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249B1 - 자동창고 - Google Patents

자동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249B1
KR101289249B1 KR1020110070316A KR20110070316A KR101289249B1 KR 101289249 B1 KR101289249 B1 KR 101289249B1 KR 1020110070316 A KR1020110070316 A KR 1020110070316A KR 20110070316 A KR20110070316 A KR 20110070316A KR 101289249 B1 KR101289249 B1 KR 101289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ifting
arm
conveyor
automatic ware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307A (ko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김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진 filed Critical 김대진
Priority to KR102011007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2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85Check-in, check-o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25J18/02Arms extensible
    • B25J18/025Arms extensible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8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B65G1/13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the circuit being confined in a horizontal pla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obotic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으로 적층되고 전후좌우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된 다수의 적치장소를 포함하는 자동창고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으로 적층된 둘 이상의 적치장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적치타워; 및 승강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전후좌우로 상기 적치타워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 다수의 승강타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창고{Automated Warehouse}
본 발명은 자동창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으로 적층되고 전후좌우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된 다수의 적치장소를 포함하는 자동창고에 관한 것이다.
경제의 발달로 효율적인 물류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자동창고에 관한 기술 또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자동창고는 다수, 다종의 화물을 공간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적치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러한 화물의 적치와 하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동이송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자동창고는 랙 형식으로 구성된 적치공간을 좌우에 두고서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한 적치/하역장치를 구비하여 화물을 정해진 위치에 적치하거나, 정해진 위치에 보관된 화물을 하역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창고의 경우 하나의 적치/하역장치가 담당해야 하는 화물의 수가 적지 아니하고, 자동창고의 규모(폭, 높이)가 증가할수록 담당해야 하는 화물의 수가 급격히 늘어남으로써, 적치/하역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자동창고의 규모가 큰 경우, 하나의 적치/하역장치가 담당하는 공간에 둘 이상의 적치/하역장치를 배치하여 적치/하역 시간을 감소시키려는 시도가 있으나, 둘 이상의 적치/하역장치간의 간섭을 배제하면서 효율적인 적치/하역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치 및 하역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창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는, 수직으로 적층된 둘 이상의 적치장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적치타워; 승강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전후좌우로 상기 적치타워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 다수의 승강타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적치장소 내로 연장될 수 있는 다단신축식 적치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적치장소는 적치된 화물을 지지하기 위한 화물지지부를 그 하부에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물지지부는 상기 적치 암의 신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기다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적치 암이 상기 적치장소 내로 연장된 때에 상기 적치 암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단신축식 적치 암은: 적치 암의 신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상호간에 이동되거나 상호 포개질 수 있는 다수의 브릿지, 신장상태에서 최외측에 위치되는 브릿지의 상부에 구비된 화물받침대, 상기 다수의 브릿지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다수의 브릿지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 구동부는: 전기모터, 유압모터 또는 공압모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동력발생부와, 체인, 벨트 또는 기어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암 구동부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리니어 모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회전식 턴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다단신축식 적치 암은 상기 회전식 턴테이블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회전식 턴테이블이 통과가능하도록 구성된 통공을 중앙에 가지고 테두리 일부에 화물이탈방지부를 가지는 승강화물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화물지지부는 상하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물이탈방지부는 상기 회전식 턴테이블에 결합된 상기 다단신축식 적치 암이 신장된 때에 상기 적치 암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화물지지부는 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화물이탈방지부는 상기 승강화물지지부의 네 모서리 중 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단신축식 적치 암은 신축동작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화물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화물받침대 상부에는 화물수납용 컨베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베이어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종동 롤러,
다수의 연동 롤러, 및 상기 종동 롤러의 회전력을 상기 다수의 연동 롤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베이어는 그 상부가 상기 화물지지부의 상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화물지지부는 테두리 부근에 구비된 셋 이상의 수직이동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이동구동부는 상기 승강화물지지부를 상기 컨베이어보다 더 위쪽까지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사각형의 각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타워에는 상기 승강가이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승강가이드부가 수납되어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창고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적치타워 하부에 배치된 적치타워 컨베이어부와 상기 승강타워 하부에 배치된 승강타워 컨베이어부가 번갈아 위치되어 일렬로 배치된 지상 컨베이어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승강타워 컨베이어부는 상기 승강장치가 하강하여 안착된 때에 상기 승강장치의 화물수납용 컨베이어가 상기 적치타워 컨베이어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에 의하면, 화물의 적치/하역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자동창고의 규모가 증대되더라도 하나의 적치/하역장치가 담당해야 하는 작업량에 큰 변화가 없으므로, 자동창고의 규모에 상관없이 적치/하역작업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전체적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전체적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적치타워와 승강타워 및 승강장치의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승강장치에 구비된 다단신축식 적치 암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적치 암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승강장치에 구비된 다단신축식 적치 암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적치 암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c는 도 2a 및 도 2b에서 화물수납용 컨베이어가 제거된 상태의 적치 암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승강장치에 포함되는 화물수납용 컨베이어의 확대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승강장치에 구비된 승강화물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승강화물지지부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승강장치에 구비된 승강화물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승강화물지지부가 승강장치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승강장치에 구비된 다단신축식 적치 암과 승강화물지지부가 결합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승강장치에 구비된 승강장치의 승강가이드부와 맞물리는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지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에 화물을 적치하거나 자동창고로부터 지상으로 화물을 하역하기 위하여 자동창고 하단부에 구비된 지상 컨베이어부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전체적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적치타워와 승강타워 및 승강장치의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100)는 다수의 적치타워(200)와 다수의 승강타워(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적치타워(200)는 화물이 적치되어 보관되는 영역으로서, 각각의 적치타워(200)는 수직으로 적층된 둘 이상의 적치장소(210)를 포함하며, 각 적치장소(210) 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치된 화물을 지지하기 위한 화물지지부(213)가 구비된다.
승강타워(300)는 승강장치(310)가 승강하면서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승강장치의 이동경로를 확보하는 영역으로서, 하나 이상의 승강장치(3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에 있어서, 승강타워(300)는 전후좌우 네 방향으로 각각 상기 적치타워(200)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도 1b 및 도 1c 참조).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승강장치(310)가 담당하는 적치장소(210)가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승강장치들(310)을 배치함으로써, 인접한 승강장치(310)가 동일한 층(높이)에서 작동하더라도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할 여지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b의 x축 방향으로는 승강타워(300)와 적치타워(200)가 1:1의 비율로 상호 번갈아 배치된다. 도 1b의 y축 방향으로는 승강타워(300)와 적치타워(200)가 1:3의 비율로 번갈아 배치된다. 즉, y축 방향으로 인접한 두 승강타워(300) 사이에는 3개의 적치타워(200)가 배치된다. 3개의 적치타워(200) 중에서 각 승강타워(300)에 바로 이웃한 적치타워(200)는 해당 승강타워에 의해 화물이 적치/하역되는 적치타워(200)로서 y축 방향으로 화물이 적치/하역된다. 가운데에 위치한 적치타워(200)는 이웃 열에 위치한 승강타워(300)에 의해 화물이 적치/하역되는 적치타워(200)로서 x축 방향으로 화물이 적치/하역된다.
각각의 승강장치(310)는 상기 적치장소(210) 내로 연장될 수 있는 다단신축식 적치 암(311)을 포함하며, 다단신축식 적치 암(311)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적치장소(210)에 구비된 화물지지부(213)는 화물의 적치/하역 방향과 일치하는 일정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각 화물지지부(213)는 승강장치(310)로부터 적치 암(311)이 신축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각 적치장소(210)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로써, 적치 암(311)이 신축동작을 수행할 때 화물지지부(213)와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2 참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승강장치에 구비된 다단신축식 적치 암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각각 적치 암이 신장된 상태 및 적치 암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c는 도 2a 및 도 2b의 적치 암에서 화물수납용 컨베이어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승강장치(310)에 구비되는 다단신축식 적치 암(311)은 암 베이스(313), 신축동작을 하는 다수의 브릿지(315), 상기 다수의 브릿지의 신축동작을 구동하는 암 구동부(317), 화물수납용 컨베이어(320), 및 상기 컨베이어(320)가 배치되는 화물받침대(3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브릿지(315)는 적치 암(311)의 신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상호간에 이동되거나 상호 포개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적치 암(311)의 신축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종래에 널리 알려진 임의의 기구에 의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화물받침대(319)는 신장상태에서 최외측에 위치되는 브릿지(315)의 상부에 구비되며, 따라서 상기 다수의 브릿지(315)에 의한 신축동작에 연동하여 이동된다.
상기 암 구동부(317)는 동력발생부(317a)와 동력전달부(317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력발생부로(317a)는 전기모터, 유압모터나 공압모터,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고, 동력전달부(317b)로는 체인, 벨트, 기어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암 구동부(317)를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리니어 모터 등의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물받침대(319)의 상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물수납용 컨베이어(320)가 구비될 수 있다. 화물받침대(319)가 적치장소(210) 내부에 위치되도록 적치 암(311)이 적치장소(210) 내로 충분히 신장될 수 있는 경우에는 화물받침대(319)만으로 화물의 적치/하역이 가능할 것이나, 설계/제작 상의 여러 제한으로 인하여 그러하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화물받침대(319) 상부에 화물수납용 컨베이어(320)를 구비함으로써, 컨베이어(320) 상부에 놓여진 화물을 적치장소(210) 내부로 완전히 밀어넣을 수 있다. 화물수납용 컨베이어(3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승강장치에 포함되는 화물수납용 컨베이어의 확대도이다.
화물수납용 컨베이어(320)는 다수의 롤러(327)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컨베이어 베이스(321),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부(323), 상기 구동부(323)에서 발생된 동력을 종동 롤러(327a)로 전달하는 컨베이어 전동부(325), 롤러(327)간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롤러(327)들을 연결하는 롤러 동력전달부(3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베이어 구동부(323)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기모터 등의 회전구동장치로 구성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베이스(321) 하측에 위치되어 있으나, 롤러(327)보다 직경이 크지 않은 소형의 모터인 경우 컨베이어 베이스(321) 상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컨베이어 전동부(325)는 구동부(323)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종동 롤러(327a)에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부(323)와 종동 롤러(327a)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 벨트 또는 기어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롤러 동력전달부(329) 역시 체인, 벨트 또는 기어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종동 롤러(327a)가 구동부(323)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다른 롤러들(327)에 연달아 전달함으로써 모든 롤러(327, 327a)가 동시에 회전하여 컨베이어(320) 상부에 배치된 화물을 이동시키도록 한다. 구동부(323)가 정/역회전이 가능하므로, 구동부(323)의 회전방향에 따라 롤러(327) 또한 정/역회전함으로써 컨베이어(320)로부터 화물지지부(213)로 또는 그 반대로 화물을 이송할 수 있다.
한편, 화물수납용 컨베이어(320)는 그 상부가 화물지지부(213)의 상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컨베이어(320)의 롤러(327) 위에 놓인 화물이 화물지지부(213) 위로 매끄럽게 이송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승강장치에 구비된 승강화물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각각 승강화물지지부가 상승된 상태 및 승강화물지지부가 승강장치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승강장치에 구비된 다단신축식 적치 암과 승강화물지지부가 결합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우선 승강장치(310)에는 회전식 턴테이블(312)이 구비되고(도 4a 및 도 4b 참조), 적치 암(311)은 상기 회전식 턴테이블(312) 위에 배치된다(도 4c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적치장소(210)는 승강타워(310)의 전후좌우 4방향에 각각 위치하게 되고, 각 적치장소(210)에 대하여 적치 암(311)이 신장 또는 수축하여 화물을 적치 내지 하역하게 된다. 상기 회전식 턴테이블(312)은 이처럼 적치 암(311)이 4방향에 위치한 각 적치 장소(210)을 향할 수 있도록 적치 암(311)을 회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승강장치(310)에는 또한 승강화물지지부(330)가 구비되는데, 승강화물지지부(330)는 상기 회전식 턴테이블(312)이 통과가능하도록 구성된 통공(331)을 중앙에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승강화물지지부(330)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화물지지부(330)는,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통공(331)은 승강화물지지부(330)의 상하이동시에 화물수납용 컨베이어(320) 및 적치 암(311)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공(331)은 승강화물지지부(330)의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통공(331)의 위치 및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화물지지부(330)는 또한 그 테두리 일부에 화물이탈방지부(333)를 구비함으로써, 승강화물지지부(330)에 의해 지지되는 화물이 승강화물지지부(3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화물이탈방지부(333)는 회전식 턴테이블(312)에 결합된 적치 암(311)이 신장 또는 수축될 때에 적치 암(311)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화물지지부(330)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도시된 실시예에서, 화물이탈방지부(333)는 승강화물지지부(330)의 네 모서리에 구비된 “ㄱ”자 형상 앵글이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화물이탈방지부(333)는 승강화물지지부(330)의 네 모서리 모두에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고 둘 이상에만 구비되어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승강화물지지부(330)의 상하이동을 위하여 승강장치(310)는 공압실린더 등으로 구성되는 수직이동구동부(337)를 구비할 수 있으며, 수직이동구동부(337)는 적치 암(311)과의 간섭 배제 및 화물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승강화물지지부(330)의 테두리 부근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직이동구동부(337)는 승강화물지지부(330)의 네 모서리 부근에 각각 구비되어 총 4개가 있으나, 셋 이상이면 화물을 지지하는데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치 암(311)은 전후좌우 4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화물이 적치 암(311)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 즉 화물 받침대(319) 또는 화물수납용 컨베이어(32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적치 암(311)을 회전시킬 경우,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치 암(311)의 원활한 회전이 방해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화물의 대각선 방향 길이가 적치장소(210)의 전후 내지 좌우 폭보다 클 경우에는 화물 자체의 회전이 방해되고, 이에 따라 적치 암(311)의 회전 또한 방해될 소지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직이동구동부(337)가 승강화물지지부(330)를 화물수납용 컨베이어(320)보다 더 위쪽까지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승강화물지지부(330)가 상승된 경우 화물은 승강화물지지부(330)에 의해 지지되며, 컨베이어(320)는 화물에 의해 간섭받지 아니하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4c는 이처럼 컨베이어(320)가 아닌 승강화물지지부(330)에 의해 화물이 지지된 상태에서 컨베이어(320)를 포함하는 적치 암(311)이 90도 회전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하고 있다. 즉, (a)는 제1 방향으로 적치 암(311)이 신장된 상태, (b)는 적치 암(311)이 수축된 상태, (c)는 승강화물지지부(330)가 상승된 상태(상승되어 화물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 (d)는 승강화물지지부(330)가 화물을 지지하는 동안 컨베이어(320)가 제2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 그리고 (e)는 승강화물지지부(330)가 다시 하강된 후에 적치 암(311)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승강장치에 구비된 승강장치의 승강가이드부와 맞물리는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승강장치(310)에는 사각형 형상의 승강장치 각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부(339)가 구비되어 있다. 승강가이드부(339)는 승강장치(310)가 설치되는 승강타워(300) 내측에서 승강가이드부(339)와 대응되는 위치에, 즉 승강타워(300) 내측의 각 모서리 부위에 구비된 가이드레일(340)과 맞물림으로써 승강장치(310)을 승강동작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승강장치(310)의 승강가이드부(339)는 가이드레일(340)에 구비된 가이드홈(341)의 내측으로 수납됨으로써 가이드레일(340)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승강장치(310)는 승강가이드부(339) 상단에 로프결합부(339a)를 구비하여 승강타워(300) 상부에 설치된 승강기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와 로프(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승강동작에 필요한 동력과 제어를 얻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지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에 화물을 적치하거나 자동창고로부터 지상으로 화물을 하역하기 위하여 자동창고 하단부에 구비된 지상 컨베이어부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에서 화물을 하역/적치하기 위해서는 자동창고 하부 내지 지상에 위치된 화물투입부(410)를 통하여 투입된 화물을 각 승강타워(300)의 승강장치(310)로 이송하거나, 승강장치(310)로부터 화물배출부(440)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창고는 그 하부 일측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상 컨베이어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지상 컨베이어부(400)는 적치타워(200) 하부에 배치된 적치타워 컨베이어부(420)와 승강타워(300) 하부에 배치된 승강타워 컨베이어부(430)로 이루어지며, 일실시예에서 적치타워 컨베이어부(420)와 승강타워 컨베이어부(430)는 상호 번갈아 위치되어 일렬로 배치된다(도 6). 지상 컨베이어부(400)의 이러한 구성은 도 1b에서 승강타워(300)가 위치하는 각 행(x축 방향)의 하부에 지상 컨베이어부(400)가 구비되는 경우에 대응된다. 지상 컨베이어부(400)의 배치를 도 1b에서 승강타워(300)가 위치하는 각 열(y축 방향)에 대응시킨다면 위와 다른 구성이 될 것이다. 도 1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상 컨베이어부(400)는 승강타워(300)가 위치하는 각 행마다 구비되어야 하므로, 자동창고의 규모에 따라 지상 컨베이어부(400)는 하나 이상 구비될 필요가 있다.
한편, 승강타워 컨베이어부(430)는 승강장치(310)가 하강하여 컨베이어부(430)에 안착된 때에 승강장치(310)의 화물수납용 컨베이어(320)가 적치타워 컨베이어부(42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승강타워 컨베이어부(430)를 하강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승강부(4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장치(310)의 컨베이어(320)에 적치되어 있는 화물을 화물배출부(440)로 이송하거나, 화물투입부(410)의 화물을 상기 컨베이어(320)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화물수납용 컨베이어(320)가 적치타워 컨베이어부(42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승강장치(310)가 화물의 적치/하역을 위하여 상승된 때에는 컨베이어 승강부(433)에 의해 승강타워 컨베이어부(430)가 상승됨으로써 적치타워 컨베이어부(420)와 승강타워 컨베이어부(430)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며, 이로써 이송되는 화물은 화물배출부(440) 또는 다른 승강타워 컨베이어부(430)로 막힘없이 이송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아래의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00 :자동창고 200 :적치타워
210 :적치장소 213 : 화물지지부
300 :승강타워 310 :승강장치
311 : 다단신축식 적치 암 312 :회전식 턴테이블
313 :암 베이스 315 : 브릿지
317 :암 구동부 319 :화물받침대
320 : 화물수납용 컨베이어 321 :컨베이어 베이스
323 :컨베이어 구동부 325 :컨베이어 전동부
327 :롤러 327a : 종동 롤러
329 :롤러 동력전달부 330 : 승강화물지지부
331 : 통공 333 : 화물이탈방지부
337 : 수직이동구동부 339 : 승강가이드부
340 :가이드레일 341 : 가이드홈
400 :지상 컨베이어부 410 : 화물투입부
420 :적치타워 컨베이어부 430 :승강타워 컨베이어부
433 :컨베이어 승강부 440 : 화물배출부

Claims (16)

  1. 수직으로 적층된 둘 이상의 적치장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적치타워; 및 승강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전후좌우로 상기 적치타워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 다수의 승강타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창고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적치장소 내로 연장될 수 있는 다단신축식 적치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적치장소는 적치된 화물을 지지하기 위한 화물지지부를 그 하부에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는 회전식 턴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턴테이블이 통과가능하도록 구성된 통공을 중앙에 가지고 테두리 일부에 화물이탈방지부를 가지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승강화물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단신축식 적치 암은 상기 회전식 턴테이블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지지부는 상기 적치 암의 신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기다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적치 암이 상기 적치장소 내로 연장된 때에 상기 적치 암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신축식 적치 암은:
    적치 암의 신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상호간에 이동되거나 상호 포개질 수 있는 다수의 브릿지,
    신장상태에서 최외측에 위치되는 브릿지의 상부에 구비된 화물받침대,
    상기 다수의 브릿지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다수의 브릿지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암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 구동부는:
    전기모터, 유압모터 또는 공압모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동력발생부와,
    체인, 벨트 또는 기어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 구동부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리니어 모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이탈방지부는 상기 회전식 턴테이블에 결합된 상기 다단신축식 적치 암이 신장된 때에 상기 적치 암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화물지지부는 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화물이탈방지부는 상기 승강화물지지부의 네 모서리 중 둘 이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신축식 적치 암은 신축동작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화물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화물받침대 상부에는 화물수납용 컨베이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종동 롤러,
    다수의 연동 롤러, 및
    상기 종동 롤러의 회전력을 상기 다수의 연동 롤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그 상부가 상기 화물지지부의 상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화물지지부는 테두리 부근에 구비된 셋 이상의 수직이동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이동구동부는 상기 승강화물지지부를 상기 컨베이어보다 더 위쪽까지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사각형의 각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타워에는 상기 승강가이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승강가이드부가 수납되어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
  16. 삭제
KR1020110070316A 2011-07-15 2011-07-15 자동창고 KR101289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316A KR101289249B1 (ko) 2011-07-15 2011-07-15 자동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316A KR101289249B1 (ko) 2011-07-15 2011-07-15 자동창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307A KR20130009307A (ko) 2013-01-23
KR101289249B1 true KR101289249B1 (ko) 2013-07-24

Family

ID=4783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316A KR101289249B1 (ko) 2011-07-15 2011-07-15 자동창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7529B (zh) * 2017-11-03 2019-08-20 徐州德坤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立体仓储系统的控制方法
US10904417B1 (en) 2019-08-15 2021-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changable display screen and camera segments
CN110844441A (zh) * 2019-12-19 2020-02-28 上海赛摩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存储的智能立体仓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138U (ja) * 1992-07-24 1994-02-22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搬送コンベア方向転換装置
JPH0620310U (ja) * 1992-02-20 1994-03-15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
KR20090057630A (ko) * 2007-12-03 2009-06-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용 양하역 장치
JP2010275044A (ja) 2009-05-27 2010-12-09 Iseki & Co Ltd 箱の搬送姿勢変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310U (ja) * 1992-02-20 1994-03-15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
JPH0614138U (ja) * 1992-07-24 1994-02-22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搬送コンベア方向転換装置
KR20090057630A (ko) * 2007-12-03 2009-06-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용 양하역 장치
JP2010275044A (ja) 2009-05-27 2010-12-09 Iseki & Co Ltd 箱の搬送姿勢変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307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8984B2 (ja) 立体自動倉庫
NO20181657A1 (en) System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storage containe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NO20180750A1 (en)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lift assembly
US11981505B2 (en) Storage system
TW202246149A (zh) 機器人和料箱轉移系統
CN217050074U (zh) 机器人、料箱转移装置、料箱转移系统
US20230145325A1 (en) Automated storage tower with multiple rows
JP7465364B2 (ja) 積み卸し装置、積み卸しシステム及び積み卸し方法
WO2019238639A1 (en) System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storage containers
TWM618837U (zh) 搬運機器人及具有該搬運機器人的搬運系統
KR101289249B1 (ko) 자동창고
CN107021314A (zh) 一种可跨货架取货的立体仓库
NO20200662A1 (en) Automated storage tower with multiple rows
NO344619B1 (en) Storage system
NO346265B1 (en) Storage system
JP6006100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5976388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EP3807175A1 (en) System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storage containers
JP6684124B2 (ja) 物品収納設備
TWI565640B (zh) Automatic Warehouse and Its Operation
CN218113859U (zh) 立体仓库系统
JP4986047B2 (ja) 物品収納設備
JP4670314B2 (ja) 立体保管庫
KR101970286B1 (ko) 고정기능을 구비하는 적재함 이송 및 승, 하강장치
CN117957178A (zh) 容器缓冲组件、包括该容器缓冲组件的储存系统及相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