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697B1 -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697B1
KR101468697B1 KR1020130047977A KR20130047977A KR101468697B1 KR 101468697 B1 KR101468697 B1 KR 101468697B1 KR 1020130047977 A KR1020130047977 A KR 1020130047977A KR 20130047977 A KR20130047977 A KR 20130047977A KR 101468697 B1 KR101468697 B1 KR 101468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rotation
contact angle
signal
hydraul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553A (ko
Inventor
정민영
Original Assignee
전진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중공업(주) filed Critical 전진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30047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69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 E04G21/0463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with boom control mechanisms, e.g. to automate concrete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mixed concrete, e.g. having rotatable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을 발생하는 유압 발생부와, 붐 우회전 신호, 붐 좌회전 신호, 붐 하강 신호 및 붐 상승 신호 각각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유압 발생부가 발생한 유압으로 붐 우회전 유압, 붐 좌회전 유압, 붐 하강 유압 및 붐 상승 유압 각각을 출력하도록 복수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여 붐을 우회전, 좌회전, 하강 및 상승시키게 하는 붐 회전/승강 유압출력부와, 상기 붐 또는 붐 실린더가 미리 설정된 캐빈 간섭영역 이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캐빈 간섭영역 검출부와, 상기 캐빈 간섭영역 검출부가, 상기 붐 또는 붐 실린더가 미리 설정된 캐빈 간섭영역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붐 우회전 신호, 상기 붐 좌회전 신호 및 상기 붐 하강 신호가 상기 붐 회전/승강 유압출력부로 입력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붐 회전/하강 신호 차단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boom in concrete pump car}
본 발명은 콘크리트 펌프 차량에 구비된 붐을 회전 및 승강시키면서 작업자의 조작 미숙 등으로 인하여 붐 또는 붐 실린더가 캐빈(Cabin)과 충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펌프 차량은 고객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트럭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레미콘 차량으로부터 배합 콘크리트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배합 콘크리트를, 드라이브 실린더를 왕복 운동시키면서 붐을 통해 소정의 타설 위치까지 압송(壓送)한다.
상기 콘크리트 펌프 차량에서 운전자 및 조수 등이 탑승하는 캐빈의 높이는 상기 차량의 제조회사에 따라 상이하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적재함 위치에는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에 붐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붐이 좌우로 회전되며,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붐의 사이에는 붐 실린더가 설치되어 상기 붐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상기 붐이 상하로 승강되게 구성되어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46005호 참조).
이러한 콘크리트 펌프 차량은 통상적으로 상기 붐을 캐빈이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압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붐 및 붐 실린더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붐 실린더를 구동시켜 붐을 승강시킬 경우에 캐빈의 높이에 따라 붐 또는 붐 실린더가 캐빈과 충돌하여 물적사고 및 인적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붐의 위치를 캐빈의 위치보다 높게 위치시키면 되나, 차량의 높이는 4m 이하로 제한하는 규정이 있으므로 구조물의 설계 변경만으로 붐 또는 붐 실린더가 캐빈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46005호(2000. 07. 25.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붐을 회전 또는 승강시킬 경우에 붐 또는 붐 실린더가 캐빈과 간섭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붐 또는 붐 실린더가 캐빈을 간섭할 경우에 붐이 회전 및 하강되지 않도록 제한하여 붐 또는 붐 실린더가 캐빈과 충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는, 유압을 발생하는 유압 발생부와, 붐 우회전 신호, 붐 좌회전 신호, 붐 하강 신호 및 붐 상승 신호에 따라 각각 구동되면서, 상기 유압 발생부가 발생한 유압으로 붐 우회전 유압, 붐 좌회전 유압, 붐 하강 유압 및 붐 상승 유압 각각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여 붐이 우회전, 좌회전, 하강 및 상승되게 하는 붐 회전/승강 유압출력부와, 상기 붐 또는 붐 실린더가 미리 설정된 캐빈 간섭영역 이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캐빈 간섭영역 검출부와, 상기 캐빈 간섭영역 검출부가, 상기 붐 또는 붐 실린더가 미리 설정된 캐빈 간섭영역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붐 우회전 신호, 상기 붐 좌회전 신호 및 상기 붐 하강 신호가 상기 붐 회전/승강 유압출력부로 입력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붐 회전/하강 신호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빈 간섭영역 검출부는, 미리 회전접촉 각도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붐이 상기 회전접촉 각도 영역 이내에 위치할 경우에 접속되는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와, 미리 하강접촉 각도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붐이 하강하면서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이내에 위치할 경우에 접속되는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는, 회전각도 검출영역 검출센서와, 상기 붐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에 설치되고, 상기 붐이 상기 회전접촉 각도영역 이내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회전각도 검출영역 검출센서가 검출하는 감지부재와, 상기 붐이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이내로 하강할 경우에 접속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붐 회전/하강 신호 차단부는, 상기 캐빈 간섭영역 검출부가, 상기 붐 또는 상기 붐 실린더가 미리 설정된 캐빈 간섭영역 이내에 위치하였음을 검출할 경우에 구동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가 구동될 경우에 상기 붐 우회전 신호, 상기 붐 좌회전 신호 및 상기 붐 하강 신호가 상기 붐 회전/승강 유압출력부로 입력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복수 개의 릴레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에 따르면, 붐 또는 붐 실린더가 회전하면서 캐빈과 접촉할 수 있는 회전접촉 각도영역과, 붐이 하강하면서 붐 또는 붐 실린더가 캐빈과 접촉할 수 있는 하강접촉 각도영역을 미리 설정한다.
그리고 붐을 회전시킬 경우에 붐 또는 붐 실린더가 회전접촉 각도영역 이내에 위치하고, 또한 붐을 하강시켜 하강접촉 각도영역 이내에 위치할 경우에 붐 회전 신호 및 붐 하강신호를 차단한다.
그러므로 붐을 회전 및 승강시키면서 붐 또는 붐 실린더가 캐빈과 충돌하여 물적사고 및 인적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붐 제어장치에서 턴테이블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붐 제어장치에서 붐의 하강 각도를 검출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붐 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붐 제어장치에서 턴테이블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부호 100은 콘크리트 펌프 차량이다. 예를 들면, 상기 콘크리트 펌프 차량(100)은 트럭으로서 전방에는 운전사 및 조수 등이 탑승할 수 있는 캐빈(110)이 설치되고, 후방의 적재함에는 턴테이블(120)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턴테이블(120)에 붐(130)의 일단이 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붐(130)이 회전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펌프 차량(100)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턴테이블(120)이 구동되어 상기 붐(130)을 회전시킬 경우에 상기 붐(130) 또는 상기 붐(130)을 승강시키는 붐 실린더(200; 도 2b 참조)가 상기 캐빈(110)과 접촉할 수 있는 회전접촉 각도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120)의 인접 위치에 하나의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140)를 고정하고, 상기 턴테이블(120)에는 감지부재(150)를 설치하여, 상기 턴테이블(120)이 회전하면서 상기 붐(130) 또는 상기 붐 실린더(200)가 상기 회전접촉 각도영역 내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140)가 상기 감지부재(150)를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턴테이블(120)에는 감지부재(150)를 설치하여 상기 턴테이블(120)과 함께 회전되게 하고, 상기 턴테이블(120)의 인접 위치에 상기 캐빈접촉 회전각도영역 검출센서(140)로 근접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턴테이블(120)이 상기 붐(13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붐(130)이 상기 회전접촉 각도영역 내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140)가 상기 감지부재(150)를 검출할 수 있게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붐 제어장치에서 붐의 하강 각도를 검출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붐 실린더(200)가 구동되어 붐(130)을 하강시킬 경우에 상기 붐(130) 또는 상기 붐 실린더(200)가 캐빈(110)과 접촉할 수 각도부터 상기 붐 실린더(200)가 붐(130)을 최저로 하강시킬 수 있는 각도의 범위를 하강접촉 각도영역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붐(130)의 일단이 연결되는 턴테이블(120)에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210)를 구비하여 상기 붐(130)이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이하로 하강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210)는 리미트 스위치로서 상기 붐(130)이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이하로 하강할 경우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접속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붐 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붐 제어장치는, 유압 구동부(300)와, 붐 회전/승강 유압출력부(310)와, 캐빈 간섭영역 검출부(320)와, 붐 회전/하강 신호차단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 구동부(300)는 붐(130)을 우회전, 좌회전, 하강 및 상승시키기 위한 유압을 발생한다.
상기 붐 회전/하강 유압출력부(310)는, 복수 개의 솔레노이드 유압밸브(312, 314, 316, 318)를 구비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유압밸브(312)는 붐 우회전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붐(130)을 우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로 붐 우회전 유압을 출력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유압밸브(314)는 붐 좌회전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붐(130)을 좌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로 붐 좌회전 유압을 출력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유압밸브(316)는 붐 하강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붐(130)을 하강시키는 액추에이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로 붐 하강 유압을 출력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유압밸브(318)는 붐 상승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붐(130)을 상승시키는 액추에이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로 붐 상승 유압을 출력한다.
상기 캐빈 간섭영역 검출부(320)는 붐(130) 또는 붐 실린더(200)가 캐빈(110)과 접촉할 수 있는 회전접촉 각도영역 및 하강접촉 각도영역 이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2) 및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2)는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140)가 감지부재(150)를 검출할 경우에 접속된다.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4)는,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210)가, 상기 붐(130)이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이하로 하강하였음을 검출할 경우에 검출할 경우에 접속된다.
상기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2) 및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4)는 전원단자(Vcc)에 직렬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2) 및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4)가 모두 접속될 경우에 상기 전원단자(Vcc)의 직류전력이 상기 붐 회전/하강 신호차단부(330)로 출력된다.
상기 붐 회전/하강 신호차단부(330)는 릴레이(RY)와, 상기 릴레이(RY)의 구동에 따라 스위칭되는 복수 개의 릴레이 스위치(RYS1, RYS2, RYS3)를 구비한다.
상기 릴레이(RY)는, 상기 캐빈 검출영역 검출부(320)가, 상기 붐(130) 또는 붐 실린더(200)가 캐빈(110)과 접촉할 수 있는 회전접촉 각도영역 및 하강접촉 각도영역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할 경우에 구동되고, 상기 릴레이(RY)가 구동될 경우에 상기 릴레이 스위치(RYS1, RYS2, RYS3)가 개방되어, 붐 우회전 신호, 붐 좌회전 신호 및 붐 하강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붐 회전/하강 유압출력부(310)로 입력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붐 제어장치는 전원단자(Vcc)에 동작전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붐(130) 또는 붐 실린더(200)가 캐빈 간섭영역 즉, 회전접촉 각도영역 또는 하강접촉 각도영역 이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 캐빈 검출영역 검출부(320)의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2)와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4)가 모두 접속되지 않는다.
그러면, 상기 전원단자(Vcc)의 동작전력이 붐 회전/하강 신호차단부(330)의 릴레이(RY)에 인가되지 못하여 상기 릴레이(RY)가 구동되지 않고, 릴레이 스위치(RYS1, RYS2, RYS3)는 모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붐 우회전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입력된 붐 우회전 신호는 릴레이 스위치(RYS1)를 통해 붐 회전/승강 유압출력부(310)의 솔레노이드 밸브(312)에 인가되므로 솔레노이드 밸브(312)가 구동되어 개방되고, 유압 구동부(300)에서 출력되는 유압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12)를 통해 붐 우회전 유압으로 출력되어 붐(130)을 우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붐 좌회전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입력된 붐 좌회전 신호는 릴레이 스위치(RYS2)를 통해 붐 회전/승강 유압출력부(310)의 솔레노이드 밸브(314)에 인가되므로 솔레노이드 밸브(314)가 구동되어 개방되고, 유압 구동부(300)에서 출력되는 유압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14)를 통해 붐 좌회전 유압으로 출력되어 붐(130)을 좌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붐 하강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입력된 붐 하강 신호는 릴레이 스위치(RYS3)를 통해 붐 회전/승강 유압출력부(310)의 솔레노이드 밸브(316)에 인가되므로 솔레노이드 밸브(316)가 구동되어 개방되고, 유압 구동부(300)에서 출력되는 유압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16)를 통해 붐 하강 유압으로 출력되어 붐(130)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붐 우회전 신호 또는 붐 좌회전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312)(314)가 구동되어 붐 우회전 유압 또는 붐 좌회전 유압이 출력되고, 출력된 붐 우회전 유압 또는 붐 좌회전 유압에 따라 턴테이블(120)이 우회전 또는 좌회전하여 붐(130) 또는 붐 실린더(200)가 회전접촉 각도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140)가 감지부재(150)를 감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2)가 접속된다.
그리고 붐 하강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316)가 구동되어 붐 하강 유압이 출력되고, 출력된 붐 하강 유압에 따라 붐 실린더(200)가 구동되어 붐(130)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붐(130)이 계속 하강하여 하강각도 접촉영역 이내에 위치하면,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210)가 상기 붐(130)의 하강을 검출하여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4)가 접속된다.
이와 같이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2) 및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4)가 모두 접속되면, 전원단자(Vcc)의 직류전력이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2) 및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4)를 통해 릴레이(RY)에 인가되므로 릴레이(RY)가 구동되고, 릴레이(RY)의 구동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RYS1, RYS2, RYS3)가 모두 개방된다.
그러면, 붐 우회전 신호, 붐 좌회전 신호 및 분 하강 신호가 입력되어도 상기 릴레이 스위치(RYS1, RYS2, RYS3)에 의해 차단되어 솔레노이드 밸브(312, 314, 316)가 구동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붐 우회전 유압, 붐 좌회전 유압 및 붐 하강 유압이 출력되지 않아 붐(130)의 우회전, 붐(130)의 좌회전 및 붐(130)의 하강 동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붐 상승 신호가 입력되면, 솔레노이드 밸브(318)가 구동되어 붐 상승 유압이 출력되고, 이로 인하여 붐 실린더(200)가 구동되면서 붐(130)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붐(130)이 상승하게 되면,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210)가 상기 붐(130)을 검출하지 못하여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4)가 개방되고,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324)의 개방에 따라 릴레이(RY)가 구동되지 못하면서 릴레이 스위치(RYS1, RYS2, RYS3)가 접속되며, 이로 인하여 붐 우회전 신호에 따라 붐 우회전 유압이 출력되어 붐(130)을 우회전시키고, 붐 좌회전 신호에 따라 붐 좌회전 유압이 출력되어 붐(130)을 좌회전시키며, 붐 하강 신호에 따라 붐 하강 유압이 출력되어 붐(130)을 하강시키며, 붐 상승 신호에 따라 붐 상승 유압이 출력되어 붐(13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콘크리트 펌프 차량 110 : 캐빈
120 : 턴테이블 130 : 붐
140 :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150 : 감지부재
200 : 붐 실린더 210 :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300 : 유압 구동부 310 : 붐 회전/승강 유압출력부
312, 314, 316, 318 : 솔레노이드 밸브
320 : 캐빈 간섭영역 검출부
322 :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
324 :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
330 : 붐 회전/하강 신호차단부
RY : 릴레이 RYS1, RYS2, RYS3 : 릴레이 스위치

Claims (4)

  1. 유압을 발생하는 유압 발생부;
    붐 우회전 신호, 붐 좌회전 신호, 붐 하강 신호 및 붐 상승 신호에 따라 각각 구동되면서, 상기 유압 발생부가 발생한 유압으로 붐 우회전 유압, 붐 좌회전 유압, 붐 하강 유압 및 붐 상승 유압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여 붐을 우회전, 좌회전, 하강 및 상승시키게 하는 붐 회전/승강 유압출력부;
    상기 붐 또는 붐 실린더가 미리 설정된 캐빈 간섭영역 이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캐빈 간섭영역 검출부; 및
    상기 캐빈 간섭영역 검출부가, 상기 붐 또는 붐 실린더가 미리 설정된 캐빈 간섭영역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붐 우회전 신호, 상기 붐 좌회전 신호 및 상기 붐 하강 신호가 상기 붐 회전/승강 유압출력부로 입력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붐 회전/하강 신호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빈 간섭영역은,
    상기 붐 또는 붐 실린더가 회전하면서 캐빈과 접촉하게 되는 회전접촉 각도영역; 및
    상기 붐 실린더에 의해 상기 붐이 하강하면서 상기 캐빈과 접촉하게 되는 하강 접촉 각도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캐빈 간섭영역 검출부는,
    상기 붐이 상기 회전접촉 각도 영역 이내에 위치할 경우에 접속되는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 및
    상기 붐이 하강하면서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이내에 위치할 경우에 접속되는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는,
    상기 회전각도 검출영역을 검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회전각도 검출영역 검출센서; 및
    상기 붐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에 설치되고, 상기 붐이 상기 회전접촉 각도영역 이내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회전각도 검출영역 검출센서가 검출하는 감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는,
    상기 붐이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이내로 하강할 경우에 접속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붐 회전/하강 신호 차단부는,
    상기 회전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 및 상기 하강접촉 각도영역 검출센서 스위치가 모두 접속될 경우에 구동되는 릴레이; 및
    상기 릴레이가 구동될 경우에 상기 붐 우회전 신호, 상기 붐 좌회전 신호 및 상기 붐 하강 신호가 상기 붐 회전/승강 유압출력부로 입력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복수 개의 릴레이 스위치;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
KR1020130047977A 2013-04-30 2013-04-30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 KR101468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977A KR101468697B1 (ko) 2013-04-30 2013-04-30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977A KR101468697B1 (ko) 2013-04-30 2013-04-30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553A KR20140129553A (ko) 2014-11-07
KR101468697B1 true KR101468697B1 (ko) 2014-12-05

Family

ID=52454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977A KR101468697B1 (ko) 2013-04-30 2013-04-30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6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060A (ko) * 2007-12-28 2009-07-0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회전각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탑승교
KR20110013013A (ko)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에버다임 콘크리트 펌프트럭의 전복 방지 안전시스템
KR101025702B1 (ko) * 2010-12-27 2011-03-30 엄홍식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060A (ko) * 2007-12-28 2009-07-0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회전각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탑승교
KR20110013013A (ko)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에버다임 콘크리트 펌프트럭의 전복 방지 안전시스템
KR101025702B1 (ko) * 2010-12-27 2011-03-30 엄홍식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553A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0319B1 (en) Construction machine
KR102412577B1 (ko) 작업기계
KR20110062193A (ko) 휠로더 버켓의 풀 크라우드 디텐트 장치
CN101775774B (zh) 路面铣刨机前出料门离地高度自适应控制装置
KR101468697B1 (ko)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
JP6719863B2 (ja) 作業機械
JP2003322112A (ja) 建設機械の異常検出装置
KR100473238B1 (ko) 건설기계용유압시스템및그제어방법
JPWO2017164371A1 (ja) 油圧システム
KR101518056B1 (ko) 건설기계의 붐 위치 제어시스템
JP2017171012A (ja) 油圧作業車
JPH0617452A (ja) バックホウ
JP2011050322A (ja) トラクタ
JP2010143727A (ja) 建設機械の干渉防止装置
JP3729029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重検出装置
KR200258121Y1 (ko) 차량용 리프트장치
KR102327297B1 (ko) 전동 지게차의 펌프모터 제어장치
CN106467053B (zh) 一种车辆
JP6468950B2 (ja) 地盤改良機
KR200389671Y1 (ko) 휠로더의 붐하강 충격저감장치
JP3290735B2 (ja) バックホウ
KR20090030574A (ko) 상부선회체의 충돌방지용 안전장치를 갖는 굴삭기
JP2000063099A (ja)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JPH0819691B2 (ja) 積み込み作業車両の制御装置
JP6437907B2 (ja) 作業機械の信号線切換装置及び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