본레일에 규정된 접속과 이격거리로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본레일(10)과 텅레일(20)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형된 구간의 양측에 각각 기본레일 홀더(31)와 텅레일 홀더(32)로 연결되어 그 상단에 손잡이(33)가 형성되고 텅레일 홀더(32)측에 나사공(34)을 천공하여 고정볼트(35)를 결합시킨 제1클램퍼(30)와 동일구조의 제2클램퍼(30')로 클램핑시키고 상기 클램핑된 제1,2클램퍼(30)(30') 사이의 중앙에 선단에 램(41)이 결합되고 후단에 스톱퍼(42)가 설치되며 상단에 레일지지대(43)가 형성된 유압실린더(40)를 기본레일(10)과 텅레일(20)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고 바(44)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펌프(45)를 유압호스(46)를 통하여 유압실린더(40)에 연결시켜 유압펌프(45)의 작동으로 텅레일(20)를 조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분기부의 텅레일 조정장치.
  2. 삭제
KR1020080077762A 2008-08-08 2008-08-08 선로분기부의 텅레일 조정장치 KR101007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762A KR101007305B1 (ko) 2008-08-08 2008-08-08 선로분기부의 텅레일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762A KR101007305B1 (ko) 2008-08-08 2008-08-08 선로분기부의 텅레일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982A KR20100018982A (ko) 2010-02-18
KR101007305B1 true KR101007305B1 (ko) 2011-01-13

Family

ID=4208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762A KR101007305B1 (ko) 2008-08-08 2008-08-08 선로분기부의 텅레일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5830A (zh) * 2021-03-24 2021-06-22 伯恩重工机械(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调整尖轨间隙的矫正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6904U (ko) 1977-12-21 1979-07-09
JPS6327503U (ko) 1986-08-02 1988-02-23
JPH09302602A (ja) * 1996-05-20 1997-11-25 Sugawara Kogyo Kk 線路の軌間調整装置
KR20020015821A (ko) * 2000-08-23 2002-03-02 한규환 회전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6904U (ko) 1977-12-21 1979-07-09
JPS6327503U (ko) 1986-08-02 1988-02-23
JPH09302602A (ja) * 1996-05-20 1997-11-25 Sugawara Kogyo Kk 線路の軌間調整装置
KR20020015821A (ko) * 2000-08-23 2002-03-02 한규환 회전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982A (ko)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8231B2 (ja) 調整可能なキャリッジを持つ吊上装置
US10808363B2 (en) Maintenance vehicle
EP2216440A1 (en) Wheel guard apparatus
JP2007247328A (ja) 軌間整正器
US7677177B2 (en) Device for the disassembly of rail anchors
US8448576B2 (en) Tamping machine
EP2607148B1 (en) Clamp for suspending a section of a rigid catenary
KR101007305B1 (ko) 선로분기부의 텅레일 조정장치
CN105855335A (zh) 一种钢管弯管机
JP7141034B2 (ja) 被締付部材の緊解機、及びソケット
KR101588228B1 (ko)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AU2007278566A1 (en) Maintenance vehicle
US20060130697A1 (en) Device for installing rail clamps
US9309629B2 (en) Roller assembly for a railway switch
EP3567160B1 (en) Temporary switch
KR100984846B1 (ko) 선로전환장치용 기억쇠
CN215364431U (zh) 用于自动扶梯的延长轨的固定装置和自动扶梯
CN114687259A (zh) 用于轨道工作装置的对位机构以及轨道工作装置
JP4809976B2 (ja) 乗客コンベア
JP2015143456A (ja) レール間幅規定装置
KR200357138Y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
CN211075900U (zh) 下接式减速顶
CN217327361U (zh) 多功能管片支撑台车
CN210029654U (zh) 一种电梯导轨调节固定装置
CN109530492B (zh) 一种高铁接触网铝合金部件纠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