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652Y1 -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652Y1
KR200306652Y1 KR20-2002-0032321U KR20020032321U KR200306652Y1 KR 200306652 Y1 KR200306652 Y1 KR 200306652Y1 KR 20020032321 U KR20020032321 U KR 20020032321U KR 200306652 Y1 KR200306652 Y1 KR 200306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motor
hydraulic
pedestal
pist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to KR20-2002-0032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6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6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9Movable platforms, Load ramps, e.g.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고소작업차에 설치된 탑승함은 회전기어의 회전반경에 의해 작업반경이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과, 실린더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실제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변화될 때, 회전력이 회전축과 연결축에 집중됨으로서 특정부분이 쉽게 마모되어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2 내지 도 4 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받침대(2)의 일측에 유압모우터(26)를 설치할 수 있는 지지브라켓(28)을 설치하고, 상기 유압모우터(26)의 상단에 브레이크수단(30)을 설치하되, 상기 브레이크수단(30)은 유압모우터(26)의 구동축(32)에 끼워져 일체를 이루는 하우징(34)과, 하우징(34)내에 코일스프링(36)을 탄지한 피스톤(38)과 브레이크디스크(40)가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피스톤(38)과 브레이크디스크(40) 사이에 유압포트(42)를 형성함으로서, 유압포 트(42)에 유압이 가해짐으로 해서 브레이크디스크(40)가 피니언기어(44)를 제어하고, 상기 피니언기어(44)의 회전력에 의해 링기어(20)가 회전하여 탑승함(1)이 360℃ 회전할 수 있으므로 작업범위를 넓힐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Boarding box rotating device of high place works car}
본 고안은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함의 하단에 링기어와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진 회전수단을 설치하고, 유압모우터를 포함한 브레이크수단을 설치하여 360℃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성을 향상시킨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 고층화를 이루면서 고소작업을 위한 특수 장비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서 붐대가 설치된 이동성을 갖춘 고소작업차가 있다.
상기 고소작업차는 붐대의 선단에 적재대가 설치되어 고층아파트나 빌딩에 물품운송용으로 이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붐대의 선단에 탑승함이 설치되고, 설치된 탑승함에 작업자를 탑승시켜서 가로수나 가로등 및 신호등을 보수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정비용, 또한 전신주의 보수작업용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차의 구성은 다수의 붐들이 내장되어 접첩식으로 조립된 붐대가 차량에 설치되고, 이 붐대는 안테나식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최상단의 선단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함(필요에 따라서는 적재대를 설치)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붐대에는 붐대의 각도를 조종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 유압장치와 접첩되어 있는 붐들을 늘어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하는 신축실린더나 윈치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붐대의 선단에 설치된 탑승함에 작업자를 탑승시켜 고소작업을 안전하게 하고 있다.
상기 붐대의 선단에 설치된 탑승함은 대부분 고정되어 있어 고소작업을 하는데 있어 작업반경에 제약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15870호(이하 종래고안 이라함)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조정장치가 출원되어 작업반경 제약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고안은 실린더(4)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되는 부채꼴형상의 회전기어(5)와, 상기 회전기어(5)와 치합되는 회전평기어(6)와, 상기 회전평기 어(6)가 설치되고 탑승함(1)과 일체를 이루는 회전축(7)과, 상기 회전축(7)이 결합되고 받침대(2)와 일체를 이루는 하우징(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받침대(2)는 붐대(8)의 선단과 힌지결합을 이루고 있으며, 받침대(2)의 일단과 붐대(8)의 선단사이에 각도조정수단(9)으로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어 붐대(8)의 각도가 변동됨에 따라 받침대(2)에 설치된 각도조정수단(9)이 연동되어 받침대(2)는 항상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회전기어(5)는 그 중앙에 하우징(3)에 설치된 회전축(7)이 끼워지고 일단에 연결축(10)이 설치되어 실린더(4)와 일체를 이루게 되어 실린더(4)의 직선운동은 하우징(3)에 설치된 회전축(7)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회전기어(5)가 회전평기어(6)를 회전시키게 됨으로 탑승함(1)는 양방으로 90℃씩 회전되어 작업반경을 보다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고안 역시 회전기어(5)의 회전반경에 의해 작업반경이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과, 실린더(4)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실제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변화될 때, 회전력이 회전축(7)과 연결축(10)에 집중됨으로서 특정부분이 쉽게 마모되어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탑승함의 하단에 외륜과 내륜으로 이루어진 링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링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진 회전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피니언기어의 하단에 브레이크수단을 설치하여 360℃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시 탑승함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붐대의 선단에 각도조정수단이 갖춰진 받침대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에 탑승함을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한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유압모우터를 설치할 수 있는 지지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유압모우터의 상단에 브레이크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유압모우터의 구동축에 끼워져 일체를 이루는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코일스프링을 탄지한 피스톤과 브레이크디스크가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피스톤과 브레이크디스크 사이에 유압포트를 형성함으로서, 유압포트에 유압이 가행짐으로 해서 브레이크디스크가 피니언기어를 제어하고,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링기어가 회전하여 탑승함이 양방향으로 360℃ 회전할 수 있어 작업범위를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고소작업차 탑승함 회전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탑승함 회전장치를 갖춘 고소작업차의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탑승함 회전장치의 요부확대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탑승함 회전장치의 브레이크수단의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링기어, 22 - 외륜,
24 - 내륜, 26 - 유압모우터,
28 - 지지브라켓, 30 - 브레이크수단,
32 - 구동축, 34 - 하우징,
36 - 코일스프링, 38 - 피스톤,
40 - 브레이크디스크, 42 - 유압포트,
44 - 피니언기어, 46 - 고정블럭.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을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탑승함 회전장치를 갖춘 고소작업차의 측면도이고, 예시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탑승함 회전장치의 요부확대 예시도이며, 예시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탑승함 회전장치의 브레이크수단의 확대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붐대(8)의 선단에 각도조정수단 (9)이 갖춰진 받침대(2)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2)에 탑승함(1)을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한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와 탑승함(1)은 외륜(22)과 내륜(24)으로 이루진 링기어(20)를 매개로 하여 일체를 이루도록 하고, 받침대(2)의 일측에 유압모우터(26)를 설치할 수 있는 지지브라켓 (28)을 설치하고, 상기 유압모우터(26)의 상단에 브레이크수단(30)을 설치하되, 상기 브레이크수단(30)은 유압모우터(26)의 구동축(32)에 끼워져 일체를 이루는 하우징(34)과, 하우징(34)내에 코일스프링(36)을 탄지한 피스톤(38)과 브레이크디스크(40)가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피스톤(38)과 브레이크디스크(40) 사이에 고정블럭(46)을 설치하여 유압포트(42)를 형성하며, 유압모우터(26)의 구동축(32)에 피니언기어(44)를 설치하여 링기어(20)와 치합하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50은 외륜(22)과 내륜(24)으로 이루어진 링기어(20)의 볼베어링이고, 52는 브레이크수단(30)에 설치된 오일링이며, 도면중 종래의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와 동일한 구성부분은 종래의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예시도 2 내지 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신장가능한 붐대(8)의 선단에 받침대(2)가 힌지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상기받침대(2)의 상부에 탑승함(1)가 설치되어 지되, 그 사이에 외륜(22)과 내륜(24)으로 이루어진 링기어(20)가 설치되어 있어 받침대(2)와 일체를 이루는 탑승함(1)은 좌우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된다.
즉, 상기 탑승함(1)의 하면 중앙에는 링기어(20)의 외륜(22)이 보울트결합을 이루고, 받침대(2)의 상면에는 링기어(20)의 내륜(24)이 보울트결합을 이루게 되며, 상기 외륜(22)과 내륜(24)사이에는 볼베어링(50)이 삽입되어 지는데, 상기 볼베어링(50)에 의해 외륜(22)과 내륜(24)은 일체를 이루고, 또한 하중에 대한 응력을 갖추게 됨으로 외륜(22)이 고정된 탑승함(1)은 원활하게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링기어(20)의 외륜에는 유압모우터(26)의 구동축(32)에 설치된 피니언기어(44)가 치합되어 있어 유압모우터(26)의 작동으로 피니어기어(44)가 링기어(20)의 외륜(22)을 회전시키게 되어 탑승함(1)은 회전된다.
상기 유압모우터(26)의 구동축(32)에 설치된 피니언기어(44)는 브레이크수단 (30)에 의해 제어가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시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유압모우터(26)의 상단에 원통형 하우징(34)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 코일스프링 (36)이 탄지된 피스톤(38)과 고정블럭(4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블럭(46)은 하우징(34)과 나사결합을 이루어 일정위치에 고정되어 있어 피스톤(38)과 고정블럭(46)사이에는 유압포트(42)가 갖춰지게 되고, 상기 피스톤(38)의 상단에는 브레이크디스크(40)가 설치되어 있어 유압포트(42)측으로 유압이 발생되면, 유압포트(46)의 공간을 이루고 있는 고정블럭(46)은 하우징(34)과 결합되어 있어 피스톤(38)이 코일스프링(36)을 압축시키며 이동하게 됨으로 브레이크디스크(40)는 피니언기어(44)와 이격된다.
상기 유압포트측(42)에 공급되는 유압과 유압모우터(26)의 작동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됨으로 피니언기어(44)가 회전하게 되어 탑승함(1)이 회전된다.
이와는 반대로 유압모우터(26)와 브레이크수단(40)의 유압포트(42)측에 공급되던 유압이 차단되면 유압포트(42)의 유압이 떨어지게 되어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크링(36)의 탄발력에 의해 피스톤(38)이 상승되며, 상승되는 피스톤(38)의 상단이 브레이크디스크(40)를 상승시켜 피니어기어(44)가 고정된다.
즉, 원하는 작업방향으로 탑승함(1)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유압모우터(26)와 유압포트(42)측에 유압이 공급되어 유압모우터(26)가 작동됨과 동시에 유압포트 (42)측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승되어 있던 피스톤(38)이 코일스프링(36)을 압축시키며 하강하게 되어 피니언기어(44)가 회전됨으로 탑승함(1)이 회전되고, 원하는 방향으로 탑승함(1)이 회전된 상태에서는 유압모우터(26)와 유압포트(42)에 공급되던 유압이 중단됨으로 유압모우터(26)는 정지되고, 코일스프링(36)을 압축시키던 피스톤(38)이 상승되면서 브레이크디스크(40)를 피니언기어(44)의 하단부에 압착시킴으로서, 피니언기어(44)가 링기어(20)를 고정시키게 되어 탑승함(1)은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피니언기어(44)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디스크(40)의 작동은 코일스프링(36)의 탄발력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코일스프링 (36)의 탄발력을 대신하여 피스톤(38)을 상승시키는 별도의 유압포트를 형성시켜서, 유압모우터(26)에 공급하는 유압을 차단함과 동시에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유압포트측으로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유압라인을 설치하면 동일한 작용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받침대(2)의 일측에 유압모우터(26)를 설치할 수 있는 지지브라켓(28)을 설치하고, 상기 유압모우터(26)의 상단에 브레이크수단(30)을 설치하되, 상기 브레이크수단(30)은 유압모우터(26)의 구동축(32)에 끼워져 일체를 이루는 하우징(34)과, 하우징(34)내에 코일스프링(36)을 탄지한 피스톤(38)과 브레이크디스크(40)가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피스톤(38)과 브레이크디스크(40) 사이에 유압포트(42)를 형성함으로서, 유압포트(42)에 유압이 가해짐으로 해서 브레이크디스크(40)가 피니언기어(44)를 제어하고, 상기 피니언기어(44)의 회전력에 의해 링기어(20)가 회전하여 탑승함(1)이 360℃ 회전할 수 있으므로 작업범위를 넓힐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붐대(8)의 선단에 각도조정수단(9)이 갖춰진 받침대(2)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2)에 탑승함(1)을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한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와 탑승함(1)은 외륜(22)과 내륜(24)으로 이루진 링기어 (20)를 매개로 하여 일체를 이루도록 하고, 받침대(2)의 일측에 유압모우터(26)를 설치할 수 있는 지지브라켓(28)을 설치하고, 상기 유압모우터(26)의 상단에 브레이크수단(30)을 설치하되, 상기 브레이크수단(30)은 유압모우터(26)의 구동축(32)에 끼워져 일체를 이루는 하우징(34)과, 하우징(34)내에 코일스프링(36)을 탄지한 피스톤(38)과 브레이크디스크(40)가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피스톤(38)과 브레이크디스크(40) 사이에 고정블럭(46)을 설치하여 유압포트(42)를 형성하며, 유압모우터 (26)의 구동축(32)에 피니언기어(44)를 설치하여 링기어(20)와 치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
KR20-2002-0032321U 2002-10-30 2002-10-30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 KR200306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321U KR200306652Y1 (ko) 2002-10-30 2002-10-30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321U KR200306652Y1 (ko) 2002-10-30 2002-10-30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652Y1 true KR200306652Y1 (ko) 2003-03-11

Family

ID=4940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321U KR200306652Y1 (ko) 2002-10-30 2002-10-30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6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18B1 (ko) 2010-08-13 2011-03-15 김석곤 크레인용 버켓의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18B1 (ko) 2010-08-13 2011-03-15 김석곤 크레인용 버켓의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49050Y (zh) 车载移动通信基站天线座
CN201873495U (zh) 高空作业车
CN201009930Y (zh) 一种自行式平板车独立转向装置
CN211496661U (zh) 一种立柱升降式移动龙门吊车
KR200306652Y1 (ko)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회전장치
CN202022713U (zh) 一种具有调平功能的折回式飞臂系统
CN202529731U (zh) 操纵室方位调节机构及工程机械
CN216945794U (zh) 吸盘调节装置、吸盘属具及高空作业车
KR101614700B1 (ko) 블록 리프트
CN101952524A (zh) 可移动的箱体装置
KR200377023Y1 (ko)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회전장치
KR200340381Y1 (ko) 굴절붐식 고소작업차
CN113753811A (zh) 一种多连杆车载举升平台
KR100556620B1 (ko) 굴절붐식 고소작업차
CN208198373U (zh) 车辆机械调平装置
KR200331406Y1 (ko)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설치구조
CN203568807U (zh) 悬挂式高空作业平台
CN103058104B (zh) 高空作业车及其工作斗调平机构
KR200315892Y1 (ko) 고소작업장치의 탑승함 회전구조
CN110027725A (zh) 一种平移旋转集合运动装置
CN106640142B (zh) 一种矿用混凝土喷射台车
KR200245273Y1 (ko)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조정장치
CN220905293U (zh) 船体清理机器人
CN219946239U (zh) 一种智能焊接六足行走机器人
CN217647884U (zh) 一种和谐机车司机室大玻璃拆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