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391B1 - 고소(高所)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고소(高所)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391B1
KR950011391B1 KR1019920010939A KR920010939A KR950011391B1 KR 950011391 B1 KR950011391 B1 KR 950011391B1 KR 1019920010939 A KR1019920010939 A KR 1019920010939A KR 920010939 A KR920010939 A KR 920010939A KR 950011391 B1 KR950011391 B1 KR 950011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ladder
vehicle body
cargo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366A (ko
Inventor
장성춘
Original Assignee
장성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춘 filed Critical 장성춘
Priority to KR101992001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1391B1/ko
Publication of KR940000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소(高所)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
제1도는 종래 화물 승강장치의 사용상태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의 전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서 연장레일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 동력전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사다리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받침대 상판의 전ㆍ후 이송동작에 따른 사다리의 위치조절 및 고소작업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서 받침대의 회전동작을 도시한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서 받침대 다리의 절첩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12 : 받침대
14 : 사다리 16 : 경사각 조절용 유압실린더
18 : 피스톤로드 20 : 화물적재대
22 : 받침대 프레임 28 : 받침대 상판 작동용 유압실린더
30 : 받침대 뒷쪽다리 32 : 트랜스 밋션
34 : 유압펌프 36 : 유압탱크
38 : 연장레일 40 : 잠금구
42 : 받침대 앞쪽다리 44 : 받침대 다리 수납구
46 : 고정구 54 : 가이드홈
56 : 콘트롤밸브 58 : 엔진
60 : 유압호스
본 발명은 고소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에서의 화물 승강작업은 물론, 작업자가 탑승하여 높은곳에의 광고간판 부착 등과 같은 고소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거용 건물 및 사무용 건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이삿짐이나 기타 화물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불편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의 적재함에 받침대(12)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12)상에는 절첩식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고가 사다리(14)를 설치하되, 상기 사다리(14)의 내측 일정 위치에 경사각 조절용 유압실린저(16)의 피스톤로드(18)끝을 결합하여 그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다리 바깥쪽면에는 활차식 화물적재대(20)를 설치하여 화물을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한 고층용 화물 승강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층용 화물 승강장치에서는 받침대(12)상에 설치된 사다리(14)의 무게 중심이 받침대(12)후단쪽에 형성되어 화물적재대(20)상에 화물을 올려놓고 승강시키는 동작시 사다리(14) 자체 및 화물의 하중에 의해 사다리(14)가 뒤로 넘어갈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그 경사각을 크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이 결과, 화물 적재시 화물 적재대(20)와 지면과의 높이 편차가 크게되어 화물을 싣고 부리는 작업이 몹시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받침대(12)가 고정된 형태이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위치선정이 불편하며, 종래의 화물승강장치는 단순히 화물승강작업의 용도로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 응용범위가 매우 한정되어 경제적으로도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화물승강장치는 사다리(14) 및 경사작 조절용 유압실린더(16)의 작동을 위해 별도의 동력발생장치(22)가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성 및 기동성이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제기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받침대 뒷쪽다리를 전ㆍ후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다리의 무게 중심점을 보다 안정된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결과를 가져오므로써 사다리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고, 사다리가 설치된 받침대 상판이 전ㆍ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양호한 작업위치선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유압실린더 및 사다리의 절첩조절에 필요한 동력을 받침대를 탑재한 차체의 엔진으로부터 얻을 수 있도록하여 작업성 및 기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고소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ㆍ하 절첩식 사다리(14)와 상기 사다리(14)의 경사각 조절용 유압실린더(16)를 차체(10)의 적재함상에 탑재시킨 받침대(12)의 상판(24)에 설치하되, 상기 받침대 상판(24)의 선단 좌ㆍ우측과 받침대 프레임(26) 선단 사이에 받침대 상판 작동용 유압실린더(28)를 설치하여 받침대 상판(24)이 전ㆍ후 이동되도록 하고, 받침대 앞쪽다리(42)는 좌ㆍ우방향으로, 받침대 뒷쪽다리(30)는 전ㆍ후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사다리(14)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차체(10)의 트랜스밋션(32)의 끝에 유압펌프(34)를 결합하고, 상기 유압펌프(34)는 적재함상의 유압탱크(36)에 연결되도록 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서 사다리(14)의 아랫부분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적재시 화물적재대(20)를 지면까지 내려오게 하기 위한 연장레일(38)을 설치하되 상기 연장레일(38)의 좌ㆍ우 일정위치에는 잠금구(40)를 설치하여 연장레일(38)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받침대 프레임(26)의 선단에 설치되는 받침대 앞쪽다리(42)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ㆍ우 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받침대 프레임(26)후단 양측에 설치되는 받침대 뒷쪽다리(3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ㆍ후 방향으로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받침대 프레임(26)의 선단에는 좌ㆍ우 방향으로 향하는 받침대 다리 수납구(44)를 설치하고, 후단 좌·우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향하는 받침대 다리 수납구(44)를 설치하며, 길이조정된 후에는 상기 받침대 다리 수납구(44)외측에서 볼트(도시되지 않음)를 조여 고정시킨다.
이와같은 구조의 받침대 다리에서 차체(1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앞ㆍ뒷쪽다리(30)(42)를 위로 접어 올린 후 받침대 프레임(26)상에 설치된 고정구(46)로써 걸어 고정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받침대(12)는 상부몸체(48)와 하부몸체(50)로 이루어진데, 상부몸체(48)와 하부몸제(50) 사이에 회동부(52)를 형성하여 받침대 앞ㆍ뒷쪽다리(30)(42)를 접어올린 상태에서 받침대(12)의 상부몸체(48)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받침대 프레임(26)의 양측내면에는 가이드홈(54)을 형성하여 받침대상판(24)이 전ㆍ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을 아래로 부터 윗쪽으로 올리고자 하는 경우에 받침대 뒷쪽다리(30)를 그 받침대 다리 수납구(44)로부터 뒤쪽으로 빼어 고정시킨 후, 콘트롤 밸브(56)를 이용하여 경사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16)를 작동시켜 사다리(14)를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사다리(14)하단의 연장레일(38)의 잠금구(40)를 풀어 연장레일(38)의 하단이 지면과 닿게하면 화물적재대(20)가 지면과 최소한의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화물적재대(20)상에 화물을 적재한 후, 상기 경사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16)를 작동시켜 사다리(14)를 작업위치로 조절하고, 화물적재대(20)를 상승시켜 화물을 올리는 것이다.
이때, 건물과 차체(10)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차체(10)를 움직여 그 거리를 조절하기 어려운 경우 받침대상판 작동용 유압실린더(28)를 작동시켜 받침대상판(24)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작업위치를 알맞게 조절한다.
한편, 고층건물의 외벽에 광고간판을 부착하거나 또는 유리창 등을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앞에서 기술한 방식으로 사다리(14)를 지면에 수직으로 세운 다음 화물적재대(20)상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원하는 높이로 올라간 후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각 유압실린더(16)(28)를 작동시키는 동력은 차체(10)의 엔진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바, 엔진(58)과 연결된 트랜스밋션(32)의 회전에 따라 트랜스밋션(32) 끝에 결합된 유압펌프(34)가 작동되고, 이때 발생되는 압력은 유압호스(60)를 통하여 적재함상의 유압탱크(36)에 인가되며, 상기 유압탱크(36)는 받침대(12)후단의 콘트롤밸브(56)와 연결되어 제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받침대 뒷쪽다리를 후방으로 빼내면 사다리의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이동한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사다리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울 수 있고, 이에따라 화물 승강작업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화물적재대에 직접 탑승하여 고소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응용범위를 더욱 확대시킬 수 있다는 잇점이 있고, 받침대 상판이 전ㆍ후 방향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의 적당한 작업위치선정이 용이하며, 동력을 차체로 부터 얻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 전달장치가 필요없게 되고, 이에따라 작업성 및 기동성이 향상된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상ㆍ하 방향으로 절첩되는 사다리(14)와 상기 사다리(14)의 경사각 조절용 유압실린더(16)를 차체(10)의 적재함상에 탑재시킨 받침대(12)의 상판(24)에 설치하되, 상기 받침대 상판(24)의 선단 좌ㆍ우측과 받침대 프레임(26) 선단사이에 받침대 상판 작동용 유압실린더(28)를 설치하여 받침대상판(24)이 전ㆍ후 이동되도록 하고, 받침대 앞쪽다리(42)는 좌ㆍ우 방향으로, 받침대 뒷쪽다리(30)는 전ㆍ후 방향으로 길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여 사다리(14)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차체(10)의 엔진과 연결된 트랜스밋션(32)의 끝에 유압펌프(34)를 결합하고, 상기 유압펌프(34)는 차체(10)의 적재함상의 유압탱크(36)에 연결하여 동력을 인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받침대 앞ㆍ뒷쪽다리(30)(42)는 윗쪽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
KR1019920010939A 1992-06-23 1992-06-23 고소(高所)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 KR950011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0939A KR950011391B1 (ko) 1992-06-23 1992-06-23 고소(高所)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0939A KR950011391B1 (ko) 1992-06-23 1992-06-23 고소(高所)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366A KR940000366A (ko) 1994-01-03
KR950011391B1 true KR950011391B1 (ko) 1995-10-02

Family

ID=1933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939A KR950011391B1 (ko) 1992-06-23 1992-06-23 고소(高所)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13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917B1 (ko) * 2010-01-11 2012-06-22 노용규 시스템 동바리 설치 리프트
KR101230656B1 (ko) * 2011-07-04 2013-02-12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920B1 (ko) * 2011-07-04 2013-04-09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917B1 (ko) * 2010-01-11 2012-06-22 노용규 시스템 동바리 설치 리프트
KR101230656B1 (ko) * 2011-07-04 2013-02-12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366A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9604A (en) Elevating platform apparatus
US7004286B2 (en) Motorized scaffold with displaceable worker support platform
US4831795A (en) Drilling derrick assembly
US5249643A (en) Vehicular self-propelled aerial work platform and telescoping parallelogram boom therefor
US4221088A (en) Low lift, elevatable high floor drilling mast and substructure arrangement therefor
US4064999A (en) Adjustable building panel scaffold
US20050232740A1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3072215A (en) Folding personnel lift
US4767100A (en) Drilling rig with hoist transportable by a vehicle
US3070244A (en) Loader
KR950011391B1 (ko) 고소(高所)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
CA1075225A (en) Downcrowding boom assembly
US3666046A (en) Portable scaffold
WO1981000097A1 (en) Vertically movable platform
GB2057532A (en) Low lift elevatable high floor drilling mast and substructure arrangement therefor
US3367448A (en) Mobile elevator
CN215479477U (zh) 矿道专用型材举升装置
US3357573A (en) Cranes
JP2001040663A (ja) 杭打機のリーダの立設方法及びその装置
GB2415183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3318465A (en) Load lifting apparatus
JP3125089B2 (ja) 簡易搬送装置
JP2903163B2 (ja) 昇降式作業足場
JPH0811621A (ja) 高所作業車
US3481488A (en) Platform attachment for cra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