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816B1 - 고소작업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816B1
KR101448816B1 KR1020130039193A KR20130039193A KR101448816B1 KR 101448816 B1 KR101448816 B1 KR 101448816B1 KR 1020130039193 A KR1020130039193 A KR 1020130039193A KR 20130039193 A KR20130039193 A KR 20130039193A KR 101448816 B1 KR101448816 B1 KR 101448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able
rotating
members
p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맥스
Priority to KR1020130039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025Fruits or vege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과 같은 농기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과수 수확 등과 같은 농업용 고소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회동기구를 통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프레임; 및 상기 회동프레임의 단부에 마련된 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기구는 회동프레임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연결된 수직회동축, 상기 수직회동축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회동용 실린더, 상기 회동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동용 실린더, 상기 회동기구와 상기 수직회동축 사이에 설치되어 제1회동용 실린더의 구동력을 상기 수직회동축으로 전달하는 기어전동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기어전동기구는 수직회동축에 마련된 섹터기어, 상기 제1회동용 실린더의 로드에 마련되되 섹터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장치 {HIGH-PLACE WO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과 같은 농기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목 및 과수 수확 등과 같은 농업용 고소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농업용 고소작업장치는 통상 높은 위치에 있는 수목의 육림과 과수를 수확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적재 중량을 지지하기 위한 아웃트리거가 필요하게 되고, 통상적인 임지 및 농지가 일반 도로와는 달리 요철부와 경사가 심한 곳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지지수단은 필수적이다. 이에 결과적으로, 임지와 농지의 위치와 경사에 따라 적절한 방향으로 구동되어 지지될 수 있는 고소작업차량이 필요한 것은 자명한 일이지만, 그러한 구성이 구비된 농업용 고소작업장치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농업용 고소작업장치는 물건의 적재, 운반, 덤프, 고소작업 등 다양한 일련의 작업을 모두 처리하는 작업이므로, 농사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농사용 차량은 이에 상응하는 다목적 기능을 가질 수 있어야만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겠으나, 종래의 일반 고소차량은 특수 목적차량으로서, 단지 리프트 승강 방식의 구성으로만 이루어져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 차량이므로 농사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아 농사에 수반되는 작업 전반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필요하고, 농가의 인력이 고령화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이 절실하다 할 것이다.
또한, 고소작업장치의 작업은 지지프레임과 작업대의 상하/좌우 이동이 통상화되어 있으나, 고소작업장치의 통상작업과 동시에 칼이나 톱 등과 같은 가지치기용 도구, 농약 살포도구, 톱밥제조기구 등의 작업을 동시에 병행하는 것이 생산성을 향상하고 작업기간을 단축하여 인건비를 절감하는 것이 농업경제를 활성화하는데 관건으로 대두 되었으나, 상기 고소작업장치는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의 PTO 측에서 발생되는 동력원을 이용하여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의 PTO 측에서 발생되는 동력원의 능력은 일정한 능력이외에는 한정된 동력원만 공급하기 때문에 고소작업장치의 작업대에 설치된 다용도의 도구를 동시에 가동하여 작업하기에는 제한이되거나 작업이 불가한 것이 동업계의 문제점으로 이미 제기되었다.
KR 10-2012-0050357 A(2012.05.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연구 및 개발한 것으로,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과 같은 농기계의 PTO 축에서 발생되는 동력원을 이용하거나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목의 육림과 과수 수확 등에 사용되는 다용도의 고소작업을 동시에실시하기 위하여 동력원의 능력을 증가시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고소작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회동기구를 통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프레임; 상기 회동프레임의 단부에 마련된 작업대; 및
농기계의 PTO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증대시켜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기구는 회동프레임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연결된 수직회동축, 상기 수직회동축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회동용 실린더, 상기 회동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동용 실린더, 상기 회동기구와 상기 수직회동축 사이에 설치되어 제1회동용 실린더의 구동력을 상기 수직회동축으로 전달하는 기어전동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기어전동기구는 수직회동축에 마련된 섹터기어, 상기 제1회동용 실린더의 로드에 마련되되 섹터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한 쌍의 가이드판과, 한 쌍의 가이드판의 상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전방측 경사지지부재 및 한 쌍의 후방측 경사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은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각 가이드판은 전방단 및 후방단에 곡면부가 형성된 스키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판에는 보강블록이 가이드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이 보강블록에는 전방측 경사지지부재 및 후방측 경사지지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전방측 경사지지부재는 한 쌍의 가이드판에 대응하여 대칭적으로 설치되되 각 가이드판의 보강블록의 전방에서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후방측 경사지지부재는 한 쌍의 가이드판에 대응하여 대칭적으로 설치되되 각 가이드판의 보강블록의 후방에서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측 경사지지부재는 그 중간의 일측이 절곡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후방측 경사지지부재들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크로스부재가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부재에는 장착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을 통해 지지프레임은 농기계 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업대의 외부 일측 안전가드(42)와 답판(41)에 보조작업대가 설치되고, 작업대와 보조작업대에는 과수의 당도 또는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와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과실의 수확시기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적기의 출하시기를 맞추어 수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덜익을 과일의 출하를 방지하여 소비자의 신뢰도를 사전에 예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동프레임은 한 쌍의 제1회동부재와, 제1회동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제2회동부재와, 제1 및 제2 회동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3회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회동부재는 그 중간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에는 회동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회동브라켓에는 제2회동용 실린더의 로드의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제2회동부재는 연결브라켓을 매개로 한 쌍의 제1회동부재의 하부에 연결되고, 각 제2회동부재의 양단과 그 상측에 위치한 제1회동부재의 양단은 회동연결부에 각각 고정되며, 일단측 회동연결부는 상기 회동기구의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측 회동연결부는 작업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제3회동부재는 "A"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제3회동부재들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크로스부재가 가로질러 연결되며, 제3회동부재는 제1 및 제2 회동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3회동부재의 양단에는 회동연결부가 고정되며, 일단측 회동연결부는 회동기구의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측 회동연결부는 작업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측 경사지지부재의 상단 및 후방측 경사지지부재의 상단에는 베이스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회동용 실린더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회동용 실린더의 로드에는 기어전동기구의 랙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수직회동축의 하단에는 기어전동기구의 섹터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수직회동축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회동부재의 일단측 회동연결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직회동축의 일측 하부에 상기 제3회동부재의 일단측 회동연결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회동용 실린더의 단부는 수직회동축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회동용 실린더의 로드 선단은 상기 회동프레임의 제1회동부재의 회동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대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답판, 상기 답판의 상측에 설치된 안전가드를 포함하고, 작업대와 회동프레임 사이에는 작업대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승강조절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승강조절유닛은 작업대의 후방측에 고정된 승강조절부재 및 상기 승강조절부재를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조절부재에는 복수의 위치조절공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는 한 쌍의 회동브라켓이 상하 이격되어 설치되고, 각 회동브라켓에는 상기 제1 및 제2 회동부재의 타단측 회동연결부 및 제3회동부재의 타단측 회동연결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가이드판에는 아웃터리거가 설치되어 지면에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과 같은 농기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목의 육림과 과수 수확 등과 같은 농업용 고소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견고한 지지력과 더불어 매우 단순한 구조를 통해 실제 농업현장에 매우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고 고소작업 이외의 다양한 농기계의 동력으로 활용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회동기구(30)에 의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프레임(20)과, 회동프레임(20)의 단부에 마련된 작업대(4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0)은 한 쌍의 가이드판(11)과, 한 쌍의 가이드판(11)의 상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전방측 경사지지부재(12) 및 한 쌍의 후방측 경사지지부재(13)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가이드판(11)은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각 가이드판(11)은 농업용 경지 위로 활주가 용이하도록 전방단 및 후방단에 곡면부(11a)가 형성된 스키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가이드판(11)에는 보강블록(11b)이 가이드판(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이 보강블록(11b)에는 전방측 경사지지부재(12) 및 후방측 경사지지부재(13)가 연결된다.
한 쌍의 전방측 경사지지부재(12)는 한 쌍의 가이드판(11)에 대응하여 대칭적으로 설치되되 각 가이드판(11)의 보강블록(11b)의 전방에서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한 쌍의 후방측 경사지지부재(13)는 한 쌍의 가이드판(11)에 대응하여 대칭적으로 설치되되 각 가이드판(11)의 보강블록(11b)의 후방에서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한편, 후방측 경사지지부재(13)는 그 중간의 일측이 절곡된 구조로 구성되어 강성 보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후방측 경사지지부재(13)들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크로스부재(14)가 가로질러 설치되고, 이 크로스부재(14)에 의해 한 쌍의 후방측 경사지지부재(13)는 매우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크로스부재(14)에는 장착브라켓(15)이 형성되고, 이 장착브라켓(15)을 통해 지지프레임(10)은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과 같은 농기계 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회동프레임(20)은 복수의 회동부재(21, 22, 23)들이 복합적으로 조합되어 회동기구(20)와 작업대(40)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프레임(20)은 한 쌍의 제1회동부재(21)와, 제1회동부재(21)의 하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제2회동부재(22)와, 제1 및 제2 회동부재(21, 22)의 하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3회동부재(23)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제1회동부재(21)는 회동기구(30)와 작업대(40) 사이에 설치되고, 한 쌍의 제1회동부재(21)들 사이에는 크로스부재(21b)가 가로질러 설치된다. 각 제1회동부재(21)는 그 중간에 절곡부(21a)가 형성되어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이 절곡부(21a)에는 회동브라켓(25)이 고정되고, 이 회동브라켓(25)에는 후술하는 제2회동용 실린더(52)의 로드(52a)의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한 쌍의 제2회동부재(22)는 한 쌍의 제1회동부재(21)의 하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브라켓(26)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고, 각 제2회동부재(22)의 양단과 그 상측에 위치한 제1회동부재(21)의 양단은 회동연결부(24a, 24b)에 각각 고정된다. 일단측 회동연결부(24a)는 회동기구(30)의 회동축(33)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측 회동연결부(24b)는 작업대(40)의 승강가이드부재(47)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한 쌍의 제3회동부재(23)는 "A"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제3회동부재(23)들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크로스부재(23a)가 가로질러 연결된다.
한 쌍의 제3회동부재(23)는 제1 및 제2 회동부재(21, 22)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3회동부재(23)의 양단에는 회동연결부(24c, 24d)가 각각 고정된다. 일단측 회동연결부(24c)는 회동기구(30)의 회동축(33)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측 회동연결부(24d)는 작업대(40)의 승강가이드부재(47)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회동기구(30)는 지지프레임(10)의 상단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31), 이 베이스플레이트(31) 상에 설치된 제1회동용 실린더(51), 제1회동용 실린더(51)에 기어전동기구(35)를 통해 연결된 수직회동축(33)을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31)는 지지프레임(10)의 전방측 경사지지부재(12)의 상단 및 후방측 경사지지부재(13)의 상단에 설치된다.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부에는 복수의 지지기둥(31a)을 통해 상부플레이트(34)가 설치된다.
제1회동용 실린더(51)는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제1회동용 실린더(51)에 의해 회동프레임(20)은 수직회동축(33)의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평면 상에서 좌우 회동작동한다. 제1회동용 실린더(32)의 로드(32a)에는 기어전동기구(35)의 랙기어(37)가 마련되어 있다.
수직회동축(33)은 베이스플레이트(31) 및 상부플레이트(34)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회동축(33)의 하단에는 기어전동기구(35)의 섹터기어(36)가 마련되어 있다. 수직회동축(33)이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회동프레임(20)은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수직회동축(33)의 일측 상부에는 제1 및 제2 회동부재(21, 22)의 일단측 회동연결부(24a)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수직회동축(33)의 일측 하부에 제3회동부재(23)의 일단측 회동연결부(24c)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또한, 수직회동축(33)와 회동프레임(20) 사이에는 제2회동용 실린더(52)가 설치되고, 제2회동용 실린더(52)의 단부는 수직회동축(3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제2회동용 실린더(52)의 로드(52a) 선단은 회동프레임(20)의 제1회동부재(21)의 회동브라켓(25)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제2회동용 실리더(52)의 로드(52a)가 전후짐함에 따라 회동프레임(20)은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기어전동기구(35)는 제1회동용 실린더(32)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제1회동용 실린더(51)와 수직회동축(33) 사이에 설치된다. 기어전동기구(35)는 수직회동축(33)의 하단에 마련된 섹터기어(36), 이 섹터기어(37)에 치합되되 제1회동용 실린더(32)의 로드(32a)에 마려된 랙기어(37)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동기구(30)에 의해, 제1회동용 실린더(32)의 로드(32a)가 전후진함에 따라 기어전동기구(35)의 랙기어(37)는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하고, 이러한 랙기어(37)와 치합된 섹터기어(36)는 랙기어(37)의 직선왕복이동에 연동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수직회동축(33)은 섹터기어(36)와 함께 회동하고, 이러한 수직회동축(33)의 회동에 의해 회동프레임(20)은 평면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회동용 실린더(52)의 로드(52a)가 전후진함에 따라 회동프레임(20)의 제1 내지 제3 회동부재(21, 22, 23)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작업대(40)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답판(41), 이 답판(41)의 상측에 설치된 안전가드(42)를 포함한다.
답판(41)은 복수의 천공이 형성된 바닥판으로 구성되고, 안전가드(42)는 복수의 수직봉 및 복수의 수평봉이 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안전가드(42)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다 확보하기 위한 안전벨트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작업대(40)와 회동프레임(30) 사이에는 작업대(40)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승강조절유닛(45)이 설치되고, 이 승강조절유닛(45)은 작업대(40)의 후방측에 고정된 승강조절부재(46), 이 승강조절부재(46)를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재(47)로 이루어진다.
승강조절부재(46)는 "ㄷ"자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고, 승강조절부재(46)는 안전가드(42)의 후방측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다. 승강조절부재(46)의 측면에는 복수의 위치조절공(46a)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승강가이드부재(47)에는 한 쌍의 회동브라켓(48)이 상하 이격되어 설치되고, 각 회동브라켓(48)에는 상술한 제1 및 제2 회동부재(21, 22)의 타단측 회동연결부(24b) 및 제3회동부재(23)의 타단측 회동연결부(24d)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승강조절유닛(45)에 의해, 작업대(4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경우에는 승강가이드부재(47)를 따라 승강조절부재(46)의 상하 위치가 조절된 후에 고정구(미도시)를 위치조절공(46a)에 끼워 넣음으로써 위치조절된 승강조절부재(46)가 승강가이드부재(47)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작업대(40)의 외측에는 과수의 당도 또는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와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타난 형상을 통해 과실을 즉시 채집하여 운반함으로서 적기에 출하시기를 맞추어 과일을 수확할 수 있고, 덜익을 과일이 포장된 박스에 몇개씩 포함됨으로서 품질이 저하된 것을 판매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분쟁의 소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판매상과 소비자의 신뢰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덜익은 과일은 일정기간 동안 숙성하는 과정을 거쳐 출하함으로 인하여 과일 숙성보관기간 동안 출하가 늦어지거나 새로운 처리과정을 거침으로 인하여 인건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대(40)에는 칼이나 톱 등과 같은 가지치기용 도구, 농약 살포기, 톱밥제조기, 영양제 공급기 등의 다용도작업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도록 보조작업대(49)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작업대(49)는 각형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다용도 작업대의 크기 와 작업종류에 따라 크기와 규모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작업대(40)의 외부 일측 안전가드(42)와 답판(41)에 볼트 또는 핀, 걸고리, 용접 등에 의하여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더블어 소음과 진동에 의하여 작업대가 흔들려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프론, 고무, 합성프라스틱,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덧붙여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보조작업기(49)의 내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과수의 당도 또는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보조작업대(49)에서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과실의 형상을 즉시 확인하여 과실을 채취할 수 있어 적기에 맞추어 과일량을 수확하는데 일익할 수 있고, 덜익은 과일이 출하 박스에 몇개가 포함되어 판매함으로서 이로 인하여 판매상과 소비자 간의 품질인식에 대한 시비와 불평을 사전 해소하여 고품질의 상품을 고가에 출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덜익은 과일을 선별하는데 인건비와 품질저하로 인한 신뢰도가 낙후되는 것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농약살포기와 같은 다용도의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동력원이 뒷받침되어야 하나,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의 PTO 측에서 발생되는 동력원은 규모가 한정되어 있어 작업대에서 추가적인 다용도 작업을 동시에 병행할 경우 동력원이 대폭 부족한 것이 현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부재(14)의 일측에 트랙터 등의 PTO축이 연결되는 연결부(56)가 설치되고, 이 연결부(56)에는 유압펌프(57)가 연결된다. 이에, 트랙터 등의 PTO축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은 유압펌프(57)에 의해 증대되며, 유압펌프(57)를 통해 필요로 하는 곳으로 동력을 추가로 전달되어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유압펌프(57)의 유압라인은 제1 및 제2 회동용 실린더(51, 52), 작업대(40)와 보조작업대(49) 등에 연결되고, 이에, 유압펌프(57)를 통해 증대된 동력이 작업대(40)와 보조작업대(49) 측으로 전달되어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다용도의 작업기를 배치하여 작업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의 일측 특히, 가이드판(11)에는 아웃터리거(55)가 설치되고, 이 아웃터리거(55)에 의해 지지프레임(10)은 지면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과 같은 농기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과수 수확 등과 같은 농업용 고소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회동용 실린더(51), 제2회동용 실린더(52)에 의해 작업대(40)의 상하 회동 및 좌우 회동이 매우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져 다양한 고소작업을 매우 효과적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10), 회동프레임(20) 등이 매우 견고한 강성구조로 구성되어 안정적적인 지지력과 더불어 매우 단순한 구조를 통해 실제 농업현장에 매우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지지프레임 11: 가이드판
12: 전방측 경사지지부재 13: 후방측 경사지지부재
20: 회동프레임 21: 제1회동부재
22: 제2회동부재 23: 제3회동부재
30: 회동기구 31: 베이스플레이트
33: 수직회동축 40: 작업대
41: 답판 42: 안전가드
45: 승강조절유닛 46: 승강조절부재
47: 승강가이드부재

Claims (8)

  1.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회동기구를 통해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회동프레임;
    상기 회동프레임의 단부에 마련된 작업대; 및
    농기계의 PTO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증대시켜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기구는 회동프레임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수직회동축, 상기 수직회동축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회동용 실린더, 상기 회동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동용 실린더, 상기 회동기구와 제1회동용 실린더의 구동력을 상기 수직회동축으로 전달하는 섹터기어, 섹터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를 구비한 기어전동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한 쌍의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전방측 경사지지부재 및 후방측 경사지지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판은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전방단 및 후방단에 곡면부가 형성된 스키형상이고 가이드판의 길이방향으로 보강블록이 연장된 것이며, 이 보강블록에는 전방측 경사지지부재와 후방측 경사지지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각 경사지지부재에 가이드판이 대칭적으로 설치되되 보강블록의 전방/후방에서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경사지지부재는 그 중간의 일측이 절곡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후방측 경사지지부재들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크로스부재가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부재는 장착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을 통해 지지프레임은 농기계 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작업대의 외부 일측 안전가드와 답판에 보조작업대가 설치되고, 작업대와 보조작업대에는 과수의 당도 또는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와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과실의 수확시기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적기의 출하시기를 맞추어 수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덜익을 과일의 출하를 방지하여 소비자의 신뢰도를 사전에 예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회동프레임은 한 쌍의 제1회동부재와, 제1회동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제2회동부재와, 제1 및 제2 회동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3회동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동부재는 그 중간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에는 회동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회동브라켓에는 제2회동용 실린더의 로드의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제2회동부재는 연결브라켓을 매개로 한 쌍의 제1회동부재의 하부에 연결되고, 각 제2회동부재의 양단과 그 상측에 위치한 제1회동부재의 양단은 회동연결부에 각각 고정되며, 일단측 회동연결부는 상기 회동기구의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측 회동연결부는 작업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제3회동부재는 "A"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제3회동부재들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크로스부재가 가로질러 연결되며, 제3회동부재는 제1 및 제2 회동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3회동부재의 양단에는 회동연결부가 고정되며, 일단측 회동연결부는 회동기구의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측 회동연결부는 작업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측 경사지지부재의 상단 및 후방측 경사지지부재의 상단에는 베이스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회동용 실린더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회동용 실린더의 로드에는 기어전동기구의 랙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수직회동축의 하단에는 기어전동기구의 섹터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수직회동축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회동부재의 일단측 회동연결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직회동축의 일측 하부에 상기 제3회동부재의 일단측 회동연결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용 실린더의 단부는 수직회동축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회동용 실린더의 로드 선단은 상기 회동프레임의 제1회동부재의 회동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답판 및 상기 답판의 상측에 설치된 안전가드를 포함하고,
    작업대와 회동프레임 사이에는 작업대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승강조절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승강조절유닛은 작업대의 후방측에 고정된 승강조절부재 및 상기 승강조절부재를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조절부재에는 복수의 위치조절공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는 한 쌍의 회동브라켓이 상하 이격되어 설치되고, 각 회동브라켓에는 상기 제1 및 제2 회동부재의 타단측 회동연결부 및 제3회동부재의 타단측 회동연결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가이드판(11)에는 아웃터리거(55)가 설치되어 지면에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KR1020130039193A 2013-04-10 2013-04-10 고소작업장치 KR101448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193A KR101448816B1 (ko) 2013-04-10 2013-04-10 고소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193A KR101448816B1 (ko) 2013-04-10 2013-04-10 고소작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816B1 true KR101448816B1 (ko) 2014-10-14

Family

ID=5199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193A KR101448816B1 (ko) 2013-04-10 2013-04-10 고소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8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719B1 (ko) * 1991-06-01 1995-10-20 가부시끼가이샤 쟈파닉쿠 고소 작업차의 운전 제어장치
KR19990083784A (ko) * 1999-08-03 1999-12-06 이준호 고소작업 시스템
KR200315892Y1 (ko) 2003-01-30 2003-06-11 이준호 고소작업장치의 탑승함 회전구조
KR101008221B1 (ko) 2010-10-06 2011-01-17 주식회사 세웅 농업용 고소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719B1 (ko) * 1991-06-01 1995-10-20 가부시끼가이샤 쟈파닉쿠 고소 작업차의 운전 제어장치
KR19990083784A (ko) * 1999-08-03 1999-12-06 이준호 고소작업 시스템
KR200315892Y1 (ko) 2003-01-30 2003-06-11 이준호 고소작업장치의 탑승함 회전구조
KR101008221B1 (ko) 2010-10-06 2011-01-17 주식회사 세웅 농업용 고소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77272A (en) Under-tree mower and harvester
KR101749825B1 (ko) 과채 수확용 전동 카트
US3138911A (en) Hedge trimmer
KR101323637B1 (ko) 과수원용 고소 작업차.
KR101254568B1 (ko) 다기능 예초기 보조대
KR101448816B1 (ko) 고소작업장치
US2940486A (en) Pruning apparatus
US8112978B1 (en) Mobile hedging machine
US3952485A (en) Adjustable hedger
KR200483458Y1 (ko) 제초기 및 관리기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무한궤도 운반기
JP2014018164A (ja) コンバイン
CN202232188U (zh) 可倾式茶园管理机
KR100845177B1 (ko) 농기계용 적재함 구동장치
KR101132037B1 (ko) 과일 채소류 박스 하우징의 운반구
KR20100016896A (ko) 동력 주행용 분무기
JP4972300B2 (ja) 茶園管理装置
US2481798A (en) Rotary weed cutter
JP2014018165A (ja) コンバイン
US2667902A (en) Tree saw attachment for agricultural tractors
JP2014212728A (ja) 加工用トマトの収穫作業用補助機
JP7239925B2 (ja) 非結球性葉菜類の刈取装置
KR102260204B1 (ko) 자주식 농작물 수확기
RU20665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работ
US1832936A (en) Harvester
JP2796586B2 (ja) 農産物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