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324A - 유압잭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잭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324A
KR20090104324A KR1020080029694A KR20080029694A KR20090104324A KR 20090104324 A KR20090104324 A KR 20090104324A KR 1020080029694 A KR1020080029694 A KR 1020080029694A KR 20080029694 A KR20080029694 A KR 20080029694A KR 20090104324 A KR20090104324 A KR 20090104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ylinder
hydraulic
ball
cylind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옥
Original Assignee
김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옥 filed Critical 김형옥
Priority to KR102008002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4324A/ko
Publication of KR20090104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26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36Load-engaging elements
    • B66F3/38Load-engaging elements adjustable relative to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2Support- or transmission me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유압잭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는 지면이나 중량물과의 밀착면이 비스듬히 경사진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 및 리프팅로드가 전도되지 않도록 직립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고자, 본 발명은 대차에 설치하여 직립하는 유압실린더(30)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공급수단(20)과, 제어판넬(25)이 구비된 유압잭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0)는 본체프레임(12)의 일측 실린더프레임(14) 및 가이드(15)에 조립하여 하단 베이스판(32)과 결합된 복귀스프링(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향 밀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30)의 하단부와 베이스판(32)의 중심부가 볼(31) 및 볼시트(33)로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리프팅로드(36)의 상단부에 조립하여 중량물(W)에 밀착되는 새들(38)의 중심부가 볼(42) 및 볼시트(37)로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잭, 유압실린더, 새들, 베이스판, 유압공급수단.

Description

유압잭 리프트장치{Lifter of oiljack}
본 발명은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유압잭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는 지면이나 중량물과의 밀착면이 비스듬히 경사진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 및 리프팅로드에 무리를 주거나 전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직립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유압잭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잭을 이용한 리프트장치는, 유압을 이용한 잭(Jack)으로서 주로, 조선 및 선박, 차량, 중장비, 금속부재, 화물 등 (이하 '중량물'이라 통칭함)과 같이 과중한 무게의 중량물을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리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유압잭 리프트장치는 예컨대, 조선 및 선박의 건조과정에 있어서, 블럭과 같이 부피가 크거나 과중한 중량물을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리거나 또는 아래로 바쳐야 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유압잭 리프트장치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유압실린더를 대차에 장착하여 작업장소로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대차의 본체프레임에 상/하로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공급수단과, 제어부 등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유압잭 리프트장치로서 과중한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유압실린더가 직립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중량물을 상승시켜야 한다. 하지만, 위에서 예시한 종래기술의 유압잭 리프트장치는 바닥면(G)이나 중량물(W)이 비스듬히 경사진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가 경사면을 따라 비스듬한 상태로 기울여진 상태로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유압실린더가 비스듬한 상태로 작동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게 되면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유압실린더의 기울여진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밀착면이 미끄러지거나 실린더가 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가 대차로 지지되어져 있어서 더욱더 쉽게 넘어지는 단점으로 작용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쐐기를 끼워 하부 바퀴를 고정하는 번거로움과 작업시간을 지연 및 작업효율을 저해하는 단점을 유발하며, 이 또한 리프트장치가 전도되는 위험을 해소하기에는 미흡한 바 있었다.
이때, 상기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유압실린더 및 리프트장치가 손상되거나 심하게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상기 중량물의 아래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등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점으로 인해 시급한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유압잭 리프트장치는, 대차에 설치하여 직립하는 유압실린더(30)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공급수단(20)과, 제어판넬(25)이 구비된 유압잭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0)는 본체프레임(12)의 일측 실린더프레임(14) 및 가이드(15)에 조립하여 하단 베이스판(32)과 결합된 복귀스프링(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향 밀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30)의 하단부와 베이스판(32)의 중심부가 볼(31) 및 볼시트(33)로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리프팅로드(36)의 상단부에 조립하여 중량물(W)에 밀착되는 새들(38)의 중심부가 볼(42) 및 볼시트(37)로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새들(38)의 중심부에 마련된 유동구멍(H)은 리프팅로드(3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볼트(45)가 걸쳐지는 걸림턱(44)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압잭 리프트장치는, 리프트장치의 이동은 물론 작업위치에 설치가 간편하며, 안정적으로 직립한 상태에서 신속하게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트장치가 위치하는 작업장의 바닥면이나, 또는 중량물 의 접촉면이 비스듬히 경사진 경우에도 상기의 유압실린더와 리프팅로드가 안정적인 직립상태로 유지됨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과제들을 일소에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단 베이스판과 리프팅로드의 상단 새들이 바닥면이나 중량물의 경사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상기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작동함으로 상기 유압실린더가 유압의 작용력을 최적화함은 물론 장치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압잭 리프트장치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잭 리프트장치를 부분 단면으로 나타탠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와, 도 3a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유압잭 리프트장치는 대차에 설치하여 직립하는 유압실린더(30)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공급수단(20)과, 제어판넬(25)이 구비된 유압잭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0)는 본체프레임(12)의 일측 실린더프레임(14) 및 가이드(15)에 조립하여 하단 베이스판(32)과 결합된 복귀스프링(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향 밀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30)의 하단부와 베이스판(32)의 중심부가 볼(31) 및 볼시트(33)로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리프팅로드(36)의 상단부에 조립하여 중량물(W)에 밀착되는 새들(38, Saddle)의 중심부가 볼(31,42) 및 볼시트(31,42)로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새들(38)의 중심부에 마련된 유동구멍(H)은 리프팅로드(3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볼트(45)가 걸쳐지는 걸림턱(44)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대차(10)는 본체프레임(12)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바퀴들을 장착하고 이동 및 운전이 용이하도록 일측 후방에 손잡이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2)에는 일측 전방에 유압실린더(30)를 지지하는 실린더프레임(14)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프레임의 상부에는 리프팅로드의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36)가 상향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프레임(14)의 일측에 유압공급수단(20)과 제어판넬(25)이 설치된다. 상기 유압공급수단(20)은 유체저장용기 내지는 유압모터와 밸브장치 등으로 구성하고 유압호스(22)를 통해 유압실린더(30)와 연결하여 유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압실린더(30)는 하단부에 구비된 베이스판(32)이 실린더를 바치고 있고, 상기 베이스판(32)은 가장자리부에 결합된 고정구(42)에 복귀스프링(40)이 상향 결합되며, 상기 복귀스프링(40)의 타측 단부와 결합된 조절볼트(44)는 상기 실린더프레임(14)의 내측에 설치된 고정대(45)와 조립된다. 상기 복귀스프링(40)은 고정대와 체결하는 조절볼트(44) 및 너트에 의해 탄성복원력이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30)의 하단 중앙부에 볼록하게 돌출된 볼(31)을 형성하고, 베이스판(32)에는 상기 볼이 대응하도록 오목한 볼시트(33)가 형성되어 서로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이 임의의 각도로 비스듬히 기울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볼시트의 둘레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커버(34)가 설치된다.
상기 유압실린더의 리프팅로드(36)는 유압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며, 상단부에는 새들(40)이 구비된다.
상기 새들(40)은 아래로 볼록한 볼(42)을 형성하고 상기 리프팅로드의 상단에 상기 볼과 대응하도록 오목한 볼시트(37)가 형성되어 서로 미끄럼 접촉하도록 볼트로 조립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여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새들(40)에는 중심부에 마련된 유동구멍(H)을 통해 볼트(45)를 삽입하여 리프팅로드와 나사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유동구멍(H)은 내측에 걸림턱(44)를 형성하고 볼트머리가 걸쳐지도록 하여 상기 리프팅로드(3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압잭 리프트장치는 이어지는 작동상태의 설명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잭 리프트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유압잭 리프트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W)을 들어올리고자, 먼저 상기 대차를 이동하여 중량물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30)는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위로 당겨진 상태로 지면과 적정한 간격을 두고 있다.
다음, 상기 제어판넬의 조작구(25a)에 의해 유압공급수단(20)이 작동시키면 상기 리프팅로드(36)가 상승하면서 새들(38)이 중량물의 밑면과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유압실린더(30)가 밀려 내려가며, 이어 상기 베이스판(32)이 바닥면(G)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복귀스프링(40)이 길어지면서 탄성복원력이 작용한다.
여기서, 상기의 바닥면(G)이 도면에서처럼 비스듬한 경우, 상기 베이스판(32)이 볼(31) 및 볼시트(33)에 의해 미끄럼 접촉함으로 바닥면에 비스듬히 밀착되면서 상기 유압실린더(30)가 수직으로 직립한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본체프레임(12)의 전방이 들리면서 수평이 유지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유압실린더(30)가 직립한 상태에서 리프팅로드(36)가 중량물(W)을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린. 이때, 상기 새들(38)은 도면에서처럼, 중량물(W)이 비스듬하게 위치한 경우, 상기 리프팅로드와 볼(42)과 볼시트(37)에 의해 미끄럼 접촉하면서 중량물의 밀촉면을 따라 비스듬히 기울여진다.
여기서, 상기 유동구멍(H)은 새들(40)이 기울여지면서 볼트(45)와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을 두어 새들의 작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다.
역으로, 상기 조작구(25a)로서 유압공급수단(20)의 유압을 해제하면 상기 리프팅로드(36)가 하강하여 복귀되며, 동시에 상기 복귀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위로 당겨져 지면으로부터 이탈하여 복귀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리프팅로드(36)가 하강 복귀시 자중에 의해 하강복귀하거나 또는 상기 유압공급수단에 의해 유압실린더로부터 유압을 강제로 해제 시켜 신속하게 복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유압잭 리프트장치는 유압실린더가 안착하는 바닥면(G)이나 중량물(W)이 비스듬한 임의의 각도로 경사진 경우에도 항상 상기 유압실린더(30)와 리프팅로드(36)를 직립하는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함으로, 상기의 유압실린더로 하여금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유압의 작용력을 최적화함은 물론 장치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압잭 리프트장치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잭 리프트장치를 부분 단면으로 나나탠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3a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잭 리프트장치의 사용상태도.

Claims (2)

  1. 대차에 설치하여 직립하는 유압실린더(30)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공급수단(20)과, 제어판넬(25)이 구비된 유압잭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0)는 본체프레임(12)의 일측 실린더프레임(14) 및 가이드(15)에 조립하여 하단 베이스판(32)과 결합된 복귀스프링(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향 밀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30)의 하단부와 베이스판(32)의 중심부가 볼(31) 및 볼시트(33)로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리프팅로드(36)의 상단부에 조립하여 중량물(W)에 밀착되는 새들(38)의 중심부가 볼(42) 및 볼시트(37)로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잭 리프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38)의 중심부에 마련된 유동구멍(H)은 리프팅로드(3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볼트(45)가 걸쳐지는 걸림턱(44)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잭 리프트장치.
KR1020080029694A 2008-03-31 2008-03-31 유압잭 리프트장치 KR20090104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694A KR20090104324A (ko) 2008-03-31 2008-03-31 유압잭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694A KR20090104324A (ko) 2008-03-31 2008-03-31 유압잭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324A true KR20090104324A (ko) 2009-10-06

Family

ID=4153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694A KR20090104324A (ko) 2008-03-31 2008-03-31 유압잭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432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29B1 (ko) * 2013-03-04 2014-11-03 이문희 산업용 구조물의 유압 잭 업 장치 및 상기 유압 잭 업 장치에 적용되는 승강 유압 실린더의 하부 받침 유닛
KR20170001825U (ko) 2015-11-17 2017-05-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KR20190057943A (ko) * 2017-11-21 2019-05-29 (주)효원엔브이 고소 작업 장치
KR102028385B1 (ko) * 2018-12-28 2019-11-04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상하부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유압 램 장치
KR102021850B1 (ko) * 2018-12-28 2019-11-04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시스템
WO2022080584A1 (ko) * 2020-10-16 2022-04-21 주식회사 오케이오 다단 하중조절형 이동대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29B1 (ko) * 2013-03-04 2014-11-03 이문희 산업용 구조물의 유압 잭 업 장치 및 상기 유압 잭 업 장치에 적용되는 승강 유압 실린더의 하부 받침 유닛
KR20170001825U (ko) 2015-11-17 2017-05-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KR20190057943A (ko) * 2017-11-21 2019-05-29 (주)효원엔브이 고소 작업 장치
KR102028385B1 (ko) * 2018-12-28 2019-11-04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상하부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유압 램 장치
KR102021850B1 (ko) * 2018-12-28 2019-11-04 주식회사 화인코리아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시스템
WO2022080584A1 (ko) * 2020-10-16 2022-04-21 주식회사 오케이오 다단 하중조절형 이동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4324A (ko) 유압잭 리프트장치
US7690408B2 (en) Workbench for power tool
SE514876C2 (sv) Arrangemang för hantering av en last
KR101645900B1 (ko) 대차휠용 베어링 압입장치
US8740190B2 (en) Vehicle support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CN208008394U (zh) 一种用于汽车维修的四柱液压举升机
KR200455158Y1 (ko) 부재 취부용 유압잭
US3165295A (en) Heavy duty jack
US4119327A (en) Lever for motorcycle center stand
US20200102762A1 (en) Positioner for mobile work platforms
CN212578506U (zh) 阀门装配台
CN109098425B (zh) 一种钢梁操作台连接结构
CN212144487U (zh) 一种带位置检测的承载罐座
CN211076151U (zh) 一种便于调节高度的自行车新型车座
CN211571625U (zh) 一种码头护舷安装平台
US7225900B2 (en) Motorcycle lift
KR101955416B1 (ko) 중장비를 이용하여 승강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선미 축/타계 작업대
CN109795960B (zh) 一种高位运送顶
JP5427376B2 (ja) 荷受台昇降装置
KR200390767Y1 (ko) 궤도차량 현수 장착장치
JP2006335530A (ja) 作業用リフト装置
KR100991331B1 (ko) 지게차 리프트 실린더 고정장치
JP3383216B2 (ja) 荷重支持装置
CN210101685U (zh) 一种发动机缸体上下翻转架的升降车结构
CN220182718U (zh) 一种便携式撬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