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784A - 고소작업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소작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784A
KR19990083784A KR1019990031770A KR19990031770A KR19990083784A KR 19990083784 A KR19990083784 A KR 19990083784A KR 1019990031770 A KR1019990031770 A KR 1019990031770A KR 19990031770 A KR19990031770 A KR 19990031770A KR 19990083784 A KR19990083784 A KR 1999008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boom
boom
bracket
coupled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1999003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3784A/ko
Publication of KR1999008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78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9Movable platforms, Load ramps, e.g.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굴절각도가 변하면서 상하방향의 높이가 조절되는 다단의 붐(Boom)으로 이루어지며, 마지막 붐의 선단에는 물건을 적재하거나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함이 설치된 고소작업 시스템에서 어느단 붐의 굴절각이 변하더라도, 다음단 붐과 탑승함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탑승함이 일정 각도범위에서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보다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상에 설치된 구동테이블상에 제자리 회동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동력의 인가방향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동되는 소정 높이의 지지부재와; 한쪽 끝이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피봇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소정 길이의 1단 붐(1段 Boom)과; 상기 1단 붐의 다른쪽 끝부분이 핀결합되는 제1브래킷과; 한쪽 끝이 상기 1단 붐의 결합위치 하부에 해당되는 지지부재의 전면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1단 붐의 저면 소정 지점에 핀결합되어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돌출 및 흡인동작에 상기 1단 붐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1유압실린더와; 한쪽 끝이 상기 제1브래킷상의 1단 붐 결합위치 상부에 피봇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소정 길이의 2단 붐(2段 Boom)과; 상기 제1브래킷과 마주하는 쪽에 위치되며 상기 2단 붐의 다른쪽 끝이 핀결합되는 제2브래킷과; 한쪽 끝이 상기 1단 붐과 2단 붐의 결합위치 사이에 해당되는 제1브래킷상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2단 붐의 저면 소정 지점에 핀결합되어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돌출 및 흡인 동작에 따라 2단 붐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2유압실린더와; 한쪽 끝이 상기 제2브래킷상의 2단붐의 결합위치에 핀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소정 길이의 3단 붐(3段 Boom)과; 한쪽 끝은 상기 2단 붐의 다른쪽 끝부분의 저면 소정 지점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3단 붐의 저면 소정 지점에 핀결합되어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돌출 및 흡인동작에 따라 3단 붐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3유압실린더와; 상기 3단 붐의 선단부외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는 제3브래킷과; 한쪽 끝이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제1브래킷의 하단외측에 핀결합된 상태에서 제1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른 1단 붐의 상방향 회동시 2단 붐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수평유지간과; 한쪽 끝이 상기 제1브래킷의 상단부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제2브래킷의 상부 소정 위치에 핀결합된 상태에서 제2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른 2단 붐의 상방향 회동시 3단 붐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수평유지간과; 한쪽 끝이 상기 제2브래킷의 상부 소정 위치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3단붐의 선단외측으로 회동되게 결합된 제3브래킷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3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른 3단 붐의 상방향 회동시 탑승함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3수평유지간과; 상기 제3브래킷의 외측면에서 제3브래킷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설치되는 탑승함받침대와; 상기 탑승함받침대상에 고정장착되는 탑승함을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아랫쪽 붐의 굴절각이 변화하더라도 윗쪽 붐과 탑승함의 수평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됨에 따라 고소작업시 탑승함에 탑승한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탑승함받침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협소한 영역에서도 보다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고소작업 시스템{SYSTEM FOR PERFORMING WORK ON A HIGH PLACE}
본 발명은 고소작업(高所作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굴절각도가 변하면서 상하방향의 높이가 조절되는 다단의 붐(Boom)으로 이루어지며,마지막 붐의 선단에는 물건을 적재하거나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함이 설치된 고소작업 시스템에서 어느단 붐의 굴절각이 변하더라도, 다음단 붐과 탑승함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탑승함이 일정 각도범위에서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보다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 시스템은 고가도로의 수리 또는 도장작업이나 고층 구조물의 시설보수작업 등과 같이 사다리높이의 한계를 벗어난 높이에서의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매우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고소작업 시스템은 붐방식, 시저어스(Scissors)방식, X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는 바, 상기 붐방식의 고소작업 시스템에서는 다단으로 결합된 각각의 붐이 유압제어에 따라 작동되는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길이변화에 따라 의하여 굴절각이 변화되면서 그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맨마지막 붐의 선단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함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붐방식의 고소작업 시스템에서는 탑승함에 탑승한 작업가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붐중 어느 하나의 붐이 각도변화되는 경우에 다음 단의 붐과 맨 마지막 단의 붐선단에 설치된 탑승함이 수평상태를 유지해야만 된다.
또한, 이동수단을 구성하는 차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탑승함에 탑승한 작업자가 보다 넓은 범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마지막 단의 붐의 선단에 설치된 탑승함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붐방식의 고소작업 시스템에서는 유압으로 제어되는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어느 단의 붐의 굴절각이 변화되는 경우에 다음 단의 붐의 수평상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높이조절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이 제대로 확보되지 못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고소작업 시스템에서는 마지막 붐의 선단에 설치된 탑승함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매우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굴절각도가 변하면서 상하방향의 높이가 조절되는 다단의 붐(Boom)으로 이루어지며,마지막 붐의 선단에는 물건을 적재하거나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함이 설치된 고소작업 시스템에서 어느단 붐의 굴절각이 변하더라도, 다음단 붐과 탑승함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탑승함이 일정 각도범위에서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보다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시스템이 차량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A"부분에 대한 확대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B"부분에 대한 확대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C"부분에 대한 확대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D"부분에 대한 확대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시스템에서 1단 붐 작동시의 2단 붐 및 탑승함받침대의 수평유지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시스템에서 2단 붐 및 3단 붐 작동시의 탑승함받침대의 수평유지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탑승함의 수평회전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6 : 구동테이블 20 : 지지부재
24 : 1단 붐 26 : 제1브래킷
30 : 제1유압실린더 32 : 2단 붐
34 : 제2브래킷 36 : 제2유압실린더
38 : 3단 붐 40 : 제3유압실린더
42 : 제3브래킷 44 : 탑승함받침대
58 : 제1수평유지간 60 : 제2수평유지간
62 : 제3수평유지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럭 등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상에 설치된 구동테이블상에 제자리 회동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동력의 인가방향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동되는 소정 높이의 지지부재와; 한쪽 끝이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피봇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소정 길이의 1단 붐(1段 Boom)과; 상기 1단 붐의 다른쪽 끝부분이 핀결합되는 제1브래킷과; 한쪽 끝이 상기 1단 붐의 결합위치 하부에 해당되는 지지부재의 전면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1단 붐의 저면 소정 지점에 핀결합되어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돌출 및 흡인동작에 상기 1단 붐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1유압실린더와; 한쪽 끝이 상기 제1브래킷상의 1단 붐 결합위치 상부에 피봇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소정 길이의 2단 붐(2段 Boom)과; 상기 제1브래킷과 마주하는 쪽에 위치되며 상기 2단 붐의 다른쪽 끝이 핀결합되는 제2브래킷과; 한쪽 끝이 상기 1단 붐과 2단 붐의 결합위치 사이에 해당되는 제1브래킷상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2단 붐의 저면 소정 지점에 핀결합되어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돌출 및 흡인 동작에 따라 2단 붐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2유압실린더와; 한쪽 끝이 상기 제2브래킷상의 2단붐의 결합위치에 핀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소정 길이의 3단 붐(3段 Boom)과; 한쪽 끝은 상기 2단 붐의 다른쪽 끝부분의 저면 소정 지점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3단 붐의 저면 소정 지점에 핀결합되어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돌출 및 흡인동작에 따라 3단 붐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3유압실린더와; 상기 3단 붐의 선단부외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는 제3브래킷과; 한쪽 끝이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제1브래킷의 하단외측에 핀결합된 상태에서 제1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른 1단 붐의 상방향 회동시 2단 붐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수평유지간과; 한쪽 끝이 상기 제1브래킷의 상단부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제2브래킷의 상부 소정 위치에 핀결합된 상태에서 제2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른 2단 붐의 상방향 회동시 3단 붐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수평유지간과; 한쪽 끝이 상기 제2브래킷의 상부 소정 위치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3단붐의 선단외측으로 회동되게 결합된 제3브래킷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3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른 3단 붐의 상방향 회동시 탑승함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3수평유지간과; 상기 제3브래킷의 외측면에서 제3브래킷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설치되는 탑승함받침대와; 상기 탑승함받침대상에 고정장착되는 탑승함을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3브래킷의 외측면과 탑승함받침대의 뒷면의 서로 어긋난 지점으로부터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며 결합시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되는 축받이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축받이에는 회동축이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탑승함받침대가 제3브래킷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회동축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판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판의 내측에는 상기 제3브래킷의 외측면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리브가 끼워져 걸리는 고정홈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수평유지간과 제2수평유지간 및 제3수평유지간은 각각 1단 붐, 2단 붐 및 3단 붐의 저면 또는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1단 붐과 제1수평유지간의 길이는 제1유압실린더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고, 2단 붐과 제2수평유지간의 길이는 제2유압실린더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3단 붐과 제3수평유지간의 길이는 제3유압실린더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시스템은 운반 및 이동성을 좋게하기 위하여 트럭 등과 같이 자유롭게 이동되는 차량(10)의 적재함(12)에 탑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량(10)의 적재함(12)상에는 모터(14) 등이 내장된 구동테이블(16)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테이블(16)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모터(14)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기어(18)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테이블(16)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지부재(20)가 설치되며, 그 지지부재(20)의 하단에는 상기 구동기어(18)와 맞물리는 일정한 크기의 평기어(22)가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0)는 모터(14)의 구동방향에 따라 제자리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되게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1단 붐(24)의 한쪽 끝부분이 외력의 작용에 따라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핀결합된다.
상기 1단 붐(24)의 다른쪽 끝부분은 평단면 구조가 대략 '??'형을 이루는 제1브래킷(26)의 중심부 내측에서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된다.
상기 1단 붐(24)의 결합위치 아랫쪽에 해당되는 지지부재(20)의 전면과 1단 붐(24)의 저면 소정 지점사이에는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28)의 돌출 및 흡인동작에 의하여 상기 1단 붐(24)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1유압실린더(30)가 핀결합된다.
상기 1단 붐(24)의 결합위치 윗쪽에 해당되는 제1브래킷(26)의 내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2단 붐(32)의 한쪽 끝부분이 외력의 작용에 따라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핀결합된다.
상기 제1브래킷(26)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제2브래킷(34)이 마련되며, 상기 제2브래킷에(34)는 2단 붐(32)의 다른쪽 끝부분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핀결합된다.
상기 1단 붐(24)과 2단 붐(32)의 결합위치 사이에 해당되는 제1브래킷(26)과 상기 2단 붐(32)의 저면 소정 지점 사이에는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28)의 돌출 및 흡인 동작에 따라 2단 붐(32)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2유압실린더(36)가 핀결합된다.
상기 제2브래킷(34)상의 2단 붐(32)의 결합위치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갖는 3단 붐(38)의 한쪽 끝이 외력의 작용에 따라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핀결합된다.
또한, 상기 2단 붐(32)의 다른쪽 끝부분의 저면 소정 지점과 3단 붐(38)의 저면 소정 지점사이에는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28)의 돌출 및 흡인동작에 따라 3단 붐(38)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3유압실린더(40)가 핀결합된다.
상기 3단 붐(38)의 선단부외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브래킷(4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핀결합되고, 상기 제3브래킷(42)의 외측면에는 탑승함받침대(44)가 제3브래킷(42)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설치되며, 상기 탑승함받침대(44)상에는 탑승함(46)이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탑승함받침대(44)는 수평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될 수 있는 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3브래킷(42)의 외측면과 탑승함받침대(44)의 뒷면의 서로 어긋난 지점으로부터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며 결합시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되는 축받이(48)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축받이(48)에는 회동축(5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탑승함받침대(44)의 설치구조에서 상기 회동축(50)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판(52)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판(52)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3브래킷(42)의 외측면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리브(54)가 끼워져 걸리는 고정홈(56)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0)의 전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압실린더(30)의 동작에 따른 1단 붐(24)의 상방향 회동시 윗쪽에 위치되는 2단 붐(32)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수평유지간(58)의 한쪽 끝이 핀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유지간(58)의 다른쪽 끝은 상기 제1브래킷(26)의 하단 외측에 핀결합된다.
상기한 제1수평유지간(58)은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나 단일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래킷(26)의 상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압실린더(36)의 동작에 따른 2단 붐(32)의 상방향 회동시 윗쪽에 위치되는 3단 붐(38)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수평유지간(60)의 한쪽 끝이 핀결합되고, 제2수평유지간(60)의 다른쪽 끝은 상기 제2브래킷(34)의 상부 소정 위치에 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브래킷(34)의 상부 소정 위치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유압실린더(40)의 동작에 따른 3단 붐(38)의 상방향 회동시 탑승함받침대(44)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3수평유지간(62)의 한쪽 끝이 핀결합되고, 상기 제3수평유지간(62)의 다른쪽 끝은 상기 3단 붐(38)의 선단외측으로 회동되게 결합된 제3브래킷(42)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수평유지간(58)과 제2수평유지간(60) 및 제3수평유지간(62)은 각각 1단 붐(24), 2단 붐(32) 및 3단 붐(38)의 저면 또는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1단 붐(24)과 제1수평유지간(58)의 길이는 제1유압실린더(3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고, 2단 붐(32)과 제2수평유지간의 길이(60)는 제2유압실린더(36)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3단 붐(38)과 제3수평유지간(62)의 길이는 제3유압실린더(4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1단 붐(24), 2단 붐(32) 및 3단 붐(38)의 길이는 탑재차량(10)의 크기 또는 작업높이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으며, 3단이상 다단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유압실린더(30), 제2유압실린더(36) 및 제3유압실린더(40)는 일반적인 유압제어방식에 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유압실린더로 향하는 유압라인은 상기 1단 붐(24), 2단 붐(32), 3단 붐(38)의 한쪽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데, 통상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또한, 상기 각각의 유압실린더는 반드시 제1유압실린더(30)→제2유압실린더(36)→제3유압실린더(40)의 순서로만 순차작동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시스템에서 1단 붐 작동시의 2단 붐 및 탑승함받침대의 수평유지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탑승함(46)을 작업위치까지 높이기 위하여 제1유압실린더(30)를 작동시키면, 제1유압실린더(30)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로드(28)가 점차적으로 돌출됨에 따라 1단 붐(24) 전체가 지지부재(20)상의 핀결합부를 회전중심점으로 하여 점점 상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1단 붐(24)의 반대쪽 끝부분과 2단 붐(32)의 한쪽 끝부분이 결합된 제1브래킷(26)이 동일방향으로 함께 회전된다.
그러나, 상기 제1브래킷(26)의 하단과 지지부재(20)사이에 결합된 제1수평유지간(58)의 길이가 원래의 길이에 제1유압실린더(30)상의 피스톤로드(28)의 작동거리가 더해진 길이를 갖는 1단 붐(24)의 길이에 비하여 짧아지는 결과가 되어 2단 붐(32)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브래킷(26)상에 결합된 1단 붐(24)과 2단 붐(32)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점차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은 제1유압실린더(30)를 반대로 작동시켜 1단 붐(24)을 아랫쪽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수평유지간(58)이 수평유지작용을 하기 때문에 제1유압실린더(30)의 작동에 따라 1단 붐(24)이 상하방향으로 굴절되더라도 2단 붐(32)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2단 붐(32)의 선단에 핀결합된 3단 붐(38)은 초기에 2단 붐(32)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3단 붐(38)의 선단 외측에 접혀진 제3브래킷(42)상에 결합된 탑승함받침대(44)는 3단 붐(38)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면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3유압실린더(40)만을 작동시키면, 피스톤로드(28)의 돌출작용에 따라 3단 붐(38)이 제2브래킷(34)상의 핀결합부를 회동중심점으로 하여 점점 상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펼쳐진다.
이상태에서는 상기 제3수평유지간(62)이 상기 제3브래킷(48)을 3단 붐(38)의 선단쪽으로 밀어주는 결과가 되고, 상기 제3브래킷(48)이 3단 붐(38)의 외측에 접혀져 있던 상태로부터 펼쳐짐에 따라 탑승함받침대(44)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시스템에서 2단 붐 및 3단 붐 작동시의 탑승함받침대의 수평유지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단 붐(24)을 상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탑승함(46)을 보다 더 높은 작업위치까지 높이기 위하여 제2유압실린더(36)를 작동시키면, 제2유압실린더(36)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로드(28)가 점차적으로 돌출됨에 따라 2단 붐(32) 전체가 제1브래킷(26)상의 핀결합부를 회전중심점으로 하여 점점 상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3유압실린더(40)를 작동시키면, 피스톤로드(28)의 돌출작용에 따라 3단 붐(38)이 제2브래킷(34)상의 핀결합부를 회동중심점으로 하여 점점 상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펼쳐진다.
이상태에서는 상기 제3수평유지간(62)이 상기 제3브래킷(42)을 3단 붐(38)의 선단쪽으로 밀어주는 결과가 되고, 상기 제3브래킷(42)이 3단 붐(38)의 외측에 접혀져 있던 상태로부터 펼쳐짐에 따라 탑승함받침대(44)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 8은 탑승함의 수평회전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탑승함(46)에 탑승한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면, 상기 탑승함받침대(44)가 그 회동축(50)을 중심으로하여 수평회전됨에 따라 탑승함(46) 전체가 수평회동되는 결과가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아랫쪽 붐의 굴절각이 변화하더라도 윗쪽 붐과 탑승함의 수평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됨에 따라 고소작업시 탑승함에 탑승한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탑승함받침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협소한 영역에서도 보다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트럭 등과 같은 차량(10)의 적재함(12)상에 설치된 구동테이블(16)상에 제자리 회동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동력의 인가방향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동되는 소정 높이의 지지부재(20)와;
    한쪽 끝이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단부에 피봇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소정 길이의 1단 붐(1段 Boom : 24)과;
    상기 1단 붐(24)의 다른쪽 끝부분이 핀결합되는 제1브래킷(26)과;
    한쪽 끝이 상기 1단 붐(24)의 결합위치 하부에 해당되는 지지부재(20)의 전면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1단 붐(24)의 저면 소정 지점에 핀결합되어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28)의 돌출 및 흡인동작에 상기 1단 붐(24)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1유압실린더(36)와;
    한쪽 끝이 상기 제1브래킷(26)상의 1단 붐(24) 결합위치 상부에 피봇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소정 길이의 2단 붐(2段 Boom : 32)과;
    상기 제1브래킷(26)과 마주하는 쪽에 위치되며 상기 2단 붐(32)의 다른쪽 끝이 핀결합되는 제2브래킷(34)과;
    한쪽 끝이 상기 1단 붐(24)과 2단 붐(32)의 결합위치 사이에 해당되는 제1브래킷(26)상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2단 붐(32)의 저면 소정 지점에 핀결합되어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28)의 돌출 및 흡인동작에 따라 2단 붐(32)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2유압실린더(36)와;
    한쪽 끝이 상기 제2브래킷(34)상의 2단 붐(32)의 결합위치에 핀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소정 길이의 3단 붐(3段 Boom : 38)과;
    한쪽 끝은 상기 2단 붐(32)의 다른쪽 끝부분의 저면 소정 지점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3단 붐(38)의 저면 소정 지점에 핀결합되어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28)의 돌출 및 흡인동작에 따라 3단 붐(38)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3유압실린더(40)와;
    상기 3단 붐(38)의 선단부외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결합되는 제3브래킷(42)과;
    한쪽 끝이 상기 지지부재(20)의 전면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제1브래킷(26)의 하단외측에 핀결합된 상태에서 제1유압실린더(30)의 동작에 따른 1단 붐(24)의 상방향 회동시 2단 붐(32)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수평유지간(58)과;
    한쪽 끝이 상기 제1브래킷(26)의 상단부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제2브래킷(34)의 상부 소정 위치에 핀결합된 상태에서 제2유압실린더(36)의 동작에 따른 2단 붐(32)의 상방향 회동시 3단 붐(38)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수평유지간(60)과;
    한쪽 끝이 상기 제2브래킷(34)의 상부 소정 위치에 핀결합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3단 붐(38)의 선단외측으로 회동되게 결합된 제3브래킷(4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3유압실린더(40)의 동작에 따른 3단 붐(38)의 상방향 회동시 탑승함(46)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3수평유지간(62)과;
    상기 제3브래킷(42)의 외측면에서 제3브래킷(42)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설치되는 탑승함받침대(44)와;
    상기 탑승함받침대(44)상에 고정장착되는 탑승함(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브래킷(42)의 외측면과 탑승함받침대(44)의 뒷면의 서로 어긋난 지점으로부터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며 결합시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되는 축받이(48)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축받이(48)에는 회동축(50)이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탑승함받침대(44)가 제3브래킷(4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50)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판(52)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판(52)의 내측에는 상기 제3브래킷(42)의 외측면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리브(54)가 끼워져 걸리는 고정홈(5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유지간(58)과 제2수평유지간(60) 및 제3수평유지간(62)은 각각 1단 붐(24), 2단 붐(32) 및 3단 붐(38)의 저면 또는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1단 붐(24)과 제1수평유지간(58)의 길이는 제1유압실린더(3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고, 2단 붐(32)과 제2수평유지간(60)의 길이는 제2유압실린더(36)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3단 붐(38)과 제3수평유지간(62)의 길이는 제3유압실린더(4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 시스템.
KR1019990031770A 1999-08-03 1999-08-03 고소작업 시스템 KR19990083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770A KR19990083784A (ko) 1999-08-03 1999-08-03 고소작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770A KR19990083784A (ko) 1999-08-03 1999-08-03 고소작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784A true KR19990083784A (ko) 1999-12-06

Family

ID=5476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770A KR19990083784A (ko) 1999-08-03 1999-08-03 고소작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378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822B1 (ko) * 2002-10-22 2005-04-28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고소작업장치
KR101007849B1 (ko) * 2010-08-11 2011-01-14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소분진의 진공흡입 하역시스템
KR101149877B1 (ko) * 2011-08-10 2012-05-24 이준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
KR101448816B1 (ko) * 2013-04-10 2014-10-14 주식회사 그린맥스 고소작업장치
KR101589024B1 (ko) * 2014-10-14 2016-01-28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파괴 방수형 소방차
KR102140188B1 (ko) 2019-01-29 2020-07-3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식 붐대의 지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822B1 (ko) * 2002-10-22 2005-04-28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고소작업장치
KR101007849B1 (ko) * 2010-08-11 2011-01-14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소분진의 진공흡입 하역시스템
KR101149877B1 (ko) * 2011-08-10 2012-05-24 이준호 자주식 교량용 고소 작업차
KR101448816B1 (ko) * 2013-04-10 2014-10-14 주식회사 그린맥스 고소작업장치
KR101589024B1 (ko) * 2014-10-14 2016-01-28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파괴 방수형 소방차
KR102140188B1 (ko) 2019-01-29 2020-07-3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식 붐대의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418B2 (en) Vehicle equipped with lift device and lift device
JPH10500462A (ja) 軽量パネルユニットの取付方法および装置
CN101801835A (zh) 车辆和提升臂组件
KR20120094971A (ko) 카고크레인 보조장치
KR19990083784A (ko) 고소작업 시스템
JP5959287B2 (ja) 昇降装置
KR101776833B1 (ko)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선회장치
JP6976825B2 (ja) 高所作業車
KR102174081B1 (ko)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구동장치
JP2007015774A (ja) 高所作業車
JP7213666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2012051687A (ja) 高所作業車
KR20220028320A (ko) 선박용 고소작업차
KR200306657Y1 (ko)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JP2011057399A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
KR100556620B1 (ko) 굴절붐식 고소작업차
JP3561604B2 (ja) ブーム作動制御装置
KR102529992B1 (ko)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JP3781662B2 (ja) 高所作業車のポスト伸長ロック装置
KR950011391B1 (ko) 고소(高所)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
KR200230269Y1 (ko) 크레인차량의 붐대
KR200354660Y1 (ko)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
JP6807733B2 (ja) 高所作業車
JPH10167698A (ja) 作業車の安全装置
JP2002020095A (ja) 高所作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