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162B1 -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 - Google Patents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162B1
KR102097162B1 KR1020190068997A KR20190068997A KR102097162B1 KR 102097162 B1 KR102097162 B1 KR 102097162B1 KR 1020190068997 A KR1020190068997 A KR 1020190068997A KR 20190068997 A KR20190068997 A KR 20190068997A KR 102097162 B1 KR102097162 B1 KR 102097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gear
coupled
lif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701A (ko
Inventor
성낙윤
Original Assignee
성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낙윤 filed Critical 성낙윤
Publication of KR2019012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66F7/1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by a single central jack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의 블록과 같은 대형 구조물을 리프팅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조물의 측면에 하나 이상을 부착할 수 있는 대형 구조물 리프터에 있어서, 대형 구조물의 측면에 수직으로 부착하여 고정되는 부착플레이트; 상기 부착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향부; 상기 조향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승강실린더에 의해 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리프팅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주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Steerable and external mounted type block lifter}
본 발명은 대형 구조물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구조물이나 공작물의 측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리프팅하여 필요한 곳으로 이송할 수 있는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보통 선박의 블록과 같이 대형 구조물이나 공작물은 대차나 기중기를 이용하여 이송한다.
그리고 이동한 대형 구조물을 조립하거나 이송한 공작물의 가공할 위치를 정확하게 선정하기 위해 구조물이나 공작물을 미세하게 이송할 필요가 있다.
이때, 리프터 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 리프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즉, 블록 리프터 장치(10)는 상부에 선박을 구성하는 블록(1)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승하강되는 블록지지부(30)가 설치된 프레임(20)과, 프레임(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 실린더(42)에 의해 승하강 가능한 방향전환바퀴(44)가 구비된 핸들(40)과, 프레임(20)의 타측에 설치되고, 제2 실린더(52)에 의해 승하강 가능한 이동바퀴(50)로 구성된다.
여기서, 블록지지부(30)는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포스트(32)와, 포스트(32)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강로드(34)와, 승강로드(34)의 단부에 결합되어 블록의 하부면 접촉되는 헤드플레이트(36)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블록 리프터는 작업자가 핸들을 조작하여 지지된 블록의 하부로 블록 리프터를 이동시킨 후, 블록지지부로 지지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대차형 리프터이다.
이러한 경우 리프터 자체의 크기가 커서 미세한 이송과 위치조정이 힘들고 미세조정 작업을 구조물 하부에서 직접 해야 하므로 작업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시 존재한다.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14700(2016.4.18) "블록 리프터"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98358(2017.1.16) "블록 리프터 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작고 구조물이나 공작물의 측면에 부착하여 리프팅, 방향전환, 이동이 가능하여 구조물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는, 선박의 블록과 같은 대형 구조물을 리프팅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조물의 측면에 하나 이상을 부착할 수 있는 대형 구조물 리프터에 있어서, 대형 구조물의 측면에 수직으로 부착하여 고정되는 부착플레이트; 상기 부착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향부; 상기 조향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승강실린더에 의해 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리프팅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주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향부는, 상기 부착플레이트의 측면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LM가이드;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랙기어; 상기 부착플레이트의 측면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로드가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조향실린더;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지지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향축; 상기 조향축에 결합되면서 상기 랙기어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조향기어; 상기 조향축의 하단에 결합되는 조향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조향판의 하부면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승강고정암; 상기 승강고정암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회동암; 상기 조향판의 하부면과 승강회동암 사이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주행부는, 상기 승강회동암의 측면에 결합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라켓; 상기 기어박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스프라켓;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에 권취되는 체인; 상기 종동스프라켓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연동되는 주행기어; 상기 기어박스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종동기어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주행휠;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조향부는, 상기 부착플레이트의 측면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LM가이드; 상기 LM가이드에 장착되어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랙기어; 상기 LM가이드 상부에 설치되는 조향실린더; 상기 조향실린더의 양측 로드와 상기 랙기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지지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향축; 상기 조향축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조향종동기어; 상기 조향기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조향판; 상기 조향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조향구동기어; 상기 조향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수동핸들;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유압제어밸브; 상기 유압제어밸브 밸브축에 결합되고 상기 조향기어와 연동되는 밸브개폐기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으로 제작 가능하며, 구조물이나 공작물의 측면에 부착하여 리프팅 하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다.
둘째, 큰 중량의 구조물이나 공작물의 아래에서 이송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셋째, 어떠한 형상의 구조물이나 공작물이라도 하더라도 리프터 복수개를 필요한 위치에 적절하게 부착할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이송작업이 매우 수월하다.
넷째, 만일 작업자가 방향전환을 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상기 수동핸들을 돌리더라도 유압제어밸브가 개방되면서 유압이 공급되어 상기 조향실린더가 작동하게 되므로 상기 조향기어가 유압에 의해 회전되어 작업자는 쉽게 방향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블록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조향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승강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행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측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타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선박의 블록과 같은 대형 구조물이나 중량의 공작물을 이동하기 위해 구조물이나 공작물 측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리프팅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이나 공작물의 측면에 부착, 결합되는 부착플레이트(100), 상기 부착플레이트(100)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200),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장착되어 리프터의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부(300), 지면으로부터 구조물을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400), 상승된 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주행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부착플레이트(100)와 지지프레임(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부착플레이트(10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충분한 강도와 두께를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착플레이트(100)는 구조물이나 공작물 측면에 별도의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면 체결하는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테두리를 용접하여 강하게 부착할 수 있다.
만일 구조물의 이동이 완료되면 구조물로부터 다시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부착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향부(300), 승강부(400), 주행부(5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부착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거치판(210)과, 상기 거치판(210)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20)로 구성되어 대략 선반과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거치판(210)은 상기 조향부(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중앙에 장착홀(211)이 형성된다.
또 상기 지지부재(220)는 수직으로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부착플레이트(100)에 강하게 결합된다.
다음으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조향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조향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조향부(300)는 상기 거치판(210)의 하측 및 상기 지지부재(2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리프터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향부(300)는 LM가이드(310), 랙기어(320), 조향실린더(330), 조향기어(350), 조향축(340), 조향판(3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LM가이드(310)는 직선 왕복운동을 유도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부착플레이트(100)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된다.
상기 LM가이드(310)는 측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플레이트(100)의 상부, 다시 말해서,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부착플레이트(100)에 가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320)가 결합된다.
상기 랙기어(320)는 수평의 판 또는 빔의 일면에 등간격으로 기어가 형성된 부품이다. 따라서, 상기 랙기어(320)는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상기 LM가이드(310)의 일측에는 조향실린더(330)가 상기 부착플레이트(100)의 측면에 수평으로 결합된다.
상기 조향실린더(330)의 몸체는 상기 LM가이드(310)와 반대측으로 위치하고, 로드가 상기 랙기어(32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조향실린더(330)의 로드가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 및 랙기어(320)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향축(340)은 상기 거치판(210)의 장착홀(211)을 관통하면서 지지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홀(211)에는 원통형의 하우징(341)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341) 내에는 외경이 단이진 형상의 조향축(340)이 삽입된다. 물론, 상기 하우징(341)과 조향축(340)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는데,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수평베어링(342)과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수직베어링(343)이 별도로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341) 내에 단턱(341a)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베어링(342)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조향축(340)이 하측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해준다.
상기 조향축(340)의 단부에는 조향기어(35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향기어(350)는 상기 랙기어(320)에 수평으로 연동되어 상기 랙기어(32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조향기어(35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조향기어(350)의 하측에는 상기 조향축(340)의 하단에 결합되는 조향판(36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조향기어(35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조향축(340)도 정역회전 하므로 최종적으로 상기 조향판(360)이 회전 구동된다.
다음으로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승강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승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승강부(400)는 리프터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리프팅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승강고정암(410), 승강회동암(420), 승강실린더(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고정암(410)은 상기 조향부(300)의 조향판(360)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조향판(36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승강고정암(410)은 상기 조향판(360)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결합, 고정된다.
상기 승강고정암(410)은 중량을 지탱해야 하므로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고정암(410)의 단부에는 상기 승강회동암(42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상기 조향판(360)과 승강회동암(420) 사이에는 승강실린더(430)가 장착된다.
상기 승강실린더(430)의 몸체는 상기 승강회동암(4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로드는 상기 조향판(360)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승강고정암(410), 승강회동암(420), 승강실린더(430)는 대략 서로 삼각형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실린더(430)의 로드가 전진하면, 상기 승강고정암(410)과 승강회동암(420)이 이루는 각이 증가하면서 벌어지고, 반대로 로드가 후진하면, 각이 줄어들면서 접히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승강회동암(420)에 상기 주행부(500)가 결합된다.
다음으로는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주행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행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주행부(500)는 리프터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서, 기어박스(510), 구동모터(520), 구동스프라켓(530), 종동스프라켓(540), 체인(550), 구동기어(560), 주행기어(570), 주행휠(5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510)는 상기 구동스프라켓(530), 종동스프라켓(540), 주행기어(570)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510)는 상기 승강부(400)의 승강회동암(420)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회동암(420)과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510)의 일측면에는 구동모터(520)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510)의 상측면에 설치되거나, 혹은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510)의 하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구동모터(520)는 별도의 모터 브라켓을 상기 기어박스(510)에 장착하고 상기 구동모터(520)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520)의 축에는 구동스프라켓(530)이 결합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는 종동스프라켓(540)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스프라켓(530)과 종동스프라켓(540)은 체인이 권취되어 상기 구동모터(520)의 구동력이 상기 종동스프라켓(540)으로 전달된다.
상기 종동스프라켓(540)에는 구동기어(560)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상기 구동기어(560)도 상기 기어박스 내에 수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종동스프라켓(540)과 동일한 축을 설치한다.
상기 구동기어(560)에는 주행기어(570)가 물려 연동된다.
상기 주행기어(570)도 상기 기어박스(510) 내에 수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기어(570)의 기어축에는 주행휠(580)이 결합된다.
상기 주행휠(580)은 상기 기어박스(510)의 외측에 구비되고 지면에 접촉하는 바퀴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20)에서 제공된 회전구동력은 상기 종동스프라켓(540), 체인(550), 구동스프라켓(530), 구동기어(560), 주행기어(570)를 거쳐 상기 주행휠(580)에 전달되어 상기 주행휠(580)이 회전함으로써 리프터가 굴러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부착플레이트(100)를 구조물이나 공작물의 측면에 부착하되, 보통 4개를 사면의 각 모서리에 부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조물 측면에 상기 부착플레이트(100)를 밀착하고 테두리를 용접하여 강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행휠(580)은 바닥에 놓이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400)의 승강실린더(430)를 작동시키면 로드가 전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승강회동암(420)이 벌어지면서 상기 부착플레이트(100)는 리프팅된다.
상기 주행휠(580)이 지면에 의해 지지되면서 반력에 의해 상기 부착플레이트(100) 및 상기 부착플레이트(100)가 부착된 구조물을 들어올린다.
이때, 약 110 ~ 115mm 정도 상승시킨다.
매우 큰 하중이 리프터에 걸리는 상태이므로 주행휠(580)과 리프터의 무게중심을 최대한 일치시키도록 한다.
리프팅된 상태에서 상기 주행부(500)의 구동모터(520)를 구동하면 상기 주행휠(580)이 회전 구동되어 구조물은 천천히 이동하게 된다.
만일,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경우 상기 조향실린더(330)를 작동시킬 수 있는데, 조향실린더(330)의 로드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조향기어(350) 및 조향판(360)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조향판(360)이 회전하면 상기 조향판(360)에 결합된 상기 승강부(400)와 주행부(500)는 모두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며, 결국 상기 주행부(500)의 주행휠(580)이 회전하게 되므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실린더(430)를 후진시켜 상기 승강회동암(420)이 접히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부착플레이트(100) 및 구조물은 천천히 하강하여 지면이 안착된다.
용접으로 부착한 상기 부착플레이트(100)는 다시 용접으로 용융시켜 떼어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7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조향부(300)의 구조를 변경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방향을 전환하되, 유압의 힘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반자동으로 조향이 가능하게 한 구조이다.
이를 위해 상기 조향부(300)는 LM가이드(310), 랙기어(320), 조향실린더(330), 조향축(340), 조향기어(350), 조향판(360), 수동핸들(370), 유압제어밸브(380), 밸브축(381), 밸브개폐기어(39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LM가이드(310)는 상기 부착플레이트(100)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는데, 상기 LM가이드(310)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상기 LM가이드(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플레이트(100)의 상부, 다시 말해서,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부착플레이트(100)에 가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32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랙기어(320)는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상기 LM가이드(310)의 상부에는 조향실린더(330)가 수평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조향실린더(330)는 양방향 실린더 혹은 복동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조향실린더(330)의 양측 로드가 각각 상기 랙기어(32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조향실린더(330)의 로드가 좌우로 구동됨에 따라 상기 랙기어(320)가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상기 조향축(340)은 상기 거치판(210)의 장착홀(211)을 관통하면서 지지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구조는 상술한 바와 대동소이하다.
그리고 상기 조향축(340)의 단부에는 조향기어(35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향기어(350)는 상기 랙기어(320)에 수평으로 연동되어 상기 랙기어(32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조향기어(35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조향기어(350)의 하측에는 상기 조향축(340)의 하단에 결합되는 조향판(36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조향기어(35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조향축(340)도 정역회전 하므로 상기 조향축에 결합된 상기 조향판(360)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향판(360)에 결합되는 승강고정암(410)의 상부면에는 수동핸들이 부착된다.
상기 수동핸들(370)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토크를 가해 상기 승강고정암(41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승강고정암(410)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거치판(210)의 상부면에는 유압제어밸브(380)가 설치된다.
상기 유압제어밸브(380)는 상기 조향실린더(330)에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유압을 개폐한다. 즉, 상기 조향실린더(330)가 양방향 실린더이므로 좌측에 유압을 공급하면 로드가 우측으로 구동되므로 상기 랙기어(320)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우측에 유압을 공급하면 로드가 좌측으로 구동되므로 상기 랙기어(320)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유압제어밸브(380)에는 밸브축(381)이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다. 상기 밸브축(381)은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조향기어(350)의 측면까지 연장된다.
상기 밸브축(381)에는 밸브개폐기어(390)가 결합되어 회전하는데, 상기 밸브개폐기어(390)는 상기 조향기어(350)에 연동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조향부(3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상기 수동핸들(370)을 잡고 상기 승강고정암(410)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고정암(410)이 결합된 상기 조향판(36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조향판(360)이 회전하면 상기 조향기어(350)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조향기어(350)에 연동된 상기 밸브개폐기어(390)가 회전한다.
상기 밸브개폐기어(390)가 회전하면, 상기 밸브개폐기어(390)에 결합된 상기 밸브축(381)이 회전하므로 상기 유압제어밸브(380)가 일방향으로 열리게 된다.
상기 유압제어밸브(380)가 열리면 상기 조향실린더(330)의 일측으로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고, 상기 조향실린더(330)의 타측 로드가 구동되면 타측 로드에 결합된 상기 랙기어(320)가 이동되는데, 상기 랙기어(320)의 이동에 의해 연동된 상기 조향기어(35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킨 상기 조향기어(350)가 결국 상기 랙기어(320)의 작동으로 인해 회전력이 증가되어 작업자가 쉽게 수동핸들(370)을 돌릴 수 있게 된다.
결국, 작업자가 방향전환을 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상기 수동핸들(370)을 돌리면 처음에는 힘이 들어가지만, 바로 상기 유압제어밸브(380)가 개방되면서 유압이 공급되어 상기 조향실린더(330)가 작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조향기어(350)가 유압에 의해 회전되므로 작업자는 쉽게 방향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타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도 6, 7에 도시된 조향부(300)의 구조를 다르게 변경한 것으로서, LM가이드(310), 랙기어(320), 조향실린더(330), 연결부재(331), 조향축(340), 조향종동기어(352) 및 조향구동기어(351), 조향판(360), 수동핸들(370), 유압제어밸브(380), 밸브축(381), 밸브개폐기어(39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LM가이드(310), 랙기어(320)는 상술한 구조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LM가이드(310)의 상부에 양방향 실린더 또는 복동 실린더 방식의 조향실린더(330)가 수평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향실린더(330)의 양측 로드는 연결부재(331)에 의해 상기 랙기어(320)와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331)의 일단이 로드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랙기어의 일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조향실린더(330)의 로드가 좌우로 구동됨에 따라 상기 랙기어(320)가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상기 조향축(340)은 상기 거치판(210)의 장착홀(211)을 관통하면서 지지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구조는 상술한 바와 대동소이하다.
그런데 상기 조향축(340)의 하단에는 조향종동기어(352)가 결합되고, 상단에는 조향구동기어(351)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판(210)을 기준으로 상측에 조향구동기어(351)가, 하측에 조향종동기어(352)가 위치한다.
이때, 상기 조향종동기어(352)는 상기 랙기어(320)에 수평으로 연동되므로 상기 조향종동기어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320)가 좌 또는 우측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다.
상기 조향종동기어(350)의 하측에는 조향판(360)이 결합되어 함께 회전된다.
한편, 상기와 달리 상기 수동핸들(370)이 상기 조향축(34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거치판(2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핸들(370)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토크를 가해 상기 조향축(34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손잡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판(210)의 상부면에는 유압제어밸브(380)가 설치된다.
상기 유압제어밸브(380)에는 밸브축(381)이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데, 상기 밸브축(381)에 밸브개폐기어(390)가 결합되어 회전한다. 이때, 상기 밸브개폐기어(390)는 상기 조향구동기어(351)에 연동된다.
상기 밸브개폐기어(390)는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조향구동기어(351)에 비해 작은 기어를 사용함으로써 증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조향구동기어(351)에 작은 토크가 입력되어도 큰 토크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상기 유압제어밸브(38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조향부(3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상기 수동핸들(370)을 잡고 상기 조향축(340)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향축(340)에 결합된 조향구동기어(351), 조향종동기어(352) 및 조향판(36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조향구동기어(351)가 회전하면 연동된 상기 밸브개폐기어(390)가 회전하고, 이로 인해 상기 유압제어밸브(380)가 일방향으로 열리게 된다.
상기 유압제어밸브(380)가 열리면 상기 조향실린더(330)의 일측으로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고, 상기 조향실린더(330)의 타측 로드가 구동되면 타측 로드에 결합된 상기 랙기어(320)가 이동되는데, 상기 랙기어(320)의 이동에 의해 연동된 상기 조향종동기어(35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킨 상기 조향구동기어(351)가 결국 상기 랙기어(320)의 작동으로 인해 회전력이 증가되어 작업자가 쉽게 수동핸들(370)을 돌릴 수 있게 되며, 더불어 상기 승강부(400)와 주행부(500)를 회전시킴으로써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승강고정암(410)의 상부면에는 비상핸들링수단(411)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비상핸들링수단(411)은 상기 수동핸들(370)에 의한 유압구동이 고장나거나 문제가 발생한 경우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승강고정암(410)에 토크를 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비상핸들링수단(411)에 빔이나 봉을 삽입하여 작업자가 힘을 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부착플레이트
200 : 지지프레임 210 : 거치판
211 : 장착홀 220 : 지지부재
300 : 조향부 310 : LM가이드
320 : 랙기어 330 : 조향실린더
331 : 연결부재 340 : 조향축
341 : 하우징 341a : 단턱
342 : 수평베어링 343 : 수직베어링
350 : 조향기어 351 : 조향구동기어
352 : 조향종동기어 360 : 조향판
370 : 수동핸들 380 : 유압제어밸브
381 : 밸브축 390 : 밸브개폐기어
400 : 승강부
410 : 승강고정암 411 : 비상핸들링수단
420 : 승강회동암 430 : 승강실린더
500 : 주행부
510 : 기어박스 520 : 구동모터
530 : 구동스프라켓 540 : 종동스프라켓
550 : 체인 560 : 구동기어
570 : 주행기어 580 : 주행휠

Claims (6)

  1. 대형 구조물을 리프팅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조물의 측면에 하나 이상을 부착할 수 있는 대형 구조물 리프터에 있어서,
    대형 구조물의 측면에 수직으로 부착하여 고정되는 부착플레이트;
    상기 부착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부착플레이트의 측면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LM가이드와, 상기 LM가이드에 장착되어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랙기어와, 상기 LM가이드 상부에 설치되는 조향실린더와, 상기 조향실린더의 양측 로드와 상기 랙기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지지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조향종동기어와, 상기 조향종동기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조향판과, 상기 조향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조향구동기어와, 승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동핸들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유압제어밸브와, 상기 유압제어밸브에 내장되어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축과, 상기 밸브축에 결합되고 상기 조향구동기어에 연동되는 밸브개폐기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향부;
    상기 조향판의 하부면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승강고정암과, 상기 승강고정암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회동암과, 상기 조향판의 하부면과 승강회동암 사이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리프팅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회동암의 측면에 결합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기어박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에 권취되는 체인과, 상기 종동스프라켓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연동되는 주행기어와, 상기 기어박스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조향종동기어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주행휠;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주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68997A 2018-11-19 2019-06-11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 KR102097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904 2018-11-19
KR20180142904 2018-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701A KR20190123701A (ko) 2019-11-01
KR102097162B1 true KR102097162B1 (ko) 2020-04-03

Family

ID=6853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997A KR102097162B1 (ko) 2018-11-19 2019-06-11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0207B (zh) * 2021-10-21 2023-05-2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大型升降平台及舱室升降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040Y1 (ko) * 2006-06-20 2006-08-28 성낙윤 물체이동장치
KR100784781B1 (ko) * 2006-08-23 2007-12-14 라인호(주) 유지보수가 용이한 트랜스포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263Y1 (ko) * 2006-11-01 2008-08-04 주명자 소형 선박 이송용 다목적 자동(自動)식 대차
KR101334591B1 (ko) * 2010-10-28 2013-11-29 주식회사 알에스기전 직구동 조향식 팔레트 트럭용 전동 조향장치.
KR101698358B1 (ko) 2014-08-12 2017-01-23 제우기공 주식회사 블록 리프트 장치
KR20160026007A (ko) * 2014-08-29 2016-03-09 정의한 대형선박의 조향장치
KR101614700B1 (ko) 2015-03-13 2016-04-22 한중선박기계 주식회사 블록 리프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040Y1 (ko) * 2006-06-20 2006-08-28 성낙윤 물체이동장치
KR100784781B1 (ko) * 2006-08-23 2007-12-14 라인호(주) 유지보수가 용이한 트랜스포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701A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9721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mounting a building material
KR102192444B1 (ko) 오픈 척 클램프 용접장치
KR102138739B1 (ko) 자동 용접 로봇 이동 장치
JP2005246553A (ja) 搬送装置
JP2010526001A (ja) ウィンチ調整機構
KR102097162B1 (ko)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
US6612548B2 (en) Hoist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US4810160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palletized material into and from isothermal delivery wagons or containers
KR101610928B1 (ko)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EP3075494A1 (de) Arbeitsvorrichtung und arbeitsverfahren
JP6011784B2 (ja) グラブバケット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台車
JP3580877B2 (ja) 大型鋼構造物の製作装置に使用する補強材の取出し押付け機構
JP5748884B1 (ja) マグネット固定式コンパクトフライス及び移動式加工法
GB2375095A (en) Goods handling apparatus
CN219453427U (zh) 一种钢骨柱搬运装置
WO2004022473A1 (en) Lifting device
KR100403920B1 (ko)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JP3005018B2 (ja) 自動蓋開閉装置を備えた容器無人搬送車
KR20110135555A (ko) 선박의 곡블록용 핀지그
KR102631132B1 (ko) 작업용 지그의 승강 틸팅 모션장치
KR100910349B1 (ko) 다관절 로봇 및 그 운송방법
KR200225697Y1 (ko)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CN214269905U (zh) 一种吊具上架微动调节装置及吊具上架组件
CN219885583U (zh) 运输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