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700B1 - 블록 리프트 - Google Patents

블록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700B1
KR101614700B1 KR1020150034871A KR20150034871A KR101614700B1 KR 101614700 B1 KR101614700 B1 KR 101614700B1 KR 1020150034871 A KR1020150034871 A KR 1020150034871A KR 20150034871 A KR20150034871 A KR 20150034871A KR 101614700 B1 KR101614700 B1 KR 101614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teering
block
driven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회
Original Assignee
한중선박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중선박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중선박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4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5/00Mobile jacks of the garage type mounted on wheels or rollers
    • B66F5/04Mobile jacks of the garage type mounted on wheels or rollers with fluid-pressure-operated lift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내구성 및 작업 안전성이 향상되며, 선박 건조시 작업장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블록 리프트에 대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어 블록을 이동시키는 블록 이동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블록 리프트를 구동 시키는 구동 어셈블리와, 상기 본체의 내부 양쪽으로 구비되어 블록 리프트를 지지하는 종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서, 본체 측판 일측에는 블록 리프트의 원격 조종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부가 포함된 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블록 이동부는 블록의 저면에 접촉되어 블록을 상승시키는 리프트 실린더와, 상기 리프트 실린더를 전,후,좌,우로 미세하게 이동시키는 전후이동 실린더 및 좌우이동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들을 작동시키는 모터 및 유압밸브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 리프트{Block Lift}
본 발명은 선박 건조시 사용되는 블록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내구성 및 작업 안전성이 향상되며, 선박 건조시 작업장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블록 리프트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 생산되는 선박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형화가 진행되어 수만톤이 넘는 선박들이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대형 선박을 건조할 때에는 선체를 각 구획으로 나눈 블록의 형식으로 제작하고, 이러한 각 블록을 접합하는 공정에 의해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공정 사이에서 블록의 이동시에는 대차나 기중기를 이용하게 되고, 각 공정에서는 블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사용하게 되며, 지지된 블록을 조립하기 위하여 접합할 위치에 정확하게 밀착시키는 미세 이동을 할 때에는 블록 리프트라는 장비를 사용하게 된다.
도 12는 종래 블록 리프트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12를 참조하여 종래 블록 리프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블록 리프트는 프레임(1)의 상단으로 조선용 블럭을 미세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메인 실린더(60)와 전후이동 실린더(70) 및 좌우이동 실린더(80)가 구비되고, 프레임의 좌측으로는 핸들(14)이 포함된 전방 휠 어셈블리(10)가 구성되며, 프레임 우측 하부 양쪽으로는 후방휠(40) 및 후방휠 승강부(50)가 구성된다.
상기 종래 블록 리프트는 작업자가 핸들 및 전방 휠 어셈블리를 조작하여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블록의 하부로 블록 리프트를 이동 시킨 후, 블록 리프트의 전방 휠과 후방 휠을 상승시켜 프레임의 저면과 지면을 밀착시킨 다음, 메인 실린더와 전후이동 실린더 및 좌우이동 실린더를 작동시켜 블록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종래 블록 리프트는 작업자가 수백톤에 달하는 블록의 하부까지 블록 리프트를 운전한 후 블록의 미세 이동 작업까지 블록 하부에서 직접 하여야 하므로 작업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시 존재하고 있으며, 전방 휠 어셈블리 및 후방 휠 어셈블리가 프레임의 외부에 구성되어 오염 물질에 의한 내구성 저하와 함께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이 빈번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블록 리프트는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된 핸들을 포함한 전방 휠 어셈블리로 인하여 대량의 블록 리프트 보관 및 이동 시 공간을 너무 많이 소요 하여 선박 건조시 작업장의 공간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1058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직접 블록 하부에서 블록 리프트를 운전하지 않아 작업 안전성이 향상된 블록 리프트를 공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어셈블리 및 종동 어셈블리를 본체 내부에 구성하여 오염 물질 및 외부 충격에 의한 구동 및 종동 어셈블리의 오염과 파손을 방지하며 내구성이 향상된 블록 리프트를 공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제품의 소형화로 인하여 선박 건조시 작업장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블록 리프트를 공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 블록을 조립하기 위하여 접합할 위치에 블록을 정확하게 밀착시키는 블록 리프트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어 블록을 이동시키는 블록 이동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블록 리프트를 구동 시키는 구동 어셈블리와, 상기 본체의 내부 양쪽으로 구비되어 블록 리프트를 지지하는 종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서, 본체 측판 일측에는 블록 리프트의 원격 조종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부가 포함된 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블록 이동부는 블록의 저면에 접촉되어 블록을 상승시키는 리프트 실린더와, 상기 리프트 실린더를 전,후,좌,우로 미세하게 이동시키는 전후이동 실린더 및 좌우이동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들을 작동시키는 모터 및 유압밸브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동 어셈블리 및 종동 어셈블리를 본체 내부에 구성하여 구동 및 종동 어셈블리를 외부 오염 물질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블록 리프트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어셈블리 및 종동 어셈블리를 본체 내부에 구성하여 블록 리프트가 소형화되고, 이로 인하여 블록 리프트의 보관 및 이동시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 리프트를 원격 조정이 가능토록 개선하여 작업자가 블록의 하부까지 직접 블록 리프트를 운전하지 않아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 어셈블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A는 구동 어셈블리의 구동부를 나타낸 평면단면 예시도이고, 4B는 구동부를 나타낸 측면단면 예시도이다.
도 5A는 구동 어셈블리의 조향부를 나타낸 평면단면 예시도이고, 5B는 조향부를 나타낸 측면단면 예시도이다.
도 6은 구동 어셈블리의 구동 승하강부를 나타낸 측면단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종동 어셈블리를 나타낸 측면단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동부의 구동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A, 9B는 본 발명의 조향부의 조향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구동 승하강부의 승하강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종동 승하강부의 승하강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종래 블록 리프트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 리프트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된 블록 이동부(2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구동 어셈블리(300)와, 상기 본체의 내부 양쪽으로 구비된 종동 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서, 본체 상판에는 블록 이동부(200)가 구비되고, 본체 내부 앞쪽에는 구동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본체 내부 뒷쪽 양측에는 종동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본체 측판 일측에는 블록 리프트의 원격 조종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부가 포함된 조작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수신부 및 조작부는 유압 실린더 및 모터를 작동시키는 주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블록 이동부(200)는 블록의 저면에 접촉되어 블록을 상승시키는 리프트 실린더(210)와, 상기 리프트 실린더를 전,후,좌,우로 미세하게 이동시키는 전후이동 실린더(220) 및 좌우이동 실린더(230)와, 상기 실린더들을 작동시키는 모터(240) 및 유압밸브 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 리프트는 작업자의 원격 조종에 의해 블록 리프트가 지지대에 받쳐져 있는 블록의 하부로 이동한 후, 구동 어셈블리와 종동 어셈블리가 상승되어 본체의 저면이 바닥에 닿은 다음, 블록 이동부가 작동하여 블록의 미세 이동 작업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원격 조종에 의해 작업자가 직접 수백톤에 달하는 블록의 하부에서 블록 리프트를 조종하는 위험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고, 작업자의 심리적 안전감 상승으로 인하여 작업 효율성 또한 향상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 어셈블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구동 어셈블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100) 내부 앞쪽에는 구동 어셈블리(30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지면에 가장 가깝게 구성된 구동부(310)와,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결합된 조향부(320)와, 상기 조향부의 상부에 결합된 구동 승하강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310)는 블록 리프트가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조향부(320)는 구동부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구동부의 방향을 전환시키며, 상기 구동 승하강부(330)는 구동부와 조향부를 동시에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키거나, 하측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도 4A는 구동 어셈블리의 구동부를 나타낸 평면단면 예시도이고, 4B는 구동부를 나타낸 측면단면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구동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10)는 구동 몸체(311)와, 구동 바퀴(312)와, 상기 구동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드리븐기어(313), 구동 드라이브기어(314) 및 구동 모터(315)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몸체(311)는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서 내부에 구동 바퀴(312)가 바퀴축과 함께 설치되고, 상기 구동 바퀴(312)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일측에는 구동 드리븐기어(313)가 구동 바퀴(312)와 결합된다. 상기 구동 몸체(311)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일측에는 구동 모터(315)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 모터(315)에는 구동 드라이브기어(314)가 결합된다. 상기 구동 드라이브기어(314)는 구동 드리븐기어(313)와 치합된다.
도 5A는 구동 어셈블리의 조향부를 나타낸 평면단면 예시도이고, 5B는 조향부를 나타낸 측면단면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조향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조향부(320)는 구동부(310)의 상부에 구성된다. 조향부(320)는 조향 몸체(321)와, 상기 조향 몸체 내부의 베어링 유닛(322) 및 회전축(323)과, 조향 모터(324), 조향 드라이브기어(325), 조향 드리븐기어(326)와, 조향 몸체 상부의 고정판(327) 및 결합구(328)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 몸체(321)는 상,하로 관통된 다각형의 박스 형상이다. 조향 몸체(321)의 내부에는 베어링 유닛(322)이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 유닛은 하단에 플렌지가 형성된 원통으로서 플렌지는 구동부(310)의 구동 몸체(311) 상판과 결합되고, 원통의 내부에는 회전축(323)이 구비되며, 원통의 외측 테두리에는 조향 드리븐기어(326)가 결합된다.
상기 상기 조향 드리븐기어(326)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일측에는 조향 드라이브기어(325)가 결합된 조향 모터(324)가 구비된다. 상기 조향 드라이브기어(325)와 조향 드리븐기어(326)는 치합된다. 상기 조향 모터(324)에는 기어박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조향 몸체(321)의 좌측 및 우측에는 스토퍼(32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향 몸체(321)의 상판에는 결합구(328)와 고정판(327)이 구비된다. 조향 몸체를 기준으로 위치를 살펴보면, 조향 몸체(321)의 상판에는 고정판(327)이 구비되고, 고정판의 상단에는 결합구(32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구(328)는 고정판(327)과 결합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327)은 조향 몸체(321)의 상판과 결합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327)의 중심홈에는 회전축(323)의 상단이 접속되어 회전축(323)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6은 구동 어셈블리의 구동 승하강부를 나타낸 측면단면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구동 승하강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승하강부(330)은 조향부(320)의 상부에 구성된다. 상기 구동 승하강부는 구동 승하강실린더(331)와 작동로드(R)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승하강실린더(331)는 본체(100) 상판에 구비된다. 구동 승하강실린더의 작동로드(R) 하단은 조향부(320)의 결합구(328)와 결합된다. 구동 승하강실린더(331)의 하단에는 받침대(33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작동로드(R)의 승하강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종동 어셈블리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종동 어셈블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동 어셈블리(400)는 본체 내부 뒷쪽 아래의 양쪽으로 구비된다. 상기 종동 어셈블리(400)는 고정 브라켓(410)과, 회동판(411)과, 종동 바퀴(413)와, 종동 승하강실린더(41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410)은 본체 내부의 수직내벽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 단부에는 회동판(411)의 앞쪽 단부가 힌지축(412)으로 결합된다. 상기 회동판(411)은 판형상으로서 앞쪽 단부에서부터 중앙까지 수평으로 연장된 다음, 중앙에서부터 뒷쪽 단부까지는 비스듬히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회동판(411)의 뒷쪽 단부에는 종동 바퀴(413)가 결합되고, 회동판(411)의 중앙에는 종동 승하강실린더(414)의 작동로드(R) 하단이 힌지 결합된다. 상기 종동 승하강실린더(414)의 상단은 본체 내부의 수평내벽에 고정된다. 상기 회동판(411)의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에는 리미트 스위치(415)가 장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동부의 구동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여 구동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어셈블리(300)의 구동부(310)는 구동 모터(315)의 정,역 회전에 의해 구동 바퀴(312)가 정,역회전을 한다. 상기한 구동 바퀴의 회전을 살펴보면, 작업자의 원격 조종에 따라 구동 모터(315)는 회전을 하게 되고, 구동 모터의 회전에 따라 구동 드라이브기어(314)가 회전한다. 상기 구동 드라이브기어의 회전에 따라 구동 드라이브기어와 치합된 구동 드리븐기어(313)가 회전하면, 구동 드리븐기어와 결합된 구동 바퀴(312)가 회전한다. 상기 구동 바퀴의 회전에 의해 블록 리프트는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본 발명은 구동부를 블록 리프트 본체 내부에 구성하여 구동 모터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 구성요소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구동부의 항오염성 또한 뛰어나며 외부 충격에 의한 구동부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어셈블리를 블록 리프트 본체 내부에 구성하여 블록 리프트 전체 크기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하여 조선 작업장에서 블록 리프트를 보관하거나 이동 시킬 때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9A, 9B는 본 발명의 조향부의 조향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9를 참조하여 조향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구동 어셈블리(300)의 조향부(320)는 조향 모터(324)의 정,역 회전에 의해 구동부(3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킨다. 조향부(320)와 구동부(310)의 구성 요소 중에서 결합구(328)와 고정판(327)은 결합 고정되고, 고정판(327)과 조향 몸체(321)의 상판은 결합 고정되어 회전작용 없이 고정된다. 하지만 조향 몸체(321) 내부의 베어링 유닛(322), 조향 드리븐기어(326)는 회전축(323)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작업자의 원격 조종에 따라 조향 모터(324)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조향 모터의 회전에 따라 조향 드라이브기어(325)가 회전한다. 상기 조향 드라이브기어의 회전에 따라 조향 드라이브기어와 치합된 조향 드리븐기어(326)가 회전을 하면, 조향 드리븐기어와 결합된 베어링 유닛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을 한다.
상기 베어링 유닛(322)은 저면이 구동부(310)의 구동 몸체(311)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조향 모터(324)의 작동에 따라 베어링 유닛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3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구동부의 조향 작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조향부(320)를 블록 리프트의 본체 내부에 구성하여 조향 모터 등을 포함하는 조향부 구성요소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아 조향부의 항오염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외부 충격에 의한 조향부 구성요서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블록 리프트에서 본체 외부로 크게 돌출되었던 핸들 등을 포함한 조향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제거하여 블록 리프트 전체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공간 활용성이 극대화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구동 승하강부의 승하강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구동 어셈블리의 승하강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어셈블리의 구동부(310)와 조향부(320)는 구동 승하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는 구동 몸체(311), 베어링 유닛(322), 고정판(327), 결합구(328)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구는 구동 승하강실린더(331)의 작동로드 단부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작업자의 원격 조정에 의해 구동 승하강실린더(331)가 작동로드(R)를 들어 올리면, 작동로드의 하단부와 결합된 결합구(328)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결합구와 결합된 조향 몸체(321)에 의해 조향부(320)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조향부의 상승으로 인해 조향부의 베어링 유닛(322)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 베어링 유닛과 결합된 구동 몸체(311)가 상승하게 되어 구동부와 조향부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와 조향부의 하강 작용은 상승 작용의 반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종동 승하강부의 승하강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종동 바퀴의 승하강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동 바퀴(413)는 종동 승하강실린더(414)의 작동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는 종동 승하강실린더(414)의 작동로드(R) 단부가 회동판(411)의 중앙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회동판(411)의 앞쪽 단부가 본체(100)의 수직내벽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410)에 힌지 결합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동판(411)은 앞쪽 단부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뒷쪽 단부가 상하로 회동하게 되고, 회동판의 회동에 따라 회동판과 결합된 종동 바퀴(413)가 상하로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작업자의 원격 조종에 의해 종동 승하강실린더(414)가 작동로드(R)를 들어 올리면, 작동로드의 하단부와 결합된 회동판(411)의 뒷쪽 단부가 힌지축(412)을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회동판(411)의 회동으로 인해 회동판과 결합된 종동 바퀴(413)는 상측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종동 바퀴의 상승에 있어서, 회동판 상부에 구비된 리미트 스위치(415)는 종동 바퀴(413)의 상승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종동 바퀴(413)의 하강 작용 및 하강 작용에 있어 회동판 하부에 구비된 리미트 스위치(415)의 작용은 상승 작용의 반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조작부
200: 블록 이동부 210:리프트 실린더
220: 전후이동 실린더 230: 좌우이동 실린더
240: 모터 300: 구동 어셈블리
310: 구동부 311: 구동 몸체
312: 구동 바퀴 313: 구동 드리븐기어
314: 구동 드라이브기어 315: 구동 모터
320: 조향부 321: 조향 몸체
322: 베어링 유닛 323: 회전축
324: 조향 모터 325: 조향 드라이브기어
326: 조향 드리븐기어 327: 고정판
328: 결합구 329: 스토퍼
330: 구동 승하강부 331: 구동 승하강실린더
332: 받침대 400: 종동 어셈블리
410: 고정 브라켓 411: 회동판
412: 힌지축 413: 종동 바퀴
414: 종동 승하강실린더 415: 리미트 스위치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선박 블록을 조립하기 위하여 접합할 위치에 블록을 정확하게 밀착시키는 블록 리프트에 있어서,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상판에 구비되어 블록을 이동시키는 블록 이동부(2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블록 리프트의 구동작동 및 조향작동을 동시 수행하는 구동 어셈블리(3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 양쪽으로 구비되어 블록 리프트를 지지하는 종동 어셈블리(4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는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서, 본체(100) 측판 일측으로 블록 리프트의 원격 조종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부가 구성된 조작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300)는 지면에 가장 가깝게 구성된 구동부(310)와,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동부(310)를 회전시키는 조향부(320)와, 상기 조향부(320)의 상부에 결합된 구동 승하강부(330)를 포함하되,
    구동부(310)는 구동 몸체(311) 내부에 형성된 구동 바퀴(312)와, 상기 구동 바퀴(312) 일측에 결합된 구동 드리븐기어(313)와, 상기 구동 드리븐기어(313)와 스퍼기어 방식으로 치합된 구동 드라이브기어(314)및 구동 드라이브기어(314)와 연결된 구동 모터(315)를 포함하고,
    조향부(320)는 상,하로 관통된 다각형의 박스 형상인 조향 몸체(321)와, 상기 조향 몸체(321) 내부 중앙에 구비되되, 하단에 형성된 플렌지가 구동 몸체(311) 상판과 결합된 베어링 유닛(322)과, 상기 베어링 유닛(322) 내부의 회전축(323)과,상기 베어링 유닛(322)의 외부 테두리에 결합된 조향 드리븐기어(326)와, 상기 조향 드리븐기어(326)와 스퍼기어 방식으로 치합된 조향 드라이브기어(325)와, 상기 조향 드라이브기어(325)와 연결된 조향 모터(324)와, 상기 조향 몸체(321)의 상판에 결합 고정된 고정판(327)과, 상기 고정판(327)의 상단에 결합된 결합구(328)를 포함하고,
    구동 승하강부(330)는 본체(100) 상판에 구비된 구동 승하강실린더(331)와, 상기 구동 승하강실린더(311)에 연결된 작동로드(R)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로드(R)의 단부는 조향부(320)의 결합구(328) 상단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리프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종동 어셈블리(400)는 고정 브라켓(410)과, 회동판(411)과, 종동 바퀴(413)와, 종동 승하강실린더(414)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브라켓(410)은 본체 내부의 수직내벽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 단부에는 회동판(411)의 앞쪽 단부가 힌지축(412)으로 결합되며, 상기 회동판(411)은 판형상으로서 앞쪽 단부에서부터 중앙까지 수평으로 연장된 다음, 중앙에서부터 뒷쪽 단부까지는 비스듬히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동판(411)의 뒷쪽 단부에는 종동 바퀴(413)가 결합되며, 회동판(411)의 중앙에는 종동 승하강실린더(414)의 작동로드(R) 하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종동 승하강실린더(414)의 상단은 본체 내부의 수평내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리프트.
KR1020150034871A 2015-03-13 2015-03-13 블록 리프트 KR101614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871A KR101614700B1 (ko) 2015-03-13 2015-03-13 블록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871A KR101614700B1 (ko) 2015-03-13 2015-03-13 블록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700B1 true KR101614700B1 (ko) 2016-04-22

Family

ID=5591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871A KR101614700B1 (ko) 2015-03-13 2015-03-13 블록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7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701A (ko) 2018-11-19 2019-11-01 성낙윤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
CN114704724A (zh) * 2022-03-30 2022-07-05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沧州供电分公司 一种电网规划拓扑分析用辅助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701A (ko) 2018-11-19 2019-11-01 성낙윤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
CN114704724A (zh) * 2022-03-30 2022-07-05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沧州供电分公司 一种电网规划拓扑分析用辅助系统
CN114704724B (zh) * 2022-03-30 2024-04-09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沧州供电分公司 一种电网规划拓扑分析用辅助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6037B1 (en) A system comprising a rotatable work platform
KR101614700B1 (ko) 블록 리프트
JP6871093B2 (ja) 調節可能なバラスト取付装置を備えた移動式クレーン
WO1989002410A1 (en) Articulated jib crane capable of reaching areas behind an obstacle
CN106536400A (zh) 具有液压水平运动且布置在用于更换卡车的料斗和箱的组件中的中心旋转柱
KR101018534B1 (ko) 수동식 맨홀 프레임 인상장치
JP2014108881A (ja) 高所作業台
CN205773185U (zh) 一种用于翻转预制混凝土板的装置
CN104192769A (zh) 一种检修平台及检修车
CN206142681U (zh) 带有旋转平台的塔机驾驶室
US20150232069A1 (en) Assembly for washing vehicles
CN106517047A (zh) 一种翻旋装置
CN112622521B (zh) 一种用于方舱的行走系统
CN102490699B (zh) 可旋转的车辆升降支腿
KR20110019806A (ko)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KR200315892Y1 (ko) 고소작업장치의 탑승함 회전구조
JP4097657B2 (ja) 家具などの支持装置
CN213356768U (zh) 一种建筑工地施工用的小型吊车
KR100556281B1 (ko) 리프트장치 동조시스템
CN220131809U (zh) 机车检修升降平台
CN214690254U (zh) 一种飞机轮挡
KR200306652Y1 (ko)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
CN212864000U (zh) 一种预制构件安装辅助车
KR102540740B1 (ko) 크레인 안전 장치
CN208008379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移动式手动顶升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