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8101Y1 -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 - Google Patents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8101Y1 KR200498101Y1 KR2020220001927U KR20220001927U KR200498101Y1 KR 200498101 Y1 KR200498101 Y1 KR 200498101Y1 KR 2020220001927 U KR2020220001927 U KR 2020220001927U KR 20220001927 U KR20220001927 U KR 20220001927U KR 200498101 Y1 KR200498101 Y1 KR 20049810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panel
- cargo
- guide rail
- elev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4—Storage and transport racks for scaffolding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봉, 수평봉 및 봉결합구를 포함하는 비계를 이용해서 승강하는 화물승강기를 포함하는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물승강시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비계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레일지지부; 상기 레일지지부는, 상기 수평봉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수평봉에 상기 제1 결합부를 탈착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제1 결합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물승강기는, 제1 판; 상기 제1 판에 일측이 결합되는 제2 판; 상기 제2 판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판; 및 그 하부가 상기 제2 판에 결합되되 상기 제2 판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널이 상기 제2 판에 수평이 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3 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패널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3 판이 슬라이딩 되어 건축물 시공 시 사용되는 자재 및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비계에 결합하여 지지되는 가이드레일을 통해 화물승강기가 승강하여 화물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승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을 시공하는 건설 현장에는 시공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벽에 작업자의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임시 작업대인 비계가 2층 이상의 복수의 층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설치된 비계에서 작업을 위해 각종 작업 도구 및 자재들을 올려주는 경우 및 작업 후 해체된 부품둘을 내려주는 경우 작업자가 직접 수행하여 작업자가 느끼는 피로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실수 등에 의해 운반되는 물품들의 낙하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잦은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한편,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경우에는 장비의 대여비용 부담이 크게 발생하고, 비계와의 접촉이 발생하여 사고의 위험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승강기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비계와 결합되어 설치됨에 따라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화물승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직봉, 수평봉 및 봉결합구를 포함하는 비계를 이용해서 승강하는 화물승강기를 포함하는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물승강기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비계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레일지지부; 상기 레일지지부는, 상기 수평봉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수평봉에 상기 제1 결합부를 탈착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제1 결합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물승강기는, 제1 판; 상기 제1 판에 일측이 결합되는 제2 판; 상기 제2 판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판; 및 그 하부가 상기 제2 판에 결합되되 상기 제2 판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널이 상기 제2 판에 수평이 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3 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패널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3 판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널의 일면에는 지지구;가 구비되되, 상기 제1 패널이 상기 제2 판에 수평이 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구가 상기 제2 판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 패널의 회전을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판은, 상기 제3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의 타면에는 제3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되, 상기 제1 패널이 상기 제2 판과 평행이 되도록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3 판이 상기 제1 패널 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제3 가이드레일이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판 하부에는, 상기 화물승강기의 이동 및 화물 적재 시 발생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완충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은, 화물승강기에 제1, 제2 및 제3 패널이 구비되어 화물승강기가 이동될 때 화물 및 자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물승강기가 화물을 운반할 위치에 도착했을 때, 제1 패널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화물이 적재되는 제2 판이 제1 패널 방향으로 이동되어 화물의 적재 및 하역 과정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화물승강기의 이동 및 화물 적재 시 발생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완충기가 더 포함되어 화물승강기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와 화물승강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판의 슬라이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판의 슬라이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세부 크기, 형태, 두께, 곡률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도식화된 것으로서, 허용 오차 등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100)와 화물승강기(400)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판(430)의 슬라이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판(4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승강시스템(1000)은 수직봉(110 : 110-1, 110-2), 수평봉(120 :120-1, 120-2) 및 봉결합구(130 : 130-1, 130-2, 130-3, 130-4)를 포함하는 비계(100)를 이용해서 승강하는 화물승강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계(100)는 수직봉(110), 수평봉(120) 및 봉결합구(13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인력이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는 통로 및 발판(도시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물승강시스템(1000)은 가이드레일(300) 및 레일지지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레일(300)은 화물승강기(40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고 레일지지부(200)는 가이드레일(300)을 비계(100)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일지지부(200)는 제1 결합부(210), 제1 고정부(220) 및 제2 고정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결합부(210)가 비계(100)에 구비된 수평봉(120)과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220)가 수평봉(120)에 제1 결합부(210)를 탈착시키고, 제2 고정부(230)가 가이드레일(300)이 제1 결합부(210)에 지지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수평봉(120)에 탈착되는 제1 고정부(220)는 내면이 수평봉(120)과 대응되는 형상(예컨데 'C'자 형상 등)을 가지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제1 고정부(220)가 수평봉(120)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어 레일지지부(200)가 비계(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편리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일지지부에 의하여, 가이드레일(300)이 건축물 외측에 설치되는 비계(100)에 손쉽고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고, 이 가이드레일(300)에 안내되면서 화물승강기(400)가 승상될 수 있다. 특히, 레일지지부(200)에 구비되는 제1 고정부(220) 및 제2 고정부(230)에 의해 비계(100)와 가이드레일(300)이 탈착될 수 있으므로 작업 진행상황 및 시공상황에 따라, 비계(100)에 설치되는 화물승강기(400)의 위치를 이동시켜 건축물 시공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승강기(400)는 제1 판(410), 제2 판(420), 제3 판(430), 제1 패널(440), 제2 패널(450) 및 제3 패널(4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판(410)이 가이드레일(300)과 결합하여 화물승강기(4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제1 판(410)의 일측에 제2 판(420)이 결합되고, 제2 판(42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3 판(430)이 결합되어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2 내지 제3 패널(440,450,460)이 제2 판(420)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제1 패널(440)이 제2 판(420)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3 패널(460)이 제2 판(420)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판(410)의 타측에는 제2 결합부(411 : 411-1, 411-2, 411-3, 411-4)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결합부(411)는 승강롤러(412 : 412-1, 412-2, 412-3, 41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승강롤러(412)는 가이드레일(30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화물승강기(4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4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판(410)의 타측에 구비되어 가이드레일(300)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계(100)의 최상단 또는 시공중인 건축물의 최상단에는 화물승강기(4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윈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판(410)의 상단에는 고리(600)가 구비되어 윈치의 와이어와 결합되고 윈치에 의해 화물승강기(4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판(410)의 타측에 구비된 승강롤러(412)가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되면서 화물승강기(400)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패널(440)은 제2 판(420)에 수평이 되도록 회전될 수 있고, 제3 판(430)의 적어도 일부가 제1 패널(44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제3 판(430)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제1 패널(440)의 타측에는 지지구(441,44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지지구(441,442)만이 표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물의 하중을 버티기 위해 필요한 경우 복수개의 지지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지지구(441,442)는 제1 패널(440)이 제2 판(420)에 대하여 수평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제1 패널(440)이 제2 판(420)에 수평이 되도록 회전되고, 제3 판(430) 또는 제3 판(430)에 적재된 화물이 제2 판(420)에서 제1 패널(440) 방향으로 이동할 때, 지지구(441,442)는 제2 판(420)과 제1 패널(440) 사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판(430)이 제1 패널(440) 방향으로 이동 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화물승강기(400)에서 제3 판(430)에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 시 제1 판(410)에 의해 접근이 방해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판(420)은 제3 판(43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가이드레일(421)을 더 포함하고, 제1 패널(440)의 타면에는 제3 가이드레일(432)이 구비되어 제1 패널(440)이 제2 판(420)과 평행이 되도록 회전되었을 때, 제2 판(420)의 상부에 위치되던 제3 판(430)이 제1 패널(440)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제3 가이드레일(432)이 안내할 수 있다.
제3 판(430)은 제2 판(420)과 제1 패널(440)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제2 가이드레일(421)과 맞닿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3 결합부(4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결합부(431)는 제2 결합부(411)와 비슷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승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결합부(431)에 구비된 승강롤러가 제2 가이드레일(421)의 내측면과 결합하여 제3 판(43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패널(440)의 하부면이 제2 판(420)의 측면과 맞닿는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제3 결합부(431)가 제2 가이드레일(421)을 따라 제3 가이드레일(432)로 이동하여 제 3 판(43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결합부(431)가 제2 가이드레일(421)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3 판(430)이 제2 판(420)과 적어도 일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승강기(40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중일 때에는 제3 결합부(431)가 제2 가이드레일(421)에 고정되고, 제3 판(43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제3 판(430)에 적재된 화물이 제3 판(430)에서 이탈되는 것이 제1 패널(440), 제2 패널(450), 제3 패널(460)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화물승강기(400)가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하고자 하는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제2 결합부(411)가 가이드레일(300)에 고정되어 화물승강기(4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411) 및 제3 결합부(431)에는 승강롤러(412)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토퍼는 승강롤러(412)가 회전하는 동안에는 제2 결합부(411) 내측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화물승강기(400)가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하고자 하는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승강롤러(412)의 회전이 정지됨에 따라 내측에 인입되있던 스토퍼가 가이드레일(300) 방향으로 돌출되어 화물승강기(4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스위치가 구비되어, 화물승강기(4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스토퍼가 제2 결합부(411)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411)에 구비된 스토퍼가 가이드레일(300)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레일(300)의 일측과 맞닿고, 제1 패널(440)이 회전되어 제1 패널(440)과 제2 판(420)이 평행해지면, 제3 결합부(431)에 구비된 스토퍼와 제2 가이드레일(421) 사이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판(43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3 결합부(431)에 구비된 승강롤러가 회전될 수 있는데, 이때, 제3 결합부(431)에 구비된 스토퍼와 제2 가이드레일(421) 사이의 접촉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판(430)의 수평방향 이동이 완료되면 승강롤러의 회전이 정지되어 스토퍼가 돌출되며, 돌출된 스토퍼에 의하여 제3 판(430)의 수평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3 판(430)을 다시 제2 판(42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경우에는 스토퍼가 제3 결합부(431)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결합부(411) 및 제3 결합부(431)에는 센서가 구비되어 제2 결합부(411)에 구비된 스토퍼가 가이드레일(300)에 결합되면 자동으로 제3 결합부(431)에 구비된 스토퍼와 제2 가이드레일(421)과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어 제3 판(43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3 판(430)의 수평이동이 완료되면 제3 결합부(431)에 구비된 스토퍼가 다시 돌출되어 제3 판(430)의 수평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물승강기(4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제3 판(430) 전체가 제2 판(420) 상부에 위치된 상태를 감지한 경우(또는 제1 패널(440)의 넓은 면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위치된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만 제2 결합부(411)에 구비된 스토퍼가 가이드레일(300)과 결합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결합부(431)는 베어링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베어링이 제2 가이드레일(421)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제3 판(430)을 제1 패널(44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결합부(431)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3 판(430)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판(420)의 하부에는 완충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기(500)에 의해 화물승강기(400)가 승강 시 지면에 맞닿기 전 완충기(500)가 1차적으로 화물승강기(4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화물 적재 또는 하역 시 화물승강기(400)에 추가되는 하중이 완충기(500)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본 발명의 범위가 정해져서는 안될 것이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써, 전술된 실시예가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화물승강시스템
100 : 비계
110 : 수직봉
120 : 수평봉
130 : 봉결합구
200 : 레일지지부
210 : 제1 결합부
220 : 제1 고정부
230 : 제2 고정부
300 : 가이드레일
400 : 화물승강기
410 : 제1 판
411 : 제2 결합부
412 : 승강롤러
420 : 제2 판
421 : 제2 가이드레일
430 : 제3 판
431 : 제3 결합부
432 : 제3 가이드레일
440 : 제1 패널
441 : 제1 지지구
442 : 제2 지지구
450 : 제2 패널
460 : 제3 패널
500 : 완충기
600 : 고리
100 : 비계
110 : 수직봉
120 : 수평봉
130 : 봉결합구
200 : 레일지지부
210 : 제1 결합부
220 : 제1 고정부
230 : 제2 고정부
300 : 가이드레일
400 : 화물승강기
410 : 제1 판
411 : 제2 결합부
412 : 승강롤러
420 : 제2 판
421 : 제2 가이드레일
430 : 제3 판
431 : 제3 결합부
432 : 제3 가이드레일
440 : 제1 패널
441 : 제1 지지구
442 : 제2 지지구
450 : 제2 패널
460 : 제3 패널
500 : 완충기
600 : 고리
Claims (4)
- 수직봉, 수평봉 및 봉결합구를 포함하는 비계를 이용해서 승강하는 화물승강기를 포함하는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물승강기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비계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레일지지부;
상기 레일지지부는,
상기 수평봉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수평봉에 상기 제1 결합부를 탈착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제1 결합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물승강기는, 제1 판; 상기 제1 판에 일측이 결합되는 제2 판; 상기 제2 판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판; 및 그 하부가 상기 제2 판에 결합되되 상기 제2 판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널이 상기 제2 판에 수평이 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3 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패널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3 판이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의 일면에는 지지구;가 구비되되, 상기 제1 패널이 상기 제2 판에 수평이 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구가 상기 제2 판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 패널의 회전을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은, 상기 제3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의 타면에는 제3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되, 상기 제1 패널이 상기 제2 판과 평행이 되도록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3 판이 상기 제1 패널 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제3 가이드레일이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 하부에는, 상기 화물승강기의 이동 및 화물 적재 시 발생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완충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승강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1927U KR200498101Y1 (ko) | 2022-08-05 | 2022-08-05 |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1927U KR200498101Y1 (ko) | 2022-08-05 | 2022-08-05 |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0275U KR20240000275U (ko) | 2024-02-14 |
KR200498101Y1 true KR200498101Y1 (ko) | 2024-06-26 |
Family
ID=8985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1927U KR200498101Y1 (ko) | 2022-08-05 | 2022-08-05 |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8101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9223Y1 (ko) | 2014-10-10 | 2016-01-12 | 조예성 | 비계용 리프트 장치 |
KR102139885B1 (ko) | 2019-05-16 | 2020-07-30 | 장윤근 | 화물 운반 설비를 가진 비계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72736A (ja) * | 1993-12-21 | 1995-07-11 | Yoshitada Etsuhara | 積み降ろし装置を備える工事用昇降機 |
-
2022
- 2022-08-05 KR KR2020220001927U patent/KR20049810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9223Y1 (ko) | 2014-10-10 | 2016-01-12 | 조예성 | 비계용 리프트 장치 |
KR102139885B1 (ko) | 2019-05-16 | 2020-07-30 | 장윤근 | 화물 운반 설비를 가진 비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0275U (ko) | 2024-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65536B2 (en) | Load carrying platform shuttle | |
US9206020B2 (en) | Work platform for an overhead crane | |
EP1855982B1 (en) | Lifting and positioning apparatus | |
US20110147329A1 (en) | Load transportation system | |
AU2018360623B2 (en) | Hoist platform system for multi-floor building construction | |
US20160348382A1 (en) | Load carrying platform shuttle | |
JPH07259322A (ja) | 昇降足場 | |
KR101347865B1 (ko) | 고소 리프팅 작업차 | |
CN110077969B (zh) | 一种建筑主体结构沿电梯井壁升降式的物料吊笼提升系统 | |
JP4978443B2 (ja) | 落橋防止pcブロック取付工事用特殊作業台車装置 | |
KR200498101Y1 (ko) | 비계를 활용하는 화물승강시스템 | |
JP2012136339A (ja) | 構造物の架設方法及び撤去方法 | |
EP2621849B1 (en) | Sheet material handling device | |
JPH06272389A (ja) | 仮設荷受けステージ | |
CN109941922B (zh) | 一种上翻装置 | |
JP5771830B2 (ja) | コーナー作業用ゴンドラ装置 | |
CN113669105B (zh) | 一种多功能的搬运矿车 | |
JP3489435B2 (ja) | 建設資材の簡易移載装置 | |
RU131709U1 (ru) |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быстромонтируемый кран (мбмк) | |
JP3385267B2 (ja) | 天井クレーン | |
JPH03232690A (ja) | 揚重機 | |
AU2014271309A1 (en) | Load Carrying Platform Shuttle | |
JPH02132091A (ja) | エレベータ用荷積降し装置 | |
CA2777793C (en) | Work platform for an overhead crane | |
JPH11116043A (ja) | 建設資材の簡易移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