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697Y1 -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 Google Patents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5697Y1 KR200225697Y1 KR2020000037212U KR20000037212U KR200225697Y1 KR 200225697 Y1 KR200225697 Y1 KR 200225697Y1 KR 2020000037212 U KR2020000037212 U KR 2020000037212U KR 20000037212 U KR20000037212 U KR 20000037212U KR 200225697 Y1 KR200225697 Y1 KR 2002256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bridge
- bridge box
- frame
- rotating
- welding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교박스 용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형상의 박스형태로 제작되는 대형 강교박스의 용접작업시에 최상의 작업자세가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강교박스를 용이하게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 및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고품질의 강교박스 제작을 실현함과 동시에 용접작업시에 강교박스의 방향전환 및 이동에 따른 추락 및 전도에 의한 대형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강교박스 용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강교박스 용접시스템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강교박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에 의해 회전된 강교박스를 수평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강교박스 용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형상의 박스형태로 제작되는 대형 강교박스의 용접작업시에 최상의 작업자세가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강교박스를 용이하게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 및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고품질의 강교박스 제작을 실현함과 동시에 용접작업시에 강교박스의 방향전환 및 이동에 따른 추락 및 전도에 의한 대형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강교박스 용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을 건설함에 있어서 교각과 교각 사이에 올려지는 상판은 판상의 강판모재를 사각형상으로 용접하여 결합한 강교박스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강교박스를 제작할 때 1차 용접공정으로 판상의 강판모재가 사각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강판모재가 수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위에 가용접을 행하여 일정한 틀을 유지하도록 한 후, 2차 용접공정으로 이송하여 본 용접을 행하게 된다.
이때, 가용접되어 제공되는 강교박스를 본 용접함에 있어서 직각으로 형성되는 강판모재의 접촉부를 용접하기 위한 최상의 용접자세인 아래보기 용접 즉, 강교박스의 일측면이 지면과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소정의 거치대에 거치시킨 후, 직각부가 형성되는 강판모재의 접촉부위에 용접기의 토우치를 대략 45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용접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작업자에게 최상의 용접자세가 제공될 수 있도록 대용량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크레인과 강교박스를 와이어 등의 결속부재로 결합하여 강교박스의 상,하,좌,우측벽이 지면과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회전시켜서 거치시킨 후, 직각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강판모재 접촉부위에 용접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2차 용접공정에 있어서 강교박스를 회전시키기 위해 대용량의 크레인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 대용량의 크레인은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매번 수작업을 통해 와이어를 연결 또는 분리 동작하여 강교박스를 순차적으로 회전시켜서 수신호에 의해 일정한 작업위치에 셋팅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시간 및 인원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이에 따른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중량물인 강교박스의 무게 및 부피를 감안하면 크레인을 통한 이동 및 회전시에 추락 및 전도에 의한 대형 안전사고에 작업자가 무방비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수단 및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용접작업시에 강교박스를 용이하게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이에 따른 작업능률의 향상 및 고품질의 강교박스 제작이 가능하며, 특히, 강교박스의 회전 및 이동에 따른 추락 및 전도에 의한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강교박스 용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강교박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회전부 및 제2 회전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에 의해 회전된 강교박스를 수평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교박스 용접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강교박스 용접시스템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의 일부절개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부의 일부절개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강교박스 용접시스템의 대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부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프레임이 승강부에 의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에 의해 강교박스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7에 의해 강교박스가 회전을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프레임이 승강부에 의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도 3,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강교박스 용접시스템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 본체(2)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강교박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회전부(4) 및 제2 회전부(6)와, 상기 프레임 본체(2)의 제1 회전부(4) 및 제2 회전부(6)에 의해 회전된 강교박스를 수평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거치대(8)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본체(2)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일종의 작업대로서, 일정한 형상을 갖는 통상의 형강(shape steel)이 횡 방향 및 종 방향으로 용접 또는 이와 유사한 결합방법에 의해 사각형상으로 제작되며,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구동하는 구동부(12)가 설치된 하부 프레임(14)과, 상기 하부프레임(14)의 상측에서 승강부(18)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6)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구동부(12) 및 승강부(18) 등의 구동원에 전기를 인가하거나 유압을 공급하는 제어부(2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4)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동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상부 프레임(16)의 승강부(18) 즉, 상부 프레임(16)과 체결볼트 등에 의해 결합된 지지브라켓트(22)의 슬라이더(24)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판(26)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12)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4)의 양측 선단부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구동축(28)에는 구동기어(30)가 결합된 구동모터(32)와, 상기 구동모터(32)의 구동기어(30)에 치합되는 피동기어(34)가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4)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로울러(3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2)의 일측 즉, 상기 하부 프레임(14)의 선단부 일측벽에는 리미트 스위치(S)가 각각 구비되어 작업자의 오작동에 의해 구동부(12)의 로울러(36)가 가이드레일(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32)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보호커버(C)가 외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양측 선단부는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38)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경사부(38)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S)의 센서가 접촉하게 되면 작업자의 조작에 상관없이 강제적으로 구동모터(32)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되어 작업중 구동부(12)가 가이드레일(10)을 이탈하여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프레임(16)은 상기 하부프레임(14)의 상측에 설치되며, 일정간격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한 승강부(18)가 2개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부(18)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4)를 구비하고 상부프레임(16)의 상측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트(22)와, 상기 지지브라켓트(22)의 슬라이더(24)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실린더(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실린더(42)의 피스톤 로드(44) 선단부는 하부프레임(14)의 상측에 별도의 체결볼트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타측은 지지브라켓트(2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트(22)와 일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더(24)는 하부프레임(14)에 형성된 가이드판(26)의 내측에 삽입되어 이송실린더(42)의 피스톤로드(44)가 확장 또는 축소됨에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14)에 형성된 가이드판(26)에 슬라이드 되어 상부프레임(16)이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4)와 제2 회전부(6)는 강교박스(B)의 강판모재 접합부에 용접을 행하기 위해 상기 강교박스(B)의 일측면이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작업공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회전시킨 후 거치대(8)에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제1 회전부(4)는 상부프레임(16)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힌지부에 의해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회전아암(46)과, 상기 제1 회전아암(46)의 하부에 설치되어 일측 선단부가 상기 제1 회전아암(46)의 일측과 연결판(48)에 의해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상부프레임(16)의 하부에서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보조아암(50)과, 상기 제1 보조아암(50)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상부프레임(16)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피스톤 로드(52)의 선단부가 상기 제1 보조아암(5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실린더(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회전부(6)는, 제1 회전부(4)의 타측에서 대칭되는 동일한 구조 즉, 상부프레임(16)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회전아암(46a)과, 상기 제2 회전아암(46a)의 하부에 설치되어 일측 선단부가 상기 제2 회전아암(46a)의 일측과 연결판(48a)에 의해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상부프레임(16)의 하측에서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보조아암(50a)과, 상기 제2 보조아암(50a)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상부프레임(16)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 피스톤 로드(52a)의 선단부가 상기 제2 보조아암(50a)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회전실린더(54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부(4) 및 제2 회전부(6)는 거치대(8)에 안착되는 강교박스를 더욱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폭 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제1 회전부(4) 및 제2 회전부(6)의 링크구조는 제1 회전실린더(54) 및 제2 회전실린더(54a)의 작동에 의해 제1 회전아암(46) 및 제2 회전아암(46a)이 상부프레임(16)의 상측면에 수평으로 거치된 상태에서 대략 90도 정도의 회전반경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1 회전아암(46) 및 제2 회전아암(46a)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1 회전실린더(54) 및 제2 회전실린더(54a)의 피스톤 로드(52,52a)에 각각 제1보조아암(50) 및 제2 보조아암(50a)을 결합하여 상기 제1, 제2 보조아암(50,50a)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제2 보조아암(50,50a)과 연결판(48, 48a)에 의해 연결된 제1, 제2 회전아암(46, 46a)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피스톤 로드(52,52a)가 작동하는 행정거리를 감안하여 적은 행정으로도 원활하게 제1 및 제2 회전아암(46,46a)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보조아암(50) 및 제2 보조아암(50a)은 본 고안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구조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므로 상기 제1 보조아암(50) 및 제2 보조아암(50a)을 사용하지 않고 제1 회전실린더(54) 및 제2 회전실린더(54a)의 피스톤 로드(52,52a)에 상기 제1 회전아암(46) 및 제2 회전아암(46a)을 직접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거치대(8)는 강교박스(B)를 수평으로 유지 및 지지하여 원활하게 용접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대략 강교박스(B)의 1회전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프레임 본체(2)의 폭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고 가이드레일(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거치레일(56)과, 상기 거치레일(56)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주(5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8) 즉, 거치레일(56)의 상측면은 상기 프레임 본체(2)즉, 하부프레임(14)에 하강하여 안착된 상부프레임(16)에 수평으로 거치된 제1 회전아암(46) 및 제2 회전아암(46a)의 상측면 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거치대(8)에 강교박스(B)의 하부를 안착시킨 후, 프레임 본체(8) 및 제1, 제2 회전부(4,6)가 상기 강교박스(B)의 하측면으로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 본체(2)가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0)과 강교박스(B)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8)의 길이는 용접을 위해 회전을 반복하며 이동하는 강교박스(B)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는 길이를 확보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32) 및 이송실린더(42) 그리고 제1, 제2 회전실린더(54, 54a)는 작업의 특성상 대형 중량물인 강교박스(B)를 취급하는 점을 감안하면 보다 큰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는 유압을 통해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동원의 조작은 상기 상부 프레임(16)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어부(20)를 별도의 콘트롤러(미도시)를 통해 제어하여 구동모터(32) 및 제1, 제2 회전실린더(54,54a), 이송실린더(42)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콘트롤러에 의해 구동원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은 동종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고 본 고안의 목적을 이해하는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 1 및 도 4, 도 5a,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용접 공정에서 가용접이 완료된 강교박스(B)를 지게차(미 도시) 등을 이용하여 거치대(8)에 안착시킨 후 본 용접을 행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장의 구조상 가이드레일(10)이 가용접 공정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면 강교박스(B)를 별도의 지게차 등을 통해 이동시키지 않고 프레임 본체(2)를 직접 이동시켜서 거치대(8)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의 이송 과정시에 프레임 본체(2)는 도 5에서와 같이 거치대(8)의 일측 선단부에서 대기하게 되며, 강교박스(B)가 상기 거치대(8)의 일측 선단부에 안착되면 상기 강교박스(B)를 회전시키기 위해 콘트롤러(미 도시)를 조작하여 상부 프레임(16)에 설치된 승강부(18)를 작동시킨다.
상기에서와 같이 승강부(18) 즉, 이송실린더(42)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이송실린더(42)의 피스톤 로드(44)가 직선운동하여 도 5a의 상태에서 도 5b의 상태 즉, 상부프레임(16)의 상측에 수평으로 거치된 제1 회전아암(46)의 상측면이 거치레일(56)의 상측면보다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작동에 의해 상부프레임(16)이 하부프레임(14)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프레임(16)의 상측면에 거치된 제1 회전아암(46)의 상측면이 거치대(8)의 거치레일(56)에 거치된 강교박스(B)의 하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강교박스(B)는 상기 제1 회전아암(46)에 의해 거치대(8)와 이격되며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도6 참조)
그리고, 상기 거치대(8)의 거치레일(56) 상측면과 강교박스(B) 하측면이 이격되는 거리는 대략 10cm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드시 상기의 수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 의한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이격거리는 모두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의 상승과정이 완료되면 재차 콘트롤러를 작동하여 이송실린더(42)의 동작을 정지시키면 상기 이송실린더(42)의 피스톤 로드(42)에 의해 상부프레임(16)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재차 콘트롤러를 조작하여 제2 회전 실린더(54a)의 피스톤 로드(52a)를 확장시키게 되면, 상기 제2 회전실린더(54a)의 피스톤로드(52a)와 결합된 제2 보조아암(50a)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2 회전아암(46a)을 상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의 작동과정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아암(46a)을 상부프레임(16)의 상측면에서 대략 45도 이상의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콘트롤러를 조작하여 제1 회전 실린더(54)를 작동시켜서 피스톤 로드(52)를 확장시키게 되면 상기 제2 회전아암(46a)의 회전동작과 동일하게 제1 회전아암(46) 및 제1 보조아암(50)이 각각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아암(46)의 상측표면에 안착된 강교박스(B)가 상기 제1 회전아암(46)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게 되며, 콘트롤러를 조작하여 제2 회전실린더(54a)의 피스톤 로드(52a)가 수축되도록 하여 상부프레임(16)의 상측면과 제2 회전아암(46a)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면 상기의 회전동작에 의해 도 8에서와 같이 강교박스(B)가 제2 회전아암(46a)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여 거치대(8)의 거치레일(56) 상측면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그러면, 상기 상부프레임(16)에 설치된 승강부(18) 즉, 이송실린더(42)의 피스톤로드(44)가 수축되도록 콘트롤러를 조작하면, 상기 이송실린더(42)의 피스톤로드(44)가 수축되어 상부프레임(16)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하부프레임(14)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동작에 의해 하부프레임(14)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상부프레임(16)에 설치된 제2 회전아암(46a)의 상측면이 거치대(8) 즉, 거치레일(56)의 상측면 보다 낮게 하강하게 되어 제2 회전아암(46a)에 거치된 상태의 강교박스(B)는 다시 거치대(8)에 안착되어 안정된 상태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도9참조)
따라서, 상기의 상태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수평을 유지하며 거치대(8)에 안착된 강교박스(B)의 모재 접합부에 토우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아래보기 자세로 용접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용접이 완료되면 콘트롤러를 작동하여 다시 상기의 회전방법과 동일하게 강교박스(B)를 회전시켜서 거치대(8)에 거치시킨 후 강교박스(B)의 강판모재 접합부에 안정적인 용접자세로 용접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강교박스 용접시스템은 작업자가 용이한 용접자세로 용접을 행할 수 있도록 회전수단을 구비하여 강교박스를 용이하게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에 따른 작업능률의 향상 및 생산성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고품질의 용접작업에 의한 양질의 강교박스 제작을 실현함과 동시에 강교박스의 회전 및 이동에 따른 추락 및 전도에 의한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강교박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회전부 및 제2 회전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에 의해 회전된 강교박스를 수평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구동부가 구비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며 승강부가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기어를 구비하고 하부 프레임의 양측 선단부 일측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기어에 치합하는 피동기어를 구비한 로울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부는, 하부프레임의 가이드판 내측에서 슬라이드 되기 위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부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트와, 상기 지지브라켓트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부프레임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힌지부에 의해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회전아암과, 상기 제1 회전아암의 하부에 설치되어 일측 선단부가 상기 제1 회전아암의 일측과 연결판에 의해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서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보조아암과, 상기 제1 보조아암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는 상기 제1 보조아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회전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는, 제1 회전부의 힌지부 타측에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프레임 본체의 폭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고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거치레일과, 상기 거치레일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레일의 상측면은 상기 프레임 본체 즉, 하부프레임에 안착된 상부프레임에 수평으로 거치된 제1 회전아암 및 제2 회전아암의 상측면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는 거치대에 안착되는 강교박스를 더욱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부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7212U KR200225697Y1 (ko) | 2000-12-30 | 2000-12-30 |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7212U KR200225697Y1 (ko) | 2000-12-30 | 2000-12-30 |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86202A Division KR100403920B1 (ko) | 2000-12-29 | 2000-12-29 |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5697Y1 true KR200225697Y1 (ko) | 2001-06-01 |
Family
ID=7308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7212U KR200225697Y1 (ko) | 2000-12-30 | 2000-12-30 |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5697Y1 (ko) |
-
2000
- 2000-12-30 KR KR2020000037212U patent/KR20022569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8739B1 (ko) | 자동 용접 로봇 이동 장치 | |
CN103111778B (zh) | 吸盘吊装装置及板件拼焊物流输送系统 | |
EP0931759B1 (en) | Lateral jib for vertical mast mobile elevating work platform | |
JP2020179444A (ja) | ロボットのメンテナンス装置およびロボットのメンテナンス方法 | |
KR102097162B1 (ko) |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 | |
CN110589012B (zh) | 一种飞机发动机插装安装装置和安装方法 | |
KR100403920B1 (ko) |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 |
JP4221761B2 (ja) | ボイラモジュールの吊上げ施工方法および昇降装置 | |
KR200225697Y1 (ko) | 강교박스 용접시스템 | |
KR101016263B1 (ko) | 철골 구조의 볼트 체결을 위한 더블시저타입 이동 메니퓰레이터 로봇 | |
KR20010036936A (ko) | 강교 스틸 박스 용접 시스템 | |
CN115478701A (zh) | 高度可调的半自动砌砖机器人及其行进控制方法 | |
JP3978368B2 (ja) | ツイン溶接ロボット装置 | |
JP2022176463A (ja) | レール送り装置を備えた台車 | |
CN207157664U (zh) | 一种自动堆栈机 | |
JP2011089346A (ja) | 構造物の構築方法 | |
JP4213538B2 (ja) | パレットチェンジャー | |
JP3221793B2 (ja) | 鋼管矢板製造ラインに於ける吊り金具供給溶接装置 | |
CN220618211U (zh) | 吊装设备 | |
KR102245874B1 (ko) | 용접 장치 | |
CN214269905U (zh) | 一种吊具上架微动调节装置及吊具上架组件 | |
CN219408937U (zh) | 一种折叠式agv搬运机器人 | |
CN216277896U (zh) | 一种用于装配大吨位预制结构块的拼装台车 | |
CN216196496U (zh) | 用于钢结构墙面板安装的移动操作平台 | |
JP7445545B2 (ja) | クレーンおよびその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319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