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865B1 - 고소 리프팅 작업차 - Google Patents
고소 리프팅 작업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7865B1 KR101347865B1 KR1020130035945A KR20130035945A KR101347865B1 KR 101347865 B1 KR101347865 B1 KR 101347865B1 KR 1020130035945 A KR1020130035945 A KR 1020130035945A KR 20130035945 A KR20130035945 A KR 20130035945A KR 101347865 B1 KR101347865 B1 KR 1013478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ry link
- rotary
- link
- hydraulic cylinder
- stage boo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68—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mounted on, or guided by, ji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여러 개의 회전 마디로 이루어지므로 포크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하면서 신속하게 화물 운반이 가능하도록, 차량과, 차량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회전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상부에 한쪽 끝부분이 상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되는 다단붐과, 회전프레임과 다단붐을 연결하고 다단붐을 한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시키는 붐 회전용 유압실린더와, 다단붐의 다른쪽 끝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링크와, 한쪽 끝부분이 고정링크의 한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링크와, 다단붐과 제1회전링크를 연결하고 제1회전링크를 한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시키는 제1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와, 한쪽 끝부분이 제1회전링크의 다른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제2회전링크와, 양쪽 끝부분이 고정링크의 다른쪽 끝부분과 제2회전링크의 다른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고정링크와 제2회전링크를 연결하는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와, 제2회전링크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되고 "L(엘자)"형상의 포크가 수평으로 설치된 고소 리프팅 작업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가 길게 연장되고 여러 개의 회전 마디를 통해 유연한 동작이 가능하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층 건물의 내부로 화물을 운반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등의 고층 건물 건축시는 벽돌이나 시멘트, 철제빔 등의 건축자재를 비롯한 각종 화물을 각층으로 운반하면서 공사를 시행하게 되며, 이러한 화물 운반시 승강기나 기중기 등이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승강기는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고 공간이 제한되며 싣고 내릴 때 인력이 필요하므로 대형 화물의 운반이 불가능하고 인력 및 작업시간 등의 절감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중기의 경우 운반속도가 비교적 느리므로 화물을 여러 번 반복해서 운반하거나 소형 화물을 운반하기에는 부적합하고, 작업장소에서 작업자가 화물의 적재나 하역 위치를 조정해야 함에 따라 사고의 위험성이 높으며, 건물 내부로 화물의 투입이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다.
한편, 종래 높은 장소로 화물이나 인력 등을 운반할 수 있고 그곳에서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가능한 장비로서 고소 작업차가 있다.
상기 고소 작업차는 기동성이 우수하므로 필요한 장소로 신속히 이동 가능하고 각종 화물을 높은 장소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건물의 내외부 비계공사, 전기통신설비의 가설 및 유지보수공사, 교량의 점검 및 보수공사, 고층으로의 화물운반 등을 행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종래 고소 작업차는 앞쪽에 탑승함이 설치되는 차량과, 상기 차량의 탑승함 후방쪽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가 신축되는 다단붐과, 상기 다단붐의 끝단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화물을 탑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운반함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고소 작업차는 무거운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화물을 팔레트에 적재된 상태로 싣고 내릴 경우 지게차 등 다른 장비를 동원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화물을 높은 곳으로 운반할 수 있는 장비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운반대와 다단붐 사이의 연결 부위가 다단계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므로 운반대에 설치된 포크를 다양한 위치로 유연하게 동작시키면서 화물을 건물 내부로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고 각종 고소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고소 리프팅 작업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소 리프팅 작업차는 차량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부에 한쪽 끝부분이 상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되는 다단붐과, 상기 회전프레임과 다단붐을 연결하고 다단붐을 한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시키는 붐 회전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다단붐의 다른쪽 끝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링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고정링크의 한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링크와, 상기 다단붐과 제1회전링크를 연결하고 제1회전링크를 한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시키는 제1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회전링크의 다른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제2회전링크와, 양쪽 끝부분이 상기 고정링크의 다른쪽 끝부분과 상기 제2회전링크의 다른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고정링크와 제2회전링크를 연결하는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제2회전링크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되고 "L(엘자)"형상의 포크가 수평으로 설치된 운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회전프레임과 다단붐의 한쪽 끝부분을 연결하고 상기 제2회전링크용 실린더와 동조운동하도록 설치되며 다단붐의 상하 회전시 상기 제2회전링크를 상기 다단붐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다단붐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조용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운반대가 상기 회전링크에 수평 회전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회전연결부와, 상기 운반대를 수평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운반대용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연결부는 대략 "ㄷ(디귿)"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회전링크의 다른쪽 끝부분에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설치되며 한 쌍의 수평부에는 힌지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브래킷과, 연결브래킷의 한 쌍의 수평부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양쪽 끝부분이 힌지구멍에 각각 결합되는 힌지축과, 한 쌍의 상기 수평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운반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조립되는 축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연결부에는 상기 운반대에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이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의하면, 다단붐과 운반대의 연결 부분이 여러 회전 마디로 이루어짐에 따라 유연한 동작이 가능하고 포크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다양한 화물을 싣고 내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차량의 움직움을 최소하면서 간편하게 각종 화물을 고층 건물의 내부까지 정확히 운반하여 투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의하면, 운반대를 수평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 부위에 로드셀을 설치하여 화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적재중량을 쉽게 파악 가능하고 과적으로 인한 장비의 파손이나 전복, 사고 예방 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동조용 유압실린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다단붐과 운반대가 연결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다단붐과 운반대가 연결되는 부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회전연결부 및 운반대용 유압실린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운반대의 회전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회전연결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회전연결부를 나타내는 측면 분리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동조용 유압실린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다단붐과 운반대가 연결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다단붐과 운반대가 연결되는 부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회전연결부 및 운반대용 유압실린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운반대의 회전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회전연결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회전연결부를 나타내는 측면 분리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0)과, 상기 차량(10)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프레임(200)과, 상기 회전프레임(20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단붐(210)과, 상기 다단붐(210)을 회전시키는 붐 회전용 유압실린더(220)와, 상기 회전프레임(2000과 다단붐(210)의 끝단을 연결하는 동조운동용 유압실린더(230)와, 상기 다단붐(210)의 다른쪽 끝부분에 설치되는 고정링크(300)와, 상기 고정링크(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제1회전링크(310)와, 상기 제1회전링크(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312)와, 상기 제1회전링크(310)와 연결되는 제2회전링크(320)와, 상기 제2회전링크(3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330)와, 상기 제2회전링크(320)에 연결되고 포크(410)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운반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10)의 전방에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탑승함(12)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상기 탑승함(12)의 후방 쪽에 대략 사각판형으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 후방 끝단 및 중앙에는 아웃트리거(110), (120), (13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회전프레임(2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쪽에서 수평으로 선회 가능한 상태로 일정 높이로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회전프레임(200)은 턴테이블방식 등을 적용하여 선회운동시킨다.
상기 다단붐(210)은 상기 회전프레임(200)의 상부와 한쪽 끝부분이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다단붐(210)은 복수의 붐을 다단으로 인출 및 삽입가능하게 결합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붐 회전용 유압실린더(220)는 상기 회전프레임(200)과 다단붐(210)의 중앙부를 연결하고 양쪽 끝부분이 상기 회전프레임(200)과 다단붐(210)의 중앙쪽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되면서 상기 다단붐(210)을 한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시킨다.
상기 동조용 유압실린더(230)는 상기 회전프레임(200)과 다단붐(21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양쪽 끝부분이 상기 회전프레임(200)과 다단붐(210)의 한쪽 끝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동조용 유압실린더(23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붐 회전용 유압실린더(220)와 반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붐 회전용 유압실린더(220)의 길이가 연장될 때 길이가 축소되고 상기 붐 회전용 유압실린더(220)의 길이가 축소될 때 길이가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링크(300)와 제1회전링크(310), 제2회전링크(320),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33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절회전기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링크(300)는 상기 다단붐(210)의 다른쪽 끝부분(최종단 붐)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링크(310)는 대략 중공형의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고정링크(300)의 한쪽 끝부분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회전링크(300)는 한쪽 끝부분에서 다른쪽 끝부분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서서히 감소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312)는 상기 다단붐(210)의 최종단 붐과 제1회전링크(310)의 한쪽 끝부분을 연결하고 상기 제1회전링크(310)를 한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312)는 상기 다단붐(210)의 최종단 붐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양쪽 끝부분이 상기 다단붐(210)의 최종단 붐과 제1회전링크(310)의 한쪽 끝부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가 신축되면서 상기 제1회전링크(310)를 상하 회전시킨다.
상기 제1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312)는 대략 60~80°정도의 각도범위로 상기 제1회전링크(310)를 상하 회전시키고 제1회전링크(310)의 상향 회전시 상기 다단붐(210)과 대략 일직선상이 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회전링크(320)는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회전링크(310)의 다른쪽 끝부분과 회전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상기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330)는 양쪽 끝부분이 상기 고정링크(300)의 다른쪽 끝부분과 제2회전링크(320)의 다른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고정링크(300)와 제2회전링크(3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회전링크(31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330)는 상기 제1회전링크(310)와 함께 상향 회전시는 길이가 변화되지 않고 일정 길이가 유지되고 상기 다단붐(210)의 상하 회전시는 길이가 신축되거나 단축되면서 상기 제2회전링크(320)를 항상 일정 자세로 유지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운반대(400)의 포크(410)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킨다.
즉 상기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330)는 상기 제1회전링크(310)의 회전시의 경우 일정 길이를 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회전링크(320)가 항상 일정 자세가 되면서 상기 운반대(400)의 포크(410)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다단붐(210)의 상하 회전시의 경우 상기 다단붐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회전링크(320)를 한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회전링크(320)가 항상 일정 자세가 되면서 상기 운반대(400)의 포크(410)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에서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330)는 상기 동조용 유압실린더(230)와 동조운동하면서 다단붐(210)의 회전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다단붐(210)과 반대방향으로 제2회전링크(32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운반대(400)에 설치된 포크(410)의 수평을 자연스럽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다단붐(210)의 상향 회전시 상기 동조용 유압실린더(230)로부터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330)쪽으로 유압이 이송 공급되면서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330)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회전링크(320)를 하향 회전시키고, 상기 다단붐(210)의 하향 회전시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330)로부터 동조용 유압실린더(230)쪽으로 유압이 이송 공급되면서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330)의 길이가 단축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회전링크(320)를 상향 회전시킨다.
상기 동조용 유압실린더(320)는 상기 붐 회전용 유압실린더(220)와 반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붐 회전용 유압실린더(220)의 길이가 연장될 때 길이가 축소되고 상기 붐 회전용 유압실린더(220)의 길이가 축소될 때 길이가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운반대(400)는 상기 제2회전링크(320)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01)과, 대략 "L(엘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부가 상기 지지프레임(401)에 지지되는 상기 포크(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운반대(400)를 상기 제2회전링크(320)에 수평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연결부(420)와, 상기 운반대(400)를 수평 회전시키는 운반대용 유압실린더(4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연결부(420)는 도 9~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수평부(421a)와 상기 수평부(421a)의 한쪽 모서리를 연결하는 수직부(421b)가 대략 "ㄷ(디귿자)"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링크(330)의 다른쪽 끝부분에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설치되며 한 쌍의 수평부(421a)에는 힌지구멍(422)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브래킷(421)과, 상기 연결브래킷(421)의 한 쌍의 수평부(421a)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양쪽 끝부분이 힌지구멍(422)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힌지축(424)과, 상기 연결브래킷(421)의 한 쌍의 수평부(421a)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운반대(400)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축(424)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조립되는 축통(4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축(424)의 하부 끝분에는 상기 힌지구멍(422)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멈치핀(426)이 조립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축통(426)의 하부 끝부분에는 와셔(428)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운반대용 유압실린더(43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끝부분이 상기 연결브래킷(421)과 운반대(40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운반대(400)와 연결브래킷(421)을 연결하고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운반대(400)를 상기 힌지축(424)를 중심으로 대략 90˚정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소 리프팅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420)에는 상기 운반대(400)로 운반되는 화물(2)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한 쌍의 로드셀이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로드셀은 상기 축통(426)의 상부 끝부분 내부에 형성되는 수직면과 상기 힌지축(424)의 외주면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제1로드셀(440)과, 상기 축통(426)의 하부 끝부분 내부의 수직면과 힌지축(424)의 외주면 사이 및 축통(426)의 하부 끝부분 내부의 수평면과 연결브래킷(421)의 수평부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제2로드셀(4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로드셀(440) 및 제2로드셀(442)은 상기 힌지축(424)의 주위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1개 또는 여러 개가 각각 설치된다.
10 : 차량 12 : 탑승함
100 : 베이스프레임 110, 120, 130: 아웃트리거
200 : 회전프레임 210 : 다단붐
220 : 붐 회전용 유압실린더 230 : 동조용 유압실린더
300 : 고정링크 310 : 제1회전링크
312 : 제1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 320 : 제2회전링크
330 :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 400 : 운반대
401 : 지지프레임 410 : 포크
420 : 회전연결부 421 : 연결브래킷
424 : 힌지축 426 : 축통
440 : 제1로드셀 442 : 제2로드셀
100 : 베이스프레임 110, 120, 130: 아웃트리거
200 : 회전프레임 210 : 다단붐
220 : 붐 회전용 유압실린더 230 : 동조용 유압실린더
300 : 고정링크 310 : 제1회전링크
312 : 제1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 320 : 제2회전링크
330 :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 400 : 운반대
401 : 지지프레임 410 : 포크
420 : 회전연결부 421 : 연결브래킷
424 : 힌지축 426 : 축통
440 : 제1로드셀 442 : 제2로드셀
Claims (7)
- 차량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부에 한쪽 끝부분이 상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되는 다단붐과,
상기 회전프레임과 다단붐을 연결하고 다단붐을 한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시키는 붐 회전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다단붐의 다른쪽 끝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링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고정링크의 한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링크와,
상기 다단붐과 제1회전링크를 연결하고 제1회전링크를 한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시키는 제1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회전링크의 다른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제2회전링크와,
양쪽 끝부분이 상기 고정링크의 다른쪽 끝부분과 상기 제2회전링크의 다른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고정링크와 제2회전링크를 연결하는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회전프레임과 다단붐의 한쪽 끝부분을 연결하고 상기 제2회전링크용 실린더와 동조운동하도록 설치되며 다단붐의 상하 회전시 상기 제2회전링크를 상기 다단붐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다단붐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조용 유압실린더와,
상기 제2회전링크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되고 "L(엘자)"형상의 포크가 수평으로 설치된 운반대와,
상기 운반대가 상기 제2회전링크에 수평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연결부와,
상기 운반대를 수평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운반대용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링크용 유압실린더는 상기 제1회전링크의 상하 회전시 일정 길이를 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회전링크가 항상 일정 자세로 유지되면서 상기 운반대의 포크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다단붐의 상하 회전시 길이가 증가하거나 단축되면서 상기 다단붐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회전링크를 한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상하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회전링크가 항상 일정 자세로 유지되면서 상기 운반대의 포크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소 리프팅 작업차.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는 "ㄷ(디귿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회전링크의 다른쪽 끝부분에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설치되며 한 쌍의 수평부에는 힌지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브래킷과, 연결브래킷의 한 쌍의 수평부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양쪽 끝부분이 힌지구멍에 각각 결합되는 힌지축과, 한 쌍의 상기 수평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운반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조립되는 축통을 포함하는 고소 리프팅 작업차.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는 상기 제2회전링크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수직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상기 포크를 포함하는 고소 리프팅 작업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5945A KR101347865B1 (ko) | 2013-04-02 | 2013-04-02 | 고소 리프팅 작업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5945A KR101347865B1 (ko) | 2013-04-02 | 2013-04-02 | 고소 리프팅 작업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7865B1 true KR101347865B1 (ko) | 2014-01-07 |
Family
ID=5014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5945A KR101347865B1 (ko) | 2013-04-02 | 2013-04-02 | 고소 리프팅 작업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7865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3134B1 (ko) * | 2017-05-23 | 2018-08-30 | 유오성 | 데릭실린더와 슬레이브실린더를 통한 붐의 단부에 장착되는 보조장치의 수평 자동레벨링 시스템 |
WO2020167247A1 (en) * | 2019-02-12 | 2020-08-20 | Sh Technologies Pte. Ltd. | A lifting device and an attachment device for same |
CN111606198A (zh) * | 2020-06-20 | 2020-09-01 |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随州供电公司 | 一种用于电力作业车的挂钩机构 |
KR102174518B1 (ko) * | 2019-11-29 | 2020-11-04 | 고재필 | 구난 소방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중량 감지 구조 |
CN112339319A (zh) * | 2020-10-19 | 2021-02-09 | 长沙湘一机械有限公司 | 一种垃圾压缩机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7897U (ja) * | 1992-09-21 | 1994-04-12 |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 高所作業車の作業台荷重検出装置 |
KR20050018980A (ko) * | 2002-12-25 | 2005-02-28 |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 자주식 작업 기계 |
JP2009155028A (ja) * | 2007-12-26 | 2009-07-16 | Aichi Corp | 高所作業装置 |
KR20120094971A (ko) * | 2011-02-18 | 2012-08-28 | 엠티산업(주) | 카고크레인 보조장치 |
-
2013
- 2013-04-02 KR KR1020130035945A patent/KR1013478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7897U (ja) * | 1992-09-21 | 1994-04-12 |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 高所作業車の作業台荷重検出装置 |
KR20050018980A (ko) * | 2002-12-25 | 2005-02-28 |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 자주식 작업 기계 |
JP2009155028A (ja) * | 2007-12-26 | 2009-07-16 | Aichi Corp | 高所作業装置 |
KR20120094971A (ko) * | 2011-02-18 | 2012-08-28 | 엠티산업(주) | 카고크레인 보조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3134B1 (ko) * | 2017-05-23 | 2018-08-30 | 유오성 | 데릭실린더와 슬레이브실린더를 통한 붐의 단부에 장착되는 보조장치의 수평 자동레벨링 시스템 |
WO2020167247A1 (en) * | 2019-02-12 | 2020-08-20 | Sh Technologies Pte. Ltd. | A lifting device and an attachment device for same |
CN111867966A (zh) * | 2019-02-12 | 2020-10-30 | 顺富科技私人有限公司 | 提升装置和用于它的附接装置 |
KR102174518B1 (ko) * | 2019-11-29 | 2020-11-04 | 고재필 | 구난 소방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중량 감지 구조 |
CN111606198A (zh) * | 2020-06-20 | 2020-09-01 |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随州供电公司 | 一种用于电力作业车的挂钩机构 |
CN112339319A (zh) * | 2020-10-19 | 2021-02-09 | 长沙湘一机械有限公司 | 一种垃圾压缩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7865B1 (ko) | 고소 리프팅 작업차 | |
KR100984538B1 (ko) | 화물용 양하역 장치 | |
US8584801B2 (en) | Self-climbing hoist, deck and scaffold platform system | |
US8151935B2 (en) | Lifting and positioning apparatus | |
US12084317B2 (en) | Cable robot | |
US12031342B2 (en) | Hoist platform system for multi-floor building construction | |
US20160304329A1 (en) | Lifting device | |
US6640928B1 (en) | Free-standing, multi-functional, mobile construction aid | |
CN105271011A (zh) | 一种多功能微型吊装机 | |
US10202262B2 (en) | Method of operating a crane, and crane | |
KR101329119B1 (ko) | 고소작업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고소작업차 | |
CN104310286A (zh) | 多功能液压三级升降平台 | |
US10655335B2 (en) |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commercial roofing | |
JP2012136339A (ja) | 構造物の架設方法及び撤去方法 | |
US20130087410A1 (en) | Lift platform | |
NL2010554C2 (en) | Crane with connector for erecting a structure. | |
US11873197B2 (en) | Large crane with boom | |
RU2465191C2 (ru) | Самоходный двухстреловой кран | |
KR200498101Y1 (ko) |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 | |
KR200426975Y1 (ko) |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 |
JP2014001034A (ja) | リフト車 | |
WO2013014620A1 (en) | A crane | |
JPH03232690A (ja) | 揚重機 | |
JP5771830B2 (ja) | コーナー作業用ゴンドラ装置 | |
CN219058310U (zh) | 一种折叠式门架起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